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3274A -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3274A
KR20020043274A KR1020000072445A KR20000072445A KR20020043274A KR 20020043274 A KR20020043274 A KR 20020043274A KR 1020000072445 A KR1020000072445 A KR 1020000072445A KR 20000072445 A KR20000072445 A KR 20000072445A KR 20020043274 A KR20020043274 A KR 2002004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object model
com
component objec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2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3274A/ko
Publication of KR2002004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32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 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콜 서비스를 주로 하지 않는 개인이 한두번 정도의 일정치 않은 IP 콜을 수신하기 위해 IP 터미널을 계속 메모리에 로딩시켜 놓게 되면, 그 만큼의 메모리 리소스를 활용할 수 없에 되어 비효율적이고 또한, 전화 발신자(Caller)의 입장에서는 통화를 위해 수신자의 IP 터미널이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은 수의 IP 콜 서비스를 받는 개인 사용자가 H.323 스택을 메모리에 상주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PC의 메모리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발신자가 수신자의 피씨가 작동중인 것만 알면 수신자의 터미널을 원격으로 실행시켜 통화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의 IP 터미널이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통화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 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REMOTE CONTROLLING METHOD FOR IP TERMINAL USING COMPONENT OBJECT MODEL AND 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
본 발명은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씨의 운영 시스템인 윈도우즈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이를 기반으로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한 인터넷폰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터넷폰 서비스는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T)에서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의 음성통신에 대한 규약(Protocol)으로 정한 H.323을 이용하고 있다.
이하, H.323 규약을 적용한 단말기를 IP(H.323) 단말(터미널)로 하여 설명한다.
일단, 종래의 피씨를 통한 H.323 단말로 전화를 받기 위해서는 그 단말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H.323 스택을 메모리에 로딩하였다.
그러면, 피씨의 메인 화면 또는 화면 하단에 트레이 아이콘(Tray Icon) 형식으로 해당 단말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음이 표시되었다.
물론, IP 터미널이 VMS(Voice Mailing System) 또는 게이트 키퍼와 연동할 경우, IP 터미널을 실행시켜 놓지 않아도 VMS나 다른 예정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상기 시스템(VMS, 게이트 키퍼 등)을 사용하지 않는 PC-to-PC의 개인 사용자들은 상술한 방법에 의해 통화가 가능 하였다.
다시 말해, 종래의 방법으로 IP 콜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IP 터미널을 메인 화면 또는 트레이 아이콘 형식으로 실행시켜 H.323 스택을 피씨의 주 메모리에 로딩시켜 놓아야 했는데, 고객 지원 센터(Help Desk)와 같이 콜 서비스를 주 업무로 하는 곳에서는 전화 통화 이외의 다른 작업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리소스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콜 서비스를 주로 하지 않는 개인의 경우, 한두번 정도의 일정치 않은 IP 콜을 수신하기 위해 IP 터미널을 계속 메모리에 로딩시켜 놓게 되면, 그 만큼의 메모리 리소스를 활용할 수 없에 되어 비효율적이고, 전화 발신자(Caller)의 입장에서는 통화를 위해 수신자의 IP 터미널이 실행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불편한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인터넷이나 랜으로 연결되어 있는 IP 터미널을 통해 발신자가 임의의 IP 어드레스를 갖는 수신자의 IP 터미널로 전화를 걸 경우, 수신자의 터미널이 실행되어 있지 않으면 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수신자의 IP 터미널이 실행중인 지를 확인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했고, 수신자의 입장에서는 PC에서 작업하고 있는 동안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IP 콜을 수신하기 위해 IP 터미널을 실행시켜 메모리에 상주시켜야 하므로 PC 메모리 리소스 활용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수신자가 H.323 스택을 메모리에 로딩시켜 놓지 않더라도 발신자가 원격으로 수신자의 IP 터미널을 실행시켜 통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통화에 대한 신뢰성 확보 및 피씨의 메모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OM/DCOM 계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COM/DCOM을 이용하여 IP 터미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을 이용해 만든 IP 터미널 중 일측(터미널 A)에서 다른 일측(터미널 B)으로 전화를 거는 제1단계와; 상기 터미널 A에서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을 통해 터미널 B의 컴퓨터를 찾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찾은 원격 컴퓨터의 레지스트리에서 터미널 B의 객체의 위치를 찾아 실행시키는 제3단계와; 터미널 B의 서브 시스템이 객체 실행 결과를 터미널 A에게 통보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로 만드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본 발명은 수신자의 입장에서 IP 콜 서비스를 받을 때만 IP 폰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통화할 수 있다면 PC의 메모리 활용면에서 더 효율적이며, 발신자의 입장에서는 수신자의 PC가 작동중인 지만 알면 수신자의 IP 터미널 실행 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통화할 수 있는 조건이 되기 때문에 통화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IP 터미널의 대부분이 윈도우즈를 운영 체제로 하는 피씨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윈도우즈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 : Component Object Model)은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위 어플리케이션 즉, 컴포넌트의 통합 및 통신 방법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 사양이고, 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DCOM : Distributed COM)은 COM에 분산 기능을 부여하여 네트워크 상의 서로 다른 컴퓨터 사이에서도 COM개체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COM 방식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DCOM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배치된 COM개체의 서비스를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COM 방식을 이용해 터미널을 만들고, DCOM을 이용하여 상대 터미널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COM/DCOM 계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 COM/DCOM을 이용하여 IP 터미널을 원격 제어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인 예시도이다.
일단, COM과 관련된 모든 정보는 레지스트리(Registry)에 저장되며, COM 런타임의 프록시(Proxy)와 스텁(Stub)은 서버 COM 개체와 클라이언트 COM 개체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터미널이 직접 함수를 호출할 경우, 그것이 바로 상대 컴퓨터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프록시(Proxy)와 스텁(Stub)이 이를 대신하여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다음,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 : Remote Procedure Call)은 원격 시스템에 있는 함수를 클라이언트에서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즉, 서로 다른 컴퓨터상의 프로세스간에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 DCOM은 프로토콜의 투명성을 제공한다. 즉, DCOM은 대표적인 프로토콜(TCP/IP(유닉스 환경), UDP(커넥션리스형), IPX/SPX(NetWare 환경), NetBIOS(윈도우즈 환경))을 포함한 거의 모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보안 체제를 지원하고 있다.
도2를 살펴보면 COM 객체로 구성된 H.323 터미널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며 터미널 A(10)가 터미널 B(20)를 호출하면, COM 서브 시스템(11∼14)은 요청받은 컴포넌트를 가지고 있는 COM 객체(터미널 B)가 원격 컴퓨터에 있는지를 RPC를 통해 확인하고, 터미널 A(10)의 COM 서브 시스템은 터미널 B(20)가 위치한 컴퓨터에 들어 있는 COM 서브 시스템과 접속하여 터미널 B(20)의 실행을 요청한다.
원격 COM 서브 시스템은 터미널 A(10)가 충분한 보안 특권을 가지고 있고, 터미널 B(20)가 원격 컴퓨터에 제대로 등록되어 있다는 판단을 내리면 터미널 B(20)를 실행시킨다.
이때, 터미널 B(20)가 미리 실행되어 있으면 바로 연결이 된다.
그럼,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H.323 터미널을 이용한 IP 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OM 객체로 만들어진 H.323 터미널 중 전화 거는 쪽을 터미널 A(10), 받는 쪽을 터미널 B(20)라고 할 때, 터미널 A가 터미널 B로 전화를 건다.(터미널 B 객체를 요청)
이때, 터미널 A(10)의 COM 서브 시스템은 기 등록된 IP 어드레스나 호스트 이름으로 RPC를 통해 터미널 B(20)의 컴퓨터를 찾는다.
다음, 찾은 원격 컴퓨터의 레지스트리에서 터미널 B(20)의 객체의 위치를 찾는다. 이를 위해서 원격 컴퓨터의 COM 서브 시스템은 터미널 B 객체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기본 인증 수준을 사전에 세팅한다.
다음, 터미널 B 객체를 실행시킨다. 이때, 터미널 B가 이미 실행되어 있으면 이 단계를 생략한다.
한편, 터미널 B의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전화 받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지스트리에 특정값을 세팅함으로써, 터미널 A에게 이를 알린다.
또한, 전화 받기를 원하지 않을 경우에도 레지스트리에 인입된 호의 중요도에 따른 처리를 세팅함으로써 인입된 콜의 중요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콜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터미널 B의 서브 시스템은 개체 생성 결과를 터미널 A에게 알리고,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은 적은 수의 IP 콜 서비스를 받는 개인 사용자가 H.323 스택을 메모리에 상주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PC의 메모리 리소스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가 수신자의 피씨가 작동중인 것만 알면 원격으로 실행시켜통화할 수 있으므로, 수신자의 IP 터미널이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없어 통화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을 이용해 만든 IP 터미널 중 일측(터미널 A)에서 다른 일측(터미널 B)으로 전화를 거는 제1단계와; 상기 터미널 A에서 원격 프로시저 호출(RPC)을 통해 터미널 B의 컴퓨터를 찾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찾은 원격 컴퓨터의 레지스트리에서 터미널 B의 객체의 위치를 찾아 실행시키는 제3단계와; 터미널 B의 서브 시스템이 객체 실행 결과를 터미널 A에게 통보함으로써 통화 가능 상태로 만드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터미널(터미널 A)에서는 기 등록되어 있는 상대 컴퓨터의 IP 어드레스나 호스트 이름으로 원격 터미널의 컴퓨터를 찾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 터미널(터미널 B)은 레지스터 세팅에 의해 원하지 않는 전화를 수신하지 않거나, 중요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인증 수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COM/DCOM)을 이용한 IP 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KR1020000072445A 2000-12-01 2000-12-01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KR200200432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445A KR20020043274A (ko) 2000-12-01 2000-12-01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445A KR20020043274A (ko) 2000-12-01 2000-12-01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3274A true KR20020043274A (ko) 2002-06-10

Family

ID=2767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445A KR20020043274A (ko) 2000-12-01 2000-12-01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32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377A1 (en) * 2022-09-06 2024-03-14 Snap Inc. Remotely changing settings on ar wearable de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4377A1 (en) * 2022-09-06 2024-03-14 Snap Inc. Remotely changing settings on ar wearable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98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pervasive access
US66906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n intelligent telephone call using an internet browser
US769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and interaction
US8032624B2 (en) Pluggable contact resolution
JPH10154078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へのアクセス提供方法
US20060233160A1 (en) Call system, proxy dial server apparatus and proxy dial method for use therewith, and program thereof
IL176365A (en) A device for radio communication and a method with an API between the user program and the telephony program and method
EP1901537A1 (en) General intellectual click-to-dial method and the software structure thereof
US20070220111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browser client for remote use in enterprise communications
JP3434209B2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ツール利用状況伝達方法,その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50007567A (ko) 일련의 개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및 사용자 프로파일웹 포털을 이용하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 내의 어플리케이션
CN1326630A (zh) 嵌入式万维网电话模块
US7254610B1 (en) Delivery of services to a network enabled telephony device based on transfer of selected model view controller objects to reachable network nodes
JP2001109696A (ja) オブジェクトイネーブルドリアルタイムメッセージングシステム
US79131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unified communication
US7496186B2 (en) Outside-LAN connectable IP key telephone system, terminal unit thereof, main unit thereof, and outside-LAN connecting method
US20050114497A1 (en) Remote monitoring of graphical telecommunications terminal
KR100422706B1 (ko) 발신자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20043274A (ko) 컴포넌트 객체 모델/분산 컴포넌트 객체 모델을 이용한ip터미널의 원격 제어 방법
US69757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the addition and deletion of TAPI line and phone devices in absence of such notifiction from a PBX
WO2023070834A1 (zh) 小程序与网页通信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20050138032A1 (en) Network based client-server communications
JP2004005398A (ja) サービスを提供する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および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により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KR20050043021A (ko) 무선 인터넷 플랫폼 상에 sip/imps 동적 연결라이브러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70220113A1 (en) Rich presence in a personal communications client for enterpris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