KR20020048335A -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8335A
KR20020048335A KR1020020023855A KR20020023855A KR20020048335A KR 20020048335 A KR20020048335 A KR 20020048335A KR 1020020023855 A KR1020020023855 A KR 1020020023855A KR 20020023855 A KR20020023855 A KR 20020023855A KR 20020048335 A KR20020048335 A KR 20020048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o
unit
lif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봉
Original Assignee
최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삼봉 filed Critical 최삼봉
Priority to KR1020020023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8335A/ko
Publication of KR2002004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8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생활무전기를 도둑침입 또는 저온창고와 온실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및 이상을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농촌 등과 같이 거주지역과 창고나 축사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는, 창고의 문, 창문등의 소정위치에 부착되어서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센서(10,12,14)와, 상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특정코드로 변환시키고 제1생활무전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20)와, 상기 신호변환장치(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주파수대역으로 특정코드변환된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생활무전기(30)와, 상기 제1생활무전기(30)로부터 주파수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를 복조하여 특정코드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2생활무전기(40)와,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코드신호를 변환시켜 소정위치에서의 이상상태발생을 판단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확인장치(50)와, 상기 신호확인장치(5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전화연결부(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Device for alarming the invasion of theft using a pair of tranceiver}
본 발명은 종래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 길게는 수 키로 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생활무전기를 저온창고 및 온실 등에 화재나 온도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또는 도둑침입과 같은 비상사태를 전달하는 무선통신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농촌 등과 같이 거주지역과 창고나 축사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을철에 농촌에서 수확을 앞둔 인삼을 비롯하여 값나가는 농작물이나, 원예작물을 비롯하여 양식장에 양식중인 어패류와 바다에서 양식중인 우렁쉥이와 미역등과 수확하여 창고에 보관중인 벼, 과일, 고추, 꽤 등 그리고 가축과 심지어 집을 지키는 개까지도 차량을 이용하여 절도하는 사람들과 저온창고나 온실의 온도 이상이 생겨 손실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이러한 수확을 하여야 할 농수산물과 수확한 농수산물 등을 저장하는 창고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집과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 멀리는 수 키로 미터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인적이 드문 야간에는 무방비상태가 되며, 관리가 곤란하지며 저온창고나 온실 등과 또한 가축의 축사 등도 비슷한 형편이다.
이러한 무방비상태를 노린 범죄가 현재 농촌에서 다발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농민의 의욕을 상실하게 하고 농민들의 생활기반을 무너뜨릴 뿐만 아니라 농업기반을 무너뜨리는 중대범죄가 되고 있으며, 또한 저온창고나 온실 등의 관리의 실수 또는 시스템의 이상이 발생시 많은 손실이 발생된다.
이러한 관리의 이상과 범죄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농어촌의 농장이나 목장, 창고 등에 보안 경보장치를 설치하는 곳도 있으나, 농어촌의 여건상 상당히 난해한 문제이며. 이는 광범위한 넓은 면적 그리고 경보를 발령하여야 할 곳이 너무 이격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도시와 같이 경비업체에 의한 경비용역도 광범위한 면적과 이격된 거리등으로 효율적인 경비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많은 인원과 장비 등이 필요로 하게 되어 많은 비용이 요구되므로 채산이 맞지 않아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체에서 설치되는 대부분의 경보장치는 한정된 지역에서만 인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범죄현장에서 침입자를 감지하여 보안 장비가 작동하여 싸이렌이나 경광등이 작동하여도 범죄현장의 인근에 위치한 농민들만이 범죄에 대처하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한 절도범들의 기동성에 밀려서 효과적으로 범인을 잡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무선장치등을 이용하여 원거리로 이격된 상태에서 경보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통달거리가 비교적 멀게되면 허가를 받아 제조하게 되는데, 허가절차가 비교적 복잡하기 때문에 경보용 무선장치를 설치하는데 있어 허가를 받아 경보장치를 설치하는데는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
또한 경찰서 등에 신고를 하는 경우에도 범죄현장을 발견하고서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야 신고가 되기 때문에 경찰출동의 시점이 지연되어서 현장에서의 체포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도 범죄현장을 적발하거나피해사실을 확인한 후에야 경찰서 등에 연락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발생시점에서부터 효과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십 내지 수 백 미터 이내의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생활무전기를 저온창고와 온실 등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도둑침입과 같은 비상사태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농촌 등과 같이 거주지역과 창고나 축사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범죄발생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검출센서를 설치하고, 화재나 온도의 이상 또는 범죄발생시점에서 즉시 관리인이나 경찰서 등에 연락을 취함으로서 신속한 대처와 범죄발생현장에서의 범인 검거율을 높일 수 있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이미 허가된 생활무전기를 무선통신수단으로 사용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한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신호변환장치와 생활무전기 송신부의 블럭회로도,
도 3은 도 1의 신호확인장치와 생활무전기 수신부의 블럭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14 : 검출센서 20 : 신호변환장치
30 : 제1생활무전기 40 : 제2생활무전기
50 : 신호확인장치 60 : 전화연결부
70 : 전화기 201 : 제어부
202 : 신호변환부 203 : 신호송출부
204 : 무전기작동부 301 : 무전기제어부
302 : 무전기송신부 401 : 무전기수신부
402 : 무전기제어부 501 : 신호변환부
502 : 제어부 503 : 음성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는, 창고의 문, 창문등의 소정위치에 부착되어서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특정코드로 변환시키고제1생활무전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와, 상기 신호변환장치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주파수대역으로 특정코드변환된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생활무전기와, 상기 제1생활무전기로부터 주파수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를 복조하여 특정코드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2생활무전기와, 상기 제2생활무전기로부터 출력되는 특정코드 신호를 변환시켜 소정위치에서의 이상상태발생을 판단하고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확인장치와, 상기 신호확인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전화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경보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는, 창고의 문, 창문등의 소정위치에 부착되어서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센서(10,12,14)와, 상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특정코드로 변환시키고 제1생활무전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20)와, 상기 신호변환장치(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주파수대역으로 특정코드 변환된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생활무전기(30)와, 상기 제1생활무전기(30)로부터 주파수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를 복조하여 특정코드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2생활무전기(40)와,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코드신호를 변환시켜 소정위치에서의 이상상태발생을 판단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확인장치(50)와, 상기 신호확인장치(5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전화연결부(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검출센서(10,12,14)등은 범죄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장소, 예를 들면 창고의 문이나 창문, 축사의 문이나 창문등과 같은 소정의 장소에 설치된다. 설치된 검출센서는 초기설치된 상태에서 대기하다가 도둑의 침입이 감지되면 다른 상태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검출센서는 예를 들어서 온/오프의 2가지 검출상태를 가지는 마이크로스위치나, 물체의 이동상태를 검출하는 적외선감지센서, 연결선이 끊어지는 경우에 작동되는 단선센서 등의 센서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검출에 의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변환장치(2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변환장치(20)는 상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특정코드로 변환시키고 제1생활무전기(30)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신호변환장치(20)는 검출센서(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도둑의 침입 또는 온도 등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이 검출된 신호를 코드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신호변환장치(20)는 제1생활무전기(30)를 제어하여 작동가능상태로 인에이블시킨 후에 상기 코드변환된 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변조된 신호에는 신호변환장치(20)에 의하여 검출센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정보에 의하여 어느 검출센서가 작동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정확한 검출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에는 신호변환장치(20)의 일실시예의 블럭회로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입력받아서 처리하며 제어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1), 상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코드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202), 상기 신호변환부(202)로부터 코드변환된 신호를 제1생활무전기(3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송출부(203), 상기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생활무전기(30)를 무선송신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무전기작동부(20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신호변환장치(2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으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이상상태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검출센서를 식별하고, 검출센서에 해당하는 정보를 포함한 이상상태 검출신호를 신호변환부(202)를 통하여 변조한 후에, 신호송출부(203)로 전송하며, 동시에 무전기작동부(204)에서는 상기 신호송출부(203)를 통하여 입력되는 코드변조신호를 주파수변조하여 전송하도록 제1생활무전기(30)에 작동신호를 출력한다.
제1생활무전기(30)는 신호변환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변환된 신호를 주파수변조하여 무선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 사용되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무선송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생활무전기의 구성 중에서 무전기제어부(301)와 무전기송신부(302)만이 사용된다. 상기 무전기제어부(301)는 제1생활무전기(3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으로서, 상기 무전기작동부(204)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신호, 즉 파워온신호를 입력받아서 온된 후에, 신호송출부(203)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변조신호를 무전기송신부(302)에서 무선주파수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시키는 것이다. 상기 주파수변조는 제1생활무전기(30)에서의 고유변조주파수를 이용하여 변조, 전송된다.
상기 제1생활무전기(30)로부터 전송된 무선주파수신호는 제2생활무전기(40)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무전기수신부(401)에서 수신, 복조하여 코드변조된 신호를 출력한다. 코드변조신호는 무전기제어부(402)에 의하여 신호확인장치(5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확인장치(50)는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출력된 코드변호신호를 이용하여 어느 검출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신호확인장치(50)의 블럭회로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확인장치(50)는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변환부(501), 상기 신호변환부(5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어느 검출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독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502) 및 상기 제어부(50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경고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503)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신호확인장치(50)는 또한 전화연결부(60)를 이용하여 전화기(70)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특정전화번호로 연결하고, 전화가 연결되면 미리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화연결부(60)는 신호확인장치(5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예를 들면 경찰서, 자경단등)를 자동다이얼링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다이얼링에 의하여 지정된 전화기로부터 착신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를 신호확인장치(50)의 제어부(502)로 입력시킨다.
제어부(502)에서는 착신신호가 입력되면 음성출력부(503)를 이용하여 현재 어느 장소(이상상태검출신호가 입력된 검출센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이상사태발생,예를 들면 도둑침입등과 같은 사태가 발생되었다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출력된 음성메시지는 전화기(70)의 전화라인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전달되고, 경찰서 또는 자경단원은 즉시 현장으로 출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경보장치를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먼저 도둑의 침입이 예상되는 장소, 예를 들면 창고의 문, 창문, 축사의 문이나 창문등에 검출센서(10,12,14)를 각각 설치하고, 검출센서들을 별도의 신호변환장치(20)에 연결시킨다. 신호변환장치(20)는 검출센서들로부터 신호의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 검출신호에는 서로 다른 식별ID(A1,A2,A3,A4등)가 부여되어 있어서 검출센서간을 상호 구분하게 되며, 이러한 정보는 신호변환장치(2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도둑이 침입하여 검출센서가 설치된 영역을 통과하게 되면, 검출센서에서는 이것을 감지하고 이상상태발생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신호변환장치(20)로 입력된다. 신호변환장치(20)에서는 이상상태발생신호가 검출된 장소, 즉 검출센서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 후에 판정위치에 대한 신호변환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변환은 특정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코드변환된다. 신호변환장치(20)에서 검출센서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코드변환된 신호는 제1생활무전기(30)에 입력된다. 상기 제1생활무전기(30)는 통상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의 거리에서 통신이 가능하며, 송수신기능을 모두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활무전기(30)를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것은 신호변환장치와 신호확인장치를 구비하면 용이하게 원격경보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생활무전기와의 연결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호변환장치(20)와 신호확인장치(50)를 간단한 잭연결에 의하여 상호간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종래 사용되는 이어폰잭등을 통하여 신호변환장치(20)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때 생활무전기의 내부회로에는 약간의 회로변경이 수행된다.
제1생활무전기(30)는 기능 중에서 무선송신기능만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신호변환장치(2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먼저 온작동상태로 전환된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제1생활무전기(30)는 별도의 전원소모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온작동후에 제1생활무전기(30)는 신호변환장치(2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변조신호를 주파수변조한 후에 안테나를 통하여 대기 중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전송된 무선신호는 제2생활무전기(40)의 안테나에 의하여 수신된다.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는 무선송수신기능중에서 무선수신기능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주파수신호는 제2생활무전기(40)의 무전기수신부에 의하여 수신, 복조된 후에 코드변조신호를 출력한다. 코드변조신호는 신호확인장치(5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확인장치(50)는 입력된 코드변조신호를 다시 복조하여 어느 검출센서로부터 이상상태발생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검출센서를 판단, 식별한 후에 신호확인장치(50)는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에 의하여전화연결부(60)가 전화기(70)를 제어하여 전화를 걸어준다. 전화가 연결되면 신호확인장치(50)에서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여 전화선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경고메시지를 출력한다. 전화상대방은 예를 들면 경찰이나 자경단원등이 될 수 있으며, 경고메시지를 들은 즉시 도둑의 침입이 의심되는 장소로 출동하여 도둑을 현장에서 검거한다. 이때 침입자는 현장에 설치된 생활무전기에 의한 침입통보사실을 알 지 못하기 때문에 도주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적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 십 내지 수 백 미터 멀리는 수십 키로 미터이내의 거리에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생활무전기를 도둑침입과 같은 비상사태를 전달하는 무선통신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어서 농촌등과 같이 거주지역과 창고나 축사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저온창고나 온실 등에 온도의 변화와 화재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 비롯하여 범죄발생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검출센서를 설치하여 이상 발생 및 범죄발생시점에서 즉시 관리자와 경찰서 등에 연락을 취함으로서 효과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져 온도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되는 손실을 방지하고, 범죄발생현장에서의 범인검거율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종래 시중에서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는 생활무전기를 무선통신수단으로 사용함으로서 제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원격지에 무선으로 검출신호를 전송하여 침입사실을 통보하기 위한 경보장치에 있어서,
    창고의 문, 창문등의 소정위치에 부착되어서 이상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검출센서(10,12,14)와, 상기 검출센서(10,12,1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특정코드로 변환시키고 제1생활무전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변환장치(20)와, 상기 신호변환장치(20)의 제어에 따라서 소정주파수대역으로 특정코드변환된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하기 위한 제1생활무전기(30)와, 상기 제1생활무전기(30)로부터 주파수신호가 수신되면 신호를 복조하여 특정코드만을 추출하기 위한 제2생활무전기(40)와,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출력되는 특정코드신호를 변환시켜 소정위치에서의 이상상태발생을 판단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확인장치(50)와, 상기 신호확인장치(5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전화연결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장치(20)가, 임의의 검출센서로부터 출력된 검출신호를 입력받아서 처리하며 제어용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201), 상기 제어부(201)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신호를 코드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부(202), 상기 신호변환부(202)로부터 코드변환된 신호를 제1생활무전기(3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송출부(203), 상기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1생활무전기(30)를 무선송신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무전기작동부(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확인장치(50)가, 상기 제2생활무전기(4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변조된 신호를 복조하는 신호변환부(501), 상기 신호변환부(50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어느 검출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독하고 경고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502) 및 상기 제어부(502)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경고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부(5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장치(20)와 상기 제1생활무전기(30), 상기 제2생활무전기(40)와 신호확인장치(50)가 각각 연결용 잭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KR1020020023855A 2002-04-24 2002-04-24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020048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55A KR20020048335A (ko) 2002-04-24 2002-04-24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855A KR20020048335A (ko) 2002-04-24 2002-04-24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453U Division KR200266119Y1 (ko) 2001-11-21 2001-11-21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8335A true KR20020048335A (ko) 2002-06-22

Family

ID=2772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855A KR20020048335A (ko) 2002-04-24 2002-04-24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8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8661A (zh) * 2018-12-10 2019-04-19 江苏科技大学 一种监管系统及其实现方法
CN110211318A (zh) * 2019-03-11 2019-09-06 滨州学院 一种一体化电力物资安防监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483A (ja) * 1992-10-23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KR970025238U (ko) * 1997-03-14 1997-06-20 차원호 무전기를 이용한 방범장치 및 화재 경보기
KR980004852U (ko) * 1996-06-12 1998-03-30 김태중 경보장치
KR20000007182A (ko) * 1998-07-01 2000-02-07 김원규 종합감시음성통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483A (ja) * 1992-10-23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ホームセキュリティ装置
KR980004852U (ko) * 1996-06-12 1998-03-30 김태중 경보장치
KR970025238U (ko) * 1997-03-14 1997-06-20 차원호 무전기를 이용한 방범장치 및 화재 경보기
KR20000007182A (ko) * 1998-07-01 2000-02-07 김원규 종합감시음성통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8661A (zh) * 2018-12-10 2019-04-19 江苏科技大学 一种监管系统及其实现方法
CN109658661B (zh) * 2018-12-10 2020-10-16 江苏科技大学 一种监管系统及其实现方法
CN110211318A (zh) * 2019-03-11 2019-09-06 滨州学院 一种一体化电力物资安防监管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8084B2 (en) Interactive wireless surveillance and security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6433683B1 (en) Multipurpose wireless video alarm device and system
US5134644A (en) Data communication device
CN201251702Y (zh) 移动监控机器人
US20030201889A1 (en) Remote security condition detection and notifcation system
KR20010041985A (ko) 감시 시스템
NZ516755A (en) Monitoring system
CN201289677Y (zh) 一种无线智能双网安防报警系统
WO2010006418A1 (en) Alarm system providing wireless voice communication
CN101681397A (zh) 远程监视系统及其方法
KR20090107600A (ko) 모드전환방식의 스마트잇비상벨을 이용한 무선 방범시스템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CN106097638A (zh) 一种智能楼宇安全联防系统
CN101673447A (zh) 安全防范报警系统、家庭网关及安全防范报警方法
CN201210335Y (zh) 无线视频防盗报警系统
CN104574794A (zh) 安全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CN100495454C (zh) 无线消防监控报警系统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CN202956851U (zh) 基于gsm通信的远程防盗报警装置
CN106910308A (zh) 智能家居安防装置及系统
KR200266119Y1 (ko)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KR20020048335A (ko) 생활무전기를 이용한 경보장치
KR100360684B1 (ko) 홈 오토메이션 장치 및 방법
KR100291199B1 (ko) 경비 시스템의 단말장치
CN212935960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固定无线话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