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2273A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273A
KR20020042273A KR1020000072088A KR20000072088A KR20020042273A KR 20020042273 A KR20020042273 A KR 20020042273A KR 1020000072088 A KR1020000072088 A KR 1020000072088A KR 20000072088 A KR20000072088 A KR 20000072088A KR 20020042273 A KR20020042273 A KR 2002004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wireless
data
access device
wireless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7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2273A/ko
Publication of KR2002004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27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하고 있는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를 무선접속장치에서 구비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새로운 프레임의 구조를 정의하여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던 기능 변경에 따른 맨 머신 인터페이스 변경 동작을 생략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이고 원활한 동작과 추후에 변경되는 다양한 사항에도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END USER TERMINAL AND RADIO CONNECTION MODUL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데이터 전송장치는 유선망 또는 무선망을 통해 두 노드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는 모든 장치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는 정보의 공유라는 현재 추세로 인하여 급속한 발전을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고 있다. 상기 고속의 데이터 전송은 사용되어 지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의해 크게 차이가 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로 발전하고 있는 것이 비동기전송모드(ATM) 네트워크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ATM 네트워크는 적용되는 분야에 의해 무선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ATM 네트워크와 유선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ATM 네트워크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여지고 있는 구성은 종래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서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사용자 단말기(110)를 구성하는 모듈은 크게 응용모듈(Application Module)(112),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모듈(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Module)(114), 하드웨어 모듈(HDL: Hardware Dependent Layer)(116) 및 맨 머신 인터페이스 모듈(MMI: Man Machine Interface)(11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MMI(118)가 내장되어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의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거나 정보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MMI(118)를 통해서만 이루어졌다.
따라서, 무선통신시스템의 기능을 조금만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많은 부분의 MMI(118)를 재 작성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다른 형태의 MMI를 지원하지 않음에 따라 다양한 MMI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맨 머신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에 효율적인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입/출력과 무선접속장치간의 원활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접속장치의 기능이 변경되어도 사용자 단말기에서 별도의 조치가 필요 없는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자 단말기의 모듈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모듈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에 전송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무선 ATM의 MMI는 사용자 단말기와는 별도로 무선접속장치 내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의 기능이 변경되더라도 사용자 단말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모듈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소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무선접속장치(220)로 출력하거나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로부터 소정 프레임으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는 응용 계층(Applications Layer)(212)과 응용 관리 계층(Application Manager Layer)(214)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는 상기 응용 계층(212)에 의해 응용 관리 계층(214)으로 제공되며,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은 상기 응용 계층(212)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정의되어진 소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로부터 전송되는 프레임은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으로 제공되며, 상기 응용 관리 계층(220)은 제공받은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응용 계층(212)으로 제공한다.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를 무선망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의 무선망 접속 요구에 의해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구에 의해 상기 연결된 채널을 통해 전송 요구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연결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무선접속장치(220)를 구성하는 무선 ATM 물리계층(23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 또는 무선망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제공받아 무선 ATM 데이터 접속 계층(228)으로 제공한다. 상기 무선 ATM 매체 접속 계층(228)으로 제공된 프레임은 상기 무선 ATM 매체 접속 계층(228)을 포함한 무선 ATM 데이터 연결 계층(226) 및 무선 ATM 접속 제어계층(224)을 통해 처리되어 상기 무선 ATM MMI(222)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 무선 ATM MMI(222)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는 상기 무선 ATM 무선 접속 제어계층(224)으로 제공되어 상기 무선 ATM 무선 접속 제어계층(224)을 포함한 상기 무선 ATM 데이터 연결 계층(226), 무선 ATM 매체 접속 계층(228) 및 무선 ATM 물리계층(230)을 통해 소정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 또는 상기 무선망으로 전송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와 상기 무선접속장치(220)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소정 연결이 정의되어야 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를 구성하는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과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를 구성하는 상기 무선 ATM MMI(222)간의 접속 방법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접속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개방형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도 3에서 보여지고 있는 프레임 구조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에 전송되는 프레임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에서 보여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210)와 무선접속장치(220)간의 정보 프레임에서와 같이 응용 관리 계층(214)과 무선 ATM MMI(222)는 상호간의 연결방법과는 관계없이 결정된 정보 프레임만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면 되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10), 무선접속장치(220) 및 기지국간에 있어서의 처리 절차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10)의 접속 요구메시지가 있을 시 무선접속장치(220)는 기지국과의 접속을 행하고, 상기 접속이 이루어지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제공하여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차를 개시한다. 또한, 서비스가 수행중인 채널에 오류가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한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는 오류 통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이룰 보고하는 절차를 추가로 개시하고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기(210)는 사용자로부터의 무선망 접속 요구가 있으면 접속 요구 메시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에 의해 구성되어진 접속 요구 메시지는 401단계에서 무선접속장치(220)로 전송된다. 상기 접속 요구 메시지에 해당하는 프레임의 구성은 도 2에서 보여지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210)의 구성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응용 계층(212)의 요구에 의해 응용 관리 계층(214)에서 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 요구 메시지에 해당하는 프레임은 도 3에서 정의하고 있는 프레임의 구성을 따르게 된다.
한편, 상기 401단계를 통해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무선접속장치(220)는 수신한 접속 요구 메시지를 분석한다. 상기 접속 요구 메시지를 분석하는 절차는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를 구성하는 무선 ATM 물리계층(230), 무선 ATM 매체 접속 계층(228), 무선 ATM 데이터 연결 계층(226) 및 무선 ATM 무선 접속 제어계층(224)에 의해 분석되어 무선 ATM MMI(222)로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의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요구하는 명령을 제공받은 상기 무선 ATM MMI(222)는 403단계에서 기지국과의 접속 수행을 통해 무선망으로의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403단계에서의 접속 수행에 따른 접속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무선 ATM MMI(222)는 405단계에서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알린 후 대기상태로 천이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메시지는 응답 메시지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응답 메시지는 상기 접속 요구 메시지에 대응한 것이다. 상기 응답 메시지 또한 상기 도 3에서 제안하고 있는 프레임 구성을 사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전술한 절차에 의해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가 설정된 후 사용자가 소정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면 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210)의 상기 응용 계층(212)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구된 소정 서비스의 수행 요구를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으로 제공한다. 상기 소정 서비스 수행 요구를 제공받은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은 상기 도 3에서 보여지고 있는 프레임 구조에 따라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구성한다. 상기 서비스 요구 메시지의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응용 관리 계층(214)은 407단계에서 상기 구성된 상기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로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상기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접속장치(220)의 무선 ATM 물리 계층(230)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동일한 절차, 즉 동일한 계층들을 통해 분석되어 상기 무선 ATM MMI(222)로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서비스의 개시를 통보 받은 상기 무선 ATM MMI(222)는 상기 무선 ATM 무선 접속 제어계층(224)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종류에 따른 매개변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매개변수로는 채널의 종류, 데이터 전송율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매개변수의 종류와 형태는 제공되는 서비스에 따라 새로이 정의될 수 있다. 전술한 절차에 의해 매개변수가 제공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를 구성하는 각 계층들은 서비스 수행 메시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 수행 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는 409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서비스 수행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이 상기 서비스 수행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앞에서 설정된 채널을 통해 41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와 상기 기지국간의 해당 서비스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는 상기 해당 서비스가 수행되는 중에 상기 해당 채널에서의 오류 발생을 감시한다. 만약, 상기한 감시에 의해 오류 발생을 감지하거나 상기 해당 채널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접속장치(220)는 이러한 사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에게 알리게 된다. 이러한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무선접속장치(220)의 상기 무선 ATM MMI(222)는 413단계에서 해당 서비스의 수행중에 발생한 채널 오류를 감지하면 이에 따른 데이터 변경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통상적인 유지 보수기능에 해당함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생한 오류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변경함과 더불어 상기 무선 ATM MMI(222)는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210)로 알리도록 하는 명령을 발생한다. 상기 명령을 제공받은 상기 무선ATM 무선 접속 제어 계층(224)은 자신을 포함함 무선 ATM 데이터 연결 계층(226), 무선 ATM 매체 접속 계층(228) 및 무선 ATM 물리계층(230)을 통해 오류 통보 메시지에 해당하는 프레임을 생성하여 상기 오류 통보 메시지(210)로 전송한다. 상기 생성한 상기 오류 통보 메시지에는 오류 발생 원인과 오류 발생 위치 등이 매개변수로 포함된다. 예컨대, 발생한 오류가 채널상의 문제로 발생한 경우라면 상기 무선 ATM MMI(222)는 오류 통보 메시지내의 매개변수로 현재 채널 상황 등과 같은 자세한 정보를 포함시켜 사용자에게 오류 원인을 제공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를 무선 비동기전송모드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로 분리시킴으로서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개방적인 구조를 갖도록 하여 추후에 변경되는 다양한 사항에서도 능동적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Claims (2)

  1. 소정 프레임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프레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발생되는 데이터를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무선접속장치로부터의 소정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구성하는 응용 관리부와,
    상기 응용 관리부로부터의 상기 소정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분석한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무선망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응용 관리부호 전송하도록 하는 상기 무선접속장치의 무선 비동기전송모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장치.
  2. 소정 프레임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프레임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무선망 접속 요구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구성하는 응용 관리부에서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접속 요구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접속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접속장치를 구성하는 무선 비동기전송모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는 기지국과의 접속을 수행하여 소정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응답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소정 채널을 할당받은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서비스 요구 메시지에 의해 상기 응용 관리부에서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접속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무선 비동기전송모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서비스 수행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수행 메시지에 의해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에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무선 비동기전송모드 맨 머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해당 서비스가 수행되는 동안 오류 발생을 감시하고, 상기 감시에 의해 오류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감지한 오류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갱신한 후 상기 소정 프레임으로 오류 통보 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응용 관리부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20000072088A 2000-11-30 2000-11-3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KR200200422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088A KR20020042273A (ko) 2000-11-30 2000-11-3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2088A KR20020042273A (ko) 2000-11-30 2000-11-3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273A true KR20020042273A (ko) 2002-06-05

Family

ID=2767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2088A KR20020042273A (ko) 2000-11-30 2000-11-30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22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0151B2 (en) 2006-07-10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to web storage using wireless LA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0151B2 (en) 2006-07-10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to web storage using wireless LAN
US11743331B2 (en) 2006-07-10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toring data into web storage using wireless L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84433A1 (zh) 一种网络数据的监测方法及装置
US20210105638A1 (en) Network data analytics for oam
CN1863081B (zh) 基板管理控制器的管理系统和方法
JP4151650B2 (ja) ネットワーク帯域幅を調整するシステム、方法
JP2005057550A (ja) チャネル選択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無線局並びに無線端末
WO2003047167A2 (en) Method, system and agent for connecting event consumers to event producers in a distributed event management system
KR1010077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WO2021057526A1 (zh) 一种网关设备容灾的方法及通信设备
US6944657B1 (en) Automatic network synchronization of the network configuration with the management information database
CN105052076A (zh) 一种接口管理服务实体、功能服务实体及网元管理方法
CN101437175B (zh) 一种处理容灾切换的方法、装置及系统
CN100512168C (zh) 用于使无线网络与至少一个其他网络连接的设备
CN110536484B (zh) 多连接系统中的数据无线承载控制方法、装置和系统
WO2019062634A1 (zh) 通信方法及装置
KR20040010788A (ko) 프로토콜의 구성을 구현 및 조정하는 방법
KR20020042273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접속장치간의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CN113261249A (zh) 一种数据传输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5072185A (zh) 一种tr069远程监控方法、系统和通讯设备
KR100308903B1 (ko) 객체지향 기법을 이용한 교환기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교환기 자원 설치 방법
CN113692039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012535B (zh) 跟踪区更新周期确定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CN110719205A (zh) 一种接入交换机及上线恢复方法、系统、计算机存储介质
CN113542313B (zh) 一种第三方物联网平台设备对接系统及方法
CN110572860A (zh) 选择接入网络的方法、核心网设备和存储介质
CN113904980B (zh) 一种信道切换方法、装置、交换机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