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332A -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 Google Patents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332A
KR20020043332A KR1020000072717A KR20000072717A KR20020043332A KR 20020043332 A KR20020043332 A KR 20020043332A KR 1020000072717 A KR1020000072717 A KR 1020000072717A KR 20000072717 A KR20000072717 A KR 20000072717A KR 20020043332 A KR20020043332 A KR 2002004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electric shaver
clipper
protrus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열
Original Assignee
박흥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열 filed Critical 박흥열
Priority to KR1020000072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332A/ko
Publication of KR2002004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26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of the type performing different methods of operation simultaneously, e.g. reciprocating and oscillating; of the type having two or more heads of differing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53Housing or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86Actuating members, e.g. switches or control kno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모터구동식 면도날(120)이 전기면도기(100)의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콧털깎기(200)가 삽입 발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콧털깎기(200)는 케이스(21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선단에 장착된 모터구동식 콧털깎기날(22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면도기와 콧털깎기를 별도로 각각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로 면도와 콧털을 깎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편리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Electric shaver with nostril hairs cutter}
본 발명은 콧털깎기를 갖춘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콧털깎기를 일체로 내장한 전기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면도기(1)는 본체(10)의 상부에 모터구동식 면도날(11)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10)의 일측면 중간에는 스위치(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면도기(1)는 면도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면도날(11) 상에는 덮개가 씌워진다.
사용자가 콧털을 깎고자 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콧털깎기(2)를 사용한다. 콧털깎기(2)는 모터구동식 콧털깎기날(21)이 케이스(20)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20)의 외주면 중간에는 스위치(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콧털깎기날(21) 상에는 덮개가 씌워진다.
이상과 같이, 종래에는 전기면도기와 콧털깎기가 각각 별도로 제조 및 판매되고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전기면도기와 콧털깎기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구입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기면도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콧털깎기를 일체로 장착한 전기면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면도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콧털깎기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의 비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의 비사용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의 분리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3a 및 도 3b에서 하부 중심을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는, 모터구동식 면도날(120)이 전기면도기(100)의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콧털깎기(200)가 삽입 발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콧털깎기(200)는 케이스(21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선단에 장착된 모터구동식 콧털깎기날(22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1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기면도기(100)는 본체(110)의 상부에 모터구동식 면도날(120)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기면도기(100)의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콧털깎기(200)가 삽입 발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3a는 콧털깎기(200)가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전기면도기(100)를 도시한 것으로, 콧털깎기(200)가 전기면도기(100)의 일측면 하부에 삽입되어 있다. 콧털깎기(200)는 케이스(210) 및 이 케이스(210)의 선단에 장착된 모터구동식 콧털깎기날(220)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면도기 작동, 비작동 및 콧털깍기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2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면도를 하고자 할 때에는 도 3a의 상태에서 스위치(240)를 면도기 온(on) 위치에 위치시키면 된다.
도 3b는 콧털깎기(200)가 사용될 때의 전기면도기(100)를 도시한 것으로, 콧털깎기(200)가 전기면도기(100)의 일측면 하부로부터 발출되어 있다. 이때, 콧털깎기(200)는 그 전체 길이의 약 1/3 정도가 돌출된다. 사용자가 콧털깎기(200)의 후단을 아래로 밀면 콧털깎기(200)의 콧털깎기날(220)이 전기면도기(100)의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콧털을 깎고자 할 때에는 도 3b의 상태에서 스위치(240)를 콧털깎기 온(on) 위치에 위치시키면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면도날(120)과 콧털깎기날(220) 상에는 각각 덮개가 씌워진다.
도 4는 도 3a의 전기면도기(100)에서 콧털깎기(200)를 분리한 후 콧털깎기(200)를 180°회전시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면도기(100)의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콧털깎기(200)가 본체(110)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는 길다란 오목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0)는 본체(100)의 일측면 중간 부근에서 하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오목부(130)는 그 오목면의 형상이 콧털깎기(200)의 외면 형상과 동일하다. 또한 오목부(130)는 본체(110)의 하단까지 연장된 전체 길이가 상기 콧털깎기(200)의 길이와 동일하다.
오목부(130)는 그 중간 부분에 장홈(131)이 본체(110)의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홈(131) 내에는 그 종방향 길이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직선의 탄성부재(132)가 2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탄성부재(132)는 장홈(131)의 깊이 방향 높이의 상단에서 하단에 못미치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32)는 장홈(131)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장홈(131)의 좌우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인다. 각각의 탄성 부재(132)는 그 종방향으로 위에서부터 전체의 대략 1/3 지점에 형성된 상걸림부(132a)와 대략 2/3 지점에 형성된 하걸림부(132b)로 구성되어 있다.
콧털깎기(200)의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단면이 타원형인 돌기(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콧털깎기(200)의 타원형 돌기(230)는 오목부(130)의 장홈(131)의 탄성부재(132)들 사이에 밀접하게 삽입된다. 돌기(230)를 탄성부재(132)들 사이의 하부에 삽입하면, 탄성부재(132)들이 장홈(131)의 좌우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진다. 계속해서, 콧털깎기(200)를 위로 밀면 돌기(230)가 탄성부재(132)들의 하걸림부(132b)들 사이에 걸리며, 콧털깎기(200)를 더 위로 밀면 돌기(230)가 탄성부재(132)들 사이를 따라 밀접하게 미끄럼 이동하여상걸림부(132a)들 사이에 걸리게 된다.
콧털깎기(200)의 삽입 및 발출시, 콧털깎기(200)의 돌기(230)는 장홈(131)의 탄성부재(132)들의 상걸림부(132a)들 및 하걸림부(132b)들 사이에 각각 걸려 정지된다. 콧털깎기(200)의 삽입 시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30)가 탄성부재(132)들의 상걸림부(132a)들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콧털깎기(200)의 발출 시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콧털깎기(200)의 후단을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돌기(230)가 탄성부재(132)들 사이를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탄성부재(132)들의 하걸림부(132b)들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에 의하면, 전기면도기와 콧털깎기를 별도로 각각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장치로 면도와 콧털을 깎는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 및 편리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 주요 특징을 이루는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의 예와 실시예는 어느 경우에나 제한적인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4)

  1. 모터구동식 면도날(120)이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된 전기면도기(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 하부에는 콧털깎기(200)가 삽입 발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콧털깎기(200)는 케이스(210) 및 상기 케이스(210)의 선단에 장착된 모터구동식 콧털깎기날(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콧털깎기(200)가 장착되는 오목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130)는 탄성 부재(132)들이 형성된 장홈(13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콧털깎기를 갖춘 전기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오목부(130)의 장홈(131)의 탄성부재(132)들 사이에 밀접하게 삽입되는 돌기(23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230)는 상기 콧털깎기(200)의 삽입 및 발출시 상기 탄성부재(132)들의 상걸림부(132a)들 및 하걸림부(132b)들 사이에 각각 걸려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230)의 직경상 마주하는 위치에 면도기 작동, 비작동 및 콧털깍기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면도기.
KR1020000072717A 2000-12-02 2000-12-02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KR20020043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717A KR20020043332A (ko) 2000-12-02 2000-12-02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717A KR20020043332A (ko) 2000-12-02 2000-12-02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332A true KR20020043332A (ko) 2002-06-10

Family

ID=2767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717A KR20020043332A (ko) 2000-12-02 2000-12-02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3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275U (ko) * 1987-08-11 1989-02-20
KR960007276U (ko) * 1994-08-19 199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면도기
KR19980057382U (ko) * 1997-02-04 1998-10-15 김승호 코털 깎이를 장치한 전기면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275U (ko) * 1987-08-11 1989-02-20
KR960007276U (ko) * 1994-08-19 1996-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면도기
KR19980057382U (ko) * 1997-02-04 1998-10-15 김승호 코털 깎이를 장치한 전기면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738B2 (en) Razor with integral trimming wand
CN108349098B (zh) 把手组件、刀片架及包括这些的剃须刀
US4980973A (en) Shaver having a clipper
US8561300B2 (en) Combination shaving and trimming device
US7937837B2 (en) Razor head having two shaving heads
US9643327B2 (en) Wet shaving razor
US20040181954A1 (en) Shaving implement having improved pivot axis location
EP3237156B1 (en) A shaving blade cartridge and a shaver comprising such shaving blade cartridge
JP2003299891A (ja) 安全カミソリカートリッジ
RU2693970C2 (ru) Кассета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и бритв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кассету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JP2003079974A (ja) 固定刃及び可動刃を有するシェービング器具
CA2293332C (en) Folding razor
EP2055449A1 (en) Hair cutter
CN109153138B (zh) 包括形成有贯通孔的手柄的剃须刀
KR101795626B1 (ko) 코털깎이
US4896420A (en) Electric shaver
KR20020043332A (ko) 콧털깎기를 구비한 전기면도기
CN214520347U (zh) 修眉刀
KR101915762B1 (ko) 면도날 교체식 면도기
KR200391405Y1 (ko) 헤어커터용 덧빗
CN217020489U (zh) 剃须刀及其剃须刀头
CN219075759U (zh) 一种多头风剪
KR200448495Y1 (ko) 안전 면도기
KR200170804Y1 (ko) 손톱깎이
CN108555969B (zh) 剃须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