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1143A -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1143A
KR20020041143A KR1020000070914A KR20000070914A KR20020041143A KR 20020041143 A KR20020041143 A KR 20020041143A KR 1020000070914 A KR1020000070914 A KR 1020000070914A KR 20000070914 A KR20000070914 A KR 20000070914A KR 20020041143 A KR20020041143 A KR 2002004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oreign matter
hole
vacuum cleaner
body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7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1143A/ko
Publication of KR2002004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1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집하는 필터케이싱과;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싱과 상호 연통되게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고 저부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헤드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케이싱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헤드의 저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구간의 저부영역에 이물질이 하향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흡입관과; 상기 관통공의 저부영역에 상기 관통공과 상호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이 외부에 대해 차단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흡입유로중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업라이트 진공청소기{UPRIGHT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유로중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11)과, 본체케이싱(11)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저부영역에 흡입구(22)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헤드(21)와, 본체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1)와, 흡입펌프(31)의 흡입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흡입펌프(31)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33)와, 필터부재(33)의 둘레에 배치되어 필터부재(33)에 의해 차단된 이물질을 내부에 수집하는 필터케이싱(35)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케이싱(11)은 흡입헤드(21)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본체케이싱(11)의 상부 일측에는 본체케이싱(11) 및 흡입헤드(21)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상향 연장된 손잡이(13)가 구비되어 있다.
흡입헤드(21)의 저부에 형성된 흡입구(22)에는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일단이 필터케이싱(35)의 유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흡입관(25)의 타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이 흡입관(25)은 가요성을가지며 흡입구(22)와의 결합영역으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본체케이싱(11)의 하측 영역까지 연장된 수평구간(26a)과, 본체케이싱(11)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향 연장되는 수직구간(26b)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펌프(31)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구(22)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의 흡입이 개시되고, 유체와 함께 흡입구(22)로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관(25)을 통해 필터케이싱(35)으로 유입된다. 필터케이싱(35)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필터부재(33)에 의해 차단되어 필터케이싱(35)의 내부에 수집되고, 유체는 필터부재(33)를 통과하여 흡입펌프(31)를 경유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유체와 함께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이물질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이물질은 수직구간(26b)을 따라 상향 유동하여 필터케이싱(35)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낙하되어 흡입관(25)의 내부 수평구간(26a)에 잔류하게 되어 청소시 이상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평구간(26a)의 내부에 이물질이 지속적으로 잔류되어 퇴적될 경우 미생물 및/또는 세균 등이 서식하게 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등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입유로중에 이물질이 잔류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이물질수집부영역의 분리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케이싱21 : 흡입헤드
22 : 흡입구25 : 흡입관
26a : 수평구간26b : 수직구간
27 : 관통공28 : 결합부
41 : 이물질수집통42 : 함몰수용부
43 : 통지지부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집하는 필터케이싱과;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싱과 상호 연통되게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고 저부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헤드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케이싱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헤드의 저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구간의 저부영역에 이물질이 하향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흡입관과; 상기 관통공의 저부영역에 상기 관통공과 상호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이 외부에 대해 차단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상기 흡입헤드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의 연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구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상기 관통공과 상호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흡입관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수집통인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이물질수집부영역의 분리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11)과, 본체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31)와, 본체케이싱(11)의 상부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케이싱(35)과, 필터케이싱(35)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펌프(31)로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부재(33)와, 본체케이싱(11)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흡입헤드(21)와, 일단이 흡입헤드(21)의 흡입구(22)에 연결되고 타단이 필터케이싱(35)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관(25)과, 흡입관(25)의 하측에 상호 연통되게 배치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집통(4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흡입헤드(21)의 저부영역에는 외부로부터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22)의 일측에는 이물질수집통(4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함몰된 함몰수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수용부(42)의 저부영역에는 이물질수집통(4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통지지부재(4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흡입구(22)에는 흡입관(25)의 일단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흡입관(25)은 내부에 흡입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가지는 관상부재로 형성되어 흡입헤드(21) 및 본체케이싱(11)의 내부에 수평구간(26a) 및 수직구간(26b)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수평구간(26a)과 수직구간(26b)의 경계영역에는 이물질이 하향유동될 수 있도록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7)의 연부에는 이물질수집통(4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고리형상을 가지고 하향연장된 결합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물질수집통(41)은 관통공(27)으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펌프(31)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헤드(21)의 내부로 흡입구(22)를 통해 유체 및 이물질이 흡입된다. 흡입된 유체와 이물질은 흡입관(25)의 수평구간(26a)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이물질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이물질은 관통공(27)을 통해 이물질수집통(41)의 내부로 낙하하여 수용된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 및 유체는 수직구간(26b)을 따라 상향 유동하여 필터케이싱(35)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물질은 필터부재(33)에 의해 차단되어 필터케이싱(35)의 내부에 수집된다. 필터부재(33)를 통과한 유체는 흡입펌프(31)를 경유하여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기간이 경과하게 되어 이물질수집통(41)에 수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통지지부재(43)를 흡입헤드(21)로부터 분리하여 함몰수용부(42)가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부(28)에 결합된 이물질수집통(41)을 분리해내고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제거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21)의 저부영역에는 흡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구(22)에는 일단이 필터케이싱(35)의 흡입측에 연결된 흡입관(25)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흡입관(25)은 가요성을 가지고 흡입헤드(21) 및 본체케이싱(11)의 내부에 수평구간(26a) 및 수직구간(26b)을 가지도록 수용배치되어 있으며, 수평구간(26a) 및 수직구간(26b)의 경계영역에는 이물질이 하향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흡입헤드(21)의 내부 관통공(27)영역에는 흡입관(25)의 관통공(27)을 통해 배출된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물질수집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물질수집부(45)의 저부영역에는 이물질수집부(45)의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46)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46)의 연부에는 배출구(4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구개폐부재(47)가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펌프(31)에 전원이 인가되면 흡입구(22)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체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유체와 함께 흡입된 이물질은 흡입관(25)의 수평구간(26a) 및 수직구간(26b)을 따라 유동하여 필터케이싱(35)의 내부로 유입되고, 필터부재(33)에 의해 차단되어 필터케이싱(35)의 내부에 수집된다.
한편, 이물질중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이물질은 수직구간(26b)을 따라 상향 유동되지 못하고 관통공(27)을 통해 이물질수집부(45)의 내부로 낙하하여 이물질수집부(45)의 내부에 수집된다. 이물질수집부(45)의 내부에 수집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때는 저부에 형성된 배출구개폐부재(47)를 개방하여 제거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유로의 일측에 하향개구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의 하측에 관통공과 상호 연통된 이물질수집부를 마련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이물질이 필터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고 흡입유로중에 퇴적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펌프와; 상기 흡입펌프의 흡입측에 상호 연통되게 결합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집하는 필터케이싱과; 상기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어 이물질이 상기 흡입펌프로 흡입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본체케이싱과 상호 연통되게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측에 결합되고 저부에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헤드와; 일단이 상기 흡입구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터케이싱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내부에 유체의 흡입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흡입헤드의 저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수평구간의 저부영역에 이물질이 하향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흡입관과; 상기 관통공의 저부영역에 상기 관통공과 상호 연통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이 외부에 대해 차단되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이물질을 수용하는 이물질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상기 흡입헤드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내부에 수용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의 연부에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구개폐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수집부는 상기 관통공과 상호 연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상기 흡입관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물질수집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1020000070914A 2000-11-27 2000-11-27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20020041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914A KR20020041143A (ko) 2000-11-27 2000-11-27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914A KR20020041143A (ko) 2000-11-27 2000-11-27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143A true KR20020041143A (ko) 2002-06-01

Family

ID=1970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914A KR20020041143A (ko) 2000-11-27 2000-11-27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11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0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3711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진공청소기
KR100444322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37369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250077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377015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RU2336800C1 (ru) Пылесос и пылеот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KR100688613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4999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장치
KR20040099980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
KR20030072059A (ko) 진공청소기
KR20070061643A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가지는 진공 청소기
KR20020072741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800655B1 (ko) 건식 및 습식 이중필터방식 진공청소기
KR100442388B1 (ko) 진공청소기의 자동 먼지수거 장치
KR10066264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20041143A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
KR100840890B1 (ko) 집진 용기
KR20180131853A (ko) 절삭유 흡입청소기의 액체회수 및 배수장치
KR101250079B1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닛
KR100593619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714491B1 (ko) 진공청소기용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KR100595230B1 (ko) 싸이클론 집진장치
KR100759918B1 (ko) 수분 및 먼지가 다단 분리되는 진공청소기
KR20020034299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