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225A -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225A
KR20020040225A KR1020000070207A KR20000070207A KR20020040225A KR 20020040225 A KR20020040225 A KR 20020040225A KR 1020000070207 A KR1020000070207 A KR 1020000070207A KR 20000070207 A KR20000070207 A KR 20000070207A KR 20020040225 A KR20020040225 A KR 2002004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eams
sector
sector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0007B1 (ko
Inventor
이종헌
최영래
이상준
윤종철
이상연
이우승
Original Assignee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남,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정남
Priority to KR102000007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007B1/ko
Priority to CN 01804044 priority patent/CN1227835C/zh
Priority to EP01997908A priority patent/EP1336260A4/en
Priority to PCT/KR2001/002031 priority patent/WO2002043278A1/en
Priority to AU23152/02A priority patent/AU783735B2/en
Priority to JP2002544884A priority patent/JP4043361B2/ja
Publication of KR2002004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지국을 통해 출력되는 다중 빔을 n개의 섹터로 분류하여 서비스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내의 m개의 안테나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빔을 각각 방향이 상이한 m개의 빔으로 생성하는 n개의 다중 빔 성형 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 빔 성형기 모듈과; 다중 빔 성형기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m×n)개의 빔을 (m×n)/2개의 빔으로 합성하는 180°커플러 모듈과; 180°커플러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빔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모듈과; 스위치 모듈을 통해 스위칭되는 빔이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180°위상 천이기 모듈과; 빔의 진폭 및 위상 특성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합성기 모듈을 포함하고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의 각 섹터의 통화량 균형을 구현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측면에서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으며, 빔을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스위치의 수를 줄여 높은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APPARATUS FOR DISTRIBUTING A MULTI BEAM IN A MOBILE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빔 분산/합성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섹터의 통화량 분포에 따라 가변적으로 섹터의 서비스 영역을 조절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시스템내의 이동 통신 기지국은 옴니(omni) 기지국과 섹터(sector) 기지국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거의 대부분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섹터 기지국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섹터 기지국의 경우, 3섹터 또는 6섹터로 구성되어 있는데, 현재 CDMA 기지국의 경우는 3섹터 기지국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3섹터 기지국의 경우, 고정된 빔 폭을 가진 안테나를 사용하여 각각의 섹터가 고정된 영역을 서비스하고 있는 바, 각 섹터가 관할하고 있는 영역의 통화량 분포가 불균형한 상태이어서 최대의 통화량을 갖는 섹터를 기준으로 주파수 자원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통화량이 많지 않은 섹터는 주파수 자원의 활용 효율이 낮아질 소지가 있으며, 통화량이 집중된 섹터에는 무선 채널 이용 효율이 줄어들고 커버리지(coverage)가 축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비스 효율 저하 및 주파수 자원 관리/유지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한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의 고정 3섹터 기지국을 적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통화량 분포가 바뀌었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바, 즉, 섹터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철탑 위에 설치된 안테나의 방향을 운용자가 직접 변경해야 하는 바, 관리 측면에서 매우 번거롭고 위험할 뿐만 아니라 그 작업 시간에 있어서도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6개의 적응빔을 이용하여 각 섹터의 통화량 분포에 따라 섹터 빔의 크기와 방향을 가변시켜 기지국의 각 섹터의 통화량 균형과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지국을 통해 출력되는 다중 빔을 n개의 섹터로 분류하여 서비스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에 있어서, 이동 통신 시스템내의 m개의 안테나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빔을 각각 방향이 상이한 m개의 빔으로 생성하는 n개의 다중 빔 성형 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 빔 성형기 모듈과; 다중 빔 성형기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m×n)개의 빔을 (m×n)/2개의 빔으로 합성하는 180°커플러 모듈과; 180°커플러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빔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모듈과; 스위치 모듈을 통해 스위칭되는 빔이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180°위상 천이기 모듈과; 빔의 진폭 및 위상 특성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합성기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의 스위칭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적응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 다중빔 형성기 모듈
104 : 180°커플러 모듈
106 : 스위치 모듈
108 : 180°위상 천이기 모듈
110 : 합성기 모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는 3개의 섹터 구조로 구성되며, 한 섹터 당 4개(총 12개)의 다중화 빔을 생성하는 것을 전제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12개의 다중화된 빔들을 6개의 빔으로 재 생성하여 통화량 분포에 따라 적응적으로 합성/분산시키는 것을 전제하였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적응 빔은 총 6개의 빔으로 분포되며, 이러한 6개의 적응 빔을 이용하여 섹터의 방향 및 빔 폭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의 구성 블록도로서,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 180°커플러 모듈(104), 스위치 모듈(106), 180°위상 천이기 모듈(108) 및 합성기 모듈(11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은 도시 생략된 안테나로부터 제공되는 빔을 각각 방향이 상이한 12개의 빔으로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내에는 섹터 개수에 대응하는 다중 빔 성형 수단이 구비되는 바, 하나의 다중 빔 성형 수단으로부터 생성되는 4개의 빔을 후술하는 180°커플러 모듈(104)로 제공하는 것이다.
180°커플러 모듈(104)은 상술한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로부터 생성되는 12개의 빔을 6개의 빔으로 합성하여 출력한다. 즉, 180°커플러 모듈(104)은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로부터 생성되는 12개의 빔으로부터 2개의 빔을 1개의 빔으로 합성함으로써, 6개의 빔으로 재 생성하는 것이다. 또한, 180°커플러 모듈(104)은 3개의 섹터 중 자기 섹터 및 타 섹터, 즉, 하나의 다중 빔 성형 수단에 대응하는 섹터와 대응하지 않는 섹터로 빔이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모듈(106)은 이러한 180°커플러 모듈(104)을 통해 제공되는 빔을 스위칭함으로써, 다중 빔이 각 섹터에서 적응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180°위상 천이기 모듈(108)은 상술한 스위치 모듈(106)을 통해 스위칭되는 빔이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180°위상 천이기 모듈(108)은 타 섹터의 적응 빔이 자기 섹터로 합성될 때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것이다.
합성기 모듈(110)은 빔의 진폭 및 위상 특성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합성기 모듈(110)은 예컨대, 4-way 합성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중 빔 성형기 모듈(102)로부터 합성기 모듈(110)까지의 모든 경로의 진폭 및 위상 특성이 일치되도록 조정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는, 6개의 적응 빔을 이용하여 각 섹터의 통화량 분포에 따라 섹터 빔의 크기와 방향을 가변시켜 무선 채널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술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에 기술하는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지국의 각 섹터의 통화량 균형을 구현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 측면에서 안정성과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빔을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스위치의 수를 줄여 높은 안정성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지국을 통해 출력되는 다중 빔을 n개의 섹터로 분류하여 서비스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내의 m개의 안테나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 빔을 각각 방향이 상이한 m개의 빔으로 생성하는 n개의 다중 빔 성형 수단으로 구성되는, 다중 빔 성형기 모듈과;
    상기 다중 빔 성형기 모듈로부터 생성되는 (m×n)개의 빔을 (m×n)/2개의 빔으로 합성하는 180°커플러 모듈과;
    상기 180°커플러 모듈을 통해 제공되는 빔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모듈과;
    상기 스위치 모듈을 통해 스위칭되는 빔이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180°위상 천이기 모듈과;
    상기 빔의 진폭 및 위상 특성이 일치되도록 조정하는 합성기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80°커플러 모듈은 상기 n개의 섹터 중 자기 섹터 및 타 섹터로 상기 빔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듈은 상기 다중 빔이 상기 n개의 섹터에서 적응적으로 선택되도록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80°위상 천이기 모듈은 상기 타 섹터의 적응 빔이 자기 섹터로 합성될 때 보강 합성되도록 위상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KR1020000070207A 2000-11-24 2000-11-2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KR100360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07A KR100360007B1 (ko) 2000-11-24 2000-11-2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CN 01804044 CN1227835C (zh) 2000-11-24 2001-11-24 移动通信系统分配/组合多波束的装置
EP01997908A EP1336260A4 (en) 2000-11-24 2001-11-24 APPARATUS FOR DISTRIBUTING / COMBINING A MULTI-BEA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1/002031 WO2002043278A1 (en) 2000-11-24 2001-11-24 Apparatus for distributing/combining a multi-bea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3152/02A AU783735B2 (en) 2000-11-24 2001-11-24 Apparatus for distributing/combining a multi-bea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2544884A JP4043361B2 (ja) 2000-11-24 2001-11-24 移動通信システムの多重ビーム分散/合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07A KR100360007B1 (ko) 2000-11-24 2000-11-2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25A true KR20020040225A (ko) 2002-05-30
KR100360007B1 KR100360007B1 (ko) 2002-11-07

Family

ID=1970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207A KR100360007B1 (ko) 2000-11-24 2000-11-24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0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675B1 (ko) * 2000-12-08 2006-01-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멀티빔 제어를 위한 기지국 운용장치 및 방법
WO2010095820A2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격리부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131B1 (ko) * 2001-12-04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다중 빔 합성 및 분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675B1 (ko) * 2000-12-08 2006-01-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멀티빔 제어를 위한 기지국 운용장치 및 방법
WO2010095820A2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격리부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
WO2010095820A3 (ko) * 2009-02-17 2010-11-1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격리부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
KR101051911B1 (ko) * 2009-02-17 2011-07-26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메타머티리얼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격리부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0007B1 (ko) 200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5230A (en) Embedded digital beam switching
US6181276B1 (en) Sector shaping transition system and method
US6252548B1 (en) Transceiver arrangement for a smart antenna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5771017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US5596329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US200401669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cell interference using advanced antenna radiation pattern control
US5576717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US5714957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US5666123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US6289221B1 (en)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CN102760975A (zh) 一种基站天线和基站
CN1227835C (zh) 移动通信系统分配/组合多波束的装置
CN103840865A (zh) 一种支持多种网络制式的智能天线设备
JP2000082991A (ja) 無線基地局の出力側においてデ―タ中継を実行するセルラ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デ―タ中継デバイス
US5570098A (e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KR10036000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KR10036000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복합 분산/합성 장치
AU760005B2 (en) Apparatus for forming beam in a base s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1997041704A1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converting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
CN1220340C (zh) 估算移动通信系统的多扇区天线系统中话务量的设备
Bobor-Oyibo et al. A multiple switched beam Smart antenna with beam shaping for dynamic optimisation of capacity & cover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20100004022A1 (en) Method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
KR10036000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다중 빔 분산/합성 장치
CN1310451C (zh) 非智能天线基站升级为智能天线基站方法及基带处理系统
Mao et al. Bandwidth-Based Admission Control Using Antenna Arrays under Ideal Power Control for Cellular CDMA Systems Supporting Heterogeneous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