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7595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7595A
KR20020047595A KR1020000076084A KR20000076084A KR20020047595A KR 20020047595 A KR20020047595 A KR 20020047595A KR 1020000076084 A KR1020000076084 A KR 1020000076084A KR 20000076084 A KR20000076084 A KR 20000076084A KR 20020047595 A KR20020047595 A KR 20020047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code
loop power
closed loop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1003B1 (ko
Inventor
황선한
전상춘
최경섭
이상연
박형록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7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003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폐루프 전력 제어의 증감을 기존 규격에서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함이 없이 가변적으로 수행하여,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매 타임슬롯당 한 심볼씩 삽입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채널 환경에 따른 전력 증감을 표시(코드 번호)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코드 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의 페이딩을 고려하여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여 할당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폐루프 전력 제어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Method for adaptiv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현재 사용중인 무선가입자망(WLL), 광대역무선가입자망(B-WLL), 주파수공용통신망(TRS),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전화망(Cellullar), 개인휴대통신망(PCS), 지능형교통망(ITS), 외국에서 사용중인 타 이동전화망, 현재 북미방식과 유럽방식으로 표준화가 추진되고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 UMTS) 등과 같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MS : Mobile Station)(10),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20), 그리고 무선망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식은 이동국(MS)(10)과 기지국(BTS)(20) 사이에 적용되는 기술로서, 페이딩을 보상하는 전력 제어 기술이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용 목적은 시스템 용량 증대이다. 이같은 용량 증대에 지배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는 전력 제어이다. 전력 제어는 기지국(BTS)(20)에 도달하는 모든 이동국(MS)(10)으로부터의 전력을 동일하게 하여 근원 간섭 및 셀 외부간섭 문제를 최소로 하여 용량을 증대시키는 방법이다.
CDMA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은 주파수분할다중접속(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나 시분할다중접속(TDMA : Time Divisionmultiple Access) 방식에 비해 기지국당 가입자의 수용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CDMA 방식에서 이상적인 전력 제어를 수행했을 경우 최대의 용량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CDMA 방식은 전력 제어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CDMA 방식에서 사용하는 전력 제어는 크게 개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 폐루프 전력 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 아우터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로 구분되는데, 그 중 빠른 페이딩(Fast Fading) 환경을 보상하기 위한 방안이 "폐루프 전력 제어"이다.
2세대 CDMA 시스템 및 3세대 IMT-2000 시스템 등에서 폐루프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 송신 전력 제어(TPC : Transmit Power control) 비트를 사용한다. 즉,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여, 현재 수신 신호의 세기가 낮으면 상대편 송신측에 송신 신호의 세기를 높이라고 "TPC=0"을 삽입하여 보내고, 송신측에서는 이를 반영하여 송신 신호의 세기를 특정 단위 만큼(예를 들면, +1dB) 높여서 송신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TPC 비트는 매 타임슬롯마다 한 심볼씩 삽입되는데, 2세대 CDMA 시스템에서는 1.25ms마다 한 심볼씩 삽입되며, 3세대 기지국간 비동기식 IMT-2000 시스템에서는 0.66ms마다 TPC 1심볼씩 삽입된다. 또한, TPC 비트를 수신하는 측에서는 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에 따라 정해진 단위(예를 들면, +1dB) 만큼씩만 증감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목할 사항은 만일 빠른 페이딩 환경에서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크게 부족하여 +3dB 정도의 송신 전력 증가가 실시간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라면, 종래의 TPC 비트 삽입 방식에서는 +1dB씩 증가시켜서 최소한 3개의 타임슬롯이 지나야 올바른 폐루프 전력 제어를 완수하게 된다.
1개의 타임슬롯이 0.66ms정도이므로, 3개의 타임슬롯이 긴 시간이 아닐지 모르지만, 만일 1개의 타임슬롯에서 한번에 +3dB의 송신 전력 증가를 수행할 수 있다면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폐루프 전력 제어를 구현하는 방법으로, 종래에는 정해진 단위의 전력 증감(예를 들면, 매 타임슬롯마다 +1dB씩 증감 수행)을 수행한 반면에, 현재의 채널환경에 따라 가변적인 전력 증감(예를 들면, 특정 타임슬롯에서는 +3dB를 한꺼번에 수행)을 수행하여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폐루프 전력 제어의 증감을 기존 규격에서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함이 없이 가변적으로 수행하여,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2a 및 2b 는 기지국간 비동기 방식 무선통신 시스템 순방향 링크의 프레임 구조 및 TPC 비트 패턴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신신호 전력의 크기와 tpc 비트 구현의 맵핑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국(MS) 20 : 기지국(B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매 타임슬롯당 한 심볼씩 삽입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채널 환경에 따른 전력 증감을 표시(코드 번호)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코드 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의 페이딩을 고려하여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여 할당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매 타임슬롯당 한 심볼씩 삽입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채널 환경에 따른 전력 증감을 표시(코드 번호)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코드 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의 페이딩을 고려하여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여 할당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폐루프 전력 제어에서 전력 제어의 양을 가변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면, 실시간으로 변하는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가입자 수용 용량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폐루프 전력 제어의 방안은 기존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TPC(Transmit Power Control) 비트를 변경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기존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매 타임슬롯마다 한 심볼씩 삽입되는 TPC 비트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인데,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TPC 비트를 이용하여 고정된 크기의 전력 증감만을 수행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안은 매 타임슬롯당 삽입되는 한 심볼의 TPC 비트를 이용하여 무선채널 특성에 따라 가변적인 크기의 전력 증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전력 제어가 시스템 성능을 좌우하는 CDMA 시스템에서 시변하는 무선채널 환경을 실시간으로 전력 제어에 반영할 수 있게 되므로 가입자 수용 용량를 늘릴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폐루프 전력 제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고정된 전력 증감을 수행하므로 빠른 페이딩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는 관계로, 본 발명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안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제안한다.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는 기존 고정된 폐루프 전력 제어의 전력 증감 크기가 매 타임슬롯당 1dB로 고정된 반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제어는 매 타임슬롯당 125가지의 레벨을 두어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이 빠른 페이딩 상황에서는 전력 증감의 크기를 2dB 이상으로 하고, 페이딩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1dB 미만의 전력 증감을 수행토록 하여 무선 채널환경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폐루프 전력 제어의 증감을 기존 규격에서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함이 없이 가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제안하며, 폐루프 전력 제어의 가변적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구현 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 는 기지국간 비동기 방식 IMT-2000 시스템 순방향 링크의 프레임 구조도로서, TPC 비트가 삽입되는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Data1 및 Data2는 실제로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들어가는 부분이고, TFCI는 무선채널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서 여러 서비스들이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서 멀티플렉싱되어 있는 정보를 알려주는 인자이다. 그리고, 파일럿(Pilot) 비트는 단말기(이동국(MS))가 순방향 링크의 채널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참고로 사용하는 비트들이며, 이 파일럿 비트들을 이용하여 단말기(이동국(MS))는 순방향 링크 무선 구간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감쇄정도를 예측하게 된다. 또한, TPC 비트는 현재 송신할 데이터의 량에 따라 매 타임슬롯당 1비트, 2비트, 4비트까지 할당된다. 하지만, 주로 타임슬롯당 1비트씩 할당됨이 기본이다.
도 2b 종래 TPC 비트의 패턴 예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NTPC=2는 직교 위상 쉬프트 키(QPSK :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의 I-위상(Phase)에 하나의 비트가 들어가며, Q-위상(Phase)에 나머지 한 비트가 삽입되는 형태이므로 매 타임슬롯당 1비트씩 삽입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시된 항목들, NTPC=2, NTPC=4, NTPC=8는 각각 TPC 비트 1비트, 2비트, 4비트씩 삽입되는 패턴을 나열한 것이다. 또한, TPC 비트의 값이 1이면 송신 전력 감소를 의미하며, 0이면 송신 전력 증가를 의미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의 가변적인 전력 제어를 위한 TPC 비트의 구현 방안에 대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이는 사용자 데이터가 15Ksps의 속도로 전송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기 때문에 하나의 데이터 심볼당 256칩의 의사잡음(PN : Pseudo Noise) 코드를 가지고 확산시키는 예를 나타낸다.
종래의 폐루프 전력 제어에서는 TPC 비트가 0 또는 1로 결정되면, 이 TPC 비트에 채널 구분용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코드와 확산용 PN 롱코드를 가지고 광대역 확산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TPC 비트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256 길이의 왈쉬(Walsh) 코드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한다. 즉, 한 심볼 주기내에 256 길이의 작은 심볼이 들어있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 심볼들을 대상으로 OVSF 및 롱코드 확산을 행하여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종래의 TPC 비트 추출하는 방식과 약간 상이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TPC 비트의 추출은 OVSF 및 롱코드를 역확산하고 한 심볼 구간 동안 적분하여 TPC 비트가 0인지 1인지를 판단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TPC 비트 검출은 한 심볼 구간내에 256개의 작은 심볼들이 존재하는 형태이므로 OVSF 및 롱코드 역확산까지만 수행하고 한 심볼 구간 동안의 적분은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역확산후 추출된 256개의 작은 심볼들을 종래에 수신단에서 가지고 있는 256 종류의 코드표와 비교하여 코드 번호(Code Number)를 확인한 후 도 4a 및 4b와 같이 단말기(이동국(MS))가 역방향 링크로 송신할 송신 전력의 증가폭과 일대일로 맵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는 데이터 전송률 15Ksps를 예로 들었고, 다른 전송률에서도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가변적으로 폐루프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률 120Ksps인 경우에는 SF(Spreading Factor)=32이므로 한 심볼에 32개의 확산용 칩이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TPC 비트가 삽입될 심볼 구간에 32 길이를 갖는 32가지의 코드들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32 레벨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제어가 가능하게 되는데, 이하에서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서의 수신신호 전력의 크기와 TPC 비트 구현의 맵핑 관계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종래의 폐루프 전력 제어는 기지국(BTS)에서 가지고 있는 기준(Reference)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과 수신 신호의 SIR을 비교하여, 수신된 신호의 SIR이 기준 SIR보다 적으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라는 명령 비트인 TPC=0을 삽입하여 순방향 링크로 전송하며, 단말기(이동국(MS))는 이에 근거하여 다음 송신시 송신 전력을 고정된 크기만큼 올려서 역방향 송신하게 된다.
반면에, 도 4a 및 4b에서는 기지국(BTS)에서 가지고 있는 기준 SIR과 수신신호의 SIR과의 비율을 dB로 환산한 결과를 TPC 비트에 확산되어 들어갈 코드 번호(Code Number)와 일대일로 맵핑시켜 놓았다. 따라서, 단말기(이동국(MS))는 수신한 코드 번호(Code Number)에 따라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할당할 수 있게 된다.
도 4a 는 데이터 전송률 15Ksps인 경우의 TPC 코드 번호(Code Number)와 송신 전력의 dB값과의 맵핑 예를 표로 제시하였다.
도 4a를 참조하면, 15Ksps의 경우는 SF(Spreading Factor)=256이므로 256가지의 레벨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폐루프 전력제어의 송신전력 제어가 최소 ±0.1dB 증감부터 최대 ±12.7dB까지 가변적으로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도 4b 는 데이터 전송률 120Ksps인 경우의 TPC 코드 번호(Code Number)와 송신 전력의 dB값과의 맵핑 예인데, 120Ksps의 경우는 SF=32이므로 32가지의 레벨을 구분할 수 있으므로 폐루프 전력 제어의 송신 전력 제어가 최소 ±0.5dB 증감부터 최대 ±7.5dB까지 가변적으로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15Ksps의 데이터 전송시 보다 전력 제어의 정밀도(Resolution)가 약간 떨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기존의 ±1.0dB의 고정된 폐루프 전력 제어와 비교해서는 훨씬 정밀한 폐루프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폐루프 전력 제어시 전력 제어의 양을 가변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변하는 빠른 페이딩 환경에 보다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고, 따라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매 타임슬롯당 한 심볼씩 삽입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채널 환경에 따른 전력 증감을 표시(코드 번호)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코드 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의 페이딩을 고려하여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여 할당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고 할당하는 과정은,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를 위한 방안으로, 매 타임슬롯당 125가지의 레벨을 두어 현재 무선채널 환경이 빠른 페이딩 상황에서는 전력증감의 크기를 2dB 이상으로 하고, 페이딩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1dB 미만의 전력 증감을 수행토록 하여 무선 채널환경에 실시간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256 길이의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사입하되, 한 심볼 주기내에 256 길이의 작은 심볼이 들어있는 형태를 가지게 되며, 이 심볼들을 대상으로 채널 구분용 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및 롱코드 확산을 행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 검출은,
    한 심볼 구간내에 256개의 작은 심볼들이 존재하는 형태이므로 채널 구분용직교 가변 확산 인자(OVSF) 및 롱코드 역확산까지만 수행하고 한 심볼 구간 동안의 적분은 수행하지 않으며, 역확산후 추출된 256개의 작은 심볼들을 256 종류의 코드표와 비교하여 코드 번호(Code Number)를 확인한 후, 역방향 링크로 송신할 송신 전력의 증가폭과 일대일로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기지국에서 가지고 있는 기준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과 수신신호의 SIR과의 비율을 dB로 환산한 결과가 송신 전력 제어(TPC)에 확산되어 들어갈 코드 번호(Code Number)와 일대일로 맵핑되어 있으므로, 이 코드 번호(Code Number)에 따라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6.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를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시스템에,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부터 현재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와 시스템 파라미터로 정해 놓은 사용자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최소 수신세기를 비교하는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서 매 타임슬롯당 한 심볼씩 삽입되는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한 심볼구간에 채널 구분용 확산코드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왈쉬 코드(Walsh Code)나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삽입하고, 이를 통해 현재의 채널 환경에 따른 전력 증감을 표시(코드 번호)하여 상기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송신 전력 제어(TPC) 비트의 전력 증감 표시(코드 번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 현재 무선채널 환경의 페이딩을 고려하여 다음 송신시의 전력 크기를 가변적으로 증감하여 할당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6084A 2000-12-13 2000-12-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KR100381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84A KR100381003B1 (ko) 2000-12-13 2000-12-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084A KR100381003B1 (ko) 2000-12-13 2000-12-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595A true KR20020047595A (ko) 2002-06-22
KR100381003B1 KR100381003B1 (ko) 2003-04-26

Family

ID=2768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084A KR100381003B1 (ko) 2000-12-13 2000-12-13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0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97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아이에스-2000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에서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100539776B1 (ko) * 2002-11-20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 방법
CN100394707C (zh) * 2002-12-20 2008-06-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移动通信系统中手持终端的输出功率的方法
WO2010101443A3 (en) * 2009-03-06 201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5431B1 (ko) * 1997-11-27 2000-09-15 서평원 전력제어비트결정방법
KR100281082B1 (ko) * 1998-06-01 2001-02-01 서평원 씨디엠에이(cdma)통신시스템의전력제어장치및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3497A (ko) * 2001-06-09 2002-12-1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아이에스-2000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시스템에서역방향 전력 제어 방법
KR100539776B1 (ko) * 2002-11-20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전력 제어 방법
CN100394707C (zh) * 2002-12-20 2008-06-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移动通信系统中手持终端的输出功率的方法
WO2010101443A3 (en) * 2009-03-06 201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06150B2 (en) 2009-03-06 2014-04-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1003B1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CHI et al. Coherent multicode DS-CDMA mobile radio access
US9131456B2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60781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A237706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verse link transmission rat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0886389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variable bit rate CDMA mobile telephone system
EP1072107B1 (en) Device and method of continuous outer-loop power control in dtx mode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68196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EP1166481B1 (en) Code reservation for interference measurement in a cdma radiocommunication system
EP1306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common reverse power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875153B2 (ja) 高速データパケットアクセス(hsdpa)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経路不均衡の低減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215833A1 (en) Method of controlling quality of service of a CDMA-based system
US7684819B2 (en)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CDMA base station
KR2000001302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초기 송신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WO2006081875A1 (en)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f-dpch
Kim et al. Capacity unbalance between uplink and downlink in spectrally overlaid narrow-band and wide-band CDMA mobile systems
CA2295795A1 (en) Separate antennas for common channel signals and spread signals
KR100381003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적인 폐루프 전력 제어 방법
JP4167629B2 (ja) 通信端末装置
EP0999657B1 (en) CDMA transmission power control capable of preventing call disconnection and degradation of capacity of subscribers
KR101395435B1 (ko)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코드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레벨 제어
US7336629B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9573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Pollonen Quality of Service Based Admission Control for WCDMA Mobile Systems
KR100407126B1 (ko) 신호 간섭비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 장치가 내장된 수신기
KR101030893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