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394A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394A
KR20020042394A KR1020010027306A KR20010027306A KR20020042394A KR 20020042394 A KR20020042394 A KR 20020042394A KR 1020010027306 A KR1020010027306 A KR 1020010027306A KR 20010027306 A KR20010027306 A KR 20010027306A KR 20020042394 A KR20020042394 A KR 2002004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agent
explosive
fire extinguisher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7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근
Original Assignee
조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7185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08388A/ko
Application filed by 조대근 filed Critical 조대근
Publication of KR2002004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3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5Fire extinguishing bombs; Projectiles and launche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을 진화하는 소화탄과 그 소화탄으로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에 관한 출원이다.
종래 산불 진화 방식은 헬리콥터로서 소량의 물을 공수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부어 주거나, 대규모 군병력이 원시적인 도구로서 방제를 하는데 이 방법은 모두 산불 진화와 확대 이동 차단 효과가 미약했다.
본 발명은 소규모의 군병력 및 군장비와 몇 대의 산불 진화용 항공기만으로 산불 진화를 쉽게하고, 산불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군사용 곡사포와 항공기로서 투탄(投彈)하여, 폭약 폭발력이나 압축 가스 팽창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消火彈)을 제시하고, 그 산불 진화용 소화탄으로서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防火帶)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군사용 곡사포의 포격과 항공기로서의 투탄은 명중률과 정확도가 높으므로 소화약제를 효과적으로 산포하여 산불을 진화하고,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A bomb for forest fire extinguishing and installing the fire prevention }
본 발명은 폭약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기존 소화탄 방식을 박격포를 포함한 군사용 곡사포와 항공기로서 투탄하도록 개량하고, 가압 가스의 팽창력으로 분말 소화약제를 산포하는 기존 가압식 분말 소화기를 항공기로서 투탄하는 소화탄으로 개량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투탄 하므로서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산불을 쉽게 진화하고,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출원이다.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잘 훈련된 소방요원과 좋은 소방 장비를 투입하여 소화약제나 물 등으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 한다.
그러나 산불의 경우에는 넓고, 험한 산악 지역에 발생하므로 소화약제나 물 등을 살포하여 진화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산불이 발생하면 대규모의 인력(군 병력, 경찰 병력, 민방위대 등)을 투입하여 쇠스랑, 갈퀴 등의 원시적인 장비로서 진화를 하며, 산불 진화를 위해서 항공기(헬리콥터)로서 1회당 1톤 정도의 물을 공수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부어 주지만, 그에 따른 산불 진화 효과는 거의 없다.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화재에서 처럼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산악의 산불 발생 지역에 소화약제를 쉽게 산포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서 기존 출원된 발명 및 고안은 다음과 같다.
가. 출원번호 20-1992-11005 소화탄, 출원번호 20-1992-11006 소화탄
상기 2건의 실용신안은 동일인의 출원 건으로서, 케이스 내부에 소화약제와 폭발 화약을 장전하고, 그 폭발 화약에 도화선을 연결하며, 도화선에 점화 후 헬기에서 투하하는 소화탄이다.
나. 출원번호 20-1992-16042 걸이 소화탄
상기 선 출원은 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화약을 장전하고, 화약에 도화선을 연결하여 화재 지역에 걸어 두면, 화재의 불씨로 도화선이 점화 되어 화약이 폭발하는 방식이다.
다. 출원번호 10-1992-22944 산불 진화용 소화탄
상기 선 출원은 합성 수지 용기에 액체 소화물을 충진하고, 화약이 장전된 기폭관에 의하여 소화물을 산포 시키며, 손으로 투탄하는 방식의 소화탄이다.
라. 출원번호 20-1994-20417 소화탄
상기 선 출원은 탄체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 중앙부에점화제와 결합되는 폭약이 장전된 폭약통이 내장 되며, 탄체의 후단부에 발사기에 장전하기 위한 추진컵과 비행을 위한 날개가 구비되고, 발사기에서 발사 되도록 구성 되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탄두에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발사기에서 발사 후에 목표지점 근처에 도달하면, 감지 센서의 작동으로 폭발하는 방식과,
탄체의 후단부에 공이를 설치하여 발사기에서 발사 후에 목표지점에 충돌하면 그 충격으로 공이가 작동하여 폭약이 폭발하는 방식과,
탄체의 후단부에 공이와 점화제와 도화선을 구비하여, 발사기에서 발사 후에 목표지점에 충돌하면 그 충격으로 공이가 작동하여 점화제와 도화선이 연소되고, 이어서 폭약이 폭발되는 방식과,
탄체의 후단부에 점화제와 도화선을 구비하여, 발사기에서 발사 후에 추진컵의 화염에 의해 점화제와 도화선이 연소 되고, 이어서 폭약이 폭발되는 방식과,
탄체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진되고, 그 내부에 고압가스가 충진된 고압가스 용기가 내장 되며, 탄체의 후단부에 공이가 구비되어, 발사기에서 발사 후에 추진컵의 화염에 의한 충격으로 공이가 고압가스 용기의 마개를 관통하여, 고압가스가 누출 되고, 이어서 소화약제가 분산 되는 방식으로서
소화탄 전용의 발사기에서 발사 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마. 출원번호 10-1995-12018 산불 진화용 소화 로켓트탄
상기 선출원 건은 탄두에 고농도의 분말 소화제를 충진하고, 탄두 선단에 화재 열원을 감지하는감지센서를 구비하며, 후단에 로켓트식 추진 수단을 구비하여, 무반동식 로켓트탄 발사기로 발사하도록 구성 된 소화탄이다.
바. 출원번호 20-1995-033025 소화탄
상기 선출원은 소화 분말약제와 폭약통을 구비하고, 손으로 던지거나 총으로발사하는 소화탄 이다.
사. 출원번호 10-1997-004015 소화탄 및 그 발사장치
상기 선출원은 타원형의 외피에 소화물과 화약을 설치하고 뇌관을 구비하여 총이나 석궁으로 발사하는 소화탄이다.
등의 선행 기술이 있는데, 위의 발명과 고안 모두가 폭약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거나 압축 된 고압가스의 팽창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소화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위의 소화탄들을 산불 발생 지역에 발사하는 발사장치와 발사 방법 및 폭약에 점화하여 폭발 시키는 방법들에 있어서 현실성, 경제성, 실용성이 없는 것들이 위의 발명과 고안의 전부이다. 그래서 위 모두의 발명과 고안 내용들이 실지 사용 되지 못하고 사장(死藏)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산불이 발생하여 대규모로 확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화탄을 사용하여 소화약제를 산포함으로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한 출원과 기술은 없었다.
본 발명은 앞의 선출원 기술들이 발사장치와 발사 방법 및 폭약에 점화하여 폭발 시키는 방법들에 있어서 현실성, 경제성,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실지 사용 되지 못하고 사장(死藏) 되고 있는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현성이 있는 수단인 군사용 곡사포로서 투탄하거나 항공기로서 투탄하는 소화탄을 제시하고자 한다.
항공기(헬기)는 산불 발생 현장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장비이며, 박격포를 포함한 군사용 곡사포는 군부대에서 많이 보유하고 있고, 산불 진화작업 현장에 실지 동원하기도 용이한 장비들이다. 따라서 항공기와 군사용 곡사포를 이용한 산불 진화용 소화탄의 투탄은 어떤 선출원 기술 보다도 실현 가능성이 높은 산불 진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산불의 특성상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가을부터 봄까지 발생하는 산불의 성격은 지표면(地表面)에서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를 태우는 지표면의 산불과, 지표면(地表面)의 상부(上部), 즉 지상부(地上部)에서 키가 큰 나무의 줄기와 잎을 태우는 지상부(地上部)의 산불, 이렇게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 데, 지표면의 산불은 가연성(可燃性) 및 연소성(燃燒性) 물질인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의 조밀(稠密)함으로 인해서 빠른 번짐과 강한 화력을 가지지만, 지상부의 산불은 낙엽이 떨어진 앙상한 나무 줄기의 비조밀성(非稠密性)으로 인해서 인화(引火)가 잘 되지 않으며, 인화가 되어도 나무에 붙어있는 삭정이의 일부분 외에는 잘 타지 않는다. 때문에 키가 크고 낙엽이 진나무는 산불 속에서도 잘 살아 남는다. 또 겨울철에도 잎이 무성하게 살아있는 소나무 등 침엽수의 경우 나무잎이 송진을 함유하고 있어서 인화(引火)가 되면 잘 타기는 하지만,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가 연소되어 발생하는 강한 화력이 없으면, 구성의 비조밀성과 수분을 다량 함유 함으로 인해서 인화가 잘 되지 않는다. 즉 미약한 화력에 의해서는 불이 옮겨 붙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지상부의 키가 큰 나무는 낙엽이 진 나무이든, 소나무 종류이든 지상부에서 옆의 지상부로(나무에서 옆의 다른나무로) 산불의 번짐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지표면에 있는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연소 되는 강한 화염에 의하여 지상부의 나무 줄기 일부와 잎이 연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산불의 확대 이동 방지를 위한 중점 요소는 지상부의 나무줄기와 잎(주로 소나무등 침엽수의 잎)보다는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풀 및 떨어진 삭정이에 대하여 가연성(可燃性)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여 불에 타지 않으면, 그 장소의 지상부에 있는 나무 줄기와 잎도 불에 타지 않는다.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잃도록 하기 위해 산림(山林) 전체의 지표면에 물을 많이 뿌려서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젖어 있도록 하면 좋겠지만, 그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폭약의 폭발력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 방식의 기존 소화탄을 항공기나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로서 산불 발생 지역에 투탄하여 소화약제를 쉽게 산포 시킬 수 있도록 개량하고, 기존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를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소화탄 방식으로 개량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투탄 함으로서 소화약제를 산포 시켜서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가 가연성과 연소성을 상실 하도록 하여 산불을 쉽게 진화하고,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충격식 신관에 의한 폭발 방식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2a는 수류탄 방식을 이용한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2b는 도화선 점화에 의한 폭발 방식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3은 충격식 신관에 의한 폭발 방식의 곡사포 발사용 소화탄 개략도
도 4는 도화선 점화에 의한 폭발 방식의 곡사포 발사용 소화탄 개략도
도 5는 항공기에서 투탄 된 소화탄이 지면에서 폭발하는 과정도
도 6a는 군사용 곡사포에서 소화탄을 발사하는 상태도
도 6b는 군사용 곡사포에서 발사된 소화탄이 폭발하는 과정도
도 7은 지면에 닿은 소화탄이 폭발 확산되는 상태도
도 8은 나뭇가지에 걸린 소화탄이 폭발 확산되는 상태도
도 9는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 발생에서의 소화탄 투탄 지역
도 10은 대규모 산불 발생 이동 상태에서의 방화대 설치 모습
도 11은 항공기에 의한 소화탄 투탄과 방화대의 설치 방법 및 과정
도 12는 곡사포 포격에 의한 산불 방화대의 설치 방법
도 13a는 공이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3b는 충격식 신관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3c는 도화선과 화약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4는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소화약제 확산 산포 상태도
도 15는 폭약 캡슐을 표시하기 위한 소화탄의 평면도
도 16은 고리를 부착한 소화탄의 사시도
도 17은 고리 부착 소화탄이 나무가지에서 폭발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화약제 케이스
2: 소화약제(분말, 액체, 젤리)
3: 폭발 확산방향 유도접시 4: 폭약 5: 충격식 신관
6: 꼬리날개 7: 꼬리날개 고정축
8: 안전핀 9: 뇌관 10: 공이치기
11: 공이치기 스프링 12: 안전 손잡이
13: 안전 손잡이 스프링 14: 도화선 15: 점화화약
16: 발사용 장약 17: 장약 케이스 18: 항공기
19: 항공기에서 투탄된 소화탄
20: 소화탄 폭발에 의하여 산포되는 소화약제
21: 군사용 곡사포
22: 군사용 곡사포에서 발사되는 소화탄
23: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 발생지역
24: 소화탄 투탄 지역
25: 대규모 산불 발생 지역 26: 산불 방화대
27: 바람과 산불의 이동 방향
28: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1번 라인
29: 투탄하여 폭발된 소화탄 30: 소화탄 투탄 중인 3번라인
31: 소화탄 투탄 예정인 라인들 32: 각 포대의 포격 담당구역 경계선
33: 포탄 진행 포물선 34: 포탄 유도 관측병 위치
35: 산(山) 36: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37: 가압 가스 용기 38: 가압 가스 용기 봉인
39: 지표면(地表面) 40: 키가 큰 나무의 군락(群落)
41: 공이 받침 42: 뾰족한 공이
43: 스프링 44: 방화대 외곽선
45: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삽입부
46: 봉인 파열용 화약 47: 폭약 캡슐
48: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2번 라인
49: 투탄 되어 폭발하기 직전의 소화탄
50: 제1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1: 제2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2: 제3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3: 제1 포대
54: 제2 포대 55: 제3 포대
56: 고리 57: 고리 부착 소화탄
본 발명은 앞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화재 소화물(消火物)중에서 가격이 저렴하며, 운반이 비교적 쉽고, 빗물에 씻겨 내리기 전에는 소화 효과를 계속 발휘 할 수 있는 소화용 약제를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이하 군사용 곡사포라 함)와 항공기로서 투탄 하여 산포(散布)하는 소화탄을 다음과 같이 구상하였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화약제란 일반적인 분말 소화기에서 사용하는 분말약제를 비롯하여 분말, 액체, 젤리 상태로 개발되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소화약제를 말한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폭약의 폭발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시키는 기존 기술의 소화탄 방식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하기 위하여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시킨 것으로서 기존 항공 투하용 폭탄 탄체(彈體)의 탄두(彈頭)와동일한 형태로 소화약제 케이스(1)의 외형을 제작하여 그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두를 구성하고, 소화약제 케이스(1)의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진(充塡)하고, 탄두(彈頭) 앞 부분에는 기존의 항공기 투하용 폭탄에서 사용하는 신관과 구조및 원리가 같고 충격에 의해 폭발하는 충격식 신관(5)을 폭약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장치하며,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게 폭약(4)을 장치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고, 탄미(彈尾)에는 기존 항공기 투하 폭탄과 같은 꼬리날개 고정축(7) 및 꼬리날개(6)를 장치한다. 그리고 탄두의 뾰족한 유선형 구조를 갖는 부분은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의 역할을 한다. 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지면과 충돌하면, 그 충격으로 탄두의 충격식 신관(5)이 점화되고, 점화된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내부 폭약(4)이 폭발하며, 그 폭발력으로 소화약제케이스(1)가 파열되고, 소화약제(2)가 산포 된다.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폭약(4) 폭발력의 방향을 유도하여, 소화약제가 윗쪽 및 옆으로 퍼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는 도 7을 설명 할 때 자세히 설명함.).
꼬리날개(6)의 역활은 기존의 항공 투하용 폭탄에서와 같이 소화탄이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는 눕혀서 투탄 되더라도, 소화탄이 낙하되는 중에 꼬리날개(6)에 공기 저항이 작용하여 수직으로 낙하 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1에서의 꼬리날개(6)는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이며, 선출원 기술인 "출원번호 20-1994-0020417 소화탄"에서 "비행을 위한 날개가 구비 되고"의 날개는 발사된 소화탄의 비행을 유지하는 날개 인바, 본 발명의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와는 분명히 다르다.
이 충격식 신관(5)에 의해 폭발하는 소화탄은 땅에 부딪는 즉시 폭발하므로 경사지나 언덕에서도 우수한 소화약제(2) 산포력을 갖는다.
폭약(4)이 폭발하면서 폭약의 불씨 때문에 산불이 발생할 위험성도 있다. 그러나 폭약이 폭발한 뒤에 폭약의 불씨는 확산되는 소화약제(2)와 섞이게 되므로 불씨는 즉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폭약의 종류 중에서 확산성이 좋으면서 불꽃에 의한 인화성이 없는 종류를 사용하면 폭약에 의한 산불 발생 위험은 없어진다.
도1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을 다시 설명하면,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폭약(4)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고, 탄두 앞 부분에 폭약(4)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충격식 신관(5)을 내부의 폭약(4)과 연결 되도록 설치하며, 탄체의 탄미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a도의 소화탄은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폭약(4)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기존 기술의 소화탄에 수류탄에서의 점화 폭발 방식을 적용 시켜서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며, 탄체 상부에 소화탄의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꼬리날개 고정축(7)의 상부에 도화선(14)을 점화하는 뇌관(9)을 부착하고, 뇌관(9)과 폭약(4)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며, 도화선(14)과 폭약(4)의 접촉부에는 점화화약(15)을 설치하고, 뇌관(9)을 발화 시키는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이 끼워져서 설치되고, 안전 손잡이(12)가 뇌관(9)을 덮어서 보호 할 수 있는 위치에서 공이치기(10)를 누르도록 설치되고, 눌려진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에 의해 탄력을 받도록 하며, 안전 손잡이(12)는 안전 손잡이 스프링(13)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동시에 안전 손잡이(12)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설치된 안전핀(8)에 의해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소화약제 케이스(1)의 하부는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로서 소화약제(2)가 윗쪽 및 옆으로 확산 산포 되도록 방향을 유도 한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도 7을 설명 할 때 자세히 설명함.)
항공기에서 이 도2a의 소화탄을 투탄 할 때는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12)와 꼬리날개 고정축(7)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안전핀(8)을 뽑은 다음 투탄하면 안전 손잡이(12)가 안전 손잡이 스프링(13)에 의해서 튀어 오르게 되고, 이어서 안전 손잡이(12)에 의해 눌려져 있던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의 탄력 때문에 뇌관(9)을 쳐서 뇌관이 점화되어 도화선(14)에 불을 붙인다. 이 소화탄이 지면에 착지(着地)한 뒤 도화선(14)이 완전 연소하면, 그 불씨가 점화화약(15)에 옮겨 붙고 이어서 폭약(4)이 폭발하게 된다. 그러면 그 폭발력으로 소화약제(2)가 확산되며, 폭발확산방향유도접시(3)에 의하여 소화약제(2)의 확산 방향이 유도된다. 이경우에도 꼬리날개(6)는 기존의 항공 투하용 폭탄에서와 같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가 지면에 바로 놓이게 한다. 또 도화선(14)의 연소 시간을 길게 하면 소화탄이 지면에 닿은 후에도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폭발하게 할 수 있다. 앞의 도 1의 충격식 신관(5) 소화탄은 낙하 중에 나무 가지에 걸리거나,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 낙하 하면 폭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수류탄 점화 폭발 방식을 이용한 소화탄은 어떤 상황에서도 폭발한다
제 2b도의 소화탄은 도화선에 수작업(手作業)으로 점화(손으로 불을 붙임)하는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으로서 앞의 도 2a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과 같은 원리와 구성 및 작용을 가진 소화탄이지만, 도 2a에 있어서의 수류탄과 같은 구성물들(안전핀, 뇌관, 공이, 안전 손잡이 등)이 없고, 도화선(14)이 소화탄 외부로 노출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소화탄도 기존의 항공기 투하용 폭탄과 같은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기존 출원의 소화탄과 같이 소화약제 케이스(1)의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진(充塡)하고, 그 일측에 폭약(4)를 장치하며, 폭약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소화탄의 외부에서 꼬리날개 고정축(7)의 중심을 통하여 도화선(14)이 삽입 되어 폭약(4)까지 연결되며, 폭약에 연결 된 도화선(14)의 말단부에 점화화약(15)이 설치 된다. 즉 다시 설명하면 폭약(4)에 접촉하도록 도화선(14)을 설치하고, 폭약(4)과 도화선(14)의 접촉부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며, 도화선(14)의 다른 쪽 끝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되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
이 도2b의 소화탄을 다시 설명하면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되며, 폭약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고,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폭약(4)에 접촉하도록 도화선(14)을 설치하고, 그 도화선(14)의 다른 쪽 끝이 소화약제 케이스(1) 외부로 노출 되도록 구성하며, 탄체의 상부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화약제 케이스(1)의 하부에 장치 된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도 앞의 도 1 및 도 2a에 있어서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와 동일한 구조 및 역할을 가진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는 도 7에서 설명함.).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 할 때는 수작업(手作業)으로 도화선에 점화(손으로 불을 붙임. 즉 담뱃불 붙이듯이 함.)하여 투탄하며, 꼬리날개(6)에 대한 공기저항으로 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지면에 바로 떨어진 뒤에 도화선(14)이 완전 연소 되어, 점화화약(15)을 점화 시키고, 이어서 폭약(4)이 폭발하여 소화약제(2)가 산포 되게 된다. 이 수작업 도화선 점화 방식 소화탄도 낙하 중에 나무가지에 걸리거나,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 떨어지면 양호하게 폭발 한다.
제 3도와 제 4도는 기존의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이하 군사용 곡사포라함)에서 발사하는 포탄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를 가진 소화탄으로서, 폭약(4)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기존 소화탄 방식에 군사용 곡사포로서 발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具備) 시켜 개량 적용한 것이다. 탄체(彈體)의 탄두(彈頭) 부분이 기존 출원의 소화탄에서 처럼 소화약제 케이스(1)를 형성하되 기존 곡사포 포탄 탄두의 외형(外形)과 동일한 외형으로 제작되며, 그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진(充塡)한다. 탄체의 탄미(彈尾) 부분은 기존의 곡사포 발사용 포탄의 탄미 부분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서 발사용 장약 케이스(17)를 탄체의 탄미로 하고, 발사 시에 곡사포탄을 추진하는 화약인 발사용 장약(16)을 발사용 장약 케이스(17) 내부에 충전(充塡)하며 탄미의 뒷부분에 발사 시에 발사용 장약(16)을 점화하는 뇌관(9)과 발사 후 소화탄 진행 방향을 유지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여 곡사포로서 발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소화탄의 투탄 후 폭약을 폭발시키는 수단으로서 도3에서 처럼 탄두(彈頭)의 앞에 기존의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 포탄에서 사용 되는 것과 같은 구조 및 원리의 충격식 신관(5)을 장치하고,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게 폭약(4)을 설치 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4에서 처럼 탄미의 발사용 장약 케이스(17)와 탄두의 소화약제 케이스(1)가 접합하는 접합부의 중앙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고,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 중앙에 폭약(4)을 장치하며, 점화화약(15)과 폭약(4)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여, 소화탄 발사 시에 발사용 장약(16)이 연소되는 불씨에 의해서 점화화약(15)이 점화되어 도화선(14)이 연소되고 도화선(14)의 연소 후에폭약(4)이 폭발하도록 구성한다.
이 소화탄을 곡사포로서 발사하면 뇌관(9)의 점화로 발사용 장약(16)이 폭발하여 추진이 되며, 군사용 곡사포에서 발사 후 목표 지점에 투탄 되어 지면(地面)과 충돌하면, 도3의 경우는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어 폭약(4)이 폭발하며, 도4의 경우는 발사용 장약(16)의 불씨가 점화 화약(15)을 점화 시켜서 도화선(14)이 타 들어가서 폭약(4)이 폭발하게 되고, 폭약의 폭발력으로 인해서 소화약제 케이스(1)가 파열 되고 소화약제(2)가 확산 산포 되게 된다.
곡사포 발사탄은 추진력이 커서 나무가지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며,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서도 폭발이 잘 되는 것이 곡사포 발사용 포탄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상기 도3의 충격식 신관에 의한 폭발 방식의 군사용 곡사포 발사용 소화탄을 다시 설명하면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탄체의 후단부에 비행을 위한 날개가 구비되고, 폭약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군사용 곡사포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고, 탄두 앞 부분에 폭약 점화용 충격식 신관(5)을 내부의 폭약(4)과 연결 되도록 설치하며, 탄체의 탄미는 소화탄 발사용 장약(16)을 충진하는 장약 케이스(17)로 구성하며, 그 장약 케이스(17) 내부에 발사용 장약(16)을 충진하고, 탄미의 뒷부분에 군사용 곡사포의 격발 장치에 의해 발화되어 장약(16)을 점화시키는 뇌관(9)을 설치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도4의 도화선 점화에 의한 폭발 방식의 곡사포 발사용 소화탄은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폭약(4)에 점화시키는 수단으로서 도3에서의 충격식 신관(5)을 이용하지 않고 발사용 장약(16)의 연소 불씨를 이용하기 위해 탄미의 발사용 장약 케이스(17) 내부의 발사용 장약(16)과 탄두의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의 폭약(4)을 도화선(14)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군사용 곡사포의 실지 포탄에서는 그 포탄을 발사하는 탄미의 장약 케이스와 장약이 포탄 탄두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와, 포탄 탄두와 탄미의 장약 케이스가 별도로 구성 되어 있어서 발사시에 포신에 그 것들을 별도로 장착하는 형태와, 포탄 탄두와 탄미의 장약 케이스는 일체로 구성 되고 장약 만이 별도로 구성 되어 발사시에 장약을 따로 장약 케이스에 장착하는 형태 등의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 데, 본 발명에서의 소화탄 탄두와 탄미의 장약 케이스와 장약은 이런 여러가지 종류를 모두 포함한다.
제 5도는 항공기(18)에서 투탄 된 소화탄(19)이 지표면(地表面)(39)과 수평으로 낙하되다가 꼬리날개(6)에 작용하는 공기저항 때문에 점차 수직을 이루며 낙하 후 지표면(39)에서 폭발하여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로 부터 소화약제가 산포되는(20) 과정을 설명해 주고 있다. 도5와 같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지표면(39)에서 폭발한 소화탄의 소화약제가 폭발 확산 방향유도접시(3)에 의하여 상부 및 옆으로 확산 산포되어, 소화탄 폭발력이 미치는 반경 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지게 되므로, 그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는 가연성(可燃性)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되어 산불을 진화하고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게 된다.
도5에서는 꼬리날개(6)에 공기 저항이 작용하여 소화탄의 탄두가 아래로 향하게 되고, 탄미가 위로 향하도록 수직 낙하가 유도되는 것을 확실히 설명하고 있다.
제 6a도는 박격포를 포함한 군사용 곡사포(21)에서 발사되고 있는 소화탄(22)을 설명해 주고 있다. 군사용 곡사포 발사용으로 제작되는 소화탄은 기존의 군사용 곡사포탄과 크기와 무게 및 형태가 동일해야 군사용 장비에서 발사 될 수 있다.
관측병(34)의 포사격 유도에 따른 훈련된 병력의 곡사포 사격은 목표지점에 대하여 정확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소화탄 발사로도 군 병력의 포사격 훈련이 될 수 있다.
제 6b도에서는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21)에서 발사된 소화탄이 포탄 진행 포물선(33)을 그리면서 산으로 날아가서 폭발 되어 소화약제가 산포(20) 되고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가 남아있는 상태를 보여 준다. 박격포 등의 군사용곡사포(21)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산불을 진화하고, 방화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6b에서와 같이 소화탄을 발사하여 소화약제가 산포(20)되도록 한다. 제 6b도와 같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폭발한 소화탄의 소화약제가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에 의하여 상부 및 옆으로 확산 산포되어, 소화탄 폭발력이 미치는 반경 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지게 되므로, 그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는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된다.
제 7도는 폭발된 소화탄의 소화약제(2)가 오목한 용기(容器) 모양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에서 확산되는 모습의 상상도이다. 오목한 용기 모양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가 없이 소화탄이 흙 위에서 폭발하면, 지면의 흙이 (소량이지만)움푹 패이고, 흙과 낙엽 등의 물질과 소화약제가 뒤 섞여서 산포 되며, 그렇게 되면 폭약의 폭발력이 분산 약화되고, 소화약제의 산포에 흙 가루와 낙엽이 장애물이 되며, 소화약제의 소화 성능을 떨어 뜨리고, 소화약제가 고르게 산포 되지도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이며, 도1, 도2a, 도2b, 도3, 도4, 도5에서 설명된 소화탄의 소화약제 케이스(1)의 하부(下部)를 가볍고 단단한 재질(플라스틱, 알루미늄, 양철판 등)로서 오목한 용기(容器) 구조로 제작하여, 상부의 소화약제 케이스(1) 본체와 접합 시켜서 소화약제 케이스(1) 및 소화탄의 탄체를 구성 하도록 하되, 소화약제 케이스(1) 상부 본체가 폭약 폭발력에 의하여 파열 될 때, 하부의 오목한 용기 즉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파열 되지 않고, 폭발력에 밀려서 지면(地面) 속으로 더욱 박히면서, 폭발력 때문에 지면의 흙이 파지는 것을 막아 주고, 폭발력의 방향을 유도하여, 소화약제가 윗쪽 및 옆으로만 퍼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의 오목한 용기 구조에 의하여 지면의 흙은 폭발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폭발력과 소화약제의 확산 방향이 윗쪽과 옆으로만 집중 되도록 유도 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도된 소화약제가 윗쪽과 옆으로 확산 되었다가 곧 낙하하여 지면의 낙엽,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 나뭇가지 등에 묻어져서 산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 발의 소화탄이 지름 10m 정도의 넓이에 산포 되도록 하면 효율적인 산불 진화 및 방화대 설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도7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를 다시 설명하면
소화약제 케이스(1)의 지면에 닿는 하부는 소화약제 케이스(1) 상부 본체와 접합되는 오목한 용기 구조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도는 수풀의 나뭇가지에 걸린 소화탄이 나무 위에서 폭발하는 가상도이다. 도화선(14)에 의한 폭발 방식의 소화탄에서는 이러한 경우도 발생이 가능한 데, 지표면에서 폭발하는 경우보다 소화약제(2)의 확산성은 더욱 좋다.
그러나 산불은 동절기에 주로 발생을 하는 데, 동절기에는 침엽수(소나무 종류)를 제외하고 일반 수종의 나무는 모두 낙엽이 지므로, 소화탄이 잎이 없는 앙상한 나뭇가지에 걸릴 가능성은 적다. 따라서 이렇게 소화탄이 나무에 걸리는 경우는 침엽수 종의 나무에서 발생이 가능하다.(침엽수 종의 나무가지와 잎에 소화약제를 산포하기 위한 수단은 도 16과 도 17 설명시에 설명함)
제 9도는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23)이 발생하였을 때의 소화탄 투탄지역(24)을 설명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한 지점의 외곽 지역 수풀에 군사용 곡사포 및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집중적으로 투탄 하여, 소화약제를 산포(散布)시키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외곽 지역에 투탄 하여 산불의 확대 이동을 막은 다음, 산불 발생 지역 내부에 투탄하여 불길을 제압한다. 아니면 여러 문의 곡사포 또는 여러 대의 항공기로서 산불 발생 외곽 지역과 그 내부 지역에 동시에 소화탄을 투탄하여 산불을 진압 할 수 있다.
제 10도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여 강풍(强風)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의 방화대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상태도로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산(25)에서 강풍(强風)의 이동 방향(27)을 따라 옆의 산(35)으로 산불이 이동 되어 갈 때, 그 이동하는 산불을 차단하는 방화대(26)를 설치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방화대(26)는 본 발명인이 실지 산불 발생 현장에서 폭 15~20m의 산간도로(山間道路)는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쉽게 그 산간도로를 건너서 반대편 산으로 번지지만, 폭 50m 정도의 냇가나 개울은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건너지 못하고 차단되는 점에 착안하여 폭 100m 이상으로 형성하는 방화대(26)를 구상 한 것이다.
상기의 방화대(26)는 항공기 또는 군사용 곡사포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를 산포함으로서 형성 한다. (방화대의 설치방법은 도 11과 도 12에서 설명함)
제 11도에서는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26)를 설치하는 방법과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바람이 부는 방향(27)과 그 바람의 세기를 감안하여 방화대의 설치 위치와 폭 및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방화대의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地圖上)에서 긋고, 폭발되는 소화탄 1발에서 소화약제가 확산 산포 되는 반경을 감안하여 종(縱) 방향으로 소화탄을 투탄 할 라인의 수(數)를 역시 지도상에서 결정한다. 도11에서는 방화대의 폭인 양 쪽 외곽선(44) 내에 소화탄 투탄 라인을 6개의 점선으로 표시 하고 있는데,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1번 라인(28)과 2번 라인(48), 소화탄 투탄 중인 3번라인(30), 소화탄 투탄 예정인 너머지 3개 라인들(31)로서, 이 소화탄 투탄 라인의 숫자는 방화대의 폭과 소화탄의 소화약제 산포 반경을 감안하여 적당한 수로 결정 한다.
그 다음 바람이 불어 오고 있는 쪽(27)의 라인부터 순차적으로 항공기가 소화탄을 투탄 한다. 항공기가 라인을 종(縱)방향으로 비행하면서 소화탄 1발의 소화약제 산포 반경을 감안하여 일정 간격으로 정연하게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 되도록 한다. 도11에서는 소화탄이 투탄 된 1번 라인(28)과 2번 라인(48), 그리고 소화탄 투탄 중인 3번 라인(30)에 정연하게 투탄된 소화탄(29)이 폭발하여 소화약제가 산포(20) 되고,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가 남아있는 상태를 보여 준다. 도 11의 (29)는 투탄 후 폭발 된 소화탄인데, 이 것이 소화탄이 폭발 된 자리에 남아 있는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이다. 그리고 도11에서 항공기(18)는 소화탄 투탄 중인 3번 라인(30)을 종(縱) 방향으로 비행 하면서 소화탄을 투탄하고 있다. 도11의 (49)는 항공기에서 투탄된 소화탄이 지표면(地表面)에서 폭발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는 것이다. 그렇게 3번 라인(30)의 소화탄 투탄이 끝나면 다시 나머지소화탄 투탄 예정인 라인(31)들에 소화탄을 같은 방법으로 투탄한다.
위의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를 형성 설치하는 방법을 다시 한 번 간추려 설명하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긴 띠 모양으로 방화대(26)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투탄 되는 소화탄 1발에서 소화약제가 산포 되는 반경(半徑)을 감안하여 방화대(26) 외곽선(44)의 내부에 종(縱)방향으로 소화탄을 투탄 할 라인의 수를 지도상에서 정하고, 바람이 불어 오고 있는 쪽의 라인부터 항공기(18)가 그 라인을 종(縱)방향으로 비행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되게 하며, 그 다음 라인부터 마지막 라인까지 동일한 방법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 전체에 소화약제가 골고루 산포 되게 하고,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고 설치 되게 하는 것이다.
즉 항공기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형성하는 방화대(26)는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그은 외곽선(44) 내부에 소화탄을 투탄 할 라인을 정하는 제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정한 라인을 순차적으로 항공기(18)가 비행 하면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되게 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 진다.
제 12도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지역(25)으로 부터 강풍(27)을 따라 산불이 이동 되고 있는 방향의 산(35)에 박격포 등의 군사용 곡사포 사격으로 방화대(26)를 설치하는 방법과 과정을 보여 준다. 산불의 위세와 바람의 세기등을 감안하여 방화대(26)의 설치 위치와 폭 및 길이를 지도상(地圖上)에서 결정한 다음, 많은 수의 군사용 곡사포를 1개 포대(砲隊)당 몇 문씩의 군사용 곡사포가 배치되도록, 몇 개의 포대(砲隊)로 구분 편성하여, 편성된 각 포대가 소화탄을 포격 할 방화대 내의 담당 구역을 횡(橫)방향으로 지도상에서 구분 짓는다. 도12에서는 각 포대가 포격을 담당 할 담당 구역을 횡(橫) 방향 경계선(32)으로 구분하여 제 1포대(53)와 제 2포대(54), 제 3포대(55)가 각 포대별 포격 담당 구역인 방화대 내의 제 1포대 담당 구역(50), 제 2포대 담당 구역(51), 제 3포대 담당 구역(52)에 소화탄 포격을 하기 위해서 박격포 등 군사용 곡사포를 방열 해 둔 상태와, 각 포대의 소화탄 탄착 위치를 유도하는 관측병(34)이 각 포대 포격 담당 구역(50)(51)(52) 부근에 배치 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편성 된 각 포대는 각기의 담당 구역을 포격하기 좋은 위치에 군사용 곡사포를 방열하고, 각 포대별 관측병(34)을 관측 위치로 배치하여 방화대(26) 내의 담당 구역(50)(51)(52)에 소화탄 포격을 하도록 한다.
모든 곡사포의 사격에는 반드시 지도(地圖)와 관측병(34)의 포 사격 유도가 있어야 정확한 사격을 할 수 있다. 관측병은 자기 포대의 소화탄 사격 담당 구역에 소화탄이 정연하게 투탄 되어 소화약제가 고르게 산포 될 수 있도록 곡사포의 사격을 유도한다. 관측병이 무전으로 자기 담당 구역에 대한 소화탄 사격 위치를 유도하면, 각 포대는 관측병의 유도에 따라 소화탄을 사격 하므로서 설치 하고자 하는 방화대 내부에 소화약제 산포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위의 군사용 곡사포 사격으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다시 한 번 간추려 설명하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방화대를 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그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를 지도상에서 횡(橫) 방향으로 경계선(32)을 그어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한 뒤, 군사용 곡사포들을 다수의 포대(53)(54)(55)로 구분 편성하여, 구분 편성된 다수의 포대들은 각 포대가 각기 횡 방향으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된 방화대 외곽선 내의 1개 칸에 대한 소화탄 사격을 담당하며, 각 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소화탄을 용이하게 사격 할 수 있는 위치에 박격포 등 군사용 곡사포를 방열하고, 각 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관측병(34)을 배치하며, 그 배치 된 관측병(34)이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한 소화탄 사격과 소화약제 산포가 고루 이루어지도록 무전으로 자기 포대에 소화탄 사격을 유도하여, 그 유도에 따른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사격으로 소화약제를 방화대 내에 산포하여,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地表面)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 및 연소성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게 하는 것이다.
즉 박격포를 비롯한 군사용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형성하는 방화대(26)는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는 제 1단계;
상기 외곽선(44) 내부에 횡(橫) 방향으로 경계선(32)을 그어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하는 제 2단계;
군사용 곡사포들을 다수의 포대(53)(54)(55)로 편성하고, 편성된 각 포대들이 상기 2단계에서 구분된 다수의 칸 중 소화탄 투탄을 담당 할 칸을 결정하는 제 3단계;
각 포대가 소화탄 투탄을 담당한 칸에 대하여 소화탄을 용이하게 투탄 할 수 있는 위치에 곡사포를 방열하고,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관측병(34)을 배치하는 제 4단계;
관측병(34)이 소화탄 투탄 담당 구역에 소화약제 산포가 고루 이루어지도록 소화탄 사격을 유도하며, 그 유도에 따른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소화약제를 산포하는 제 5단계;로 이루어 진다.
앞의 도 10과 도 11및 도 12의 방화대 형성 및 설치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는지도상(地圖上)에서 처음 방화대의 폭을 결정 할 때보다 바람과 산불의 위세가 거세어지거나 약해져서 상황이 변화 되면, 그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의 폭을 처음 결정한 폭보다 넓히거나 좁힐 수도 있으며( 라인의 수(數)를 늘이거나 줄임, 또는 외곽선을 넓히거나 좁힘.), 소화탄이 한 번 투탄된 지역에 2중(二重) 또는 그 이상의 다중(多重)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의 방화력(防火力)을 강화하는 등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를 가변적(可變的)으로 설치 할 수도 있다.
앞의 도 10과 도 11및 도 12의 방화대 형성 및 설치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는 방화대의 설치 위치를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이동 해 가는 쪽(27)만 나타내고 있지만,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이동해 가는 반대 방향 및 양 옆의 방향에도 느린 속도로 산불이 이동해 갈 수 있으므로, 그 반대 방향과 양 옆 방향에도 필요에 따라 도면의 (26)과 같은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다. 단 강풍이 이동 해 가는 방향의 방화대는 바람의 세기와 산불의 위력을 감안하여 폭을 넓게 설치 하여야 하고, 반대 방향과 양 옆 방향의 방화대는 그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설치 하도록 한다.
앞의 도 10과 도 11및 도 12의 방화대 형성 및 설치 방법에 관한 설명에서는방화대가 직선으로만 설치되는 것처럼 설명이 되었는데, 필요에 따라 방화대는 곡선으로도 설치 되어야 한다. 즉 지도상에서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를 결정 할 때, 인가(人家), 축사(畜舍)나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 시설, 토목 시설, 기타의 인공 시설물 등 소화탄에 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시설물은 회피(回避)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산악의 경사가 급한 급경사지도 소화탄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가 어려운 곳이므로 되도록 회피(回避)하여 설치한다. 인공 시설물이나 급경사지를 회피하여 설치한다는 것은, 그 것들을 우회(迂廻)하여 방화대가 곡선이 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산악의 급경사지에 방화대의 회피 설치가 곤란하다면, 그 급경사지에 소화탄을 다중(多重)으로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완벽하게 산포 되도록 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소화탄에 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대상과 소화약제 산포가 어려운 급경사 지대를 우회하여 방화대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제 13a도는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消化器)의 가압 가스 팽창에 의한 소화약제 확산 방식에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시켜서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으로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소화탄 탄체가 구성되며,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에서 사용 되는 가압식 가스용기(37)에 가스를 압축하여 넣고 입구를 봉인(38) 한 다음, 이 가압 가스 용기(37)를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의 탄두 앞쪽에 설치한다(설치 위치는 도면 참조). 그리고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의 나머지 공간에 소화약제를 충전(充塡)하여 가압식 소화기와 같은 구조를 이룬다. 이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탄체의 하부(下部)에는 공이받침(41)이 부착된 뾰족한 공이(42)가 가압가스 용기 입구의 봉인(38)과 접촉하도록 장치 되고, 스프링(43)이 장치 되어 공이받침(41)을 외부로 돌출되게 밀어주며, 상부 탄미에는 소화약제 케이스(1)의 입구를 이루는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삽입부(45)에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이 삽입 되어 소화약제(2)가 담긴 소화약제 케이스(1) 입구를 봉한다. 그리고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 상부(上部)에는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 할 수 있도록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 고정축(7)과꼬리날개(6)를 장치 한다.
이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 하면, 꼬리날개(6)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 때문에 수직으로 낙하하여, 탄두의 공이받침(41)이 지면(地面)과 충돌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에 밀려서 외부로 돌출 되어 있던 공이받침(41)과 뾰족한 공이(42)가 안 쪽으로 밀려져서, 공이(42)의 뾰족 한 부분이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 시킨다.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면, 가압 가스 용기(37)에 압축 저장 된 가스가 순식간에 팽창 되면서 분출 되고, 소화약제(2)와 가압식 소화탄 뚜껑(36)을 밀어서 가압식 소화탄 뚜껑 삽입부(45)에서 가압식 소화탄 뚜껑(36)을 벗어나게 한다. 그러면 도 14와 같이 소화약제(2)가 확산 산포 되게 된다.(도 14참조)
상기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을 다시 설명하면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가압 가스 팽창력에 의한 소화약제 확산 방식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고, 그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진하며, 그 소화약제(2)의 일측에 압축 가스가 채워지고 봉인(38)으로 봉해진 가압 가스 용기(37)를 설치하고, 소화약제 케이스(1) 상부는 소화탄 뚜껑 삽입부(45)로서 소화약제 케이스(1)의 입구가 되며, 소화탄 뚜껑 삽입부(45)에 소화탄 뚜껑(36)을 삽입하여 소화약제 케이스(1) 입구를 봉하며, 소화탄 뚜껑(36) 상부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탄체의 하부에는 지면과 충돌에 의해 봉인(38)을 파열하는 공이받침(41)이 부착된 뾰족한 공이(42)가 봉인(38)과 접촉하여 장치되는 것을특징으로 한다.
제 13b도는 앞의 도 13a와 동일하게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 및 구조를 소화탄에 적용 시킨 것으로서, 모든 구조가 도 13a의 소화탄과 동일하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13a의 공이받침(41)과 뾰족한 공이(42) 대신에, 충격에 의해서 점화 되는 충격식 신관(5)과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소화탄의 탄두와 가압식 가스 용기(37)의 입구에 설치 하는 것 만이 다르다. 이 도 13b의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하면 꼬리날개에 대한 공기 저항 때문에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탄두의 충격식 신관(5)이 지면(地面)과 충돌하고, 이어서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어 봉인 파열용 화약(46)이 폭발 하면, 그 폭발력 때문에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게 된다. 그 다음의 소화약제(2)가 산포 되는 원리와 과정은 앞의 도 13a 경우와 동일 하다.
상기 도13b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 파열 수단을 다시 설명하면,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장치하고,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지면과의 충돌로 발열하는 충격식 신관(5)을 탄체의 하부에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c도의 소화탄 또한 앞의 도 13a 및 도 13b의 소화탄과 동일하게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와 구조를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에 적용 시킨 것으로서, 모든구조는 도 13a 및 도 13b의 소화탄과 동일하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 하는 수단으로서 도 13a의 공이 받침(41)이나 공이(42) 또는 도 13b의 충격식 신관(5) 대신에 가압 가스 용기(37)입구의 봉인(38)과 접촉 되게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장치하고, 이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도화선(14)을 연결하여,이 도화선(14)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露出) 시켜 두는 것이 다르다.
이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는 도화선에 수작업(手作業: 손으로 불을 붙임)으로 점화하여 투탄하면, 꼬리날개(6)에 대한 공기저항 때문에 수직으로 낙하 된 소화탄이 지면에 닿은 후에 도화선(14)이 완전 연소하여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폭발하게 하고, 그에 따라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게 된다. 그 다음의 소화약제가 산포 되는 원리와 과정은 도 13a와 동일 하다.
상기 도13c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 파열 수단을 다시 설명하면, 그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장치하고, 그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도화선(14)의 한 쪽 끝을 연결하고, 그 도화선(14)의 다른 쪽 끝을 소화탄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4도는 앞의 도 13a, 도 13b, 도 13c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이 가압 가스의 팽창력으로 폭발하여,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이 벗겨지고 소화약제(2)가 산포 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15도는 소화약제(2)와 폭약(4)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설치 하는 폭약(4)과 충전하는 소화약제(2) 사이에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폭약(4)과 소화약제(2)가 상호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 두 물체 성분의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폭약(4)은 폭발력을 상실하고, 소화약제(2)는 소화 성능을 상실 할 수 있다. 때문에 두 물체 사이에 폭약의 폭발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여 두 물체를 완벽하게 분리 되도록 한다.
이 폭약 캡슐(47)을 다시 설명하면,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충전 및 설치하는 소화약제(2)와 폭약(4)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화약제(2)와 폭약(4) 사이에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제 16도는 항공기에서 투탄하도록 구성되는 소화탄들 중에서 도2a의 수류탄 방식을 이용한 소화탄과 도 2b의 도화선 점화방식 소화탄 및 도 13c의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의한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상부에 고리(56)를 부착하여 고리부착 소화탄(57)을 형성한 것으로서,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소화탄이 낙하 되다가 고리(56)에 의하여 나무가지나 잎에 걸리게되므로, 나무위에서 소화탄이 폭발하여 침엽수 등의 잎과 가지에 소화약제를 산포 시킬수 있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이다.
제 17도는 도 16의 고리가 부착된 소화탄(57)을 키가 큰 나무의 군락(40) 지대(주로 소나무 등의 침엽수 수풀)에 항공기로서 투탄하여, 고리(56)에 의하여 소화탄이 나무가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나무가지 위에 걸린 소화탄이 폭발하면 소화약제가 나무의 잎과 가지에 묻어지게 되므로,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연소되는 화염으로 부터 나무 상부 부분을 보호 할 수 있다.
상기 소화탄에 부착하는 고리(56)를 다시 설명하면, 도화선이 설치되고 항공기로서 투탄되는 소화탄을 나무의 군락 지대에 투탄하여 나무 상부 부분에 소화약제를 산포 시킬 수 있도록 소화탄에 고리(56)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사장치와 발사 방법 및 폭약에 점화하여 폭발 시키는 방법들에 있어서 현실성, 경제성,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실지 사용 되지 못하고 사장(死藏) 되고 있는 선출원 기술들의 제한성을 극복하고, 실현성이 있는 수단인 군사용 곡사포로서 투탄하거나 항공기로서 투탄하는 소화탄을 제시하였다.
산불 발생 현장에서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장비인 항공기(헬기)와, 산불 진화 작업 현장에 실지 동원하기가 용이한 장비인 박격포를 포함한 군사용 곡사포로서 산불 발생 현장에 소화탄을 투탄하므로서,
소화약제의 손 쉬운 산포가 불가능한 산악 지역에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간편하게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신속하게 소규모 국지적 산불을 진화 함은 물론,
대규모의 산불이 강풍을 동반하여 확대 이동 할 때,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쉽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설치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산림 자원의 소실을 방지하고, 대규모의 인력 동원에 따르는 인력의 낭비를 막으며, 경제력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5)

  1.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폭약(4)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고, 탄두 앞 부분에 폭약(4)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충격식 신관(5)을 내부의 폭약(4)과 연결 되도록 설치하며, 탄체의 탄미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2.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폭약(4)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수류탄에서의 점화 폭발 방식을 적용 시켜서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며, 탄체 상부에 소화탄의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꼬리날개 고정축(7)의 상부에 도화선(14)을 점화하는 뇌관(9)을 부착하고, 뇌관(9)과 폭약(4)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며, 뇌관(9)을 발화 시키는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이 끼워져서 설치되고, 안전 손잡이(12)가 뇌관(9)을 덮어서 보호 할 수 있는 위치에서 공이치기(10)를 누르도록 설치되고, 눌려진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에 의해 탄력을 받도록 하며, 안전 손잡이(12)는 안전 손잡이 스프링(13)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동시에 안전 손잡이(12)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설치된 안전핀(8)에 의해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3.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되며, 폭약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고,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폭약(4)에 접촉하도록 도화선(14)을 설치하고, 그 도화선(14)의 다른 쪽 끝이 소화약제 케이스(1) 외부로 노출 되도록 구성하며, 탄체의 상부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4. 탄체의 내부에 소화약제(2)가 충진 되고, 그 소화약제(2) 일측에 폭약(4)이 장전 되며, 탄체의 후단부에 비행을 위한 날개가 구비되고, 폭약의 폭발력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에 있어서, 그 소화탄을 군사용 곡사포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고, 탄두 앞 부분에 폭약 점화용 충격식 신관(5)을 내부의 폭약(4)과 연결 되도록 설치하며, 탄체의 탄미는 소화탄 발사용 장약(16)을 충진하는 장약 케이스(17)로 구성하며, 그 장약 케이스(17) 내부에 발사용 장약(16)을 충진하고, 탄미의 뒷부분에 군사용 곡사포의 격발 장치에 의해 발화되어 장약(16)을 점화시키는 뇌관(9)을 설치하여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5. 제 4항에 있어서의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폭약(4)은 그 폭약(4)에 점화시키는 수단으로서 발사용 장약(16)의 연소 불씨를 이용하기 위해 탄미의 발사용 장약 케이스(17) 내부의 발사용 장약(16)과 탄두의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의 폭약(4)을 도화선(14)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소화약제 케이스(1)의 지면에 닿는 하부는 소화약제 케이스(1) 상부 본체와 접합되는 오목한 용기 구조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7.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소화약제 케이스(1)는 그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충전 및 설치하는 소화약제(2)와 폭약(4)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화약제(2)와 폭약(4) 사이에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8.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가압 가스 팽창력에 의한 소화약제 확산 방식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케이스(1)로서 탄체를 구성하고, 그 소화약제 케이스(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하며, 그 소화약제(2)의 일측에 압축 가스가 채워지고 봉인(38)으로 봉해진 가압 가스 용기(37)를 설치하고, 소화약제 케이스(1) 상부는 소화탄 뚜껑 삽입부(45)로서 소화약제 케이스(1)의 입구가 되며, 소화탄 뚜껑 삽입부(45)에 소화탄 뚜껑(36)을 삽입하여 소화약제 케이스(1) 입구를 봉하며, 소화탄 뚜껑(36) 상부에 수직 낙하를 유도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탄체의 하부에는 지면과 충돌에 의해 봉인(38)을 파열하는 공이받침(41)이 부착된 뾰족한 공이(42)가 봉인(38)과 접촉하여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9. 제 8항에 있어서의 압축 가스가 채워지고 봉인(38)으로 봉해진 가압 가스 용기(37)에 있어서는 그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장치하고,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지면과의 충돌로 발열하는 충격식 신관(5)을 탄체의 하부에 장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10. 제 8항에 있어서의 압축 가스가 채워지고 봉인(38)으로 봉해진 가압 가스 용기(37)에 있어서는 그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장치하고, 그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점화하는 수단으로서 도화선(14)의 한 쪽 끝을 연결하고, 그 도화선(14)의 다른 쪽 끝을 소화탄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11.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10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도화선이 설치되고 항공기로서 투탄되는 소화탄을 나무의 군락 지대에 투탄하여, 나무 상부 부분에 소화약제를 산포 시킬 수 있도록 소화탄에 고리(56)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12. 항공기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방화대(26)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는 제 1단계;
    상기 1단계에서 그은 외곽선(44) 내부에 소화탄을 투탄 할 라인을 정하는 제 2단계;
    상기 2단계에서 정한 라인을 순차적으로 항공기(18)가 비행 하면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되게 하는 제 3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
  13.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군사용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설치하는 긴 띠 모양의 방화대(26)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결정하고, 그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는 제 1단계;
    상기 외곽선(44) 내부에 횡(橫) 방향으로 경계선(32)을 그어서 다수의칸(50)(51)(52)으로 구분하는 제 2단계;
    군사용 곡사포들을 다수의 포대(53)(54)(55)로 편성하고, 편성된 각 포대들이 상기 2단계에서 구분된 다수의 칸 중 소화탄 투탄을 담당 할 칸을 결정하는 제 3단계;
    각 포대가 소화탄 투탄을 담당한 칸에 대하여 소화탄을 용이하게 투탄 할 수 있는 위치에 곡사포를 방열하고,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관측병(34)을 배치하는 제 4단계;
    관측병(34)이 소화탄 투탄 담당 구역에 소화약제 산포가 고루 이루어지도록 소화탄 사격을 유도하며, 그 유도에 따른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소화약제를 산포하는 제 5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방화대 설치 방법은 방화대 설치 도중에 바람과 산불의 위세가 변화 되면, 그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의 방화력을 가변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 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
  15. 제 12항 또는 제 13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의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하는 제 1단계는 소화탄에 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대상과 소화약제 산포가 어려운 급경사 지대를 우회하여 방화대를 설치하는 것을 더포함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
KR1020010027306A 2000-11-30 2001-05-18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KR20020042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856 2000-11-30
KR1020000071856A KR20010008388A (ko) 2000-05-20 2000-11-30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394A true KR20020042394A (ko) 2002-06-05

Family

ID=2767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7306A KR20020042394A (ko) 2000-11-30 2001-05-18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39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67B1 (ko) * 2004-02-10 2012-04-30 스테이트 오가니제이션 페더럴 에이전시 포 리걸 프로텍션 오브 밀리터리, 스페셜 앤드 듀얼 유즈 인털렉츄얼 엑티비티 리절츠 언더 미니스트리 오브 저스티스 오브 더 러시안 페더레이션 화재 제어 및/또는 소화 방법 및 장치
CZ307311B6 (cs) * 2010-01-13 2018-05-30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Způsob hašení přízemních lokálních požárů pomocí trhací techniky
CN109432652A (zh) * 2018-12-05 2019-03-08 江苏水龙江山消防发展有限公司 一种无火工品灭火弹
CN116459467A (zh) * 2023-04-18 2023-07-21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森林应急消防远程灭火弹
CN116672632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阻燃剂喷洒装置及生态保护用森林草原防火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0440Y1 (ko) * 1991-11-06 1994-01-24 장석훈 계단 난간용 조립식 지주캡
KR940000441Y1 (ko) * 1991-11-06 1994-01-24 송이섭 계단용 손잡이 고정구
KR940011022A (ko) * 1992-11-30 1994-06-20 이승환 산불진화용 소화탄
KR940011924A (ko) * 1992-11-28 1994-06-22 슐츠, 우페나 압전식 격발신관이 장착된 직렬탄두
KR940005128Y1 (ko) * 1990-10-15 1994-07-29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브러시레스 모터의 구동회로
KR960007118U (ko) * 1994-08-12 1996-03-13 황연호 소화탄
KR970020912U (ko) * 1995-11-10 1997-06-18 황영기 소화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128Y1 (ko) * 1990-10-15 1994-07-29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브러시레스 모터의 구동회로
KR940000440Y1 (ko) * 1991-11-06 1994-01-24 장석훈 계단 난간용 조립식 지주캡
KR940000441Y1 (ko) * 1991-11-06 1994-01-24 송이섭 계단용 손잡이 고정구
KR940011924A (ko) * 1992-11-28 1994-06-22 슐츠, 우페나 압전식 격발신관이 장착된 직렬탄두
KR940011022A (ko) * 1992-11-30 1994-06-20 이승환 산불진화용 소화탄
KR960007118U (ko) * 1994-08-12 1996-03-13 황연호 소화탄
KR970020912U (ko) * 1995-11-10 1997-06-18 황영기 소화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467B1 (ko) * 2004-02-10 2012-04-30 스테이트 오가니제이션 페더럴 에이전시 포 리걸 프로텍션 오브 밀리터리, 스페셜 앤드 듀얼 유즈 인털렉츄얼 엑티비티 리절츠 언더 미니스트리 오브 저스티스 오브 더 러시안 페더레이션 화재 제어 및/또는 소화 방법 및 장치
CZ307311B6 (cs) * 2010-01-13 2018-05-30 Univerzita Tomáše Bati ve Zlíně Způsob hašení přízemních lokálních požárů pomocí trhací techniky
CN109432652A (zh) * 2018-12-05 2019-03-08 江苏水龙江山消防发展有限公司 一种无火工品灭火弹
CN116459467A (zh) * 2023-04-18 2023-07-21 中国矿业大学(北京) 一种森林应急消防远程灭火弹
CN116672632A (zh) * 2023-08-04 2023-09-01 山东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阻燃剂喷洒装置及生态保护用森林草原防火装置
CN116672632B (zh) * 2023-08-04 2023-09-29 山东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阻燃剂喷洒装置及生态保护用森林草原防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2329A (en) Simulated hand grenade with marking means
RU2293281C2 (ru) Снаряд для метания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111032C1 (ru) Способ локализации и/ил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101819663B1 (ko)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CN108387148B (zh) 一种冲击爆破式防暴弹
JP2004532716A (ja) 火災消火方法及び装置
CN101843962B (zh) 全气动空中爆炸灭火弹
CN112604210B (zh) 一种通过重力投放的森林航空灭火弹及使用方法
RU2526329C1 (ru) Ручная граната
KR20010008388A (ko)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CN204952015U (zh) 双引灭火弹
CN207779243U (zh) 一种冲击爆破式防暴弹
KR20020042394A (ko)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CN201074982Y (zh) 森林灭火弹
Rottman The hand grenade
CN109855478A (zh) 具有两级分离机构的多功能防暴弹
CN101485924A (zh) 森林灭火弹
RU2740594C1 (ru) Огнегасящий снаряд
JPH08196655A (ja) 消火弾
CN2242111Y (zh) 灭火弹
KR102390971B1 (ko) 산불 진화용 소화탄
CN210057224U (zh) 平衡抛射充塞爆裂灭火弹
CN2319084Y (zh) 干粉灭火弹
CN209885080U (zh) 新型消防炮弹及其发射系统
CN209726942U (zh) 具有两级分离机构的多功能防暴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