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773A -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773A
KR20020046773A KR1020000077103A KR20000077103A KR20020046773A KR 20020046773 A KR20020046773 A KR 20020046773A KR 1020000077103 A KR1020000077103 A KR 1020000077103A KR 20000077103 A KR20000077103 A KR 20000077103A KR 20020046773 A KR20020046773 A KR 20020046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identifier
pass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195B1 (ko
Inventor
주원용
김정선
정한욱
전병민
Original Assignee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2000-007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19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블루투스 네크워크의 불필요한 부하를 줄이고, 오과금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의 상기 통신망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 요구와 함께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허가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상기 접속허가된 통신망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불허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불허를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단말기의 자동등록 및 통신망 접속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Method of the network access of a bluetooth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access point for the interface of the network}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단말기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블루투스 네크워크의 불필요한 부하를 줄이고, 오과금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단말기가 통신망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단말기가 유선 베이스의 고정 단말기이기 때문에 단말기 또는 전화번호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그 자체가 이미 인증을 받은 상태이므로, 통신망에서 인증이라는 절차가 필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단말기가 무선 베이스의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망 접근 방법을 적용한다면, 누구나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잘못된 과금 문제 및 트래픽에 불필요한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 단말기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에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 등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과정을 통하여 사용자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통신망 접속을 허용하게 하는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한 통신망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접속 대상이 데이터망인 경우의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접속 대상이 공중전화망/지능망인 경우의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개인용 컴퓨터 102: 이동단말
103: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104: ATU-R
105: ADSL 106: DSLAM
107: 공중전화망 108: 데이터망
200, 300: 인증시스템 201, 301: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202, 302: 인증기 303: 지능망
304: 지능망 교환기 305: 지능망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의 상기 통신망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 요구와 함께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 2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허가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상기 접속허가된 통신망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불허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불허를 통보하는 제 4 단계르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블루투스 단말기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통신망 시스템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접속 요구를 받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전달받는 제 1 단계; 상기 전달받은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최초의 접속요구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사용자 식별자및 암호와,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블루투스 식별자를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7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신망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에,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의 상기 통신망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 요구와 함께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허가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상기 접속허가된 통신망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불허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불허를 통보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 시스템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접속 요구를 받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전달받는 제 1 기능; 상기 전달받은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최초의 접속요구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5 기능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블루투스 식별자를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5 기능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7 기능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한 통신망의 구성예시도이다.
무선 블루투스 소규모 네트워크는 PC(101), 이동단말(102), 및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AP)(103)로 구성된다.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Bluetooth AP : Bluetooth Access Point)(103)는 블루투스가 장착된 PC나 이동단말 등과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로서, 최대 7개의 데이터 링크와 3개의 음성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ADSL모뎀인 ATU-R(ADSL Tranceiver Unit - Remote terminal end)(즉, ADSL의 가입자측 장비)(104)과 음성(Voice) 및 데이터 링크를 연결하여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 통신라인(105) 및 DSLAM(106)을 거쳐 음성(Voice)은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ched Telephone Network)(107)으로 접속시키고, 데이터(Data)는 데이터망(108)에 접속시킨다. 여기서, 디지털 가입자선로 액세스 다중화기(DSLAM: 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er)(이하, 간단히 DSLAM라 함)로써 네트워크측에 다수의 ADSL을 다중화하는 장비를 나타낸다.
가입자가 PC(101)나 이동단말(102)로 기간통신망(PSTN, 데이터망)(107, 108)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서는, 해당 가입자가 기간 통신사업자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절차(즉, 사용자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그렇게 해야만, 기간통신 사업자는 해당 가입자에게 통신료를 부과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도 자신이 이용한 만큼 통신 사용료를 정확하게 지불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AP(103)는 단말기(PC, 이동단말)(101, 102)로부터 접속요구를 받게되면, 정해진 데이터형식으로 가입자정보를 네트워크로 보내고 네트워크에서는 접수받은 가입자정보로 서비스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접속 대상이 데이터망인 경우의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단말기(101, 102)로부터 데이터망 접속을 요구받으면, 블루투스 AP(103)는 단말기(101, 102)로부터 블루투스 식별번호(ID), 사용자 식별번호(ID), 암호 (Password)를 입력받아 데이터망 접속시스템인 데이터망(108)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데이터망(108)에서는 가입자로부터 접속요구를 받으면, 가입자정보를 인증시스템 (200) 내부의 인증기(202)로 보내,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유/무 및 그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받는다. 여기서, 인증 시스템(200)은 네트워크의 요소로서, 가입자가 접속시 인증을 담당하는 시스템이며, 가입자 데이터베이스(DB)는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고, 인증기(202)는 인증 시스템에서 단말기에서 들어온 가입자 정보와 가입자DB에 있는 정보를 비교하여 인증을 해주는 장치이다.
가입자 인증을 요구 받은 인증기(202)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201)를 검색하여, 해당정보를 찾아 데이터망(108)으로 서비스 유/무 및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보내준다.
데이터망의 접속 시스템(108)은 인증시스템(200)의 정보에 의하여 접속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즉, 인증되면), 블루투스 AP(103)에 필요한 데이터(각종 파라메터-IP, DNS, Gateway 등)를 전송하고, 만약 서비스가 불가능할 경우(즉, 인증되지 않은 경우)에는 서비스불가 코드를 블루투스 AP(103)로 전송하여, 블루투스 AP(103) 및 접속요구한 단말기(101, 102)에서 서비스불가 사유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접속 대상이 공중전화망/지능망인 경우의 통신망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단말기가 음성통화로 연결을 요구하면, 블루투스 AP(103)는 일반 유선전화를 거는 것과 마찬가지로 다이얼링을 한다. 여기서, 접속 교환기는 지능망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PSTN 내부 접속 교환기(107)는 해당 가입자가 지능망 가입자임을 파악하고, 호설정을 지능망(303)에 요구한다. 호설정 요구를 받은 지능망 교환기(304)는 지능망 서비스 데이터베이스(DB)(305)에 해당 가입자의 지능망 서비스 정보를 요구한다. 여기서, 지능망(303)은 PSTN(107)에서 제어신호를 추출하여 가입자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 네트워크이고, 지능망 교환기(304)는 지능망 (303)에서 제어신호의 경로를 교환해 주는 장치이며, 지능망 서비스DB(305)는 지능망(303)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입자 정보나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다.
지능망 서비스 DB(305)는 해당 가입자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데이터망과 연동해야 한다는 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망의 인증시스템(300)으로 해당 가입자 정보를 요구한다.
인증시스템(300)의 가입자 DB(301)는 해당 가입자의 정보를 지능망 서비스 DB(305)로 보내고, 지능망 서비스 DB(305)는 지능망 교환기(304)로 호설정 정보를 전송한다.
호설정 정보를 받은 지능망 교환기(304)는 호설정을 시작하는데, 이러한 호설정 과정은 일반 유선전화에서의 호설정 과정과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서비스 과정은 기존 교환기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지능망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일반 교환기는 각 가입자 별로 지능망 서비스 가입 유/무의 정보만을 갖고 있으며, 지능망 호 임을 판단하면 된다.
또한, 과금 방법을 보다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는 지능망 교환기(304)에 일반적으로 붙어 있는 지능형 녹음안내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ID, 암호(Password)등의 정보를 DTMF 톤(tone)으로 받아 들일 수 있다.
불법 가입자 및 오접속 가입자호로 인한 데이터망 접속시스템 부하를 줄이기위하여, 블루투스 AP(103)는 블루투스 ID, 사용자 ID, 암호(Password)가 같은 단말기의 접속 실패가 일정시간(기간망 사업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예를들면, 10분)동안 일정 횟수(기간망 사업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예를 들면, 3회) 반복되면, 일정 시간(기간망 사업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예를 들면, 30분) 동안 접속을 금지하는 기능이 동작한다.
또한, 블루투스 AP(103)는 한번 서비스 연결이 성공한 사용자의 정보(블루투스 ID, 사용자 ID, 암호(Password))는 자신의 DB에 저장하여, 일정시간(기간망 사업자가 원격으로 조정할 수 있는 값으로서, 예를 들면, 30분) 이내에 재접속 요구가 들어오면, 신규 접속과 다른 형식의 접속요구 데이터망(108)에 접속을 시도한다.
데이터망의 접속시스템도 한번 접속했던 사용자는 일정시간 자신의 자체 DB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즉시 활용할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무선 환경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발생하는 절단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인증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방법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LAN/PSTN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의 사용자 자동등록 및 통신망 접속 절차는 데이터용 및 음성용 블루투스 무선 단말기가 통신망에 접속을 시도하려고 할 때, 통신망에서 인증을 받아 허가된 단말기만에 대해서만 통신망 접속을 허가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User의 자동등록에 대하여 살펴보면, 통신망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User) ID와 암호(Password)가 있고, 이 둘만이 등록되어 있으면 단말기가 다른 사용자 ID와 암호(Password)를 차용해서 접근 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 자체의 ID인 블루투스(Bluetooth) ID의 등록이 필요하다.
블루투스(Bluetooth) ID는 단말기 장치내에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에 있는, 유일하게 정해지는 ID이다.
사용자의 확실한 인증을 위해서는 사용자(User) ID, 암호(Password), 및 블루투스(Bluetooth) ID가 필요한데, 이 블루투스(Bluetooth) ID는 48 비트의 헥사 코드(Hexa code)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가 어렵게 되어 있으므로 통신망이나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AP)가 자동으로 등록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가입을 신청할 때는 사용자(User) ID와 암호(Password)만이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다.
사용자가 최초로 서비스를 사용할 때에는 통신망에서 최초의 접속인 것을 알아차리고 단말기와 블루투스 AP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블루투스(Bluetooth) ID를 블루투스 AP가 얻어내어 통신망에 보내서 블루투스(Bluetooth) ID를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등록을 하게 된다.
이후부터는 블루투스(Bluetooth) ID 자동등록을 시행하지 않고, 단순히 사용자(User) ID, 암호(Password), 및 블루투스(Bluetooth) ID를 가지고 인증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도 4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가 블루투스 AP를 통하여 통신망 접속을 최초로 시도하면(401), 블루투스 AP는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를 입력받아, 통신망에 통신망 접속 인증 요청하면서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를 함께 전송한다(402).
통신망의 인증 시스템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입자) 식별자 및 암호와, 블루투스 AP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403), 만약 일치하면 전송된 블루투스 식별자를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 후 블루투스 AP로 통신망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만약 불일치하면(즉,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접속 불허를 통보한다(404).
블루투스 AP는 통신망의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인증 결과(접속 허가/불허)를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에 전달한다(405).
접속 대상이 되는 통신망의 인증 시스템의 인증 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즉, 접속이 허가된 경우)에는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신망간에 호가 설정되어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설정된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신망 간에 설정된 호가 해제된 후,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AP로 새로운 접속 시도가 있으면(406), 블루투스 AP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를 입력받아, 통신망에 통신망 접속 인증 요청하면서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암호를 함께 전송한다(407).
통신망의 인증 시스템은 가입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가입자) 식별자, 및 암호와, 블루투스 AP로부터 전달된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408), 만약 일치하면 블루투스 AP로 통신망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만약 불일치하면(즉,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접속 불허를 통보한다(409).
블루투스 AP는 통신망의 인증시스템으로부터 인증 결과(접속 허가/불허)를 전송받아, 이를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에 전달한다(410).
접속 대상이 되는 통신망의 인증 시스템의 인증 결과, 인증이 성공한 경우(즉, 접속이 허가된 경우)에는 블루투스 단말기와 통신망간에 호가 설정되어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전화망(PSTN), 지능망, 및 테이터망은 서로 연동하며, 모든 인증은 데이터망의 인증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데이터망인 경우에는,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가입자) 식별자, 및 암호가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데이터망의 인증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한편,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공중전화망/지능망이면,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공중전화망과 그 공중전화망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지능망을 통하여 데이터망의 인증 시스템으로 블루투스 식별자, 사용자(가입자) 식별자, 및 암호가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반 사용자가 초고속망(xDSL등) 및 공중 전화 접속망(PSTN)에 블루투스 소규모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접속하려고 할 때, 중앙 데이터베이스(또는 사전 인증된 지역 데이터 베이스)와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유무를 확인함으로써,블루트스 네크워크의 불필요한 부하를 줄이고, 오과금 사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LAN/PSTN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의 User 자동등록 및 네트워크 접속 절차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가지고 통신망에 접속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통신망 측면에서는 불필요한 트래픽을 방지함으로써 망의 효율적인 운용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사업자 측면에서는 사용자 인증을 함으로써 오과금 사례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의 상기 통신망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 요구와 함께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허가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상기 접속허가된 통신망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불허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불허를 통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서의 통신망 접속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의 전달 과정은,
    상기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데이터망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상기 데이터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서의 통신망 접속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의 전달 과정은,
    상기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공중전화망/지능망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상기 블루투스액세스포인트와 연결된 공중전화망과 상기 공중전화망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지능망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망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서의 통신망 접속 방법.
  4. 블루투스 단말기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접속하고자 하는 통신망시스템에 적용되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접속 요구를 받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전달받는 제 1 단계;
    상기 전달받은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최초의 접속요구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블루투스 식별자를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7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전달 과정은,
    상기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데이터망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망이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전달 과정은,
    상기 접속 요구된 통신망이 공중전화망/지능망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에 연결된 공중전화망과 상기 공중전화망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지능망을 통하여 상기 데이터망이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인증 방법.
  8.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신망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 장치에,
    사용자의 블루투스 단말기의 상기 통신망 접속 시도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 요구와 함께 상기 입력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ID), 및 암호(Password)를 상기 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제 1 기능;
    상기 통신망으로부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전달받아,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허가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허가를 통보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상기 접속허가된 통신망과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통신망 접속 인증 결과가 접속불허이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접속불허를 통보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9.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 단말기의 통신망 접속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통신망 시스템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통신망 접속 요구를 받은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를 전달받는 제 1 기능;
    상기 전달받은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대한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제 2 기능의 확인 결과, 상기 블루투스 식별자(ID),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최초의 접속요구이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와,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5 기능;
    상기 제 5 기능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가 모두 일치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전송된 블루투스 식별자를 상기 통신망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허가를 통보하는 제 6 기능; 및
    상기 제 5 기능의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암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이하면, 상기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에 상기 통신망에 대한 접속 불허를 통보하는 제 7 기능
    을 더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77103A 2000-12-15 2000-12-15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KR100457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03A KR100457195B1 (ko) 2000-12-15 2000-12-15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03A KR100457195B1 (ko) 2000-12-15 2000-12-15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773A true KR20020046773A (ko) 2002-06-21
KR100457195B1 KR100457195B1 (ko) 2004-11-16

Family

ID=2768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103A KR100457195B1 (ko) 2000-12-15 2000-12-15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1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847A (ko) * 2002-08-27 2002-10-14 주식회사 오르비테크 블루투스 터미널을 이용한 생산 관리 시스템
KR100397205B1 (ko) * 2001-02-20 2003-09-13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 2 채널 통신용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23242B1 (ko) * 2002-03-05 2004-03-18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차별요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0179B1 (ko) * 2007-12-14 2009-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네트워크 키를 이용하여 보안화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160101781A (ko) 2015-02-17 2016-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자동 접속전환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6491B1 (en) * 1998-06-26 2003-08-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bscriber validation method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FI990601A0 (fi) * 1999-03-17 1999-03-17 Sonera Oy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R100392792B1 (ko) * 1999-08-21 2003-07-28 주식회사 다날 제 2접속경로를 이용한 사용자인증시스템 및 사용자인증방법
JP4469487B2 (ja) * 2000-11-01 2010-05-26 株式会社東芝 駅務システム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205B1 (ko) * 2001-02-20 2003-09-13 에이엠텔레콤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제 2 채널 통신용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23242B1 (ko) * 2002-03-05 2004-03-18 비티비엑세스코리아(주) 블루투스칩이 내장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차별요금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7847A (ko) * 2002-08-27 2002-10-14 주식회사 오르비테크 블루투스 터미널을 이용한 생산 관리 시스템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30179B1 (ko) * 2007-12-14 2009-12-07 삼성전기주식회사 네트워크 키를 이용하여 보안화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네트워크 접속 방법
KR20160101781A (ko) 2015-02-17 2016-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자동 접속전환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195B1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60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0800749B1 (en)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cellular communications
US6553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nection to a data network
US20020057672A1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BRPI0613848A2 (pt) método para estabelecer comunicação entre um primeiro dispositivo e um segundo dispositivo, sistema para estabelecer comunicação entre um primeiro dispositivo e um segundo dispositivo, sistema de sinalização e aparelho para comunicação através de uma rede
JP4323089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へのアクセス手順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457195B1 (ko) 통신망 정합용 블루투스 액세스포인트를 통한 블루투스단말기의 통신망 접속 방법
US7245709B2 (en) Portability of subscriber feature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60093494A (ko) 유·무선 공중전화에서 사용자인증을 통한 음성 호 및 메시지 수·발신 시스템 및 그 방법
RU225318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локальн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выполнения установленных правил для провайдеров услуг сети интернет
JP2004166226A (ja) 端末ユーザからコンテンツ・サービスへのオンライン・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6532362B1 (en) Over the air service provisioning (OTASP)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07291A (ko) 다이얼업 접속용 서버
SE512440C2 (sv) Metod för säker telefoni med mobilitet i ett tele- och datakommunikationssystem som innefattar ett IP-nät
KR100392586B1 (ko)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와 인터넷 전화기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메시지 포맷
JP4796924B2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2000209284A (ja)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100748332B1 (ko) 고객인증을 이용한 공중용 코드리스 전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398350B1 (ko)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에서 호출 가능한 인터넷전화번호 부여방법
KR10053232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을 통한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100368595B1 (ko)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35994B1 (ko) 차세대 지능망에서 유선 전화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를호출하는 폰투피시 지능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6103Y1 (ko) 교환기의 발신 과금 장치
JP3112890B2 (ja) 発信者番号通知付加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