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8388A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08388A KR20010008388A KR1020000071856A KR20000071856A KR20010008388A KR 20010008388 A KR20010008388 A KR 20010008388A KR 1020000071856 A KR1020000071856 A KR 1020000071856A KR 20000071856 A KR20000071856 A KR 20000071856A KR 20010008388 A KR20010008388 A KR 200100083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xtinguishing agent
- explosive
- fuse
- extinguish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5—Fire extinguishing bombs; Projectiles and launcher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산불이 발생하면 대규모의 인력(군병력, 경찰병력 등)이 투입되어 쇠스랑, 갈퀴 등의 원시적인 도구로서 방제를 하며, 항공기(헬리콥터)로서 소량(1톤)의 물을 공수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부어 주지만, 위 두 방법 모두 산불 진화 효과가 미약한 사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규모의 군병력 및 군장비와 몇 대의 산불 진화용 항공기만으로 산불 진화를 쉽게 할 수 있는 도구와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군병력이 많이 보유하고 있고, 전투시에 사용하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이하 박격포라 함)와 산불 진화시에 투입 되는 소방용 항공기를 사용하여, 박격포와 항공기에서 투탄(投彈)할 수 있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消火彈)을 착상 연구하였다. 이 소화탄은 기존의 폭약 폭발력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 방식의 소화탄과 기존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압축 가스 팽창력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 방식을 박격포 등의 곡사포로서 발사 하거나 항공기로서 투하하여 산불을 진화 할 수 있도록 이용 개량한 것이다.
박격포의 포격과 항공기로서의 투탄은 명중률과 정확도가 높으므로 산불이 발생하여 이동 및 확대될 때 산불의 이동 예상지점과 산불 발생지역 주변 수풀에 위의 소화탄을 정연하게 투탄 하면, 소화탄에서 산포된 소화약제가 낙엽과 마른풀, 떨어진 삭정이에 묻어서 산불을 진화 시킬 수 있고, 산불이 확대 이동되고 있는 이동 예상 지역에 긴띠 모양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를 산포 함으로서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이나 산업현장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잘 훈련된 소방요원과 좋은 소방 장비를 투입하여 소화약제나 물 등으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 한다.
그러나 산불의 경우에는 넓고, 험한 산악 지역에 발생하므로 소화약제나 물 등을 살포하여 진화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산불이 발생하면 대규모의 인력(군 병력, 경찰 병력, 민방위대 등)을 투입하여 쇠스랑, 갈퀴 등의 원시적인 장비로서 진화를 하며, 산불 진화를 위해서 항공기(헬리콥터)로서 1회당 1톤 정도의 물을 공수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부어 주지만, 그에 따른 산불 진화 효과는 거의 없다.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의 화재에서 처럼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진화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산악의 산불 발생 지역에 소화약제를 쉽게 산포하기 위한 도구로서 과거에 출원된 기존 발명 및 고안은 다음과 같다.
출원번호 20-1992-11005 소화탄
출원번호 20-1992-11006 소화탄
출원번호 20-1992-16042 걸이 소화탄
출원번호 10-1992-22944 산불 진화용 소화탄
출원번호 20-1994-20417 소화탄
출원번호 10-1995-12018 산불 진화용 소화 로켓트탄
출원번호 20-1995-033025 소화탄
출원번호 10-1997-004015 소화탄 및 그 발사장치
등이 있는데, 위의 발명과 고안 모두가 폭약의 폭발에 의한 폭발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거나 압축 된 고압가스의 팽창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소화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위의 소화탄들을 산불 발생 지역에 발사하는 발사장치와 발사 방법 및 폭약에 점화하여 폭발 시키는 방법들에 있어서 현실성, 경제성, 실용성이 없는 것들이 위의 발명과 고안의 전부이다. 그래서 위 모두의 발명과 고안 내용들이 실지 사용 되지 못하고 사장(死藏)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산불이 발생하여 대규모로 확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화탄을 사용하여 소화약제를 산포함으로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한 출원과 기술은 없었다.
겨울에 발생하는 산불의 성격은 지표면(地表面)에서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를 태우는 지표면의 산불과, 지표면(地表面)의 상부(上部), 즉 지상부(地上部)에서 키가 큰 나무의 줄기와 잎을 태우는 지상부(地上部)의 산불 2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 데, 지표면의 산불은 가연성(可燃性) 및 연소성(燃燒性) 물질인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의 조밀(稠密)함으로 인해서 빠른 번짐과 강한 화력을 가지지만 지상부의 산불은 낙엽이 떨어진 앙상한 나무 줄기의 비조밀성(非稠密性)으로 인해서 인화(引火)가 잘 되지 않으며, 인화가 되어도 나무에 붙어있는 삭정이의 일부분 외에는 잘 타지 않는다. 때문에 낙엽이 진 나무는 산불 속에서도 잘 살아 남는다. 또 겨울철에도 잎이 무성하게 살아있는 소나무 등 침엽수의 경우 나무잎이 송진을 함유하고 있어서 인화(引火)가 되면 잘 타기는 하지만, 그 역시 구성의 비조밀성과 수분을 다량 함유 함으로 인해서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에 의한 강한 화력이 없으면 인화가 잘 되지 않는다. 즉 미약한 화력에 의해서는 불이 옮겨 붙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지상부의 키가 큰 나무는 낙엽이 진 나무이든, 소나무 종류이든 지상부에서 옆의 지상부로(나무에서 옆의 다른나무로) 산불의 번짐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지표면에 있는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연소 되는 강한 화염에 의하여 지상부의 나무 줄기 일부와 잎이 연소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산불의 확대 이동 방지를 위한 중점 요소는 지상부의 나무줄기와 잎(주로 소나무등 침엽수의 잎)보다는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풀 및 떨어진 삭정이에 대하여 가연성(可燃性)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여 불에 타지 않으면, 그 장소의 지상부에 있는 나무 줄기와 잎도 불에 타지 않는다.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잃도록 하기 위해 산림(山林) 전체의 지표면에 물을 많이 뿌려서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젖어 있도록 하면 좋겠지만, 그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폭약의 폭발력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 방식의 기존 소화탄을 항공기나 박격포 등의 곡사포로서 산불 발생 지역에 투탄하여 소화약제를 쉽게 산포 시킬 수 있도록 개량하고, 기존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를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소화탄 방식으로 개량하여 산불 발생 지역에 투탄 함으로서 소화약제를 산포 시켜서 산불을 쉽게 진화하고,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는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 1은 충격식 신관에 의한 폭발 방식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2a는 수류탄 방식을 이용한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2b는 도화선 점화에 의한 폭발 방식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 개략도
도 3은 충격식 신관에 의한 폭발 방식의 박격포 발사용 소화탄 개략도
도 4는 도화선 점화에 의한 폭발 방식의 박격포 발사용 소화탄 개략도
도 5는 항공기에서 투탄 된 소화탄이 지면에서 폭발하는 과정도
도 6a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에서 소화탄을 발사하는 상태도
도 6b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에서 발사된 소화탄이 폭발하는 과정도
도 7은 지면에 닿은 소화탄이 폭발 확산되는 상태도
도 8은 나뭇가지에 걸린 소화탄이 폭발 확산되는 상태도
도 9는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 발생에서의 소화탄 투탄 지역
도 10은 대규모 산불 발생 이동 상태에서의 방화대 설치 모습
도 11은 항공기에 의한 소화탄 투탄과 방화대의 설치 방법 및 과정
도 12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 포격에 의한 산불 방화대의 설치 방법
도 13a는 공이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3b는 충격식 신관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3c는 도화선과 화약에 의한 봉인 파열 방식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개략도
도 14는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소화약제 확산 산포 상태도
도 15는 폭약 캡슐을 표시하기 위한 소화탄의 평면도
도 16은 고리를 부착한 소화탄의 사시도
도 17은 고리 부착 소화탄이 나무가지에서 폭발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화약제 case
2: 소화약제(분말, 액체, 젤리)
3: 폭발 확산방향 유도접시 4: 폭약 5: 충격식 신관
6: 꼬리날개 7: 꼬리날개 고정축
8: 안전핀 9: 뇌관 10: 공이치기
11: 공이치기 스프링 12: 안전 손잡이
13: 안전 손잡이 스프링 14: 도화선 15: 점화화약
16: 발사용 장약 17: 장약 case 18: 항공기
19: 항공기에서 투탄된 소화탄
20: 소화탄 폭발에 의하여 산포되는 소화약제
21: 박격포 등의 곡사포
22: 박격포 등의 곡사포에서 발사되는 소화탄
23: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 발생지역
24: 소화탄 투탄 지역
25: 대규모 산불 발생 지역 26: 산불 방화대
27: 바람과 산불의 이동 방향
28: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1번 Line
29: 투탄하여 폭발된 소화탄 30: 소화탄 투탄 중인 3번Line
31: 소화탄 투탄 예정인 Line들 32: 각 포대의 포격 담당구역 경계선
33: 포탄 진행 포물선 34: 포탄 유도 관측병 위치
35: 산(山) 36: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37: 가압 가스 용기 38: 가압 가스 용기 봉인
39: 지표면(地表面) 40: 키가 큰 나무의 군락(群落)
41: 공이 받침 42: 뾰족한 공이
43: 스프링 44: 방화대 외곽선
45: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삽입부
46: 봉인 파열용 화약 47: 폭약 캡슐
48: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2번 Line
49: 투탄 되어 폭발하기 직전의 소화탄
50: 제1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1: 제2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2: 제3 포대의 소화탄 포격 담당 구역 53: 제1 포대
54: 제2 포대 55: 제3 포대
56: 고리 57: 고리 부착 소화탄
본 발명은 앞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화재 소화물(消火物)중에서 가격이 저렴하며, 운반이 비교적 쉽고, 빗물에 씻겨 내리기 전에는 소화 효과를 계속 발휘 할 수 있는 소화용 약제를 박격포 등의 곡사포(이하 박격포라 함)와 항공기로서 투탄 하여 산포(散布)하는 소화탄을 다음과 같이 구상하였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화약제란 일반적인 분말 소화기에서 사용하는 분말약제를 비롯하여 분말, 액체, 젤리 상태로 개발되고, 화학적인 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하며, 본 발명의 구성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소화약제를 말한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폭약의 폭발에 의하여 소화약제를 산포시키는 기존 기술의 소화탄 방식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하기 위하여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시킨 것으로서 기존 항공 투하용 폭탄 탄체(彈體)의 탄두(彈頭)와 동일한 형태로 소화약제 case(1)의 외형을 제작하여 그 소화약제 case(1)로서 탄두를 구성하고, 소화약제 case(1)의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充塡)하고, 탄두(彈頭) 앞 부분에는 기존의 항공기 투하용 폭탄에서 사용하는 신관과 구조및 원리가 같고 충격에 의해 폭발하는 충격식 신관(5)을 폭약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장치하며,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게 폭약(4)을 장치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고, 탄미(彈尾)에는 기존 항공기 투하 폭탄과 같은 꼬리날개 고정축(7) 및 꼬리날개(6)를 장치한다. 그리고 탄두의 뾰족한 유선형 구조를 갖는 부분은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의 역할을 한다. 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지면과 충돌하면, 그 충격으로 탄두의 충격식 신관(5)이 점화되고, 점화된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내부 폭약(4)이 폭발하며, 그 폭발력으로 소화약제case(1)가 파열되고, 소화약제(2)가 산포 된다.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폭약(4) 폭발력의 방향을 유도하여, 소화약제가 윗쪽 및 옆으로 퍼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는 도 7을 설명 할 때 자세히 설명함.).
꼬리날개(6)의 역활은 기존의 항공 투하용 폭탄에서와 같이 소화탄이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는 눕혀서 투탄 되더라도, 소화탄이 낙하되는 중에 꼬리날개에 공기 저항이 작용하여 수직으로 낙하 할 수 있도록 유도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충격식 신관(5)에 의해 폭발하는 소화탄은 땅에 부딪는 즉시 폭발하므로 경사지나 언덕에서도 우수한 소화약제(2) 산포력을 갖는다.
폭약(4)이 폭발하면서 폭약의 불씨 때문에 산불이 발생할 위험성도 있다. 그러나 폭약이 폭발한 뒤에 폭약의 불씨는 확산되는 소화약제(2)와 섞이게 되므로 불씨는 즉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폭약의 종류 중에서 확산성이 좋으면서 불꽃에 의한 인화성이 없는 종류를 사용하면 폭약에 의한 산불 발생 위험은 없어진다.
제 2a도의 소화탄은 기존의 수류탄 점화 폭발 장치의 구조 및 원리를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에 이용한 소화탄으로서, 기존의 항공 투하용 폭탄에서와 같이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기존 출원의 소화탄과 같이 소화약제 case(1)의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充塡)하고, 그 일측에 폭약(4)을 장치하며,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꼬리날개 고정축(7) 상부(上部) 중앙에 기존의 수류탄에서의 구성물(構成物)들인 뇌관(9)을 부착하고, 안전 손잡이(12)를 안전 손잡이 스프링(13)과 같이 뇌관(9)을 덮어서 보호 할 수 있는 위치에 장치하고, 공이치기 스프링(11)이 끼워진 공이치기(10)가 안전 손잡이에 의해서 눌려져서 공이치기 스프링(11)이 탄력을 받도록 설치하며, 안전 손잡이(12)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핀(8)을 설치하여 안전 손잡이(12)가 고정 되도록 하고, 뇌관(9)과 폭약(4)의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며, 도화선(14)과 폭약(4)의 접촉부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여, 기존의 수류탄 점화 장치와 같은 구조물(構造物)들을 폭약에 점화 시키는 수단으로서 갖춘다. 소화약제 case(1)의 하부는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로서 소화약제(2)가 윗쪽 및 옆으로 확산 산포 되도록 방향을 유도 한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도 7을 설명 할 때 자세히 설명함.).
항공기에서 이 도2a의 소화탄을 투탄 할 때는 한 손으로 안전손잡이(12)와 꼬리날개 고정축(7)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안전핀(8)을 뽑은 다음 투탄하면 안전 손잡이(12)가 안전 손잡이 스프링(13)에 의해서 튀어 오르게 되고, 이어서 안전 손잡이(12)에 의해 눌려져 있던 공이치기(10)가 공이치기 스프링(11)의 탄력 때문에 뇌관(9)을 쳐서 뇌관이 점화되어 도화선(14)에 불을 붙인다. 이 소화탄이 지면에 착지(着地)한 뒤 도화선(14)이 완전 연소하면, 그 불씨가 점화화약(15)에 옮겨 붙고 이어서 폭약(4)이 폭발하게 된다. 그러면 그 폭발력으로 소화약제(2)가 확산되며, 폭발확산방향유도접시(3)에 의하여 소화약제(2)의 확산 방향이 유도된다. 이 경우에도 꼬리날개(6)는 기존의 항공 투하용 폭탄에서와 같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하여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가 지면에 바로 놓이게 한다. 또 도화선(14)의 연소 시간을 길게 하면 소화탄이 지면에 닿은 후에도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폭발하게 할 수 있다. 앞의 도 1의 충격식 신관(5) 소화탄은 낙하 중에 나무 가지에 걸리거나,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 낙하 하면 폭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수류탄 점화 폭발 방식을 이용한 소화탄은 어떤 상황에서도 폭발한다.
제 2b도의 소화탄은 도화선에 수작업(手作業)으로 점화(손으로 불을 붙임)하는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으로서 앞의 도 2a의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과 같은 용도 및 구성과 원리를 가진 소화탄이지만, 도 2a에 있어서의 수류탄과 같은 구성물들(안전핀, 뇌관, 공이, 안전 손잡이 등)이 없고, 도화선(14)이 소화탄 외부로 노출 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소화탄도 기존의 항공기 투하용 폭탄과 같은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기존 출원의 소화탄과 같이 소화약제 case(1)의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充塡)하고, 그 일측에 폭약(4)를 장치하며, 폭약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소화탄의 외부에서 꼬리날개 고정축(7)의 중심을 통하여 도화선(14)이 삽입 되어 폭약(4)까지 연결되며, 폭약에 연결 된 도화선(14)의 말단부에 점화화약(15)이 설치 된다. 즉 다시 설명하면 폭약(4)에 접촉하도록 도화선(14)을 설치하고, 폭약(4)과 도화선(14)의 접촉부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며, 도화선(14)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되도록 구성하여 두는 것이다. 소화약제 case(1)의 하부에 장치 된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도 앞의 도 1 및 도 2a에 있어서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와 동일한 구조 및 역할을 가진다(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는 도 7에서 설명함.).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 할 때는 수작업(手作業)으로 도화선에 점화(손으로 불을 붙임. 즉 담뱃불 붙이듯이 함.)하여 투탄하며, 꼬리날개(6)에 대한 공기저항으로 이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지면에 바로 떨어진 뒤에 도화선(14)이 완전 연소 되어, 점화화약(15)을 점화 시키고, 이어서 폭약(4)이 폭발하여 소화약제(2)가 산포 되게 된다. 이 수작업 도화선 점화 방식 소화탄도 낙하 중에 나무가지에 걸리거나,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 떨어지면 양호하게 폭발 한다.
제 3도와 제 4도는 기존의 박격포 등의 곡사포(이하 박격포라 함)에서 발사하는 포탄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를 가진 소화탄으로서, 폭약(4)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기존 소화탄 방식에 박격포로서 발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具備) 시켜 개량 적용한 것이다. 탄체(彈體)의 탄두(彈頭) 부분이 기존 출원의 소화탄에서 처럼 소화약제 case(1)를 형성하되 기존 박격포 포탄 탄두의 외형(外形)과 동일한 외형으로 제작되며, 그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充塡)한다. 탄체의 탄미(彈尾) 부분은 기존의 박격포 발사용 포탄의 탄미 부분과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서 발사용 장약 case(17)를 탄체의 탄미로 하고, 발사 시에 박격포탄을 추진하는 화약인 발사용 장약(16)을 발사용 장약 case(17) 내부에 충전(充塡)하며 탄미의 뒷부분에 발사 시에 발사용 장약(16)을 점화하는 뇌관(9)과 발사 후 소화탄 진행 방향을 유지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여 박격포로서 발사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소화탄의 투탄 후 폭약을 폭발시키는 수단으로서 도3에서 처럼 탄두(彈頭)의 앞에 기존의 박격포 등의 곡사포 포탄에서 사용 되는 것과 같은 구조 및 원리의 충격식 신관(5)을 장치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게 폭약(4)을 설치 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하여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4에서 처럼 탄미의 발사용 장약 case(17)와 탄두의 소화약제 case(1)가 접합하는 접합부의 중앙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 중앙에 폭약(4)을 장치하며, 점화화약(15)과 폭약(4)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여, 소화탄 발사 시에 발사용 장약(16)이 연소되는 불씨에 의해서 점화화약(15)이 점화되어 도화선(14)이 연소되고 도화선(14)의 연소 후에 폭약(4)이 폭발하도록 구성한다.
이 소화탄을 박격포로서 발사하면 뇌관(9)의 점화로 발사용 장약(16)이 폭발하여 추진이 되며, 박격포에서 발사 후 목표 지점에 투탄 되어 지면(地面)과 충돌하면, 도3의 경우는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어 폭약(4)이 폭발하며, 도4의 경우는 발사용 장약(16)의 불씨가 점화 화약(15)을 점화 시켜서 도화선(14)이 타 들어가서 폭약(4)이 폭발하게 되고, 폭약의 폭발력으로 인해서 소화약제 case(1)가 파열 되고 소화약제(2)가 확산 산포 되게 된다.
박격포 발사탄은 추진력이 커서 나무가지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며 완충성이 있는 지면에서도 폭발이 잘 되는 것이 박격포 발사용 포탄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제 5도는 항공기(18)에서 투탄 된 소화탄(19)이 지표면(地表面)(39)과 수평으로 낙하되다가 꼬리날개(6)에 작용하는 공기저항 때문에 점차 수직을 이루며 낙하하 후 지표면(39)에서 폭발하여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로 부터 소화약제가 산포되는(20) 과정을 설명해 주고 있다. 제 5도와 같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지표면(39)에서 폭발한 소화탄의 소화약제가 폭발 확산 방향유도접시(3)에 의하여 상부 및 옆으로 확산 산포되어, 소화탄 폭발력이 미치는 반경 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지게 되므로, 그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는 가연성(可燃性)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되어 산불을 진화하고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게 된다
제 6a도는 박격포(21)에서 발사되고 있는 소화탄(22)을 설명해 주고 있다. 박격포 발사용으로 제작되는 소화탄은 기존의 박격포탄과 크기와 무게 및 형태가 동일해야 군사용 장비에서 발사 될 수 있다.
관측병(34)의 포사격 유도에 따른 훈련된 병력의 박격포 사격은 목표지점에 대하여 정확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 소화탄 발사로도 군 병력의 포사격 훈련이 될 수 있다.
제 6b도에서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21)에서 발사된 소화탄이 포탄 진행 포물선(33)을 그리면서 산으로 날아가서 폭발 되어 소화약제가 산포(20) 되고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가 남아있는 상태를 보여 준다. 박격포 등의 곡사포(21)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산불을 진화하고, 방화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6b도에서와 같이 소화탄을 발사하여 소화약제가 산포(20)되도록 한다. 제 6b도와 같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폭발한 소화탄의 소화약제가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에 의하여 상부 및 옆으로 확산 산포되어, 소화탄 폭발력이 미치는 반경 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지게 되므로, 그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는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된다.
제 7도는 폭발된 소화탄의 소화약제(2)가 오목한 용기(容器) 모양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에서 확산되는 모습의 상상도이다. 오목한 용기 모양의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가 없이 소화탄이 흙 위에서 폭발하면, 지면의 흙이 (소량이지만)움푹 패이고, 흙과 낙엽 등의 물질과 소화약제가 뒤 섞여서 산포 되며, 그렇게 되면 폭약의 폭발력이 분산 약화되고, 소화약제의 산포에 흙 가루와 낙엽이 장애물이 되며, 소화약제의 소화 성능을 떨어 뜨리고, 소화약제가 고르게 산포 되지도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이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이며, 도1, 도2a, 도2b, 도3, 도4, 도5에서 설명된 소화탄의 소화약제 case(1)의 하부(下部)를 가볍고 단단한 재질(플라스틱, 알루미늄, 양철판 등)로서 오목한 용기(容器) 구조로 제작하여, 상부의 소화약제 case(1) 본체와 접합 시켜서 소화약제 case(1) 및 소화탄의 탄체를 구성 하도록 하되, 소화약제 case(1) 상부 본체가 폭약 폭발력에 의하여 파열 될 때, 하부의 오목한 용기 즉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는 파열 되지 않고, 폭발력에 밀려서 지면(地面) 속으로 더욱 박히면서, 폭발력 때문에 지면의 흙이 파지지 않도록 막아 주고, 폭발력의 방향을 유도하여, 소화약제가 윗쪽 및 옆으로만 퍼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의 오목한 용기 구조에 의하여 지면의 흙은 폭발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폭발력과 소화약제가 윗쪽과 옆으로만 집중 되도록 유도 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도된 소화약제가 윗쪽과 옆으로 확산 되었다가 곧 낙하하여 지면의 낙엽, 마른 풀, 떨어진 삭정이, 나뭇가지 등에 묻어져서 산포가 이루어 지게 된다. 한 발의 소화탄이 지름 9m 정도의 넓이에 산포 되도록 하면 효율적인 산불 진화 및 방화대 설치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제 8도는 수풀의 나뭇가지에 걸린 소화탄이 나무 위에서 폭발하는 가상도이다. 도화선(14)에 의한 폭발 방식의 소화탄에서는 이러한 경우도 발생이 가능한 데, 지표면에서 폭발하는 경우보다 소화약제(2)의 확산성은 더욱 좋다.
그러나 산불은 동절기에 주로 발생을 하는 데, 동절기에는 침엽수(소나무 종류)를 제외하고 일반 수종의 나무는 모두 낙엽이 지므로, 소화탄이 잎이 없는 앙상한 나뭇가지에 걸릴 가능성은 없다. 따라서 이렇게 소화탄이 나무에 걸리는 경우는 침엽수 종의 나무에서 발생이 가능하다.(침엽수 종의 나무가지와 잎에 소화약제를 산포하기 위한 수단은 도 16과 도 17 설명시에 설명함)
제 9도는 국지적(局地的)인 소규모 산불(23)이 발생하였을 때의 소화탄 투탄 지역(24)을 설명하고 있다. 산불이 발생한 지점의 외곽 지역 수풀에 박격포 및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집중적으로 투탄 하여, 소화약제를 산포(散布)시키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외곽 지역에 투탄 하여 산불의 확대 이동을 막은 다음, 산불 발생 지역 내부에 투탄하여 불길을 제압한다. 아니면 여러 문의 박격포 또는 항공기로서 산불 발생 외곽 지역과 그 내부 지역에 동시에 소화탄을 투탄하여 산불을 진압 할 수 있다.
제 10도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하여 강풍(强風)을 따라 이동하는 상태에서의 방화대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상태도로서,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산(25)에서 강풍(强風)의 이동 방향(27)을 따라 옆의 산(35)으로 산불이 이동 되어 갈 때, 그 이동하는 산불을 차단하는 방화대(26)를 설치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실지 산불 발생 현장에서 폭 15~20m의 산간도로(山間道路)는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쉽게 그 산간도로를 건너서 반대편 산으로 번지지만, 폭 50m 정도의 냇가나 개울은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건너지 못하는 점에 착안하여 폭 100m 이상으로 형성하는 방화대를 구상 한 것이다.
이 방화대(26)는 박격포 등의 곡사포 또는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를 산포함으로서 형성 한다. 도 10에서는 방화대의 설치 위치를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이동 해 가는 쪽(27)만 나타내고 있지만, 강풍을 동반한 산불이 이동해 가는 반대 방향 및 양 옆의 방향에도 느린 속도로 산불이 이동해 갈 수 있으므로, 그 반대 방향과 양 옆 방향에도 필요에 따라 도면의 (26)과 같은 방화대를 설치 할 수 있다. 단 강풍이 이동 해 가는 방향의 방화대는 바람의 세기와 산불의 위력을 감안하여 폭을 넓게 설치 하여야 하고, 반대 방향과 옆 방향의 방화대는 그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설치 하도록 한다.(방화대의 설치방법은 도 11과 도 12에서 설명함)
제 11도에서는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과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바람이 부는 방향(27)과 그 바람의 세기를 감안하여 방화대의 설치 위치와 폭 및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방화대의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地圖上)에서 긋고, 폭발되는 소화탄 1발에서 소화약제가 확산 산포 되는 반경을 감안하여 종(縱) 방향으로 소화탄을 투탄 할 Line의 수(數)를 역시 지도상에서 결정한다. 제11도에서는 방화대의 폭인 양 쪽 외곽선(44) 내에 소화탄 투탄 Line을 6개의 점선으로 표시 하고 있는데,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1번 Line(28), 소화탄 투탄 후 소화약제가 산포된 2번 Line(48),소화탄 투탄 중인 3번Line(30), 소화탄 투탄 예정인 3개 Line들(31)로서, 이 소화탄 투탄 Line의 숫자는 방화대의 폭과 소화탄의 소화약제 산포 반경을 감안하여 적당한 수로 결정 한다.
그 다음 바람이 불어 오고 있는 쪽(27)의 Line부터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 한다. 항공기가 Line을 종(縱)방향으로 비행하면서 소화탄 1발의 소화약제 산포 반경을 감안하여 일정 간격으로 정연하게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 되도록 한다. 제 3도에서는 소화탄이 투탄 된 1번 Line(28)과 2번 Line(48), 그리고 소화탄 투탄 중인 3번 line(30)에 정연하게 투탄된 소화탄(29)이 폭발하여 소화약제가 산포(20) 되고,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가 남아있는 상태를 보여 준다. 도 11의 (29)는 투탄 후 폭발 된 소화탄인데, 이 것이 소화탄이 폭발 된 자리에 남아 있는 폭발 확산 방향 유도접시(3)이다. 그리고 항공기(18)는 소화탄 투탄 중인 3번 line(30)을 종(縱) 방향으로 비행 하면서 소화탄을 투탄하고 있다. 제 3도의 (49)는 항공기에서 투탄된 소화탄이 지표면(地表面)에서 폭발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는 것이다. 그렇게 3번 Line(30)의 소화탄 투탄이 끝나면 다시 나머지 소화탄 투탄 예정인 Line(31)들에 소화탄을 같은 방법으로 투탄한다.
지도상(地圖上)에서 처음 방화대의 폭을 결정 할 때보다 바람과 산불의 위세가 거세어지거나 약해져서 상황이 변화 되면, 그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의 폭을 처음 결정한 폭보다 넓히거나 좁힐수도 있으며(즉 Line의 수를 늘이거나 줄임), 소화탄이 한 번 투탄된 Line에 2중(二重) 또는 그 이상의 다중(多重)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의 방화력(防火力)을 강화하는 등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를 가변적(可變的)으로 설치 할 수도 있다.
대규모의 산불이 발생한 산(25)에서 바람이 이동해 가는 방향의 반대 방향과 양 옆의 방향에도 느린 속도로 산불이 확대 이동을 해 갈 수 있으므로, 그 방향들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방화대를 형성 설치하여 산불의 번짐을 방지 하도록 한다. 단 그 방향들에 설치하는 방화대는 바람이 이동해 가는 방향의 방화대 보다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만든다.
위의 항공기로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를 형성 설치하는 방법을 다시 한 번 간추려 설명하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긴 띠 모양으로 방화대(26)를 설치하는 것으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투탄 되는 소화탄 1발에서 소화약제가 산포 되는 반경(半徑)을 감안하여 방화대(26) 외곽선(44)의 내부에 종(縱)방향으로 소화탄을 투탄 할 Line의 수를 지도상에서 정하고, 바람이 불어 오고 있는 쪽의 Line부터 항공기(18)가 그 Line을 종(縱)방향으로 비행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되게 하며, 그 다음 Line부터 마지막 Line까지 동일한 방법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 전체에 소화약제가 골고루 산포 되게 하고,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可燃性) 과 연소성(燃燒性)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고 설치 되게 하는 것이다.
제 12도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지역(25)으로 부터 강풍(27)을 따라 산불이 이동 되고 있는 방향의 산(35)에 박격포 등의 곡사포 사격으로 방화대(26)를 설치하는 방법과 과정을 보여 준다. 산불의 위세와 바람의 세기등을 감안하여 방화대(26)의 설치 위치와 폭 및 길이를 지도상(地圖上)에서 결정한 다음, 많은 수의 박격포를 1개 포대(砲隊)당 몇 문씩의 박격포가 배치되도록, 몇 개의 포대(砲隊)로 구분 편성하여, 편성된 각 포대가 소화탄을 포격 할 방화대 내의 담당 구역을 횡(橫)방향으로 지도상에서 구분 짓는다. 제 5도에서는 각 포대가 포격을 담당 할 담당 구역을 횡(橫) 방향 경계선(32)으로 구분하여 제 1포대(53)와 제 2포대(54), 제 3포대(55)가 각 포대별 포격 담당 구역인 방화대 내의 제 1포대 담당 구역(50), 제 2포대 담당 구역(51), 제 3포대 담당 구역(52)에 소화탄 포격을 하기 위해서 박격포 등 곡사포를 거치 해 둔 상태와, 각 포대의 소화탄 탄착 위치를 유도하는 관측병(34)이 각 포대 포격 담당 구역(50)(51)(52) 부근에 배치 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렇게 편성 된 각 포대는 각기의 담당 구역을 포격하기 좋은 위치에 박격포 등 곡사포를 거치하고, 각 포대별 관측병(34)을 관측 위치로 배치하여 방화대(26) 내의 담당 구역에 소화탄 포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곡사포의 사격에는 관측병(34)의 포 사격 유도가 있어야 정확한 사격을 할 수 있다. 관측병이 무전으로 자기 담당 구역에 대한 소화탄 포격 위치를 유도하면, 각 포대는 관측병의 유도에 따라 소화탄을 사격 하므로서 설치 하고자 하는 방화대 내부에 소화약제 산포를 양호하게 할 수가 있다. 이 때 관측병은 자기 포대의 소화탄 사격 담당 구역에 소화탄이 정연하게 투탄 되어 소화약제가 고르게 산포 될 수 있도록 박격포 등 곡사포의 사격을 유도한다. 이 박격포 등 곡사포 사격에 의한 방화대의 형성 방법도 지도상(地圖上)에서 처음 방화대의 폭을 결정 할 때보다 바람과 산불의 위세가 거세어지거나 약해져서 상황이 변화 되면, 그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의 폭을 처음 결정한 폭보다 넓히거나 좁힐 수도 있으며, 소화탄이 한 번 투탄된 담당 구역에 2중(2重) 또는 그 이상의 다중(多重)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의 방화력(防火力)을 강화하는 등,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를 가변적(可變的)으로 설치 할 수도 있다. 제 5도에서는 바람이 불어 가고 있는 방향에만 방화대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는 데, 바람이 불어가는 반대 방향과 양 옆의 방향에도 산불이 느린 속도로 확대 이동을 할 수 있으므로 그 방향에도 위 와 같은 방법으로 방화대를 형성하여 산불의 번짐을 방지 하도록 한다. 단 그 방향의 방화대는 바람이 불어 가는 방향의 방화대보다 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설치 하도록 한다.
위의 박격포 등 곡사포 사격으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다시 한 번 간추려 설명하면,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방화대를 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것으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그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를 지도상에서 횡(橫) 방향으로 경계선(32)을 그어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한 뒤, 박격포 등 곡사포들을 다수의 포대(53)(54)(55)로 구분 편성하여, 구분 편성된 다수의 포대들은 각 포대가 각기 횡 방향으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된 방화대 외곽선 내의 1개 칸에 대한 소화탄 사격을 담당하며, 각 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소화탄을 용이하게 사격 할 수 있는 위치에 박격포 등 곡사포를 거치하고, 각 박격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관측병(34)을 배치하며, 그 배치 된 관측병(34)이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한 소화탄 사격과 소화약제 산포가 고루 이루어지도록 무전으로 자기 포대에 소화탄 사격을 유도하여, 그 유도에 따른 박격포 등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사격으로 소화약제를 방화대 내에 산포하여,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地表面)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 및 연소성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게 하는 것이다.
앞의 도 10과 도 11및 도 12의 방화대 형성 및 설치 방법 중 주의(主意) 해야 할 사항을 설명 하자면,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를 결정 할 때, 인가(人家), 축사(畜舍)나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 시설, 토목 시설, 기타의 인공 시설물 등 소화탄에 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시설물은 회피하여 설치하여야 하며, 산악의 경사가 급한 지역도 소화탄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가 어려운 곳 이므로 되도록 회피(回避)하여 설치한다. 방화대를 회피하여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면, 방화대는 반드시 일직선으로 설치 해야 할 이유는 없으므로 우회(迂廻)하여 설치 하도록 한다. 산악의 경사가 급한 지역에도 부득이 방화대를 설치하여야 한다면, 소화탄을 다중(多重)으로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완벽하게 산포 되도록 한다.
제 13a도는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消化器)의 가압 가스 팽창에 의한 소화약제 확산 방식에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 시켜서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으로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case(1)로서 소화탄 탄체가 구성되며, 소화약제(2)를 산포 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에서 사용 되는 가압식 가스용기(37)에 이산화탄소나 질소가스를 압축하여 넣고 입구를 봉인(38) 한 다음, 이 가압 가스 용기(37)를 소화약제 case(1) 내부의 탄두 앞쪽에 설치한다(설치 위치는 도면 참조). 그리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의 나머지 공간에 소화약제를 충전(充塡)하여 가압식 소화기와 같은 구조를 이룬다. 이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탄체의 하부(下部)에는 공이받침(41)이 부착된 뾰족한 공이(42)가 가압가스 용기 입구의 봉인(38)과 접촉하도록 장치 되고, 스프링(43)이 장치 되어 공이받침(41)을 외부로 돌출되게 밀어주며, 상부 탄미에는 소화약제 case(1)의 입구를 이루는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 삽입부(45)에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이 삽입 되어 소화약제(2)가 담긴 소화약제 case(1) 입구를 봉한다. 그리고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 상부(上部)에는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 할 수 있도록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 한다.
이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 하면, 꼬리날개(6)에 작용하는 공기 저항 때문에 수직으로 낙하하여, 탄두의 공이받침(41)이 지면(地面)과 충돌하고, 그에 따라 스프링에 밀려서 외부로 돌출 되어 있던 공이받침(41)과 뾰족한 공이(42)가 안 쪽으로 밀려져서, 공이(42)의 뾰족 한 부분이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 시킨다.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면, 가압 가스 용기(37)에 압축 저장 된 가스가 순식간에 팽창 되면서 분출 되고, 소화약제(2)와 가압식 소화탄 뚜껑(36)을 밀어서 가압식 소화탄 뚜껑 삽입부(45)에서 가압식 소화탄 뚜껑(36)을 벗어나게 한다. 그러면 도 14와 같이 소화약제(2)가 확산 산포 되게 된다.(도 14참조)
제 13b도는 앞의 도 13a와 동일하게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 및 구조를 소화탄에 적용 시킨 것으로서, 모든 구조가 도 13a의 소화탄과 동일하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13a의 공이받침(41)과 뾰족한 공이(42) 대신에, 충격에 의해서 점화 되는 충격식 신관(5)과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소화탄의 탄두와 가압식 가스 용기(37)의 입구에 설치 하는 것 만이 다르다. 이 도 13b의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하면 꼬리날개에 대한 공기 저항 때문에 소화탄이 수직으로 낙하하여 탄두의 충격식 신관(5)이 지면(地面)과 충돌하고, 이어서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어 봉인 파열용 화약(46)이 폭발 하면, 그 폭발력 때문에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게 된다. 그 다음의 소화약제(2)가 산포 되는 원리와 과정은 앞의 도 13a 경우와 동일 하다.
제 13c도의 소화탄 또한 앞의 도 13a 및 도 13b의 소화탄과 동일하게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원리와 구조를 항공기 투탄용 소화탄에 적용 시킨 것으로서, 모든 구조는 도 13a 및 도 13b의 소화탄과 동일하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 하는 수단으로서 도 13a의 공이 받침(41)이나 공이(42) 또는 도 13b의 충격식 신관(5) 대신에 가압 가스 용기(37)입구의 봉인(38)과 접촉 되게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장치하고, 이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도화선(14)을 연결하여,이 도화선(14)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露出) 시켜 두는 것이 다르다.
이 소화탄을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는 도화선에 수작업(手作業: 손으로 불을 붙임)으로 점화하여 투탄하면, 꼬리날개(6)에 대한 공기저항 때문에 수직으로 낙하 된 소화탄이 지면에 닿은 후에 도화선(14)이 완전 연소하여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폭발하게 하고, 그에 따라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이 파열 되게 된다. 그 다음의 소화약제가 산포 되는 원리와 과정은 도 13a와 동일 하다.
제 14도는 앞의 도 13a, 도 13b, 도 13c의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이 가압 가스의 팽창력으로 폭발하여,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뚜껑(36)이 벗겨지고 소화약제(2)가 산포 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 15도는 소화약제(2)와 폭약(4)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설치 하는 폭약(4)과 충전하는 소화약제(2) 사이에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폭약(4)과 소화약제(2)가 상호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 두 물체 성분의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폭약(4)은 폭발력을 상실하고, 소화약제(2)는 소화 성능을 상실 할 수 있다. 때문에 두 물체 사이에 폭약의 폭발력에 지장을 주지 않는 얇은 폭약 캡슐(47)을 설치하여 두 물체를 완벽하게 분리 되도록 한다.
제 16도는 항공기에서 투탄하도록 구성되는 소화탄들 중에서 도2a의 수류탄 방식을 이용한 소화탄과 도 2b의 도화선 점화방식 소화탄 및 도 13c의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의한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의 상부에 고리(56)를 부착하여 고리부착 소화탄(57)을 형성한 것으로서, 항공기에서 이 소화탄을 투탄하면 소화탄이 낙하 되다가 고리(56)에 의하여 나무가지나 잎에 걸리게되므로, 나무위에서 소화탄이 폭발하여 침엽수 등의 잎과 가지에 소화약제를 산포 시킬수 있도록 구성 되는 소화탄이다.
제 17도는 도 16의 고리가 부착된 소화탄(57)을 키가 큰 나무의 군락(40) 지대(주로 소나무 등의 침엽수 수풀)에 항공기로서 투탄하여, 고리(56)에 의하여 소화탄이 나무가지에 걸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나무가지 위에 걸린 소화탄이 폭발하면 소화약제가 나무의 잎과 가지에 묻어지게 되므로,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가 연소되는 화염으로 부터 나무 상부 부분을 보호 할 수 있다.
소화약제의 손 쉬운 산포가 불가능한 산악 지역에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소규모 국지적 산불을 진화 함은 물론, 강풍을 동반한 대규모의 산불 발생시에 확대 이동의 속도가 빨라서 효과적으로 진화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냇가나 강 등에 막혀서 자연적으로 진화가 될 때까지 속수무책으로 지켜보기만 하는 것이 현실적인 실정이었는데, 이런 대규모의 산불을 효과적으로 차단 하여 확대 이동을 방지 함으로서, 대규모 산불의 진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4)
- 폭약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기존 소화탄 방식을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case(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되 기존 항공 투하용 폭탄 탄두의 외형과 동일하게 제작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하고, 탄두 앞부분에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충격식 신관(5)을 장치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도록 폭약(4)을 설치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해서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고, 탄미에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며, 항공기로서 투탄하여 지면과의 충돌로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면 폭약(4)이 폭발하여, 소화약제(2)가 산포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 폭약의 폭발력으로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기존 소화탄 방식을 박격포 등의 곡사포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개량한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case(1)로서 탄체의 탄두를 구성하되 소화약제 case(1) 외형을 박격포 등의 곡사포탄 탄두의 외형과 동일하게 제작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소화약제(2)를 충전하고, 탄두 앞부분에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충격식 신관(5)을 장치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충격식 신관(5)과 접촉 되도록 폭약(4)을 설치하여, 충격식 신관(5)에 의해서 폭약(4)이 폭발 될 수 있도록 하고, 탄미 부분을 기존의 박격포 등의 곡사포탄 탄미와 동일한 구조 및 원리로서 발사용 장약 case(17)를 탄체의 탄미로 하고, 발사용 장약(16)을 발사용 장약 case(17) 내부에 충전하며, 탄미의 뒷부분에 발사시 발사용 장약(16)을 점화시키는 뇌관(9)과 발사 후 소화탄 진행 방향을 유지하는 꼬리날개(6)를 장치하여, 박격포 등의 곡사포로서 투탄 하여 지면과의 충돌로 충격식 신관(5)이 점화 되면 폭약(4)이 폭발하여, 소화약제(2)가 산포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1항에 있어서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화탄의 폭약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꼬리날개 고정축(7)의 상부 중앙에 기존 수류탄의 구성물인 뇌관(9)을 부착하고, 안전 손잡이(12)를 안전 손잡이 스프링(13)과 같이 뇌관(9)을 덮어서 보호 할 수 있는 위치에 장치하고, 공이치기 스프링(11)이 끼워진 공이치기(10)가 안전 손잡이에 의해서 눌려져서 공이치기 스프링(11)이 탄력을 받도록 설치하며, 안전 손잡이(12)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핀(8)을 설치하여 안전 손잡이(12)가 고정 되도록 하고, 뇌관(9)과 폭약(4)의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며, 도화선(14)과 폭약(4)의 접촉부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여, 기존의 수류탄 점화 장치와 같은 구조물들을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 갖추고,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 안전 손잡이(12)와 꼬리날개 고정축(7)을 한 손으로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안전핀(8)을 뽑은 다음 소화탄을 투탄 하면 공이치기(10)가 뇌관(9)을 쳐서 뇌관(9)이 점화하여 도화선(14)이 연소되고, 도화선(14)의 연소 후에 점화 화약(15)이 점화되어 폭약(4)이 폭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1항에 있어서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화탄의 폭약(4)을 폭발 시키는 수단으로서, 폭약(4)에 접촉하도록 도화선(14)을 설치하고, 폭약(4)과 도화선(14)의 접촉부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며, 도화선(14)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 되도록 구성하여, 항공기에서 투탄 시에 도화선(14)에 수 작업으로 점화하여 투탄 하면, 도화선(14)의 완전 연소 후에 점화화약(15)이 점화되어 폭약(4)이 폭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 2항에 있어서 박격포 등의 곡사포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화탄의 폭약(4)을 폭발시키는 수단으로서 탄미의 발사용 장약 case(17)와 탄두의 소화약제 case(1)가 접합하는 접합부의 중앙에 점화화약(15)을 설치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 중앙에 폭약(4)을 장치하며, 점화화약(15)과 폭약(4) 사이를 도화선(14)으로 연결하여, 소화탄 발사 시에 발사용 장약(16)이 연소되는 불씨에 의해서 점화화약(15)이 점화되어 도화선(14)이 연소되고 도화선(14)의 연소 후에 폭약이 폭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화탄의 탄두 부분인 소화약제 case(1)의 하부를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서 오목한 용기 구조로 제작하여, 상부의 소화약제 case(1) 본체와 접합 시켜서 소화약제 case(1)를 구성하되, 폭약(4)의 폭발력으로 상부의 소화약제 case(1) 본체가 파열 되어 소화약제(2)가 산포 될 때, 하부의 오목한 용기는 파열되지 않고, 폭발력에 밀려서 땅 속으로 박히면서, 폭발력에 의해 흙이 파이지 않게 하고, 폭발력과 소화약제(2)가 윗쪽 및 옆으로 확산 산포 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발 확산 방향 유도 접시(3).
- 항공기로서 투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화탄에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의 가압 가스 팽창력에 의한 소화약제 확산 방식을 소화약제를 산포 시키는 수단으로서 적용시킨 소화탄으로서 소화약제 case(1)로서 탄체를 구성하고,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기존의 가압식 분말 소화기에서 사용되는 봉인(38)으로 봉해진 가압 가스 용기(37)와 소화약제(2)를 설치 및 충전하며, 탄미의 소화약제 case 입구는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뚜껑 삽입부(45)가 되며, 그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뚜껑 삽입부(45)에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뚜껑(36)을 삽입하여 소화약제 case(1) 입구를 봉하며,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뚜껑(36) 상부에 꼬리날개 고정축(7)과 꼬리날개(6)를 장치하고, 탄체의 하부에 공이받침(41)이 부착된 뾰족한 공이(42)가 가압 가스 용기 입구의 봉인(38)과 접촉하여 장치되고, 공이받침(41)을 외부로 돌출 되게 하는 스프링(43)이 장치되며, 이 소화탄이 항공기에서 투탄 되어 공이받침(41)이 지면과 충돌하면 뾰족한 공이(42)가 가압가스 용기(37)의 봉인(38)을 파열시키고, 가압 가스가 팽창되어 가압 가스 팽창식 소화탄 뚜껑(36)이 벗겨지고 소화약제(2)가 산포 되도록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투탄용 가압 가스 팽창식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 7항에 있어서 가압 가스 팽창식 산불 진화용 소화탄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충격식 신관(5)과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 (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장치하여, 충격식 신관(5)이 지면과의 충돌에 의해 점화되면 봉인 파열용 화약(46)이 폭발하여 봉인(38)이 파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투탄용 가압 가스 팽창식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 7항에 있어서 가압 가스 팽창식 산불 진화용 소화탄의 가압 가스 용기 봉인(38)을 파열시키는 수단으로서 봉인 파열용 화약(46)을 가압 가스 용기(37) 입구의 봉인(38)과 접촉되게 설치하고, 봉인 파열용 화약(46)에 도화선(14)을 연결하여, 그 도화선(14)을 꼬리날개 고정축(7) 중심부를 통하여 소화탄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소화탄 투탄시에 도화선(14)에 수 작업으로 점화하여 투탄 하면 도화선(14)의 완전 연소 후 봉인 파열용 화약(38)의 폭발에 의하여 봉인(38)이 파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투탄용 가압가스 팽창식 산불 진화용 소화탄.
-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산불 진화용 소화탄에 있어서 소화약제 case(1) 내부에 충전 및 설치하는 소화약제(2)와 폭약(4)이 서로 접촉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소화약제(2)와 폭약(4) 사이에 설치하는 얇은 폭약 캡슐(47)
-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방화대(26)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그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를 지도상에서 횡(橫) 방향으로 다수의 칸(50)(51)(52)으로 구분한 뒤, 박격포 등 곡사포들을 다수의 포대(53)(54)(55)로 구분 편성하여, 구분 편성된 다수의 포대들은 각 포대가 각기 횡 방향으로 다수의 칸으로 구분된 방화대 외곽선 내의 1개 칸에 대한 소화탄 사격을 담당하며, 각 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소화탄을 용이하게 사격 할 수 있는 위치에 박격포 등 곡사포를 거치하고, 각 포대는 각개의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하여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관측병(34)을 배치하며, 그 배치 된 관측병(34)이 사격 담당 구역에 대한 소화탄 사격과 소화약제 산포가 고루 이루어지도록 무전으로 자기 포대에 소화탄 사격을 유도하여, 그 유도에 따른 박격포 등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사격으로 소화약제를 방화대 내에 산포하여,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 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 및 연소성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 등 곡사포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
- 산불의 확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산포하여 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방화대(26)로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 위세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와 폭, 길이를 지도상에서 결정한 다음, 그 결정 된 폭에 따른 외곽선(44)을 지도상에서 긋고, 투탄 되는 소화탄 1발에서 소화약제가 산포 되는 반경(半徑)을 감안하여 방화대(26) 외곽선(44)의 내부에 종(縱)방향으로 소화탄을 투탄 할 Line의 수를 지도상에서 정하고, 바람이 불어 오고 있는 쪽의 Line부터 항공기(18)가 그 Line을 종(縱)방향으로 비행 하면서 일정 간격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산포되게 하며, 그 다음 Line부터 마지막 Line까지 동일한 방법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26)의 외곽선(44) 내부 전체에 소화약제가 골고루 산포 되게 하고, 산포된 소화약제가 방화대 내부 지표면의 낙엽과 마른풀 및 떨어진 삭정이를 덮거나, 그 것들에 묻어서 가연성 및 연소성을 상실하게 하여 방화대(26)가 형성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로서의 소화탄 투탄으로 방화대를 설치하는 방법.
-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지도상(地圖上)에서 처음 방화대의 폭을 결정 할 때보다 바람과 산불의 위세가 거세어지거나 약해져서 상황이 변화 되면, 그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의 폭을 처음 결정한 폭보다 넓히거나 좁히도록 하며, 소화탄이 한 번 투탄된 Line 또는 담당 구역에 2중(2重) 또는 그 이상의 다중(多重)으로 소화탄을 투탄하여 방화대의 방화력(防火力)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의 변화에 따라 방화대를 가변적(可變的)으로 설치하는 방법.
- 제 11항 또는 제 12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산불의 이동 방향과 규모를 감안하여 방화대를 설치 할 위치를 결정 할 때, 인가(人家), 축사(畜舍)나 비닐 하우스 등의 농업 시설, 토목 시설, 기타의 인공 시설물 등 소화탄에 의하여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시설물은 회피하여 설치하며, 산악의 경사가 급한 지역도 소화탄에 의한 소화약제 산포가 어려운 곳이므로 회피하여 설치하고, 방화대를 회피하여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면 우회하여 설치 하고, 산악의 경사가 급한 지역에도 방화대를 설치하여야 한다면, 소화탄을 다중(多重)으로 투탄하여 소화약제가 완벽하게 산포 되도록 하는 방화대를 회피 및 우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대 설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71856A KR20010008388A (ko) | 2000-05-20 | 2000-11-30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KR1020010027306A KR20020042394A (ko) | 2000-11-30 | 2001-05-18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00014618 | 2000-05-20 | ||
KR2020000014618 | 2000-05-20 | ||
KR1020000071856A KR20010008388A (ko) | 2000-05-20 | 2000-11-30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08388A true KR20010008388A (ko) | 2001-02-05 |
Family
ID=2663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71856A KR20010008388A (ko) | 2000-05-20 | 2000-11-30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0008388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8660B2 (en) | 2015-03-31 | 2017-11-07 | Robert Shane Kilburn | Fire fighting apparatus and method |
CN113304418A (zh) * | 2021-06-17 | 2021-08-27 | 哈尔滨工程大学 | 具有挂冠起爆特点的智能森林灭火航弹 |
KR20220116723A (ko) | 2021-02-15 | 2022-08-23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필름 |
KR20220118730A (ko) * | 2021-02-19 | 2022-08-26 | 주식회사 가인이엔지 | 수류탄형 소화기 |
CN115300829A (zh) * | 2022-07-11 | 2022-11-08 | 天立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森林火灾救援的无人机 |
KR102483375B1 (ko) * | 2022-07-01 | 2022-12-30 | 사태형 | 소화탄 |
CN116006855A (zh) * | 2022-12-27 | 2023-04-25 | 鄂尔多斯市腾远煤炭有限责任公司 | 一种煤矿变电所的监控装置及其使用方法 |
KR20230064876A (ko) | 2021-11-04 | 2023-05-11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 및 질소발생기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
CN116099141A (zh) * | 2023-03-15 | 2023-05-12 | 王静 | 一种自爆式消防炮弹 |
CN116923697A (zh) * | 2023-09-12 | 2023-10-24 | 江苏福港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无人机的灭火弹抛投机构 |
-
2000
- 2000-11-30 KR KR1020000071856A patent/KR200100083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08660B2 (en) | 2015-03-31 | 2017-11-07 | Robert Shane Kilburn | Fire fighting apparatus and method |
KR20220116723A (ko) | 2021-02-15 | 2022-08-23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필름 |
KR20220118730A (ko) * | 2021-02-19 | 2022-08-26 | 주식회사 가인이엔지 | 수류탄형 소화기 |
CN113304418A (zh) * | 2021-06-17 | 2021-08-27 | 哈尔滨工程大学 | 具有挂冠起爆特点的智能森林灭火航弹 |
CN113304418B (zh) * | 2021-06-17 | 2022-05-17 | 哈尔滨工程大学 | 具有挂冠起爆特点的智能森林灭火航弹 |
KR20230064876A (ko) | 2021-11-04 | 2023-05-11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소화용 마이크로캡슐 및 질소발생기를 포함하는 소화시스템 |
KR102483375B1 (ko) * | 2022-07-01 | 2022-12-30 | 사태형 | 소화탄 |
CN115300829B (zh) * | 2022-07-11 | 2023-03-14 | 天立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森林火灾救援的无人机 |
CN115300829A (zh) * | 2022-07-11 | 2022-11-08 | 天立泰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用于森林火灾救援的无人机 |
CN116006855A (zh) * | 2022-12-27 | 2023-04-25 | 鄂尔多斯市腾远煤炭有限责任公司 | 一种煤矿变电所的监控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6099141A (zh) * | 2023-03-15 | 2023-05-12 | 王静 | 一种自爆式消防炮弹 |
CN116099141B (zh) * | 2023-03-15 | 2024-01-30 | 新疆探索真相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自爆式消防炮弹 |
CN116923697A (zh) * | 2023-09-12 | 2023-10-24 | 江苏福港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无人机的灭火弹抛投机构 |
CN116923697B (zh) * | 2023-09-12 | 2023-11-28 | 江苏福港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无人机的灭火弹抛投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82199B2 (en) | Mine defeat system and pyrotechnic dart for same | |
US7210537B1 (en) | Method of controlling fires | |
RU2288761C2 (ru) |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 |
RU2293281C2 (ru) | Снаряд для метания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 |
RU2111032C1 (ru) | Способ локализации и/ил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 |
CN112604210B (zh) | 一种通过重力投放的森林航空灭火弹及使用方法 | |
KR20010008388A (ko)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
KR20020042394A (ko) | 산불 진화용 소화탄과 방화대 설치 방법 | |
Rottman | The hand grenade | |
KR101381978B1 (ko) | 친환경 장단거리 박격포 연습탄 | |
CN101485924A (zh) | 森林灭火弹 | |
KR102390971B1 (ko) | 산불 진화용 소화탄 | |
FR2603492A1 (fr) | Materiel et batteries d'engins auto-propulses de prevention et de lutte contre l'incendie. fusees et lanceurs anti-incendie | |
KR20010104154A (ko) | 인력과 장비의 접근이 어려운 원거리 화재의 진화방법 및장치 | |
CN2319084Y (zh) | 干粉灭火弹 | |
CN210057224U (zh) | 平衡抛射充塞爆裂灭火弹 | |
CN209885080U (zh) | 新型消防炮弹及其发射系统 | |
CN207640853U (zh) | 一种肩扛发射式森林灭火弹 | |
Rottman | World War II Infantry Anti-Tank Tactics | |
CN1597020A (zh) | 一种森林大火扑灭方法及灭火弹 | |
RU180139U1 (ru) | Имитатор ручной гранаты | |
KR102669008B1 (ko) | 화재진압용 소화탄 및 이의 발사기와 발사방법 | |
CN110404206A (zh) | 一种用于城市建筑火灾的灭火手雷 | |
KR20070048845A (ko) | 화재 진압용 소화탄 | |
CN215337996U (zh) | 一种具有定向爆破功能的布撒式发烟催泪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