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380A - 벽체를 이용한 장롱 - Google Patents

벽체를 이용한 장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380A
KR20020041380A KR1020020025004A KR20020025004A KR20020041380A KR 20020041380 A KR20020041380 A KR 20020041380A KR 1020020025004 A KR1020020025004 A KR 1020020025004A KR 20020025004 A KR20020025004 A KR 20020025004A KR 20020041380 A KR20020041380 A KR 20020041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oor
cabinet
combinatio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선
Original Assignee
임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선 filed Critical 임종선
Priority to KR102002002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380A/ko
Publication of KR20020041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3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63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 E06B3/482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를 이용한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가능한 다수의 조합형 도어를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하여 벽체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내부공간을 드레스룸, TV 장식장, 책장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벽체와 조합형 도어 간의 배치구조에 따라 건물의 내부구조에 맞게 장롱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사할 때 조합형 도어 및 이것의 조작을 위한 롤러수단과 레일수단만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시 무게와 부피감을 줄일 수 있어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장롱의 도어에 대한 개폐방식으로 여닫이식, 접이식, 슬라이드식 등을 채용함으로써, 장롱의 도어개폐와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어의 배열방식으로 일정공간을 유지하면서 2열 이상 배열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그 각각의 공간을 여러 가지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 벽체를 이용한 장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벽체를 이용한 장롱{Wardrobe using wall}
본 발명은 벽체를 이용한 장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가능한 다수의 조합형 도어를 칸막이 수단으로 활용하여 벽체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장롱을 제공함으로써, 충분한 수납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동시에 내부공간을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드레스룸, TV 장식장, 책장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조합형 도어의 선택적인 배치에 따라 장롱의 구조를 건물의 내부구조에 맞게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고, 또한 설치가 용이하고 이동시 무게와 부피감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사할 때 취급이 간편하고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롱은 옷이나 이불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정에서는 필수품목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장롱들은 보통 폭과 높이가 정해진 육면체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수납공간에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고, 대부분 실내의 천정으로부터 상당한 여유 공간을 두고 설치하기 때문에 실내의 공간활용측면에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설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장롱들은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사할 때 운반하기가 어렵고,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손상이나 파손 등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붙박이 장롱의 경우 실내 천정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줄여 수납공간을 좀더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이것 역시 수납공간을 확장하는데 한계가 있고, 내부의 구조를 변경한다거나 용도를 다양하게 바꾼다거나 하는 등의 활용도 측면에서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가능한 다수의 조합형 도어를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하여 벽체와 함께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내부공간을 드레스룸, TV 장식장, 책장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벽체를 이용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벽체와 조합형 도어 간의 배치구조에 따라 건물의 내부구조에 맞게 장롱의 구조를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한 벽체를 이용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사할 때 조합형 도어 및 이것의 조작을 위한 롤러수단과 레일수단만을 취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시 무게와 부피감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반과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벽체를 이용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롱의 도어에 대한 개폐방식으로 여닫이식, 접이식, 슬라이드식 등을 채용함으로써, 장롱의 도어개폐와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어의 배열방식으로 일정공간을 유지하면서 2열 이상 배열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그 각각의 공간을 여러 가지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한 벽체를 이용한 장롱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개폐가능한 적어도 1열 이상의 조합형 도어를 나란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도어의 양쪽 끝을 마감하여 벽체와 도어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전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끝이 양쪽 측면 벽체와 접하면서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서로 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복수개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전면 벽체 및 한쪽 측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한쪽 끝은 보조 패널을 통해 마감되고 다른 한쪽 끝은 다른 한쪽 측면 벽체와 접하면서 "ㄱ"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서로 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복수개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의 모서리 구간은 라운드형 구조로 처리되거나, 또는 모따기형 구조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전면 벽체 및 양쪽 측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끝이 양쪽 측면 벽체에 각각의 보조 패널을 통해 마감되면서 "ㄷ"자 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의 양쪽 모서리 구간은 라운드형 구조로 처리되거나, 또는 모따기형 구조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은 옷장, TV 장식장, 이불장, 책장 등의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수납공간은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내부공간은 장롱과 드레스룸의 복합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1개씩 열고 닫는 여닫이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2개가 1조를 이루면서 중간이 접혀지고 펴지는 접이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형 도어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서로 근접한 2열구조 배치되어 상호 크로스시켜 열고 닫는 슬라이드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조의 접이식 조합형 도어는 서로 접하는 면이 경첩으로 연결되고, 각각은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고정형 지지체 및 이동형 롤러에 의해 상단 지지되는 동시에 힌지 플레이트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롤러는 레일 내에 얹혀져 슬라이드 가능한 전후 2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면서 도어측에서 수직 연장되는 핀 볼트와 결합되는 롤러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조합형 도어는 각각의 도어가 레일 내에 얹혀져 슬라이드 가능한 양쪽 2개의 이동형 롤러에 의해 상단 지지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블럭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서로 크로스시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형 롤러는 도어측에서 연장되는 핀 볼트를 수용하는 롤러 홀더와, 상기 롤러 홀더의 앞뒤로 장착되는 2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식 조합형 도어는 레일 내에 설치되어 이동형 롤러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 블럭에 의해 벽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의 다른 개폐방식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a 내지 3g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의 여러 응용사례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의 도어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의 내부 활용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에서 도어의 개폐방식에 대한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내지 7d는 도 6에서 롤러 및 레일수단의 여러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롱에서 도어의 개폐방식에 대한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도어의 상단 롤러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에서 도의 하단 레일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a,11b는 도 8에서 롤러 및 레일수단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에서 도어의 힌지구조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합형 도어 11 : 고정형 지지체
12a,12b : 이동형 롤러 13 : 힌지 플레이트
14 : 록킹 블럭 15a,15b : 핀 볼트
16a,16b : 롤러 홀더 17 : 가이드 레일
18 : 가이드 블럭 19 : 고정식 레일
20 : 슬라이드식 레일 21 : 보조 패널
22 : 몰딩 23 : 중간 기둥
24 : 접촉식 레일 25 : 받침용 가이드
26 : 서랍장 27 : 행거
28 : 칸막이 29 : 패널형 부재
30 : 틀 부재 31 : 하우징
32 : 고정대 33 : 힌지핀
34 : 힌지 하우징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벽체를 이용한 장롱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전면 벽체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여러 개의 도어로 구성되는 조합형 도어(10)를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한다.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는 전면 벽체와 나란한 고정식 레일(19) 또는 슬라이드식 레일(20)를 설치하여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면서 개폐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조합형 도어(10)에서 양쪽 끝에 배치되는 도어는 양쪽 측면 벽체와 접하게 하는 구조로 마감한다.
이에 따라, 전면 벽체와 조합형 도어(10) 사이에는 격리된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곳을 장롱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각 도어들은 1개씩 개별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식, 2개씩 1조로 구성하여 중간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레일을 따라 옆으로 밀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드식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각 도어들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레일수단은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고정식 레일(19)을 적용할 수 있고, 접이식이나 슬라이드식의 경우에는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일수단의 구체적인 구조도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렇게 조합형 도어(10)를 일종의 칸막이 수단으로 사용하여 실내의 한쪽 공간을 격리시킨 장롱을 제공함으로써, 장롱의 내부공간을 실내의 구조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쓸모없이 버려지는 공간없이 활용가능한 장롱의 수납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고, 수납공간의 설계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자유롭게 꾸밀 수 있는 것이다.
도 3a 내지 3g에서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의 여러 응용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3a 내지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의 측면 벽체 중 어느 한쪽의 측면 벽체와 전면 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와 나란하게 조합형 도어(10)를 배치한다.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는 전면 벽체 및 한쪽 측면 벽체와 나란한 고정식 레일(19) 또는 슬라이드식 레일(20)를 설치하여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면서 개폐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조합형 도어(10)에서 양쪽 끝에 배치되는 각각의 도어는 한쪽의 측면 벽체와는 접하게 하는 구조로 마감하고, 다른 한쪽 벽체와는 보조 패널(21)을 이용하여 마감한다.
이에 따라, 전면 벽체 및 한쪽 측면 벽체와 조합형 도어(10) 사이에는 격리된 "ㄱ"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곳을 장롱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각 도어들은 1개씩 개별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식, 2개씩 1조로 구성하여 중간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레일을 따라 옆으로 밀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드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각 도어들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레일수단도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고정식 레일(19)을 적용할 수 있고, 접이식이나 슬라이드식의 경우에는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조합형 도어(10)를 일종의 칸막이 수단으로 사용하여 실내의 한쪽 공간을 "ㄱ"자형으로 격리시킨 장롱을 제공함으로써, 장롱의 내부공간을 실내의 공간 내에서 좀더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내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좀더 할애하여 장롱의 충분한 수납공간 확보함으로써, 소비자들은 장롱의 수납공간을 보다 더 여유있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ㄱ"자형의 수납공간에서 나타나는 꺽인 부위는 라운드형 도어로 마감하거나, 또는 도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마감함으로써, 장롱의 외관도 살릴 수 있고 도어의 개폐 등과 같은 장롱의 사용과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벽체와 양쪽의 측면 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이와 나란하게 조합형 도어(10)를 배치한다.
이때에도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는 전면 벽체 및 한쪽 측면 벽체와 나란한 고정식 레일(19) 또는 슬라이드식 레일(20)를 설치하여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면서 개폐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조합형 도어(10)의 양쪽 끝에 배치되는 도어는 각각의 보조 패널(21)을 이용하여 각 측면 벽체와 접하는 구조로 마감한다.
이에 따라, 전면 벽체 및 양쪽 측면 벽체와 조합형 도어(10) 사이에는 격리된 "ㄷ"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이곳을 장롱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의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각 도어들도 1개씩 개별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는 여닫이식, 2개씩 1조로 구성하여 중간을 접거나 펼 수 있는 접이식, 레일을 따라 옆으로 밀면서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드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각 도어들의 상단과 하단을 지지하는 레일수단도 여닫이식의 경우에는 고정식 레일(19)을 적용할 수 있고, 접이식이나 슬라이드식의 경우에는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ㄷ"자형 내부공간을 갖는 장롱은 실내의 공간에서 장롱이 점유하는 공간과 사람의 거동공간을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위의 "ㄴ"자형 내부공간을 갖는 장롱에 비해 좀더 여유있는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ㄷ"자형의 수납공간에서 나타나는 꺽인 부위는 라운드형 도어로 마감하거나, 또는 도어를 대각선 방향으로 마감함으로써, 장롱의 외관도 살릴 수 있고 도어의 개폐 등과 같은 장롱의 사용과 관련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특징 중의 하나는 조합형 도어(10)의 복수열 배치구조를 적용하여 복수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e와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열의 조합형 도어(10)를 이용하여 장롱의 수납공간을 위한 벽체와의 내부공간을 조성한 후, 조합형 도어(10)의 바깥쪽으로 1열의 조합형 도어(10)를 더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복수개의 내부공간을 조성한다.
이때의 복수개의 내부공간은 일자형 또는 "ㄱ"자형의 수납공간을 갖는 장롱에 한정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내부공간은 서로 유사한 크기의 용적을 갖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개의 내부공간은 장롱을 위한 수납공간 뿐만 아니라 드레스룸 등과 같은 여러 용도로 장롱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4a 내지 4d에서는 조합형 도어의 지지구조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준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부에는 도어 상단부에 장착되는 이동형 롤러(12a)의 진행을 안내하는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설치하고, 바닥부에는 도어 하단부의 힌지수단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식 레일(19)을 설치한다.
상기 각각의 레일 바깥쪽을 따라 몰딩(22)을 설치하여 레일을 받쳐주면서 외관을 살릴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레일구조는 접이식 도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레일구조를 이용하여 도어의 상단은 이동형 롤러(12a)에 의해 슬라이드 안내를 받을 수 있고, 하단은 힌지 플레이트(13)에 의해 개폐시 그 중심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씩 열고 닫는 여닫이식 도어의 경우 실내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각각 고정식 레일(19)을 설치하여 도어의 상단 및 하단과 각 천정 및 바닥과의 사이를 마감할 수 있게 하고, 도어의 개폐를 위한 힌지수단은 각 도어마다 1개씩 배속되어 있는 중간 기둥(23)을 이용하여 장착한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를 서로 크로스시켜가면서 옆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드식 도어의 경우 실내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각각 나란한 2열의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설치하고, 레일의 바깥쪽으로는 몰드(22)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각 도어의 상단과 하단은 이동형 롤러(12b)와 가이드 레일(17) 및 가이드 블럭(18)의 조합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드식 레일(20)을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의 롤러수단을 채용하지 않고 단순히 슬라이드만을 위한 접촉식 레일(24)을 채용한 도어인 경우 실내의 천정부와 바닥부에 각각 레일을 설치하고, 도어의 상단 뒷쪽으로 받침용 가이드(25)를 설치하여 도어의 뒷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어는 접촉식 레일(24)에 의한 상하단 지지 및 슬라이드 안내를 받으면서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5a 내지 5c에서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의 내부 활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로부터 3열의 조합형 도어(10)를 설치하여 3개의 내부공간을 확보한 경우, 가장 안쪽으로 배치되는 내부공간은 서랍장(26)이나 행거(27) 등을 설치하여 장롱의 수납장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바깥쪽으로 배치되는 내부공간은 드레스룸이나 다용도룸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5b 및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롱의 수납장은 칸막이(28)나 행거(27) 등을 자유롭게 설치하면서 소비자가 원하는 용도나 목적에 맞게 그 내부공간을 구획짓거나 내부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과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도어(10)의 접이식 개폐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형 도어(10)의 각 도어를 2개씩 1조로 구성한 후, 각 도어의 마주보는 쪽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이곳을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도어 상단부에는 고정형 지지체(11)와 이동형 롤러(12a)를 장착하여 1개의 도어를 축으로 다른 1개의 도어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도어 개폐시 축이 되는 도어의 하단부에는 고정식 레일(19)측에 연결 설치되는 힌지 플레이트(13)를 장착하여 도어 개폐시 이곳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도어 개폐시 이동되는 도어의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만들어 개폐조작이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7a 내지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형 지지체(11)와 이동형 롤러(12a)는 실내의 천정부, 별도의 패널형 부재(29), 레일 수용이 가능한 틀 부재(30) 등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식 레일(20) 내에 설치하되, 고정형 지지체(11)는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시킨 후, 이곳에 도어측에서 연장되는 핀 볼트(15a)를 관통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하고, 이동형 롤러(12a)는 앞뒤 2개의 롤러를 갖는 롤러 홀더(16a)를 레일 위에 얹혀지도록 배치한 후, 이곳에 도어측에서 연장되는 핀 볼트(15a)를 관통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한다.
이때의 상기 핀 볼트(15a)와 각 고정형 지지체(11) 및 롤러 홀더(16a) 간의 관통부위는 회전가능한 핀체결구조이므로, 도어 개폐시 접히거나 펴질 때 전혀 문제가 없다.
또한, 한쪽 도어의 하단에 장착되는 힌지 플레이트(13)는 실내의 바닥이 아닌 패널형 부재(29)에 설치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없이 직접 패널형 부재(29)에 설치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과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합형 도어(10)의 슬라이드식 개폐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2열의 조합형 도어(10)와 이것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2열의 슬라이드식 레일(20)을 설치하고, 각 조합형 도어(10)의 상단부에는 앞뒤 1개씩의 이동형 롤러(12b)를 장착하는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슬라이드 레일(20)측의 가이드 블럭(18)과 도어측의 가이드 레일(17)의 조합형 슬라이드 수단에 의해 지지되게 한다.
상기 가이드 블럭(18)은 레일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다수 배치하면서 탈거방향으로 간섭을 주는 쐐기형 클립을 이용하여 레일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때의 조합형 도어(10)는 대부분의 하중이 이동형 롤러(12b)를 통해 상부 슬라이드 레일(20)측에 가해지기 때문에 도어 하단부의 가이드 블럭(18)과 가이드 레일(17)은 단지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방향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이동형 롤러(12b)에 의해 지지되는 2열의 각 도어는 슬라이드 레일(20)을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면서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위와 같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도어 1개씩 슬라이드 레일의 내외측으로 번갈아가면서 배치하여 각 도어의 개폐조작시 이웃하는 도어와의 간섭을 최대한 배제하면서 개폐공간을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개폐구조를 갖는 조합형 도어(10)를 위한 이동형 롤러(12b)는 앞뒤 2쌍의 롤러와 이것을 갖는 롤러 홀더(16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롤러 홀더(16b)는 슬라이드식 레일(20) 내에 얹혀져 지지되면서 도어의개폐를 안내할 수 있고, 여기에 도어측에서 연장되는 핀 볼트(15b)가 체결시키면 도어를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드식 개폐구조의 도어에서 슬라이드식 레일(20)의 양쪽 끝에는 탄력형 훅을 갖는 록킹 블럭(14)을 설치하여 슬라이드식 레일(20)의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도어는 선택적으로 잠금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어를 슬라이드식 레일(20)의 끝까지 밀면 록킹 블럭(14)의 훅에 롤러 홀더(16b)의 끝 일부분이 삽입과 동시에 걸려지므로,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측의 핀 볼트(15b)는 하우징(31)을 도어 본체 내에 수납시키고 하우징(31)에 있는 고정대(32)를 이용하여 위에서 끼워거는 방식으로 장착한다.
이에 따라, 도어의 설치와 해체시 핀 볼트만을 풀어서 분리하는 조작만으로 그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볼트(15b)는 다단계 볼트를 채용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도어 설치시 레일과의 공차를 맞추는데 편리하다.
도 11a 및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정이나 바닥을 대신하여 패널형 부재(29)상에 슬라이드식 레일(20)과 가이드 블럭(18)을 직접 설치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장롱에서 도어의 힌지구조에 대한 여러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주로 단독으로 개폐가능한 여닫이식 도어에 적용되는 힌지수단을 제공한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형 도어(10)측에는 힌지핀(33)을 장착하고, 고정식 레일(19)측에는 힌지 하우징(34)을 장착함으로써, 이곳을 중심축으로 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12b 및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합형 도어(10)측과 고정식 레일(19)측에 각각 홈을 형성하고, 이곳에 각각 홀을 갖는 힌지 플레이트(13)와 핀을 갖는 힌지 플레이트(13)를 장착하여 이것들을 서로 중첩 결합시켜 줌으로써, 도어의 개폐를 위한 힌지수단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내의 벽체와 조합형 도어를 이용하여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한 장롱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실내의 벽체가 구성하는 공간을 그대로 장롱의 수납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장롱에 비해 버려지는 공간없이 그 수납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소정의 격리된 공간을 2중 또는 3중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장롱 이외에 드레스룸, TV 장식장, 책장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3) 조합형 도어의 배치구조를 건물의 내부구조에 맞게 효율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또 내부공간의 설계를 소비자의 취향이나 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물건의 수납이나 옷의 보관 등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 실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4) 조합형 도어와 레일만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시 무게와 부피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이사할 때 운반 및 취급이 간편하고 재설치가 용이하다.

Claims (18)

  1. 벽체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개폐가능한 적어도 1열 이상의 조합형 도어(10)를 나란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도어(10)의 양쪽 끝을 마감하여 벽체와 도어 사이에 소정의 내부공간을 조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전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끝이 양쪽 측면 벽체와 접하면서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서로 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복수개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전면 벽체 및 한쪽 측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한쪽 끝은 보조 패널을 통해 마감되고 다른 한쪽 끝은다른 한쪽 측면 벽체와 접하면서 "ㄱ"자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서로 간의 일정거리를 유지하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일자형의 내부공간을 복수개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모서리 구간은 라운드형 구조로 처리되거나, 또는 모따기형 구조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전면 벽체 및 양쪽 측면 벽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끝이 양쪽 측면 벽체에 각각의 보조 패널을 통해 마감되면서 "ㄷ"자 형의 내부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의 양쪽 모서리 구간은 라운드형 구조로 처리되거나, 또는 모따기형 구조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9. 제 1, 2, 3, 4, 5,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옷장, TV 장식장, 이불장, 책장 등의 용도에 맞게 자유롭게 수납공간은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0. 제 1, 3,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공간은 장롱과 드레스룸의 복합공간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1. 제 1, 2, 3, 4, 5,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1개씩 열고 닫는 여닫이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2. 제 1, 2, 3, 4, 5,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2개가 1조를이루면서 중간이 접혀지고 펴지는 접이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3. 제 1, 2, 3, 4, 5,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형 도어(10)는 실내의 천정과 바닥에 벽체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레일상에 지지되면서 서로 근접한 2열구조 배치되어 상호 크로스시켜 열고 닫는 슬라이드식의 개폐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조의 접이식 조합형 도어(10)는 서로 접하는 면이 경첩으로 연결되고, 각각은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고정형 지지체(11) 및 이동형 롤러(12a)에 의해 상단 지지되는 동시에 힌지 플레이트(13)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롤러(12a)는 레일 내에 얹혀져 슬라이드 가능한 전후 2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수용하면서 도어측에서 수직 연장되는 핀 볼트(15a)와 결합되는 롤러 홀더(16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조합형 도어(10)는 각각의 도어가 레일 내에 얹혀져 슬라이드 가능한 양쪽 2개의 이동형 롤러(12b)에 의해 상단 지지되는 동시에 가이드 레일(17) 및 가이드 블럭(18)에 의해 하단 지지되면서 서로 크로스시켜 열고 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롤러(12b)는 도어측에서 연장되는 핀 볼트(15b)를 수용하는 롤러 홀더(16b)와, 상기 롤러 홀더(16b)의 앞뒤로 장착되는 2쌍의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식 조합형 도어(10)는 레일 내에 설치되어 이동형 롤러(12b)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록킹 블럭(14)에 의해 벽체와 접하는 위치에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를 이용한 장롱.
KR1020020025004A 2002-05-07 2002-05-07 벽체를 이용한 장롱 KR200200413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04A KR20020041380A (ko) 2002-05-07 2002-05-07 벽체를 이용한 장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004A KR20020041380A (ko) 2002-05-07 2002-05-07 벽체를 이용한 장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908U Division KR200285498Y1 (ko) 2002-05-07 2002-05-07 벽체를 이용한 장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380A true KR20020041380A (ko) 2002-06-01

Family

ID=1972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004A KR20020041380A (ko) 2002-05-07 2002-05-07 벽체를 이용한 장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3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75Y1 (ko) * 2010-05-19 2013-01-17 윤장노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75Y1 (ko) * 2010-05-19 2013-01-17 윤장노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3527A1 (en) Collapsible Wardrobe and Method
US5752756A (en) Modular basket-holding framework for left and right-handed corner cabinets
US20080143222A1 (en) Tri-fold mirror swivel organizer
CN107951345A (zh) 一种安装在墙壁上的折叠支架
KR102269683B1 (ko) 확장 유니트를 포함한 캠핑 장치
KR200285498Y1 (ko) 벽체를 이용한 장롱
KR20120028449A (ko) 도어 교체가 용이한 붙박이장
KR20020041380A (ko) 벽체를 이용한 장롱
KR200467112Y1 (ko) 세탁물 건조대
KR101023888B1 (ko) 절첩가능한 레일부재가 구비된 옷장
CN209135721U (zh) 智能安全衣柜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KR100577939B1 (ko) 다목적 가구
CN113142885B (zh) 组合床
KR100365553B1 (ko) 조립식 장롱 및 그의 시공방법
CN217524280U (zh) 一种具有梳妆台功能的衣柜
KR200298276Y1 (ko) 수납공간부가 구비된 침대
KR200392526Y1 (ko) 장농 조립체
JP6949170B2 (ja) 可動収納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KR100290585B1 (ko) 대형 그림을 갖는 붙박이장용 칸막이
KR20190126226A (ko) 수납가구에 부착되는 도어장치
KR102474167B1 (ko) 블록 조립식 가구
KR100633800B1 (ko) 다목적 수납장
KR102241928B1 (ko) 인출식 빨래 건조대
JP6757687B2 (ja) 可動収納システムとそ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