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4416A -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4416A
KR20020044416A KR1020000073800A KR20000073800A KR20020044416A KR 20020044416 A KR20020044416 A KR 20020044416A KR 1020000073800 A KR1020000073800 A KR 1020000073800A KR 20000073800 A KR20000073800 A KR 20000073800A KR 20020044416 A KR20020044416 A KR 20020044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gnitude
unit
band
audi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윤길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3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4416A/ko
Publication of KR2002004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25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mplemented as integrated speech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리의 크기 및 특성을 사용자 개개인의 청각 특성에 맞추어 보정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를 출력하는 복호부와, 복호부로부터 입력한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 보정부 및 청각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변별력 있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Personal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having a hearing compensation facility}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장치등과 같은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의 주된 목적은 적은 량의 데이타로 원음에 가까운 높은 음질의 소리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코더-vocoder(voice coder),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AMR(Adaptive Multirate Codec.)등-에 관련된 기술은 발달되어 왔다.
한편, 현대인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청각 장애를 다소간 갖고 있으며, 노령화에 따른 고주파 난청 등의 장애는 피하기 어렵다. 게다가, 선천적 또는 후천적 질병에 의해 난청을 갖게 되는 사람들도 있다. 이와 같이 소리를 듣는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가 정상적인 청각 특성의 소유자이든지 비 정상적인 청각 특성의 소유자이든지 상관없이 그 사용자는 각자의 고유한 청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비 정상적인 청각 특성이란,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의 세기 범위(dynamic range)가 줄어든 청각 장애 따위를 지칭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된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는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따른 소리의 보정 기능을 갖기 못하였기 때문에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부합하는 소리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노인이나 청각 이상 등에 의해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소리의 보정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는 소리의 보정 기능을 제공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리의 크기 및 특성을 사용자 개개인의 청각 특성에 맞추어 보정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에서 수행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인간의 일반적인 주파수별 청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a ∼ 4c들은 다양한 청각 특성들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청각 보정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m 신호 변환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m 신호 변환부에서 제m 변환 밴드 신호를 발생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a 및 도 8b들은 크기 측정부의 입력 및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크기 결정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0a 및 10b는 필터 뱅크로 입력되는 신호 및 신호 합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들을 나타낸다.
도 11 (a) 및 (b)들은 제1 소정 어텍 시간 및 제2 소정 릴리스 시간들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신호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신호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특성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특성 검사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 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를 출력하는 복호부와, 상기 복호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 보정부 및 상기 청각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은,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결과의 신호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켜,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그 장치에서 수행되는 무선 통신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의 블럭도로서, 복호부(10), 청각 보정부(12) 및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4)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제20 단계),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는 단계(제22 ∼ 제26 단계) 및 변형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제28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복호부(1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하여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를 청각 보정부(12)로 출력한다(제20 단계).
제20 단계후에, 청각 보정부(12)는 복호부(10)로부터 입력한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한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4)로 출력한다(제22 ∼ 제26 단계들).
제22 ∼ 제26 단계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인간의 일반적인 청각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3은 인간의 일반적인 주파수별 청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종축은 음압(sound pressure)을 나타내고, 횡축은 주파수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참조부호 44는 음성(speech)에 대한 음압 분포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46은 음악에 대한 음압 분포를 각각 나타낸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HT:hearing threshold, 이하, 가청 역치라 한다.)와 귀에 통증을 느끼거나 청각 작용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는최대 소리의 크기(UCL:UnComfortable hearing Level, 이하, 불쾌 역치라 한다.)가 주파수 별로 다르게 분포한다. 여기서, HT와 UCL 사이의 범위를 '소리의 세기 범위'라 한다. 또한, 가청 역치 및 불쾌 역치는 사람마다 차이가 나며, 특히 난청이 심한 경우에 이러한 역치들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이 있는 청각을 갖는 비 정상인의 HT(42)는 정상적인 청각을 갖는 정상인의 HT(40)보다 올라가고, 비 정상인의 UCL(48)는 정상인의 UCL(50)보다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도 4a ∼ 4c들은 다양한 청각 특성들을 나타내는 그래프들로서, 도 4a는 정상인의 평균적인 청각특성을 나타내고, 도 4b는 전도성 청각 장애(conductive loss)를 갖는 비 정상인의 평균적인 청각 특성을 나타내고, 도 4c는 감음 신경성 난청(sensorineural loss)을 갖는 비 정상인의 평균적인 청각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4b ∼ 4c에서, 점선은 정상적인 사용자의 일반적인 HT를 나타내고, 실선은 정상적이거나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HT와 등 감각 레벨(사용자가 같은 크기의 소리로 감지하는 주파수별 음압을 등고선 형식으로 나타낸 것)을 각각 나타낸다.
도 4b에 도시된 전도성 청각 장애를 갖는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청각 특성은 도 4a에 도시된 정상적인 사용자와 비교하여 상승하였으며 각각의 주파수와 음압에 대해서 정상적인 경우와 같은 형태의 등고선을 유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도성 난청의 경우 주파수에 따른 소리의 왜곡은 적고 전체 주파수 영역에서 소리를 듣기가 어려울 뿐이다. 반면, 도 4c에 도시된 감음 신경성 난청을 갖는 비 정상인적인 사용자의 HT와 각각의 주파수와 음압에 대한 감각 레벨은 정상인에 비해 고주파 영역에서 청각 능력이 상실된 예를 보인다. 이 경우 주파수에 따른 보상이 필요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의 청각 보상에 특히 유효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청각 보정부(12)는 제22 ∼ 제26 단계들을 수행하여,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주파수 별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세기 범위(dynanmic range)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따라 변형하여 준다. 예컨데, 청각 보정부(12)는 4KHz 주파수 신호에 대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적인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세기 범위(60)를 비 정상적인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세기 범위(62)로 변형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인 소리의 세기 범위를 60으로부터 62로 줄이는 변형을 '압축(compression)'이라고 한다.
도 1에 도시된 청각 보정부(12)에서 수행되는 제22 ∼ 제26 단계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청각 보정부(12)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 제M 대역 통과 필터(BPF:Band Pass Filter)들(72, 74, ... 및 76)로 구성되는 필터 뱅크(70), 제1 ∼ 제M 신호 변환부들(82, 84, ... 및 86)로 구성되는 부(80) 및 신호 합성부(90)로 구성된다.
먼저, 제20 단계후에, 필터 뱅크(70)의 대역 통과 필터들(72, 74, ... 및 76)은 입력단자 IN3를 통해 복호부(10)로부터 입력한 복호화된 결과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들을 제1 ∼ 제M 밴드 신호들로서 제1 ∼ 제M 신호 변환부들(82, 84, ... 및 86)로 출력한다(제22 단계). 예컨데, 제m(1≤m≤M) 대역 통과 필터(72, 74, ... 또는 76)는 복호화된 결과를 원하는 m번째 주파수 대역에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를 제m 밴드 신호로서 제m 신호 변환부(82, 84, ... 또는 86)로 출력한다. 여기서, 대역 통과 필터의 수(M)는 4 ∼ 8개가 될 수 있고, 각 대역 통과 필터는 옥타브(octave band) 필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M과 각 대역 통과 필터의 폭은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호화된 결과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청각 이상 또는 청각 차이는 주파수 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유형이므로, 복호화된 결과의 이득을 주파수 대역별로 다르게 조정하기 위함이다.
제22 단계후에, 제1 ∼ 제M 신호 변환부들(82, 84, ... 및 86)로 구성되는 부(80)는 제1 ∼ 제M 밴드 신호들 각각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들 각각을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들을 갖는 밴드 신호들을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로서 신호 합성부(90)로 출력한다(제24 단계). 예컨데, 제m 신호 변환부(82, 84, ... 또는 86)는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를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한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를 갖는 제m 변환 밴드 신호를 신호 합성부(90)로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각 신호 변환부(82, 84, ... 또는 86)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m 신호 변환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크기 측정부(106) 및 크기 결정부(108)로 구성되는 신호 크기 조정부(100), 이득 제어부(102) 및 증폭부(104)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m 신호 변환부에서 제m 변환 밴드 신호를 발생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제120 단계), 측정된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제122 ∼ 제130 단계들) 및 제m 밴드 신호의 이득을 조정된 크기와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화시키는 단계(제132 및 제134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제m 신호 변환부(82, 84, ... 또는 86)의 신호 크기 조정부(100)는 제22 단계후에, 입력단자 IN4를 통해 제m BPF(72, 74, ... 또는 76)로부터 입력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의 변화 정도가 큰가를 감지하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크게 하거나 점차적으로 작게하여 이득 제어부(102)로 출력한다(제120 ∼ 제130 단계).
여기서, 신호 크기 조정부(100)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신호 크기 조정부(100)가 마련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청각 보정부(12)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리의 크기가 작을 경우 소리는 적당히 크게 되고, 소리의 크기가 너무 클 경우 소리의 적당히 줄어든다. 그런데, 신호의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갑자기 작아지면, 아주 큰 소리 또는 아주 작은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에 해당하는 작은 소리가 갑자기 크게 변할 때, 입력 신호의 크기 보다 줄어든 크기를 갖는 신호가 출력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갑자기 소리의 크기를 줄이면 언어의 별별력을 떨어뜨릴 수도 있고, 또한 순간적으로 큰 소리가 의미 있는 소리 예를 들어, 필요한 자동차의 경적 소리 등일 경우,이러한 의미있는 소리를 제대로 사용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신호 크기 조정부(100)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신호 크기 조정부(100)의 크기 측정부(106)는 제22 단계후에 입력단자 IN4를 통해 제m BPF로부터 입력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를 크기 결정부(108)로 출력한다(제120 단계).
도 8a 및 도 8b들은 크기 측정부(106)의 입력 및 출력을 나타내는 그래프들로서, 도 8a는 크기 측정부(106)에 입력되는 20K 샘플링된 제m 밴드 신호의 예시적인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8b는 이 신호에 대해서 크기 측정부(106)로부터 출력되는 제m 밴드 신호의 크기 즉, 엔벨로프(envelope)를 각각 나타내며, 횡축은 시간(n)을 나타내고, 종축은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크기 측정부(106)는 도 8a에 도시된 제m 밴드 신호의 엔벨로프를 크기로서 측정하고, 도 8b에 도시된 측정된 크기를 크기 결정부(108)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엔벨로프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산량이 필요하고 시간 지연된 결과를 얻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크기 측정부(106)는 제m 밴드 신호의 엔벨로프 대신에 절대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절대값을 제m 밴드 신호의 측정된 크기로서 크기 결정부(108)로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크기 측정부(106)는 적은 연산량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제120 단계후에, 크기 결정부(108)는 제m 밴드 신호에 대해 크기 측정부(106)에서 어느 샘플 시간(n)에서 측정된 크기[A(n)]를 한 샘플 이전시간(n-1)에 측정된 크기[A(n-1)]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이득 제어부(102)로 출력한다(제122 ∼ 제130 단계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크기 결정부(108)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 버퍼들(150 및 156), 비교부(152), 제1 및 제2 선택부들(154 및 166), 제1 및 제2 승산부들(158 및 162), 감산부(160) 및 가산부(164)로 구성된다.
도 10a 및 10b들은 도 5에 도시된 필터 뱅크(70)로 입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10b는 도 5에 도시된 신호 합성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제1 버퍼(150)는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A)를 입력하여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결과를 비교부(152)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 버퍼(150)로 A(n)가 입력될 때 제1 버퍼(15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결과는 A(n-1)가 된다. 이 때, 비교부(152)는 제m 밴드 신호에 대해 어느 샘플 시간(n)에서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A(n)]가 한 샘플 이전 시간(n-1)에서 측정된 제1 버퍼(150)에 버퍼링된 결과인 크기[A(n-1)]보다 제1 임계값(Th1) 이상 큰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측정된 크기의 변화 정도를 감지한 결과로서 출력한다(제122 단계). 즉, 제122 단계에서, 비교부(152)는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가 급격하게 커졌는가를 판단한다. 예컨데, 측정된 크기[A]가 A(a)로부터 A(b)로 급격하게 커졌는가를 판단한다.
도 11 (a) 및 11 (b)들은 제1 소정 어텍(attack) 시간 및 제2 소정 릴리스(release) 시간들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로서, 도 11 (a)는 도 5에 도시된 필터 뱅크(70)로 입력되는 신호를 구형파의 형태로 나타낸 타이밍도이고, 도 11 (b)는 도 5에 도시된 신호 합성부(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구형파의 형태로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만일,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크기 A(n)(182)이 A(n-1)(180)보다 제1 임계값(Th1) 이상 크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크기[A(n)]를 점차적으로 작게 하고,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되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크기[Mag(n)]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구하고 제132 단계로 진행한다(제124 단계).
여기서, 소정 어택 시간(Tr)은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에 대해서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m 밴드 신호의 크기가 최종적으로 작아질 때의 레벨(190)보다 제1 소정 레벨 만큼 높은 레벨(192)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레벨(190)은 크기 결정부(108)의 출력이 안정화될 때의 레벨에 해당한다. 제1 소정 레벨은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B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부(152)는 A(n)가 A(n-1)보다 제1 임계값(Th1) 이상 크지 않으면,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은가를 판단한다(제126 단계). 즉, 비교부(152)는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졌는가를 판단한다. 예컨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크기[A]가 A(b)로부터 A(a)로 변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186)이 A(n-1)(184)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으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크기[A(n)]를 점차적으로 크게하여, 다음 수학식 2에 표현된 최종적으로 커진 크기[Mag(n)]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구하고 제132 단계로 진행한다(제128 단계).
여기서, 소정 릴리스 시간(Tf)은 크기 측정부(106)에서 측정된 크기에 대해서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m 밴드 신호의 크기가 최종적으로 커졌을 때의 레벨(194)보다 제2 소정 레벨만큼 낮은 레벨(196)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레벨(194)은 크기 결정부(108)의 출력이 안정화될 때의 레벨에 해당한다. 제2 소정 레벨은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B가 될 수 있다.
제124 단계 및 제128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크기 결정부(108)는 제1 선택부(154), 제1 및 제2 승산부들(158 및 162), 감산부(160), 가산부(164) 및 제2 버퍼(156)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선택부(154)는 소정 어텍 시간(Tr) 또는 소정 릴리스 시간(Tf)중 하나를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제1 선택부(154)는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A(n)이 A(n-1)보다 제1 임계값(Th1) 이상 큰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어텍 시간(Tr)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릴리스시간(Tf)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 때, 제1 승산부(158)는 제2 버퍼(156)에서 버퍼링된 결과[Mag(n-1)]와 제1 선택부(154)의 출력을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가산부(164)로 출력한다. 감산부(160)는 소정값 예를 들면 '1'로부터 제1 선택부(154)의 출력을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를 제2 승산부(162)로 출력한다. 승산부(162)는 감산부(160)의 출력과 크기 측정부(106)의 출력[A(n)]을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가산부(164)로 출력한다. 가산부(164)는 제1 및 제2 승산부들(158 및 162)에서 승산된 결과들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샘플 시간(n)에서 가변된 전술한 수학식 1 또는 2에 표현된 크기[Mag(n)]로서 출력한다. 이 때, 제2 버퍼(156)는 가산부(164)의 출력을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결과[Mag(n-1)]를 제1 승산부(158)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즉, A(n)의 레벨이 A(n-1)의 레벨보다 급격하게 커졌거나 급격하게 작아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한 샘플 이전 시간(n-1)에서 최종적으로 커졌거나 작아진 크기[Mag(n-1)]를 어느 샘플 시간(n)에서 최종적으로 커졌거나 또는 작아진 크기[Mag(n)]로서 결정하고, 제132 단계로 진행한다(제130 단계). 이를 위해, 크기 결정부(108)는 가산부(164)의 출력 또는 제1 버퍼(150)에서 버퍼링된 결과[A(n-1)]중 하나를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이득 제어부(102)로 Mag(n)로서 출력하는 제2 선택부(166)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 즉, 제2 선택부(166)는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거나 제1 임계값(Th1) 이상 큰 것으로판단되면, 가산부(164)의 출력을 선택하여 이득 제어부(102)로 출력한다. 그러나, 제2 선택부(166)는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A(n)이 A(n-1)보다 제1 임계값(Th1) 이상 크지도 않고,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지도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버퍼(150)에서 버퍼링된 결과[Mag(n-1)]를 이득 제어부(102)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A(n)이 A(n-1)보다 제2 임계값(Th2) 이상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즉, A(n)의 레벨이 A(n-1)의 레벨보다 급격하게 커졌거나 급격하게 작아지지도 않은 것으로 판단될 때, 측정된 크기[A(n)]를 전술한 수학식 1 또는 2와 같이 가변시키고, 가변된 크기[Mag(n)]를 갖는 신호를 이득 제어부(102)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크기 결정부(108)는 도 9에 도시된 제2 선택부(106)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즉, 크기 결정부(108)의 제1 선택부(154)는 비교부(152)에서 비교된 결과를 통해, A(n)의 레벨이 A(n-1)의 레벨보다 급격하게 커지지도 않았고, 급격하게 작아지지도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소정 어텍 시간(Tr)이나 소정 릴리스 시간(Tf)들 중 어느 것이나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124, 제128 또는 제130 단계에서, 크기 결정부(108)로부터 출력되는 제m 밴드 신호의 크기[Mag(n)] 및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가변시키고, 가변된 크기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제m 변환 밴드 신호로서 결정하고, 제26 단계로 진행한다(제132 및 제134 단계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이득 제어부(102)는 신호 크기 조정부(100)에서 출력되는 제m 밴드 신호의크기[Mag(n)] 및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한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발생한 제m 이득 제어 신호를 증폭부(104)로 출력한다(제132 단계). 여기서, 제m 신호 변환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신호 크기 조정부(100)를 마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되는 제m 밴드 신호는 이득 제어부(102)로 직접 인가된다. 그러므로, 이득 제어부(102)는 신호 크기 조정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제m 밴드 신호의 크기[Mag(n)]를 입력하는 대신에 제m BPF(72, 74, ... 또는 76)로부터 제m 밴드 신호를 직접 입력하고, 입력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 및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한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제m 이득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때, 증폭부(104)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이득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제m 이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시키고, 가변된 크기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제m 변환 밴드 신호로서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신호 합성부(90)로 출력한다(제134 단계).
한편, 제132 및 제134 단계들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신호 압축 과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신호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이득 제어부(102)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Xm)를 나타내고, 종축은 이득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Ym)를 나타낸다. 여기서, 곡선(212)의 점선 부분은 비 정상적인 사용자에 대한 실질적인 청각 특성을 나타내고, 실선 부분은 비 정상적인 사용자에 대한 근사화된 청각 특성을 나타낸다.
m번째 주파수 대역에서 정상적인 사용자(210)와 청각 장애를 갖는 비 정상적인 사용자(212)의 각 HT와 UCL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어진다고 가정하자. 이 때, 이득 제어부(102) 및 증폭부(104)는 정상적인 사용자의 다이나믹 레인지(214)내의 크기(Xm)를 갖고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되는 청각 특성에 따라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다이나믹 레인지(216)내의 크기(Ym)를 갖는 신호로 압축시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청각 특성은 도 12에 도시된 니 포인트(knee point)들(A1, A2, A3, A4, A5 및 A6)로 이루어져 있다. 니 포인트는 X축이 제m 밴드 신호의 크기 또는 크기 결정부(108)의 출력이고, Y축이 제m 변환 밴드 신호의 크기인 X 및 Y 좌표상의 한점에 해당한다. 여기서, A1은 정상적인 사용자의 HT에 대응하는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HT를 나타내며, A5는 정상적인 사용자의 UCL에 대응하는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UCL을 나타내며, A2, A3 및 A4들은 중간 단계의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5개의 니 포인트들을 사용하여 청각 특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청각 특성 곡선(212)의 모양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니 포인트들의 수는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니 포인트들의 개수는 일반적으로 3 ∼ 4개 정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이득 제어부(102)는 크기 결정부(108)로부터 입력되는 신호(Xm)의 크기를 입력단자 IN2을 통해 입력한 니 포인트들(A1, A2, A3, A4 및 A5)을 이용하여 보간(interpolation)하는 역할을 하며, 보간 방법으로서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보간 방법인 선형 보간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형 보간 방법에서는, 이득 제어부(102)는 입력한 니 포인트들을 선형적으로 연결하여 도 12에 도시된 곡선(212)의 실선 부분 즉, 비 정상적인 사용자의 근사화된 청각 특성 곡선을 만들어 낸다. 이 때, 도 12에 도시된 HT와 UCL 사이의 크기(Xm)를 갖는 입력 신호가 입력될 때, 이득 제어부(102)는 입력 신호의 크기(Xm)에 대응하는 출력[Y(Xm)]을 곡선(212)의 실선 부분을 이용하여 찾는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밴드 신호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로서, 횡축은 이득 제어부(102)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Xm)를 나타내고, 종축은 이득 제어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Ym)를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득 제어부(102)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Xm)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T와 B2 사이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이득 제어부(102)는 Xm이 HT인 경우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는 출력 신호[Y(HT)]를 구하고, Xm이 B2인 경우 의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는 출력 신호[Y(B2)]를 구하고, Xm이 HT와 B2 사이의 값인 경우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맞는 출력 신호[Y(Xm)]를 구한다. 이득 제어부(102)는 출력 신호[Y(HT), Y(B2) 또는 Y(Xm)]에 대응하는 제m 이득 제어 신호를 증폭부(104)로 출력한다. 이 때, 증폭부(104)는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한 제m 밴드 신호의 이득(Gm)을 제m 이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고, 이득이 제어된 결과[Y(HT), Y(B2) 또는 Y(Xm)]를 제m 변환 밴드 신호로서 출력단자 OUT3을 통해 출력한다.
결국, 제132 및 제134 단계에서는 니 포인트들(A1 ∼ A5)을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이들을 선형적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분으로부터 일반 방정식 Ym = sXm + I(여기서, s는 기울기를 의미하고, I는 Y축의 절편을 각각 의미한다.)을 구하며,일반 방정식으로부터 해당하는 Xm에 대응하는 Ym을 구한다.
제24 단계후에, 신호 합성부(90)는 제1 ∼ 제M 신호 변환부들(82, 84, ... 및 86)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2를 통해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4)로 출력한다(제26 단계).
제26 단계후에, 신호 합성부(90)에서 합성된 결과인 청각 보정부(12)로부터 출력되는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14)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는 출력단자 OUT1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제28 단계).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청각 보상부(12)는 외부에서 미리 구해진 청각 특성을 직접 인가받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심한 난청을 가질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모든 장비들이 구비된 외부의 청각 검사실에서 정확하게 측정된 이상적인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밴드 신호를 보정할 수 있다. 이 때, 청각 특성은, 후술되는 외부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청각 보정부(12)로 직접 인가될 수도 있고, 키 입력부(미도시)의 키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함으로서 청각 보정부(12)에 인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의하면, 청각 보상부(12)는 외부로부터 사전에 주어져서 저장된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에 해당하는 소리들을 듣고서 사용자가 결정한 청각 특성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을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 및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선택부(미도시)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는 청각 특성 테이블에 각 청각 특성(1, 2, 3, 4, 5, 6, ... n')은 다음 표 1과 같은 니 포인트들(A1, A2, A3, A4 및 A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각 특성 선택 청각 특성 변수
F1=500Hz F2=1000Hz F3=2000Hz FM=XHz
A1 A2 A3 A1 A2 A3 A1 A2 A3 A4 A5 A1 A2 A3 A4
1 23 133 576 66 154 877 45 534 1242 3455 4568 10 30 53 100
2 32 132 867 56 245 987 55 345 1424 3453 6758 20 40 167 238
3 34 124 978 76 134 677 67 353 1342 3545 6865 20 45 176 567
4 65 145 567 87 276 566 46 465 1423 3453 6786 14 42 156 865
5 78 156 978 78 145 867 54 355 1234 3453 6866 15 56 276 348
6 56 187 896 98 186 866 46 322 1234 3453 8666 17 23 187 297
n' 76 167 987 78 228 867 35 214 1244 3533 7455 20 54 287 345
표 1에서, F1, F2, ... 및 F(M) 각각은 각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때, 사용자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에 해당하는 소리들을 듣고서 선택 신호를 결정함으로써, 해당하는 청각 특성이 입력단자 IN2를 통해 청각 보정부(12)로 인가되도록 한다. 여기서, 표 1에 도시된 청각 특성 테이블을 구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일반적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청각 특성을 조사하면, 크게 몇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데, 년령별 또는 사용자가 처한 환경별로 청각 특성들을 세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즉, 고령자는 고주파의 난청과 좁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갖는 청각 특성을 갖고, 특정한 종류의 소음에 자주 노출되는 사람들은 서로 비슷한 청각 특성을 보이고, 헤드폰 등을 통해 큰 소리로 음악을 자주 듣는 사람들은 서로 비슷한청각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몇 가지의 대표적인 청각 특성들을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몇 가지의 청각 특성들 중에서 자기에게 맞는 청각 특성을 선택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로 제공한다. 즉, 저장된 몇 가지의 청각 특성들에 상응하는 표준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여러개의 표준 음성 신호를 통해 자신에게 적합한 청각 특성을 선택하고, 선택된 청각 특성을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에 인가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사용자의 청각 특성을 자체적으로 검사하는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를 별도로 더 마련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가 휴대 전화 장치에 적용될 경우, 휴대 전화 장치의 사용자자 자신의 청각 특성을 스스로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는 청각 보정부(12)에 내장될 수도 있고, 청각 보정부(12)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에서 수행되는 청각 특성 검사는 도 2에 도시된 제24 단계를 수행하기 이전에 한 번만 수행하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이 변하기 전까지 검사된 결과를 계속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청각 특성 검사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특성 검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청각 특성이 요구되면 제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제240 및 제242 단계들),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가청 역치를 결정하는 단계(제244 ∼ 제250 단계들),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니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제252 ∼ 제256 단계들),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불쾌 역치를 결정하는 단계(제258 ∼ 제262 단계들) 및 해당하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제264 및 제26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청각 특성 검사 방법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청각 특성 검사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제2,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 및 제어부(286)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286)는 청각 특성의 검사를 요구하는 청각 검사 요구 신호가 외부로부터 입력단자 IN6을 통해 입력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어 신호로서 발생한다(제240 단계). 만일, 청각 특성의 측정이 외부로부터 요구되면, 제1 ∼ 제M 주파수 대역들중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제242 단계). 이를 위해,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는 제어부(286)로부터 발생되는 제어 신호를 통해 외부로부터 청각 특성의 검사가 요구된 것으로 인지하면, 제1 ∼ 제M 주파수 대역들중 제1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테스트 신호를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한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는 제m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순음 신호 또는 제m 주파수 대역내의 주파수 성분이 합해진 복합 신호에 해당한다.
제242 단계후에,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는 해당하는 제m 주파수 대역의가청 역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가청 역치에 해당하는 대한 니 포인트(A1)를 출력한다(제244 ∼ 제250 단계들).
이를 위해, 제242 단계후에,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는 입력단자 IN5를 통해 입력한 소정의 최소 크기를 갖는 테스트 신호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발생한다(제244 단계). 제244 단계후에, 사용자는 출력단자 OUT4를 통해 출력된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제246 단계). 만일,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없으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3 소정 레벨 만큼 증가시키고, 제246 단계로 진행한다(제248 단계). 즉,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는 입력단자 IN7을 통해 입력되는 제1 상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3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증가된 레벨을 갖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를 출력단자 OUT4를 통해 다시 출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1 상태 신호로서 입력단자 IN7을 통해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에 인가한다. 그러나, 제1 니 포인트 결정부(280)는 입력단자 IN7을 통해 입력한 제1 상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들리는 소리에 해당하는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가청 역치로 결정하고, 가청 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A1)를 출력한다(제250 단계).
제250 단계후에, 제2 니 포인트 결정부(282)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제m 주파수 대역의 니 포인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니 포인트(A3)를 출력한다(제252 ∼ 제256 단계들).
이를 위해, 제250 단계후에, 사용자는 출력단자 OUT5를 통해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가를 판단한다(제252 단계). 만일,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지 않으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4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제252 단계로 진행한다(제254 단계). 즉, 제2 니 포인트 결정부(282)는 입력단자 IN8을 통해 입력되는 제2 상태 신호를 통해 사용자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4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증가된 레벨을 갖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를 출력단자 OUT5를 통해 다시 출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입력단자 IN8을 통해 제2 상태 신호로서 제2 니 포인트 결정부(282)에 인가한다. 그러나, 제2 니 포인트 결정부(282)는 입력단자 IN8을 통해 입력한 제2 상태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소리로부터 편안한 느낌을 제공받은 것으로 판단되면,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소리에 해당하는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결정한 니 포인트(A3)를 출력한다(제256 단계). 여기서, 제2 니 포인트 결정부(282)는 제256 단계에서 결정된 니 포인트(A3)에 해당하는 소리보다 약간 작은 소리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A2) 및 약간 큰 소리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A4)를 부가적으로 더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니 포인트들을 5개 이상 결정하는 것은 의미가 적으며, 측정하기도 어렵다. 따라서, 니 포인트는 세 개(A1, A3 및 A5)가 바람직하다.
제256 단계후에, 제3 니 포인트 결정부(284)는 제m 주파수 대역의 불쾌 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결정하고, 결정된 니 포인트(A5)를 출력한다(제258 ∼제262 단계들).
이를 위해, 제256 단계후에, 사용자는 출력단자 OUT6을 통해 출력되는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너무 큰가를 판단한다(제258 단계). 즉, 사용자는 소리가 너무 커서 제대로 들리지 않는가, 소리가 너무 커서 귀가 아픈가 혹은 더 이상의 큰 소리가 출력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느낌을 받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너무 크지 않으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5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제258 단계로 진행한다(제260 단계). 즉, 제3 니 포인트 결정부(284)는 입력단자 IN9를 통해 입력되는 제3 상태 신호를 통해 소리가 너무 크지 않은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하였다고 인식되면,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5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증가된 레벨을 갖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를 출력단자 OUT6을 통해 다시 출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너무 큰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입력단자 IN9를 통해 제3 상태 신호로서 제3 니 포인트 결정부(284)에 인가한다. 그러나, 제3 니 포인트 결정부(284)는 입력단자 IN9를 통해 입력한 제3 상태 신호를 통해 소리가 너무 큰 것으로 사용자가 판단하였다고 인식되면, 너무 큰 소리에 해당하는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불쾌역치로 결정하고, 결정한 불쾌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A5)를 출력한다(제262 단계).
제262 단계후에, 제어부(286)는 해당하는 제m 주파수 대역이 마지막 주파수 대역인 제M 주파수 대역인가를 판단하고 판단된 결과를 제1, 제2 및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로 출력한다(제264 단계). 만일, 제m 주파수 대역이 제M 주파수 대역이면, 청각 특성 검사를 종료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86)는 더 이상니 포인트들이 결정되지 않도록 제1, 제2 및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86)는 테스트 신호가 제1, 제2 및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제m 주파수 대역이 제M 주파수 대역이 아니면, m은 1만큼 증가되고, 제244 단계로 진행한다(제266 단계). 즉, 제m+1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제244 ∼ 제262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286)는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발생하도록 제1, 제2 및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86)는 제m+1 주파수 대역에 대한 테스트 신호가 입력단자 IN5를 통해 각 니 포인트 결정부에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280, 282 및 284)들에 입력되는 제m 주파수 대역에 대한 테스트 신호는 입력단자 IN5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될 수도 있고, 제어부(286)로부터 각 니 포인트 결정부에 직접 인가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가 휴대용 전화 장치에 해당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 장치의 블럭도로서, 마이크(302) 따위로 구현될 수 있는 음성 입력부(300), 스피커(306) 따위로 구현될 수 있는 음성 출력부(304),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310), DAC(14), 부호부(316), 복호부(10), 중앙 처리부(322), 변복조부(324), 청각 보정부(12), 표시부(328), 키 입력부(326) 및 입/출력부(330)로 구성된다.
도 16 및 도 1에 도시된 복호부(10), 청각 보정부(12) 및 DAC(14)는 동일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출력부(330)는 전술한 외부 인터페이스부의 역할을 수행한다.
도 16에 도시된 음성 입력부(3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음성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ADC(310)로 출력하며, 이를 위해 마이크(302)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ADC(310)는 음성 입력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 부호부(316)로 출력한다. 부호부(316)는 ADC(310)의 출력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결과를 중앙 처리부(322)로 출력한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322)는 부호부(316)에서 부호화된 결과에 헤더(header) 또는 에러 정정 부호 따위의 부가 정보를 추가하여 변복조부(324)로 출력한다. 변복조부(324)는 중앙 처리부(3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고, 변조된 결과를 출력단자 OUT7을 통해 안테나(미도시)를 통하여 무선(RF:Radio Frequency) 신호로서 송출한다.
한편, 변복조부(32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어 입력단자 IN10을 통해 입력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결과를 중앙 처리부(322)로 출력한다. 중앙 처리부(322)는 복조된 결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을 취한 다음에, 복호부(10)로 출력한다. 복호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를 청각 보정부(12)로 출력한다. 청각 보정부(12)는 중앙 처리부(322)로부터 출력되는 청각 보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변형시켜 DAC(14)로 출력한다. 여기서, 키 입력부(326)는 사용자가 청각 보정을 요구할 때 제1 키 입력 신호를 중앙 처리부(322)로 출력하고, 중앙 처리부(322)는 키 입력부(326)로부터 발생되는 제1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보정 요구 신호를 청각 보정부(12)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청각 보정이 요구될 때 청각 보정부(12)는 복호화된 결과를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한 후에 DAC(14)로 출력하지만, 외부에서 청각 보정을 요구하지 않으면 복호화된 결과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DAC(14)로 출력한다. 이 때, 청각 보정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해당하는 입/출력부(3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청각 특성을 중앙 처리부(322)를 거쳐 입력할 수 있다.
DAC(14)는 청각 보정부(1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형태의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 신호로 변환하여 음성 출력부(304)로 출력한다. 이 때, 음성 출력부(304)는 DAC(1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소리로서 제공하며, 이를 위해, 스피커(306)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키 입력부(326)는 사용자가 청각 특성의 검사를 요구할 때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중앙 처리부(322)로 출력한다. 이 때, 중앙 처리부(322)는 제2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검사 요구 신호를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로 출력한다. 따라서,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거나 청각 보정부(12) 또는 중앙 처리부(322)에 내장될 수 있는 청각 특성 검사부(미도시)는 청각 검사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전술한 도 14에 도시된 청각 특성을 검사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중앙 처리부(322)는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현재 상태를 표시부(328) 또는 입/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6에 도시된 ADC(310) 및 DAC(14)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코덱(CODEC:COder-DECoder)에 해당하고, 부호부(316) 및 복호부(10)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보코더(VOCODER)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은 소리는 최종적으로 개인의 청각 특성에 의하여 인지되는 것이므로, 입력되는 신호를 청각 장애를 갖는 사용자 또는 청각 장애를 갖지 않지만 서로 다른 청각 특성들을 갖는 사용자들 개개인의 청각 특성에 적합하게 보정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변별력 있는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1)

  1.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결과를 출력하는 복호부;
    상기 복호부로부터 입력한 상기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 보정부; 및
    상기 청각 보정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청각 보정부는
    상기 복호화된 결과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별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결과들을 제1 ∼ 제M 밴드 신호들로서 출력하는 제1 ∼ 제M 대역 통과 필터들;
    상기 제1 ∼ 제M 밴드 신호들 각각의 크기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크기들 각각을 상기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들을 갖는 밴드 신호들을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로서 출력하는 제1 ∼ 제M 신호 변환부들; 및
    상기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을 합성하고, 합성된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된 결과는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m(1≤m≤M) 신호 변환부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의 변화 정도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커지게 하거나 작아지게 하여 출력하는 신호 크기 조정부;
    상기 신호 크기 조정부에서 최종적으로 커졌거나 작아진 크기를 갖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제m 이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이득 제어부; 및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상기 제m 이득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가변시키고, 가변된 크기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상기 제m 변환 밴드 신호로서 출력하는 증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크기 조정부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크기 측정부; 및
    상기 제m 밴드 신호에 대해 상기 크기 측정부에서 어느 샘플 시간(n)에서 측정된 크기[A(n)]를 한 샘플 이전 시간(n-1)에 측정된 크기[A(n-1)]와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결과에 해당하는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크게하거나 작아지게 하여 상기 이득 제어부로 출력하는 크기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측정부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절대값을 측정하고, 상기 절대값을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측정된 크기로서 상기 크기 결정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결정부는
    상기 크기 측정부의 출력을 입력하여 버퍼링하는 제1 버퍼;
    상기 크기 측정부의 출력[A(n)]과 상기 제1 버퍼에서 버퍼링된 결과[A(n-1)]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들을 상기 감지된 결과들로서 출력하는 비교부;
    소정 어텍 시간 또는 소정 릴리스 시간중 하나를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선택부;
    제1 승산부;
    소정값으로부터 상기 제1 선택부의 출력을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감산부;
    상기 감산부의 출력과 상기 크기 측정부의 출력[A(n)]을 승산하고, 승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제2 승산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승산부들에서 승산된 결과들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어느 샘플 시간(n)에서 가변된 크기[Mag(n)]로서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가산부의 출력을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결과를 상기 제1 승산부로 출력하는 제2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승산부는 상기 제2 버퍼에서 버퍼링된 결과와 상기 제1 선택부의 출력을 승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결정부는
    상기 가산부의 출력 또는 상기 제1 버퍼에서 버퍼링된 결과[A(n-1)]중 하나를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이득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 선택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8. 제6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어텍 시간은 상기 크기 측정부의 출력에 대한 상기 크기 결정부의 출력이 안정화될 때의 레벨보다 제1 소정 레벨만큼 높은 레벨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Tr에 해당하고, 상기 소정 릴리스 시간은 상기 크기 측정부의 출력에 대한 상기 크기 결정부의 출력이 안정화될 때의 레벨보다 제2 소정 레벨만큼 낮은 레벨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Tf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을 외부로부터 입력하여 상기 청각 보정부로 출력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을 자체적으로 검사하는 청각 특성 검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개의 상기 청각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갖는 청각 특성 테이블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청각 특성 테이블에서 하나의 청각 특성을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에 해당하는 소리들을 듣고서 상기 선택 신호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2. 제2 항 또는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m 신호 변환부는
    상기 청각 특성을 나타내는 니 포인트(knee point)들을 선형적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선상에서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에 해당하는 상기 제m 변환 밴드 신호의 크기를 찾고,
    상기 니 포인트는 X축이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이고, Y축이 상기 제m 변환 밴드 신호의 크기인 X 및 Y 좌표상의 한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특성 검사부는
    상기 제1 ∼ 제M 상기 밴드 신호들에 해당하는 제1 ∼ 제M 주파수 대역들중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한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가청 역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가정 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출력하는 제1 니 포인트 결정부;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상기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니포인트(들)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니 포인트(들)를 출력하는 제2 니 포인트 결정부;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불쾌 역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불쾌 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출력하는 제3 니 포인트 결정부; 및
    상기 사용자가 청각 특성의 검사를 요구하는가에 상응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 제M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상기 니 포인트들이 모두 구해졌는가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상기 제2 및 상기 제3 니 포인트 결정부들의 상기 니 포인트 결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각 특성은 상기 니 포인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니 포인트 결정부는
    출력하는 상기 니 포인트에 해당하는 소리보다 약간 작은 소리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 및 약간 큰 소리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부가적으로 더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5. 제1 항, 제9 항,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한 음성을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 입력부;
    아날로그 형태의 상기 음성 신호를 디지탈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된 결과를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의 출력을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부;
    상기 부호화된 결과를 변조하는 변조부;
    외부로부터 수신한 음성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결과를 출력하는 복조부;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용자에게 소리로서 제공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부호화된 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변조부로 제공하고, 상기 복조된 결과를 입력하여 상기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로서 상기 복호부로 출력하고, 제1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보정 요구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가 청각 보정을 요구할 때 상기 제1 키 입력 신호를 출력하는 키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청각 보정부는 상기 복호화된 결과의 크기를 상기 청각 보정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에서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청각 특성의 검사를 요구할 때 제2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제2 키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청각 검사 요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청각 특성 검사부는 상기 청각 검사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청각 특성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17. (a)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복조된 디지탈 음성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b) 상기 복호화된 결과의 신호의 크기를 사용자의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켜, 변형된 크기를 갖는 디지탈 음성 신호를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변형된 크기를 갖는 상기 디지탈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a) 단계에서 복호화된 결과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어 제1 ∼ 제M 밴드 신호들을 구하는 단계;
    (b2) 상기 제1 ∼ 제M 밴드 신호들 각각의 크기를 상기 청각 특성에 상응하여 변형시키고, 변형된 크기들을 갖는 밴드 신호들인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을 구하는 단계; 및
    (b3) 상기 제1 ∼ 제M 변환 밴드 신호들을 합성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합성된 결과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각 제m(1≤m≤M) 밴드 신호에 대하여,
    (b21) 상기 (b1) 단계후에,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b22) 상기 측정된 크기의 변화 정도에 상응하여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커지게 하거나 작아지게 하는 단계; 및
    (b23) 상기 (b22)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진 크기를 갖는 제m 밴드 신호의 크기 및 상기 청각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를 가변시키고, 가변된 크기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상기 제m 변환 밴드 신호로서 결정하고, 상기 (b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b22) 단계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에 대해 어느 샘플 시간(n)에서 측정된 크기[A(n)]가 한 샘플 이전 시간(n-1)에서 측정된 크기[A(n-1)]보다 제1 임계값 이상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A(n)가 상기 A(n-1)보다 상기 제1 임계값 이상 크면, 아래와 같이 상기 측정된 크기[A(n)]를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하여, 최종적으로 작아진 크기[Mag(n)]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구하고 상기 (b2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여기서, Tr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측정된 크기에 대한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가 최종적으로 작아질 때의 레벨보다 제1 소정 레벨만큼 높은 레벨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A(n)가 상기 A(n-1)보다 상기 제1 임계값 이상 크지 않으면, 상기 A(n)이 상기 A(n-1)보다 제2 임계값 이상 적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A(n)이 상기 A(n-1)보다 상기 제2 임계값 이상 적으면, 아래와 같이 상기 측정된 크기[A(n)]를 점차적으로 커지게 하여, 최종적으로 커진 크기[Mag(n)]를 갖는 제m 밴드 신호를 구하고 상기 (b2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여기서, Tf는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측정된 크기에 대한 상기 제m 밴드 신호의 크기가 최종적으로 커졌을 때의 레벨보다 제2 소정 레벨만큼 낮은 레벨에 도달할 때 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b22) 단계는
    상기 A(n)이 상기 A(n-1)보다 상기 제2 임계값 이상 적지 않으면, 한 샘플 이전 시간(n-1)에서 최종적으로 커졌거나 작아진 크기[Mag(n-1)]를 어느 샘플 시간(n)에서 최종적으로 커졌거나 작아진 크기[Mag(n)]로서 결정하고, 상기 (b2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b22) 단계는
    상기 A(n)이 상기 A(n-1)보다 상기 제2 임계값 이상 적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상기 측정된 크기[A(n)]를 가변시켜, 가변된 크기[Mag(n)]를 갖는 밴드 신호를 구하고 상기 (b2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b22) 단계는
    상기 A(n)이 상기 A(n-1)보다 상기 제2 임계값 이상 적지 않으면, 아래와 같이 상기 측정된 크기[A(n)]를 가변시켜, 가변된 크기[Mag(n)]를 갖는 밴드 신호를 구하고 상기 (b2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4.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은 외부로부터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5.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을 자체적으로 검사하고,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d)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6.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청각 특성은
    외부로부터 사전에 주어지는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중에서, 상기 다수개의 청각 특성들에 해당하는 소리들을 듣고서 사용자가 결정한 청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7.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청각 특성의 측정이 요구되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청각 특성의 측정이 요구되면, 상기 제1 ∼ 제M 주파수 대역들중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d3) 해당하는 제m 주파수 대역의 가청 역치에 해당하는 대한 니 포인트(knee point)를 결정하는 단계;
    (d4)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상기 사용자에게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니 포인트들을 결정하는 단계;
    (d5)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불쾌 역치에 해당하는 니 포인트를 결정하는 단계;
    (d6) 상기 해당하는 제m 주파수 대역이 마지막인 제M 주파수 대역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이면,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7)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이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이 아니면, m을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d3)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청각 특성은 상기 니 포인트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d3) 단계는
    (d31) 소정의 최소 크기를 갖는 테스트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d32) 상기 사용자가 상기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d33)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를 들을 수 없으면,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3 소정 레벨 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d3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34)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를 들을 수 있으면, 들리는 소리에 해당하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상기 가청 역치로서 결정하고, 상기 가청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정 역치에 대한 니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d4)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d4) 단계는
    (d41) 상기 (d3) 단계후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d42) 상기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지 않으면,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4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d4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43) 상기 소리가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면,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소리에 해당하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니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d5)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d5) 단계는
    (d51) 상기 (d4) 단계후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테스트 신호에 해당하는 소리가 너무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d52) 상기 소리가 너무 크지 않으면,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제5 소정 레벨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d51)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53) 상기 소리가 너무 크면, 너무 큰 소리에 해당하는 상기 테스트 신호의 크기를 상기 불쾌 역치로 결정하고, 상기 불쾌 역치를 이용하여 상기 니 포인트를 결정하고 상기 (d6)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31. 제28 항, 제29 항 또는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상기 제m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 해당하는 순음 신호 또는 제m 주파수 대역내의 주파수 성분이 합해진 복합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방법.
KR1020000073800A 2000-12-06 2000-12-06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200444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00A KR20020044416A (ko) 2000-12-06 2000-12-06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00A KR20020044416A (ko) 2000-12-06 2000-12-06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16A true KR20020044416A (ko) 2002-06-15

Family

ID=2767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800A KR20020044416A (ko) 2000-12-06 2000-12-06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4416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21B1 (ko) * 2001-02-13 2003-06-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음성 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전화 및 중계국
US8059833B2 (en) 2004-12-28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mpensating audio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in real-time and a sou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158038B1 (ko) * 2011-05-23 2012-06-22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A/d 변환 시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US11644693B2 (en) 2004-07-28 2023-05-09 Ingeniospec, Llc Wearable audio system supporting enhanced hearing support
US11670320B2 (en) 2003-04-15 2023-06-06 Ipventu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sound
US11721183B2 (en) 2018-04-12 2023-08-08 Ingeniospec, Llc Methods and apparatus regarding electronic eyewear applicable for seniors
US11762224B2 (en) 2003-10-09 2023-09-19 Ingeniospec, Llc Eyewear having extended endpieces to support electrical components
US11803069B2 (en) 2003-10-09 2023-10-31 Ingeniospec, Llc Eyewear with connection region
US11829518B1 (en) 2004-07-28 2023-11-28 Ingeniospec, Llc Head-worn device with connection region
US11852901B2 (en) 2004-10-12 2023-12-26 Ingeniospec, Llc Wireless headset supporting messages and hearing enhancement
US12001599B2 (en) 2023-11-27 2024-06-04 Ingeniospec, Llc Head-worn device with connection reg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398A (ja) * 1993-01-18 1994-08-05 Hitachi Ltd 聴覚特性補償用音声処理装置
JPH08191340A (ja) * 1995-01-09 1996-07-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聴覚特性補償手段付き電話機
KR0161412B1 (ko) * 1995-06-13 1998-12-01 김광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KR19990048912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청력 진단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00165483A (ja) * 1998-10-13 2000-06-16 Denso Corp デジタル電話のオ―ディオ出力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ユ―ザ―の個別聴力スペクトルに合わせてオ―ディオ出力を調整するデジタル電話
JP2000209698A (ja) * 1999-01-13 2000-07-28 Nec Saitama Ltd 音声補正装置及び音声補正機能付き移動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398A (ja) * 1993-01-18 1994-08-05 Hitachi Ltd 聴覚特性補償用音声処理装置
JPH08191340A (ja) * 1995-01-09 1996-07-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聴覚特性補償手段付き電話機
KR0161412B1 (ko) * 1995-06-13 1998-12-01 김광호 음색별 증폭 기능 및 주파수 필터링 기능을 갖는 보청전화
KR19990048912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청력 진단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JP2000165483A (ja) * 1998-10-13 2000-06-16 Denso Corp デジタル電話のオ―ディオ出力を調整する方法およびユ―ザ―の個別聴力スペクトルに合わせてオ―ディオ出力を調整するデジタル電話
JP2000209698A (ja) * 1999-01-13 2000-07-28 Nec Saitama Ltd 音声補正装置及び音声補正機能付き移動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21B1 (ko) * 2001-02-13 2003-06-2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음성 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전화 및 중계국
US11869526B2 (en) 2003-04-15 2024-01-09 Ipventure, Inc. Hearing enhancement methods and systems
US11670320B2 (en) 2003-04-15 2023-06-06 Ipventu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sound
US11762224B2 (en) 2003-10-09 2023-09-19 Ingeniospec, Llc Eyewear having extended endpieces to support electrical components
US11803069B2 (en) 2003-10-09 2023-10-31 Ingeniospec, Llc Eyewear with connection region
US11644693B2 (en) 2004-07-28 2023-05-09 Ingeniospec, Llc Wearable audio system supporting enhanced hearing support
US11829518B1 (en) 2004-07-28 2023-11-28 Ingeniospec, Llc Head-worn device with connection region
US11921355B2 (en) 2004-07-28 2024-03-05 Ingeniospec, Llc Head-worn personal audio apparatus supporting enhanced hearing support
US11852901B2 (en) 2004-10-12 2023-12-26 Ingeniospec, Llc Wireless headset supporting messages and hearing enhancement
US8059833B2 (en) 2004-12-28 2011-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mpensating audio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in real-time and a sou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158038B1 (ko) * 2011-05-23 2012-06-22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A/d 변환 시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US11721183B2 (en) 2018-04-12 2023-08-08 Ingeniospec, Llc Methods and apparatus regarding electronic eyewear applicable for seniors
US12001599B2 (en) 2023-11-27 2024-06-04 Ingeniospec, Llc Head-worn device with connection reg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77904B2 (ja) ユーザーの聴力に従ってデジタル入力信号を調整するデジタル電話
US7813931B2 (en) System for improving speech quality and intelligibility with bandwidth compression/expansion
AU771444B2 (en) Noise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
JP5463306B2 (ja) 高周波数圧縮を通じてスピーチ了解度を改良するためのシステム
AU20092424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sound delivery
JPH07193548A (ja) 雑音低減処理方法
US20090285406A1 (en) Method of fitting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to a hearing impaired user
JP2004061617A (ja) 受話音声処理装置
KR20120064105A (ko) 적응적 음성 가해성 처리 시스템
KR20020044416A (ko) 청각 보정 기능을 갖는 개인용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60122854A (ko) 오디오 신호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993053B (zh) 一种通道自适应的数字助听器宽动态范围压缩方法
JP3269669B2 (ja) 聴覚補償装置
US20020099538A1 (en) Received speech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received speech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RU2589298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разборчивости и информативности звуковых сигналов в шумовой обстановке
JP2837639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H07146700A (ja) ピッチ強調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聴力補償装置
JP2011141540A (ja) 音声信号処理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音声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478267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圧縮方法および圧縮装置
JP2010092057A (ja) 受話音声処理装置及び受話音声再生装置
JP2000352991A (ja) スペクトル補正機能つき音声合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224

Effective date: 2007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