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711A -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 Google Patents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711A
KR20020040711A KR1020020019593A KR20020019593A KR20020040711A KR 20020040711 A KR20020040711 A KR 20020040711A KR 1020020019593 A KR1020020019593 A KR 1020020019593A KR 20020019593 A KR20020019593 A KR 20020019593A KR 20020040711 A KR20020040711 A KR 20020040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eadset
sound
ear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명진
박은주
Original Assignee
배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명진 filed Critical 배명진
Priority to KR102002001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711A/ko
Publication of KR20020040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7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셋(headset)에서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 없이 통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평소에 말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자신이 듣는 소리가 타인이 듣는 것에 비해 부드럽고 울림이 있는 저음으로 느끼게 된다. 대표적인 예로 자신의 목소리를 자연 상태에서 들을 때와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녹음된 목소리를 들을 때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사람이 평소에 말을 하면서 자신이 느끼는 소리와 타인이 느끼는 소리는 다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람 귀의 구조적 특성에서 착안하여 귀의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하여 들리는 목소리가 입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를 통과해 들리는 목소리에 비해 부드럽고 울림이 있는 저음으로 들리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깨끗한 통화음질을 보장할 수 있다. 기존의 헤드셋(headset)은 입에서 들리는 목소리를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통해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귀에 대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귀의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하여 들리는 목소리를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방법은 입 앞에 있는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를 통해서가 아니라 귀에 삽입하거나 댈 수 있도록 제작된 송화기 내장형 마이크 이어폰을 통해서 귀의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과해서 들리는 목소리를 직접 채집하여 전달함으로서 일반전화, 핸드폰, 헤드셋(headset) 등의 모든 통화방식에 적용하면 주변 환경의 소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는 깨끗한 통화 음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완벽한 핸즈프리(Hands Fre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A method of speaking without microphone in headset}
본 발명은 헤드셋을 이용한 인터넷통화, 일반전화, 핸드폰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법으로 귀에서 나는 소리를 통화음질로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므로 음성통신 기술분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헤드셋이나 핸드폰 이어폰은 도 2와 같이 귀에 대고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이어폰과 입에서 나오는 목소리를 전달하는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방식은 주변 잡음 환경에 많은 간섭을 받아 통화음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큰소리로 통화를 하게 되어 주변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헤드셋을 이용하여 노출형 마이크로폰(microphone) 없이 통화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 몸의 청각 기관인 귀는 크게 외이, 중이, 내이로 구성되어있다. 말초청각기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외이는 귓바퀴와 외이도로 이루어져있다. 이 외이도는 약 2.5cm 길이의 귓바퀴에서부터 고막까지 이르는 통로로 기능은 단순히 소리를 전달하는 통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공명기의 역할을 하여 소리가 더 크게 들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사람 귀의 특성원리를 이용하여 귀에서 들리는 소리를 통화음질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 개략도
도 2는 기존의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헤드셋(headset)의 형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한 해드폰(headphone)를 사용한 가상도
본 발명에서 제안한 헤드셋의 일측은 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과 또다른 일측은 송화기 기능을 하는 내장형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원리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102표시된 영역은 컴퓨터, 전화기. 휴대폰 등의 통신 음향장비를 통해 출력되는 상대방의 목소리를 수화기 기능을 하는 이어폰을 통해서 화자에게 전달하고, 도 1에서 101표시된 영역은 화자가 말하는 목소리를 귀의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과해서 나오는 목소리를 해드셋 일측의 송화기 기능을 하는 내장형 마이크로 채집하여 상대방이 들을 수 있도록 전달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헤드폰은 첨부한 도 3과 같이 한쪽은 이어폰 수화기 기능을 하는 일반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은 송화기 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형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헤드폰은 별도의 노출형 마이크로폰 장치없이 헤드폰에 내장된 마이크를 통해 주변환경의 잡음 영향을 받지 않고 귀의 외이도의공명통로를 통과해서 들리는 목소리를 채집하여 상대방에게 들려주는 역할을 한다. 음성신호를 음향기기에 입력할 수 있는 헤드폰 장치, 이어폰 형태로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입 앞에 있는 마이크를 통해서가 아니라 귀를 통해 들리는 소리를 직접 채집하여 전달함으로서 주변 환경의 소음에 전혀 간섭을 받지 않고 부드럽고 깨끗한 통화 음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귀를 통해 나오는 소리를 전달하므로 작은 목소리로도 정확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므로 지하철이나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없이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을 이용하여 통신을 할 때 마이크와 이어폰을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이어폰을 양쪽 귀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두개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완벽한 핸즈프리의 개념을 도입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전화기의 송수화기 사이즈를 송화기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핸드폰에 적용하면 플립형의 경우 커버를 펼치지 않고 그대로 귀에다 갖다대어도 통화가 가능하므로 휴대폰의 사이즈를 현재의 반 정도로 축소시킬 수 있다.

Claims (1)

  1. 음향장치에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부착 헤드셋 장치에 있어서, 헤드셋의 일측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기를 장착하고, 헤드셋의 다른 일측에는 귀의 외이도에 위치하며, 상기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음파를 수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장착하여, 별도의 노출형 마이크 장치없이 음성신호를 음향기기에 입력할 수 있는 헤드셋 장치이고, 음향장치에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부착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이어폰의 일측에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화기를 장착하고, 이어폰의 다른 일측에는 귀의 외이도에 위치하여 상기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하며 전달되는 음파를 수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장착하여, 별도의 노출형 마이크 장치 없이 음성신호를 음향기기에 입력할 수 있는 이어폰 장치 즉, 음향장치에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마이크 부착 이어폰 장치에 있어서,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의 일부에 외이도의 공명통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음파를 수집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장치.
KR1020020019593A 2002-04-10 2002-04-10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KR20020040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93A KR20020040711A (ko) 2002-04-10 2002-04-10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593A KR20020040711A (ko) 2002-04-10 2002-04-10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711A true KR20020040711A (ko) 2002-05-30

Family

ID=1972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593A KR20020040711A (ko) 2002-04-10 2002-04-10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7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65247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bone-conducting amplifier
JP4541111B2 (ja) 骨伝導スピーカの使用方法及び骨伝導受話装置の使用方法
US6671379B2 (en) Ear microphone apparatus and method
CN110915238B (zh) 语音清晰度增强系统
US20110158420A1 (en) Stand-alone ear bud for active noise reduction
CN105637892B (zh) 用于在收听音频的同时辅助对话的系统和耳机
US20050018838A1 (e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isolating in-ear driver
JP2008283326A (ja) イヤホーンマイク
WO2007086360A1 (ja) 発振・エコーキャンセラーシステム
Tikander et al. An augmented reality audio headset
US9654855B2 (en) Self-voice occlusion mitigation in headsets
US20050107130A1 (en) Telephone silent conversing (TSC) system
CN101437190B (zh) 具有助听功能的耳机
TW202013986A (zh) 主動抗噪式的耳內麥克風
KR101092957B1 (ko) 마이크로폰
KR100809549B1 (ko) 보청기 겸용 무선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JP2004504785A (ja) オーディオヘッドセット
KR20140055716A (ko)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KR200426390Y1 (ko) 마이크를 구비하는 이어폰
WO2015074694A1 (en) A method of operating a hearing system for conducting telephone calls and a corresponding hearing system
JPS59500744A (ja) オト−ラリンジエアル通信システム
KR101023467B1 (ko) 이어마이크폰
KR20020040711A (ko) 헤드셋(headset)에서 마이크로폰 없이 통화하는 방식
JPH06189388A (ja) イヤーセット型送受話器
KR20040003096A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