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845A -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845A
KR20020038845A KR1020000068695A KR20000068695A KR20020038845A KR 20020038845 A KR20020038845 A KR 20020038845A KR 1020000068695 A KR1020000068695 A KR 1020000068695A KR 20000068695 A KR20000068695 A KR 20000068695A KR 20020038845 A KR20020038845 A KR 20020038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lder
support member
elastic support
hold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0250B1 (ko
Inventor
서민석
최인호
홍삼열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250B1/ko
Priority to US09/903,655 priority patent/US6801483B2/en
Publication of KR20020038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2Details of sprung suppo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 특히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가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접속된 일단과 일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렌즈홀더의 타측에 접속된 일단과 타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 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지지부재 및 제 2탄성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는 인장 및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대물렌즈를 취부하고 있는 렌즈홀더의 틸팅 구동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한 쌍의 댐퍼홀더, 상기 댐퍼홀더와 렌즈홀더 사이에서 상기 렌즈홀더에 소정의 길이 만큼 인장되고 원래대로 복구되는 탄성지지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렌즈홀더의 병진운동뿐 만 아니라, 탄젠셜 및 레디얼 방향의 틸팅운동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다축구동 액츄에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actuator for tilting drive}
본 발명은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크의 데이터를 추종하는 대물렌즈가 취부된 렌즈홀더의 병진 모드와 틸팅 모드로의 가동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관련 디스크 매체의 급속한 발전으로 광디스크의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광 픽업의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대물렌즈로부터의 집광된 광빔을 광디스크의 회전에 따른 광디스크의 면진동과 편심등에 대하여 광스폿(spot)을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의 중심을 추종하도록 하는 대물렌즈 구동장치가 광 픽업과 함께 구동된다.
이러한 대물렌즈 구동장치는 광 픽업 액츄에이터(Acatuator)라 하며 대물렌즈가 포커싱(Focusing)과 트랙킹(Tracking) 동작을 하도록 구동한다. 포커싱 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 스폿(spot)이 광디스크의 신호트랙에서 초점심도 내에 들도록 대물렌즈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것이고, 트랙킹 동작은 대물렌즈로부터의 광빔의 광스폿이 광디스크의 신호 트랙을 중심을 추종하도록 좌우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원판형상의 디스크 트랙 위치는 제조상의 오차 및 변형, 회전에 따른 진동, 광 픽업 자체의 오차등에 의해서 광 픽업에 상대적으로 변동하게 되므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 디스크에 가장 가까운 대물렌즈를 전기적인 신호로 구동하는 특수한 기구물인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움직이게 된다.
일반적인 광 픽업 액츄에이터는 코일과 마그네트를 이용하여,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마그네트 간의 전자기력에 의해서 대물렌즈를 움직이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 픽업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101)가 중심부에 취부되고 외주 면으로 트랙킹 및 포커싱을 위한 코일(105,106)이 결합된 렌즈홀더(lens holder,102)와, 상기 렌즈홀더(102)의 양측으로 자기회로 구성을 위해 설치된 마그네트(magnet,103) 및 요크(Yoke,104)와, 렌즈홀더(102)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렌즈홀더(102)의 상, 하고정기판(108)에 일단이 고정된 상, 하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wire suspension,107)과, 상기 렌즈홀더(102)의 일측에 마련되어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이 고정된 댐퍼홀더(109)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광 픽업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물렌즈(101)는 렌즈홀더(102)에 취부되며, 렌즈홀더(102)에는 둘레면에 포커싱을 위해 포커싱 코일(105)이 권선 되고, 트랙킹을 위해 각 코너면에 서로 적정방향으로 권선된 트랙킹 코일(106)이 부착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렌즈홀더(102)의 좌, 우측으로는 강자성체 재질의 구조물인 복수개의 요크(104)가 돌출되어 마그네트(103)를 각각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요크(104)는 픽업 베이스(미도시)와 일체화 수단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홀더(102)의 상, 하부 측면 중심부에는 고정기판(108)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고정기판(108)에는 2개가 평행한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일단이 납땜되고,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은 렌즈홀더(102)의 일측에 마련된 댐퍼홀더(109)를 통해서 메인기판에 고정된다.
여기서, 댐퍼홀더(109) 내부에는 강성을 갖는 와이어 서스펜션(107)을 감쇠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댐퍼(미도시)가 결합되고, 외측으로 메인기판(미도시)이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서스펜션(107)의 타단이 납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와이어 서스펜션(107)은 상기 렌즈홀더(102)를 부상시키며, 전류를 공급하는 중계선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렌즈홀더(102)에 부착된 트랙킹 코일(106)은 서로 적당한 방향으로 감겨있어 이에 전류가 흐를 때 정해진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고, 이는 고정되어 있는 마그네트(103)와 전자기력에 의해서 반발력 및 척력이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반발력 및 척력에 의해서 렌즈홀더(102)의 움직임이 트랙킹 방향(전, 후)으로 움직임으로써, 트랙킹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트랙킹서보가 동작한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106)은 트랙킹 코일과는 다르게 수직 방향으로 권선되어, 전류가 흐를 때 자속의 방향이 상, 하 방향으로 발생하여, 고정된 마그네트(103)의 자속과 전자기적으로 작용하여 코일(105)에 수직방향으로 힘을 발생하게 됨으로써, 렌즈홀더(102)가 포커싱 방향(상, 하)으로 움직이게 되어 이를 보정하기 위한 포커싱 서보가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렌즈홀더(102)의 외주 면에 코일(105,106)이 감겨져 렌즈홀더(102)와 함께 코일이 트랙킹 및 포커싱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무빙(moving) 코일 방식이라고 하며, 이와는 반대로 렌즈홀더의 외주 면에 마그네트가 부착되어 렌즈홀더와 함께 마그네트가 이동하는 것을 무빙 마그네트 방식이라고 한다. 이때의 마그네트와 코일에 의한 무빙방식은 플레밍 왼손 법칙의 로렌쯔 힘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고밀도의 디스크에 대응하여 기록된 정보를 읽고 쓰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방식으로는 충분한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디스크의 용량이 증가하면서 디스크에 형성된 트랙의 단위 길이당 기록되는 데이터가 늘어나며, 또 디스크에 형성된 트랙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기존의 기록밀도에서는 트랙 자체의 폭이 다음 트랙과의 간격이 픽업 자체의 이동과 액츄에이터의 렌즈 이동만으로 충분히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었으나(도 2a,2b), 고밀도화된 디스크 포맷에서는 기존 액츄에이터로 데이터를 정확하게 액세스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도 2c,2d).
이를 위해서는 도 3과 같이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가 탄젠셜 방향과 레디얼 방향으로 틸트 구동이 가능하다면, 고밀도화된 디스크 포맷에서의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이는 도 4와 같이 반사경(111)을 통해 반사된 레이저 빔이 대물렌즈(101)에 의해 광디스크의 반사면에 정확하게 투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틸트 성분을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렌즈홀더(102)의 가동 방식에 의한 틸트성분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액츄에이터가 트랙킹 및 포커싱 방향의 병진운동과 더블어, 레디얼(radial: X축 회전모드) 및 탄젠셜(tangential: Y축 회전모드) 방향의 틸팅(Tilting) 운동 모드로 동작을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구조에서는 틸트 운동모드로는 동작이 불가능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자계 구조(마그네트와 코일) 및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107)으로 이루어진 액츄에이터에서는 렌즈홀더(102)가 트랙킹 및 포커싱 방향의 병진운동은 용이하나, 틸팅운동 모드로는 동작하지 못한다.
만약, 도 1과 같은 자계구조의 변경으로 렌즈홀더가 틸팅 운동모드로 구동한다 하더라도 평행한 복수개의 와이어 서스펜션이 서로 다른 와이어 서스펜션의 자유도를 구속하게 되므로, 구동감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대물렌즈가 취부되는 렌즈홀더의 병진운동 및 틸팅운동 모드로의 가동을 지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댐퍼홀더, 상기 댐퍼홀더와 렌즈홀더의 사이에 평행한 좌, 우측 한 쌍의 탄성지지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탄성지지부재 자신이 렌즈홀더의 가동에 따라 변형되어 인장되고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홀더의 병진운동과 더블어 틸팅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의 (a)(b)는 종래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개략적인 평면 및 정면도.
도 2의 (a~d)는 종래 디스크가 고밀도화 될수록 종래 렌즈홀더의 제어방식에의한 데이터 추종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렌즈홀더의 각도 기울임에 의한 디스크의 데이터 추종을 보여주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액츄에이터에 의한 디스크의 틸트각 보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탄성지지부재의 상세 구성도.
도 7의 (a)(b)는 본 발명 액츄에이터에 의한 렌즈홀더의 포커싱 모드를 정면에서 보인 개념도.
도 8의 (a)(b)는 본 발명 액츄에이터에 의한 렌즈홀더의 트래킹 모드를 평면에서 보인 개념도.
도 9의 (a)(b)는 본 발명 액츄에이터에 의한 렌즈홀더의 탄젠셜 틸팅 모드를 측면에서 보인 개념도.
도 10의 (a)(b)는 본 발명 액츄에이터에 의한 렌즈홀더의 레디얼 틸팅 모드를 정면에서 보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301,501... 대물렌즈102,302,502... 렌즈홀더
103,303,503... 마그네트104,304,504... 요크
105,305,505... 트랙킹 코일106,306,506... 포커싱 코일
107...와이어 서스펜션108... 고정기판
313,513...메인기판 109,307,308,507,508...댐퍼홀더
309,310,509,510...탄성지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가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접속된 일단과 일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렌즈홀더의 타측에 접속된 일단과 타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 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지지부재 및 제 2탄성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는 인장 및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는,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가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접속된 일단과 일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렌즈홀더의 타측에 접속된 일단과 타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 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제 2탄성지지부재는 인장 및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장 및 수축부는 S자 형상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탄성지지부재의 상세 구성도이며, 도 7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각 운동모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심부에 대물렌즈(301)를 갖고 좌, 우측면 각각에 복수개의 마그네트(303)가 설치된 렌즈홀더(302)와; 상기 렌즈홀더(302)의 좌, 우측에 트랙킹 및 포커싱을 위한 코일(305,306)이 각각 설치된 요크(304)와; 상기 렌즈홀더(302)의 외측에 배치된 한 쌍의 댐퍼홀더(307,308)와, 상기 한 쌍의 댐퍼홀더(307,308)와 상기 렌즈홀더(302)의 좌,우측면에 복수개가 설치된 제 1 및 제 2 탄성지지부재(309,310)로 구성된다.
그리고, 댐퍼홀더(307,308)는 렌즈홀더(302)의 좌,우측에 한 쌍이 서로 대향하는 구조이며,
상기 제 1탄성지지부재(309)는 좌측 댐퍼홀더(307)에 설치된 메인기판(313)의 상,하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렌즈홀더(302)의 좌측 상,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 2탄성지지부재(310)는 우측 댐퍼홀더(308)에 설치된 메인기판(313)의 상,하부에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렌즈홀더(302)의 우측 상,하면에 각각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309,310)는 전도성 판 스프링(Leaf Spring)으로서, 댐퍼홀더(307,308)에 연결된 제 1지지부(309a,310a)와, 렌즈홀더(302)에 연결된 제 2지지부(309b,310b)와, 상기 제 1지지부(309a,309b)와 제 2지지부(309b,310b) 사이에서 프레스 가공된 S자 형상의 인장 및 수축부(309c,310c)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일측 댐퍼홀더(507)와 렌즈홀더(502) 사이에서 렌즈홀더의 가동시 인장 및 수축되는 인장 및 수축부(509c,510c)를 갖는 제 1탄성지지부재(509)와, 타측 댐퍼홀더(508)와 렌즈홀더(502)의 상,하부에 제 2탄성지지부재(510)를 연결시킨 구조이다. 미 설명 부호 320,520은 픽업 베이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홀더(302)의 중심부에는 대물렌즈(301)가 취부되고, 그 좌, 우측면에는 복수개의 마그네트(303)가 분할되어 설치되며, 렌즈홀더(302)의 좌, 우측에 상기 마그네트(303)와 대향하는 요크(304)에는 포커싱코일(305)과 트랙킹코일(306)이 각각 권선되어 있다.
그리고, 렌즈홀더(302)의 가동을 지지하는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309,310)는 렌즈홀더(302)의 좌,우측면과 한 쌍의 댐퍼홀더(307,308)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309,310)는 도전성 판 스프링 재질로 하고, 댐퍼홀더(307,308)에 연결된 제 1지지부(309a,310a), 렌즈홀더(302)에 연결된 제 2지지부(309b,310b), 이들의 움직임에 자유도를 주기 위해 인장 및 수축부(309c,310c)가 S자 형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지지부(309a,310a)(309b,310b) 사이에 프레스 가공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309,310)의 제 1지지부(309a,310a)를 중심으로 제 2지지부(309b,310b)가 인장 및 수축부(309c,310c)의 변형에 따라 렌즈홀더(302)의 트랙킹 방향, 포커싱 방향, 탄젠셜 및 레디얼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연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탄성 지지부재(309,310)는 렌즈홀더(302)를 포커싱 및 트랙킹 방향의 병진운동과 더불어 탄젠셜 방향과 레디얼 방향으로의 틸팅 운동에 대해 구동 자유도를 준다.
도 7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도 7의 (a)(b)는 포커싱 서보에 의한 렌즈홀더(302)의 포커싱 방향(Z축 방향; up,down)으로의 가동을 정면에서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a)(b)는 트랙킹 서보에 의한 렌즈홀더(302)의 트랙킹 방향(Y축 방향)으로의 가동을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의 (a)(b)는 틸트 서보에 의한 렌즈홀더(302)의 레디얼 방향으로의 틸팅 모드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의 (a)(b)는 렌즈홀더(302)의 탄젠셜 방향으로의 틸팅 운동 모드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구동 자유도를 통해서 렌즈홀더(302)가 가동할 경우 제 1 및 제 2탄성 지지부재(309)(310)의 인장 및 수축부(309c)(310c)가 변형되면서 인장되고 가동 완료 후에는 다시 원래의 형태대로 복원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액츄에이터의 자기회로 구조는 4 개로 분할된 포커싱 코일과 한 쌍의 트랙킹 코일(306)을 포함하며, 4 개로 분할된 포커싱 코일(305)에 인가되는 전류비를 제어함으로써 레디얼 방향 및 탄젠셜 방향으로의 구동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홀더(302)를 잡아주는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309,310)가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씩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여, 렌즈홀더(302)의 측면과 이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댐퍼홀더(307,308)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홀더(302)의 가동시 이를 지지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서, 본 발명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제 1 및제 2탄성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그네트와 코일에 의한 자기회로의 구성에 의한 렌즈홀더의 각 운동모드로의 가동은 도 5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렌즈홀더(502)의 좌측변과 상기 렌즈홀더(502)의 일측 댐퍼홀더(507)에 연결되는 제 1탄성지지부재(509)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 및 수축부를 마련하고, 렌즈홀더(502)의 타측변과 상기 렌즈홀더(502)의 타측 댐퍼홀더(508)에 연결되는 제 2탄성지지부재(510)에는 인장 및 수축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렌즈홀더(502)의 가동시 제 1탄성지지부재(509)의 인장 및 수축부가 렌즈홀더(502)의 모든 가동에 대해 충분한 구동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홀더(502)의 트랙킹 및 포커싱 방향으로의 병진운동과 레디얼 및 탄젠셀 방향으로 틸팅 운동이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는, 렌즈홀더를 한 쌍의 댐퍼홀더와 두 쌍의 탄성지지부재로 지지하는 한편, 두 쌍의 탄성지지부재가 인장되고 원 상태로 복원됨으로써, 트랙킹 및 포커싱 방향과 틸팅 방향으로 다축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고밀도화된 디스크의 데이터를 보다 정확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렌즈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가 렌즈홀더의 포커싱, 트랙킹, 레디얼, 탄젠셜 각 방향으로의 구동을 위한 전자기계의 전원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가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접속된 일단과 일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렌즈홀더의 타측에 접속된 일단과 타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제 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탄성지지부재 및 제 2탄성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는 인장 및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2. 대물렌즈를 포함하는 렌즈홀더와, 상기 렌즈홀더를 가동시키는 코일 및 마그네트와, 상기 렌즈홀더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단을 포함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렌즈홀더의 일측에 접속된 일단과 일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 하나 이상의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상기 렌즈홀더의 타측에 접속된 일단과 타측 고정단에 접속된 타단을 갖는제 2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탄성지지부재 및 제 2탄성지지부재는 인장 및 수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및 수축부는 S자 형상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탄성지지부재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0-2000-0068695A 2000-07-13 2000-11-18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00370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95A KR100370250B1 (ko) 2000-11-18 2000-11-18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US09/903,655 US6801483B2 (en) 2000-07-13 2001-07-13 Optical pickup actuator performable tilting op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695A KR100370250B1 (ko) 2000-11-18 2000-11-18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845A true KR20020038845A (ko) 2002-05-24
KR100370250B1 KR100370250B1 (ko) 2003-01-30

Family

ID=1969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695A KR100370250B1 (ko) 2000-07-13 2000-11-18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14B1 (ko) * 2002-08-09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지지구조
US7310289B2 (en) 2003-09-18 2007-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optical pickup of an optical disk driv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14B1 (ko) * 2002-08-09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픽업 액츄에이터 지지구조
US7310289B2 (en) 2003-09-18 2007-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ctuator for optical pickup of an optical disk driv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0250B1 (ko) 200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4103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US6801483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performable tilting operation
JP3791914B2 (ja) 光ピックアップアクチュエータの3軸駆動装置
KR100370250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4108434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光ピックアップ装置ならびに光ディスク装置
EP1500088A1 (en) Read/write head for optical disk drive and optical disk drive comprising such a read/write head
KR10056991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699603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KR100361498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1005482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렌즈 돌출형 액츄에이터
KR100601457B1 (ko) 액츄에이터 장치
KR10036435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JP2897090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JPS6076039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403083B1 (ko) 틸팅 구동이 가능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569922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20020006828A (ko) 전자석을 이용한 다축구동 액츄에이터 및 틸트 제어방법
KR970002938Y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KR100569919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569921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KR100569932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 장치
KR100329999B1 (ko)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장치
KR20030021356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지지구조
KR20050114931A (ko) 액츄에이터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H11273104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光ヘッド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