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791A -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791A
KR20020039791A KR1020000069604A KR20000069604A KR20020039791A KR 20020039791 A KR20020039791 A KR 20020039791A KR 1020000069604 A KR1020000069604 A KR 1020000069604A KR 20000069604 A KR20000069604 A KR 20000069604A KR 20020039791 A KR20020039791 A KR 20020039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ata
request
video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종
Original Assignee
유길종
주식회사 캐스트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길종, 주식회사 캐스트나인 filed Critical 유길종
Priority to KR1020000069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9791A/ko
Publication of KR20020039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79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요청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레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는 데이터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제작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Method for generating Image Content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영상 컨텐츠의 생성 및 업로드가 이루어지도록 한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시대의 발전에 따라 사회는 계속 변화하고 발전하였으며, 사회속에서 활용되는 도구들 또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통신 분야에 있어서도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으며, 음성의 교환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교환도 빈번히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데이터의 교환에서 대표적인 것이 인터넷인데, 인터넷은 웹의 등장과 함께 폭발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웹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들의 종류는 나날이 늘어갈 수 밖에 없었다. 멀티미디어 정보의 교류가 가능한 웹 환경에서 기업들의 광고가 등장하였고, 이러한 웹 환경에서의 광고는 기업의 광고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에게 있어서는 대표적 수익 모델이 되었다.
이러한 웹 환경을 일반인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또한 발전을 거듭하였는데, 1940년대에 컴퓨터가 최초로 등장한 이후, 컴퓨터는 소형화, 고성능화의 길을 꾸준히 걸었다.
이와 같이 발달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람들은 여러가지 작업에 활용을 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동영상의 제작 및 동영상 정보의 이용이다. 특히, 상기한 것처럼 통신의 발달에 따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동영상 정보를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동영상 분야는 상기한 것처럼 인터넷 웹 환경에서 폭넓게 나타나고 있는 광고에도 당연히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영상 및 동영상 생성에 관한 종래의 특허 출원된 기술을 살펴보면, 동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출원번호 10-1993-017208), 비디오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기록방법 및 재생 방법(10-1998-015402), 동영상 기반 영상/음향 동기화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10-1998-055169), 컴퓨터를 이용한 애니메이션영화 제작방법(10-2000-010093),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10-2000-023515), 가상연출자에 의한 자동연출형 동영상 제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 생방송 방법(10-2000-025249), 동영상 메일링 방법(10-2000-010672) 등이 있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동영상 정보, 동영상 광고 등의 영상 컨텐츠가 폭넓게 이용되고 교류하고 있으면서도 일반적인 사용자들이 이러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영상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들이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으로, 일반 사용자들은 동영상을 하나제작하기 위해서 동영상 제작 기법을 배우는데도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비용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사용자에 의해 제작된 동영상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해 서버에 올리고 관리할 수 있는데, 이때 동영상의 제작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이용법의 이해, 서버에 사용자의 동영상 자료 올리기 등 일반인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어, 실제 네트워크 환경이나 컴퓨터 시스템의 발달에 비해 일반적인 사용자들의 동영상 생성 및 활용이 활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의 간단한 요청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고 처리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및 도 1b 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면의 일예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i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서버 12 : 데이터 통신망
13 : 클라이언트 15 : 무선통신 단말기
16 : 기지국 17 : 통신망
18 : 서버 21 : 입력부
22 : 중앙제어부 23 : 출력부
24 : 저장부 25 : 망 접속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레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는 데이터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레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1 기능;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는 데이터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 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활용된다.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지만, 이러한 동영상 및 영상컨텐츠의 제작에 있어서 동영상 자료의 획득 및 완성된 동영상의 전달에 있어 네트워크 시스템을 무시할 수는 없다.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널리 생활화되고 있는 인터넷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는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서버와 인터넷망 그리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한 가정의 컴퓨터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개적 네트워크 상에서는 정확한 정보 또는 검색 엔진의 도움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방대한 정보, 쓸모 없는 정보를 접하기 쉬우며, 정보의 노출 또한 쉽다.
둘째는, 자체 네트워크 개념이다. 이는 공공 기반 및 다목적의 인터넷과 달리 특정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폐쇄적인 네트워크의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단일목적으로 사용됨으로 해서 해당 분야에서의 이용이 손쉽고, 특정 컴퓨터를 묶어 네트워크화하므로 트래픽이나 보안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조직이나 목적 위주로 특화되어 있어 해당 분야에서의 활용에 유리하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버(11), 데이터 통신망(12) 및 클라이언트(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해 도 1a 에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서버(11)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로, 필요한 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실제의 구성은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와 같을수도 있고, 서버를 위한 중대형 컴퓨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데이터 통신망(12)은 인터넷 등과 같이 컴퓨터나 정보통신기기의 연결을 통해 데이터의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통칭한다.
클라이언트(13)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컴퓨터나 정보통신기기를 말하며,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12)에 연결하고 서버(11)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13)를 일반적인 PC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현재, 텔레비전을 이용하는 인터넷 TV 방식도 점차 보편화되고 있고, 해당 서비스만을 위한 특정한 단말이 이전부터 널리 쓰이고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b 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시도로써,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짐을 설명하고 있다.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선 통신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망 상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일 예를 도 1b 를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통신 단말기(15), 기지국(16), 통신망(17) 및 서버(18)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데이터 통신은 시대의 변화ㆍ발전에 따라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전까지의 무선 통신 서비스 제공사별로 독자적인 데이터 통신망 접속이 점차 왑(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의 표준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WAP 외에도 에치디엠엘(HDML : 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에스에치디엠엘(SHDML) 등을 이용하는 방식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의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는데, 특히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본 정보의 입수및 완성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여러 역할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교류가 가능한 이유는 상기한 것처럼 점점 많은 사용자들이 컴퓨터,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도 1a 및 도 1b 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유ㆍ무선 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시스템에서 본 발명이 활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유선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무선의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는, 도 1a 및 도 1b 에 제시된 서버(11, 18)와 클라이언트(13)에 쓰일 수 있다. 또한, 도 1b 에 제시된 무선통신 단말기(15)에도 쓰일 수 있는데, 구성이 도 2 와 조금 차이가 날 수도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도 2 에서 설명하는 컴퓨터는 네트워크 환경을 기준으로 한 것이지만, 이러한 환경이 아닌 네트워크와의 연결이 배제된 컴퓨터 상에서도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컴퓨터를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워크스테이션, 중대형 컴퓨터 등에 상관없이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터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는, 입력부(21), 중앙 제어부(22), 출력부(23), 저장부(24) 및 망 접속부(25)를 포함한다.
입력부(21)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으며, 중앙제어부(CPU : Central Process Unit, 22)는 컴퓨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 관리하고, 요청에 따라 연산을 수행한다. 출력부(23)는 모니터, 프린터 등으로 중앙 제어부(22)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데이터를 출력하고, 저장부(24)는 중앙 제어부(22)의 요청에 따라 메모리, 하드디스크, 집드라이브 등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망 접속부(25)는 네트워크와 컴퓨터의 연결을 담당하며, 실질적으로 중앙 제어부(22)와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용하는 화면의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은 누구나 동영상 그리고 관련 부가정보를 쉽고 간단하게 편집하여 영상 컨텐츠(Contents)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인터넷에서 바로 방송할 수 있도록 하거나, 이를 위한 서버에 전달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주 간단하고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가 이용하여 몇번의 마우스 클릭만으로 자신의 동영상과 부가정보를 활용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고, 이렇게 만들어진 자신의 동영상을 바로 확인하여, 마음에 들 경우 웹 서버에 동영상 데이터까지 업로드 시켜준다. 또한, 부가정보적인 텍스트 자료인 캡션 데이터(Caption data)와 이미지, 버튼 등을 동영상과 쉽게 동기화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능버튼 모음창(31), 데이터 편집창(32), 동영상 미리보기 창(33)을 포함하며, 기능버튼 모음창(31)에는 동영상 레코딩 버튼(311), 이미지(Image) 삽입 버튼(312), 캡션(Caption) 삽입 버튼(313) 및 동영상 미리보기(Preview) 버튼(314)을 구비하며, 동영상 미리보기 창(33)의 한 측부에는 업로드(Upload) 버튼(34)을 구비한다.
기능버튼 모음창(31)은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이 모여있는 부분으로, 동영상 레코딩 버튼(311)은 사용자의 컴퓨터에 달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바로 동영상을 레코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버튼이다. 여기에서 레코딩된 동영상은 바로 아래있는 데이터 편집창(32)에 보여지게 된다.
도면에서 보여지는 예와 달리 동영상을 카메라 촬영을 통하지 않고 기존의 동영상 데이터를 불러들여 이용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방식으로 처리하여 영상 컨텐츠 제작을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삽입 버튼(312), 캡션 삽입 버튼(313)은 레코딩된 동영상과 동기화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 버튼이다. 해당버튼을 누르면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데, 추가된 데이터는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데이터 편집창에 화면에 표시될 시간과 함께 나타난다.
동영상 미리보기 버튼(314)은 우측에 동영상 미리보기 창(33)에 현재까지 만든 동영상이 보여지게 한다. 물론 캡션 데이터(Caption data)와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가 동기화되어 보여지게 된다.
데이터 편집 창(32)은 기능버튼으로 만들어진 데이터가 보여지는 곳이다. 이곳에서 각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도 가능하다. 또한, 드래그앤드롭(Drag & Drop)을 이용하여 각 데이터간의 위치변경도 할 수 있다.
동영상 미리보기 창(33)은 사용자 자신이 제작한 동영상을 미리보고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재편집을 하고 마음에 들 경우에는 우측하단에 위치한 업로드(Upload) 버튼(34)을 누르면 지정된 웹 서버로 자동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은, 기존에 이용되고 있는 동영상 제작 방식들이 모두 전문가 기준으로 제시되어 일반 사용자들은 동영상을 하나 제작하기 위해서 제작 프로그램을 배우는 데만 한달 이상 투자하여야 했던 것에 반해 누구든지 바로 동영상을 제작하여 서비스까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웹 서버에 자동으로 동영상을 업로드하여 줌으로써 인터넷 방송을 하기위해 알아야 하는 많은 관련지식들을 습득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보다 특수한 기법을 사용한 동영상을 원한다면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동영상만 제작한 후,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불러들여 사용하면 된다. 이 경우도 자동 업로드 기능 덕에 별도의 인력이나 기술이 필요없게 된다.
여기서 자동 업로드 기능이란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의 업로드 세팅을 사전에 설정하여 사용자의 업로드 버튼 클릭만으로도 사용자의 영상컨텐츠를 서버로 업로드시킬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레코딩 요청을 받는다(401).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동영상 레코딩을 수행하고(402), 레코딩된 동영상의 정보를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한다(403). 동영상은 사용자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는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작업을 수행할수도 있다.
제시된 정보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한다(404). 이때, 부가정보에는 동영상에 삽입될 수 있는 이미지 정보, 캡션 정보 등이 있다.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 처리 요청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부가정보 삽입 요청인지를 판단한다(405).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부가정보 삽입 요청인지를 판단한 결과, 부가정보 삽입 요청이면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존에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해당 부가정보를 삽입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영상 정보 및 삽입된 부가 정보 등을 제시한다(406). 사용자에게 동영상 정보 및 삽입된 부가 정보 등을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한 다음에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하는 과정(404)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이 부가정보 삽입 요청인지를 판단한 결과, 부가정보 삽입 요청이 아니면 부가정보 변경 요청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된 레코딩된 동영상의 정보와 부가정보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수행한다(407).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정 및 변경된 정보를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한 다음에는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하는 과정(404)부터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수정 및 변경은 데이터 편집창에서의 위치 변경, 해당 부가 정보 삭제, 캡션 내용의 수정 등이 있다.
사용자로부터 부가 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부가정보 처리 요청이 없으면, 대기하다가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에 대한 미리보기 요청을 받는다(408).
컴퓨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된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미리보기로 제공하고(409), 그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응답을 받아, 동영상 레코딩을 재요청 받았는지를 확인한다(410).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의 레코딩을 재요청 받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의 레코딩을 재요청 받았으면, 디지털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을 레코딩하는 과정(4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의 레코딩을 재요청 받았는지를 확인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동영상의 레코딩을 재요청 받지 않았으면,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다(411).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는 사용자가 제작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에 올려 공개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받지 않았으면, 사용자로부터 부가정보 처리 요청이 있는지를 점검하는 과정(404)부터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를 통해 부가정보 처리 또는 영상 컨텐츠의 미리보기 등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받았으면, 기설정된 해당 서버로 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다(412). 물론 사용자의 설정을 받도록 할 수도 있다. 기설정된 해당 서버라는 것은 영상 컨텐츠를 공개하기 위한 특정 서버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해당 서버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대해 정리하면, 우선 동영상을 레코딩하고, 레코딩된 동영상에 캡션 정보 및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여 영상 컨텐츠를 만들며, 만들어진 영상 컨텐츠를 미리보기로 살펴본 후, 사용자가 만족하면 데이터 업로드를 하게 되며, 사용자가 만족하지 않으면 동영상 레코딩 과정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물론, 특정한 작업 과정부터 다시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의 획득을 디지털 카메라를 통한 레코딩으로 얻고 있으나 그외에 다른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도 5a 내지 도 5i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은 사용자가 손쉽게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도 4 에서 제시하는 것처럼동영상 데이터와 삽입할 이미지/캡쳐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창에 올리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완성된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여 서버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i 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이용을 요청받는다(501).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는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에이에스피(ASP : Application Service Provide)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이용을 사용자로부터 요청받는 컴퓨터(또는 서버, 이하 컴퓨터로 통일)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고(502), 사용자로부터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다(503).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의 처리 요청을 분석하여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다(504).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동영상 데이터 불러오기를 요청받았으면, 사용자가 동영상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불러오기 메뉴를 제공하고(505), 사용자로부터 불러오고자 하는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받는다(506). 이때, 동영상 데이터는 생성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에서 기준이자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이미지나 캡션을 삽입하여 완성된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동영상을 바탕으로 영상 컨텐츠를 생성한다. 이와 달리 여러 동영상을 연결하고, 여기에 이미지나 캡션을 삽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
컴퓨터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창에 올려 사용자에게 제시한다(507). 이때, 동영상 데이터의 지속 시간을 그래프 등으로 표시하여 이후에 이미지나 캡션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한다. 단순히 동영상 데이터에 지속 시간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창에 올려 사용자에게 제시한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이는 상기한 도 4 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동영상 데이터 불러오기를 처리한 후에 다시 도 4 와 같은 화면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동영상 레코딩을 선택받았으면 컴퓨터는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가 준비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508). 여기서, 카메라의 준비라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컴퓨터가 디지털 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동영상 데이터로 만들 수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컴퓨터에 연결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특정 카메라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뿐만 아니라, 전원 처리 등 동영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상황이 되었는가를 점검하는 것이다.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가 준비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 준비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09),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가 준비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동영상 레코딩을 위한 카메라가 준비되어 있으면, 동영상 레코딩이 준비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10),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미리보기 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511).
사용자로부터 레코딩 시작과 끝을 요청받아 해당 구간의 동영상을 생성하고(512), 레코딩된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창에 올려 사용자에게 제시한다(513). 그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이미지 삽입을 요청받았으면,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다(514). 이는 동영상 데이터가 있는 상황에서 이미지 삽입을 위한 것으로 이와 달리 영상 컨텐츠를 만들고자 하는 데이터를 순서없이 데이터 편집창에 올린 뒤 사용자의 편집 요청에 따라 이를 정리할 수도 있다.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지 않으면, 이미지 삽입의 대상인 동영상 데이터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15),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으면, 사용자에게 이미지 불러오기 창을 제공하여(516), 사용자로부터 삽입하고자 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받고(517), 선택된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게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미지 삽입 위치 및 지속시간 결정을 요청한다(518).
이러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결정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이미지를 삽입하고 삽입 지속 시간을 표기한다(519). 그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캡션 삽입을 요청받았으면,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다(520).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지 않으면, 캡션 삽입의 대상인 동영상 데이터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21),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가 올라와 있으면, 사용자에게 캡션 편집 창을 제공하여(522), 사용자로부터 삽입하고자 하는 캡션 정보를 입력받고(523), 입력된 캡션 데이터에 대해 사용자에게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어 있는 동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캡션 삽입 위치 및 지속시간 결정을 요청한다(524).
이러한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결정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캡션을 삽입하고 삽입 지속 시간을 표기한다(525). 그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데이터 편집을 요청받았으면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삽입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삽입 캡션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526). 이는 상기한 것처럼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에 이미지나 캡션을 삽입하여 영상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검이 뒤따른다. 그러나, 다수의 동영상 데이터를 불러와서 편집할 수 있는 경우에는 2 이상에 데이터가 데이터 편집창에 있으면 데이터 편집이 가능하다.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삽입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삽입 캡션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해당 데이터들이 제시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데이터 편집 대상이 없음을 통보하고(527),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데이터 편집창에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삽입 이미지 데이터 또는 삽입 캡션 데이터가 제시되어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데이터 편집창에 해당 데이터들이 제시되어 있으면, 사용자로부터 편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받고(528),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는다(529).
컴퓨터는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받았는지를 판단한다(530).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받았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를 데이터 편집창에서 삭제하고(531),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해당 데이터의 삭제를 요청받지 않았으면,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동을 요청받았는지를 검사한다(532).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동을 요청받았는지를 검사한 결과, 삽입 위치 이동을 요청받았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의 삽입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533),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위치 이동을 요청받았는지를 검사한 결과, 삽입 위치 이동을 요청받지 않았으면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 변경을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다(534).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 변경을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 결과, 해당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 변경을 요청받았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을 사용자가 요청하는 시간으로 변경 처리하고(535),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로부터 해당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 변경을 요청받았는지를 분석한 결과, 해당 데이터의 삽입 지속시간 변경을 요청받지 않았으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이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명령어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처리 불가의 명령임을 통보하고(536),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미리보기를 요청받았으면 데이터 편집창에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점검한다(537).
데이터 편집창에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편집중인 데이터가 없으면 편집중인 영상 컨텐츠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38),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데이터 편집창에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어 있는 동영상, 이미지/캡션 등을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서 조합하고(539), 조합된 영상 컨텐츠를 미리보기 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540). 미리보기 창을 통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한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의 업로드를 요청받았으면, 데이터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541).
데이터 편집창에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한 결과, 편집중인 데이터가 없으면 편집중인 영상 컨텐츠가 없음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542),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데이터 편집창에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는지를 점검한 결과, 편집중인 데이터가 있으면 기설정되어 있는 영상컨텐츠 업로드 서버로 데이터 편집창에 있는 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다(543). 물론 이때도 각각의 데이터를 하나의 영상 컨텐츠로 조합한 다음 업로드를 하게 된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컴퓨터가 사용자로부터 어떤 처리 요청을 받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사용자로부터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 요청을 받았으면,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통보하고 이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여 사용자로부터 응답을 받는다(544).
컴퓨터는 사용자의 응답을 검사하여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원하는지를 판단한다(545).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원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원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영상 컨텐츠 제작 메뉴를 제공하는 과정(502)부터 반복 수행한다.
사용자가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원하는지를 판단한 결과,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종료를 원하면,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 창을 닫아 영상 컨텐츠 제작 서비스를 종료한다(546).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 및 영상 컨텐츠의 사용을 일반적 초보자들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코딩된 동영상 데이터와 사용자가 원하는 캡션 데이터 및 이미지 데이터를 병합 또는 삽입을 사용자의 입장에서 손쉽게 해결되도록 동기화 처리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적인 영상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얻어진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초보자들도 자신의 영상 컨텐츠를 독창적으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컴퓨터 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레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2 단계;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는 데이터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난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아 영상 컨텐츠 제공을 위한 서버로 업로드하는 제 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미지 삽입 요청에 따라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화면 표시 시간과 함께 제시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캡션 삽입 요청에 따라 해당 캡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고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화면 표시 시간과 함께 제시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난 동영상 정보, 삽입 이미지 정보 및 캡션 정보 등의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정하는 제 5 단계;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난 영상 컨텐츠의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정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는 동영상 정보, 삽입 이미지 정보 및 캡션 정보 등의 영상 컨텐츠 정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 변경을 수행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편집창은,
    상기 영상 컨텐츠를 사용자의 요청대로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6.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레코딩된 동영상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1 기능;
    상기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부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와 동기화하여 상기 데이터 편집창을 통해 제시하는 제 2 기능;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제시되는 데이터의 변경을 수행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데이터 편집창에 나타나는 영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69604A 2000-11-22 2000-11-22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KR20020039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04A KR20020039791A (ko) 2000-11-22 2000-11-22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604A KR20020039791A (ko) 2000-11-22 2000-11-22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791A true KR20020039791A (ko) 2002-05-30

Family

ID=1970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604A KR20020039791A (ko) 2000-11-22 2000-11-22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979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448A1 (en) * 2002-10-15 2004-04-29 Research And Industrial Corporation Group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s preferences
WO2014039880A1 (en) * 2012-09-07 2014-03-13 Google Inc. Providing content item manipulation actions on an upload web page of the content item
US8725562B2 (en) 2007-03-30 2014-05-13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Keyword advertisement using ranking of advertiser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944A (ja) * 1996-05-21 1997-12-02 Canon Inc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および文書編集システム
KR20000036730A (ko) * 2000-03-27 2000-07-05 유동화 인터넷 브라우져를 이용한 그래픽 디자인 방법과 과정
KR20000037218A (ko) * 2000-04-12 2000-07-05 박진숙 네트워크를 이용한 셀프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8637A (ko) * 2000-06-21 2000-10-05 정의섭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944A (ja) * 1996-05-21 1997-12-02 Canon Inc 画像編集装置、画像編集方法および文書編集システム
KR20000036730A (ko) * 2000-03-27 2000-07-05 유동화 인터넷 브라우져를 이용한 그래픽 디자인 방법과 과정
KR20000037218A (ko) * 2000-04-12 2000-07-05 박진숙 네트워크를 이용한 셀프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8637A (ko) * 2000-06-21 2000-10-05 정의섭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6448A1 (en) * 2002-10-15 2004-04-29 Research And Industrial Corporation Group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s preferences
US7657563B2 (en) 2002-10-15 2010-02-02 Research And Industrial Corporation Group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a multimedia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s preferences
US8725562B2 (en) 2007-03-30 2014-05-13 Nhn Business Platform Corporation Keyword advertisement using ranking of advertisers
WO2014039880A1 (en) * 2012-09-07 2014-03-13 Google Inc. Providing content item manipulation actions on an upload web page of the content item
US9514785B2 (en) 2012-09-07 2016-12-06 Google Inc. Providing content item manipulation actions on an upload web page of the content i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141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tributed video editing
JP4643888B2 (ja) マルチメディア協調作業システム、そのクライアント/サーバ、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10491935B2 (en) Movie advertising placement optimization based on behavior and content analysis
US8353406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reating a video clip
JP3449671B2 (ja) 個人用映画プレゼンテーションおよび個人用映画コレクションの作成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2355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on of multimedia presentations
EP1999953B1 (en) Embedded metadata in a media presentation
USRE45594E1 (en) Network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interactive video and multi-media containers
US20020120939A1 (en) Webcasting system and method
US20030097301A1 (en) Method for exchange information based on computer network
US20150244758A1 (en) Slice-and-stitch approach to editing media (video or audio) for multimedia online presentations
EP1969447A2 (en) System and methods for storing, editing, and sharing digital video
AU2013204289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ng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JP2008293219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リンク情報生成方法、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リンク情報生成プログラム、及びリンク情報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901997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iewing content
JP2005277847A (ja) 画像再生システム、画像送信装置、画像受信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210124906A (ko) 영상정보 획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54715A (ko) 인터넷상의 동영상컨텐츠 서비스시스템과 그 방법, 및동영상파일의 생성 및 전송방법과 그 기록매체
JP20051966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162164B2 (ja) 動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動画像配信方法
KR20020039791A (ko) 영상 컨텐츠 생성 방법
WO2003025816A1 (en)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KR20000049833A (ko)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동영상 앨범 제작 방법
JP464056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292902B2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及びコンテンツ編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