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8565A - Clothing with cups - Google Patents

Clothing with cup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8565A
KR20020038565A KR1020017011059A KR20017011059A KR20020038565A KR 20020038565 A KR20020038565 A KR 20020038565A KR 1020017011059 A KR1020017011059 A KR 1020017011059A KR 20017011059 A KR20017011059 A KR 20017011059A KR 20020038565 A KR20020038565 A KR 2002003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ase
female
coup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10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토마코토
키무라란페이
야마우치히로미
사카키슈지
하니다야스시
오츠보마사아키
사카모토마사노리
쿠도겐
히루타토루
후쿠모토테루오
히이라기노부에
Original Assignee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카모토 요시카타, 와코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카모토 요시카타
Publication of KR2002003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56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41C3/128Stay means using specif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6Shoulder-strap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1/00Corsets or girdles
    • A41C1/06Corsets or girdles with brassi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71Brassieres with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cu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8Brassieres combined with othe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7/00Bathing gowns; Swim-suits, drawers, or trunks; Beach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5/00Shoulder or like straps
    • A41F15/002Shoulder or like straps separable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바스트 둘레가장자리 위치에서 좌우의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고, 토대부의 분리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요의 강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결합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컵부에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피결합부를 암수 결합하여 컵부를 토대부에 착탈가능한 연결 구성으로 하고 있다.Separate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and the base 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ust, attach a frame with a wire made of a resin that retains the required rigidity and flexibility along the edge of the base of the base part, and integrate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frame with the wire. On the other hand, the to-be-coupled part is provided, the to-be-coupled part is male-to-female, and the cup par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part.

Description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CLOTHING WITH CUPS}Clothing holding a cup part {CLOTHING WITH CUPS}

종래, 이 종의 컵부와 토대부가 분리되고,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브래지어 등의 파운데이션으로서, 파스너, 기모상 걸림부가 설치된 면파스너(소위, 매직테이프), 끈으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하기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foundation of a bra or the like, in which a cup part and a base part of this kind are separated and detachably connected, a fastener, a surface fastener (so-called magic tape) provided with a napping-like fastening part, and a connecting means consisting of a string Is proposed.

즉, 일본 실용신안공고 소47-9943호 공보의 브래지어에서는 컵부와 토대부의 양쪽 분리위치에 따라서 세공을 보유하는 장식부를 설치하고, 양자의 세공에 탄성선형상을 삽입하여 양자를 결합하고 있다.That is, in the bra of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47-9943, a decorative part for holding pores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both separation positions of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and an elastic linear shape is inserted into both pores to join them.

또, 일본 특허공개 평8-158111호 공부의 브래지어에서는, 컵부와 토대부의 양쪽 분리위치에 따라서 기모상 걸림부가 설치된 암수 면파스너를 설치하여, 양자를 접촉하여 걸어서 연결하고 있다.In the bra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8-158111, a male and female surface fastener provided with a napping part in accordance with both separation positions of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is provided, and both are contacted and connected.

또한, 미국특허 3425420호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C)와 토대부(S)의 양쪽 분리위치에 따라서 파스너(F)를 설치하고 있다.In addition, in US Pat. No. 3,425,420, the fastener F is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separation positions of the cup portion C and the base portion S, as shown in FIG.

상기한 종래 제안되고 있는 결합수단은, 모두 하기의 문제가 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ly proposed coupling means have all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제1의 끈(탄성 선형상)을 세공에 통과시켜 가는 결합수단에서는, 끈을 세공에 차례로 삽입하여 가는 부착작업이 매우 번잡하고, 또 결합강도가 약하며, 게다가 피부측에 끈이 군데군데 접촉하여 착용감이 나쁜 결점이 있다.That is, in the joining means for passing the first string (elastic linear shape) through the pores, the attaching work for inserting the strings into the pores in turn is very complicated, and the bonding strength is weak, and the string is located on the skin side. There is a drawback of poor fit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2의 면파스너에서는 결합강도는 약하여 벗겨지기 쉽고, 또 면파스너끼리가 꼭맞게 접합되지 않고 어긋남이 발생하며, 면파스너가 피부에 접촉하면 기모걸림부가 피부를 자극하여 착용감이 나쁜 것으로 된다.In the second surface fastener, the bonding strength is weak and easily peeled off, and the surface fasteners are not properly bonded to each other, and a misalignment occurs. When the surface fastener contacts the skin, the napping part irritates the skin, resulting in poor fit.

제3의 파스너의 경우, 원호형상으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고, 걸림편의 맞물림이 벗겨지기 쉬워 자연히 열리는 일이 있고, 결합강도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third fastener, it must be arranged in an arc shape, the engagement of the engaging pieces is easily peeled off, and naturally opens, and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bonding strength.

또, 컵부와 토대부의 분리위치는, 통상 와이어를 삽입하는 가장자리라인이지만, 상기 끈, 면파스너, 파스너의 어느 것을 사용한 경우도 와이어에 상당하는 바스트의 보정기능은 없다. 상기 결합수단에 와이어를 더 첨가하면 결합부분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paration position of a cup part and a base part is an edge line which inserts a wire normally, even if any of the said string, a surface fastener, and a fastener is used, there is no correction function of a bust equivalent to a wire. If the wire is further added to the coupling means,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very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of thickening.

또한, 컵부의 사이즈와 토대부의 사이즈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지만, 상기 종래 제안되고 있는 모든 브래지어도, 컵부와 토대부의 결합부에 있어서의 사이즈에 대한 고려는 없고, 단지 컵부와 토대부가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는 이점은, 다른 디자인이나 좌우 다른 사이즈의 컵부를 토대부에 교체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점이기도 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ize of the cup portion and the size of the base portion are inseparably related, all the bras proposed in the related art have no consideration in the siz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only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can be separated. Only the configuration is disclosed. The advantage of separating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is that the cup parts of different designs or left and right sizes can be interchangeab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컵부가 토대부와 분리되어 있을 뿐이고, 토대부는 좌우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컵부의 좌우의 사이즈를 변경하여도 토대부가 동일하기 때문에 결합부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the above conventional example, the cup portion is only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integrally. Therefore, even if the siz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portion is changed, problems arise in the engaging portion because the base portion is the same.

또, 상기 종래예에서는, 토대부와 좌우 백부는 모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백부를 신축성의 강약이나 디자인, 좌우 백부의 물림쇠의 종류 등의 점에서 선택하고 싶은 경우에, 대응할수 없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xample, both the base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white portions are integrally provided, but it is not possible to select the white portion in terms of elastic strength and design, the kind of the chuck in the left and right white portion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결합강도, 결합시의 조작성, 착용감의 모든 점에서 만족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가 각각 자기의 기호에 따라서 그 디자인, 사이즈를 선택하여 스스로 교체가능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착용자의 그날 그날의 기분이나 겉옷과의 조화에 의한 코디네이트의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한 브래지어 등의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can be satisfied in all aspects of bonding strength, operability at the time of bonding, and wearing comfort, and the wearer can select the design and size according to his / her preference, and make it replaceable by themselves. The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clothing which holds cup parts, such as a bra, which can exp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coordinates by coordination with the mood and the outer garment of the wearer on that day.

본 발명은 브래지어, 보디슈트 등의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컵부와 토대부가 분리되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such as a bra, a body su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in which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separated and detachably connected.

도 1은 제1실시예의 브래지어의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ra of the first embodiment;

도 2의 (A)부분은 제1실시예의 브래지어를 피부측과 반대측에서 본 확대표면도, (B)부분은 조합상태의 표면도,Part (A) of FIG. 2 is an enlarged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first embodiment as seen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kin side, and part (B) is a surface view of the combined state;

도 3은 도 2의 (B)부분의 Ⅲ-Ⅲ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part (B) of FIG. 2;

도 4는 제2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4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4;

도 6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A)부분은 토대부의 일부 표면도, (B)부분은 토대부의 일부 이면도,6 show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part (A)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ase portion, (B) is a partial rear view of the base portion,

도 7은 도 6의 변형예의 브래지어에 있어서, 토대부와 컵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 of the modified example of FIG. 6 in which the base portion and the cup portion are coupled;

도 8은 제3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8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third embodiment;

도 9는 제3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컵부와 토대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combined state of the bra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0은 제4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10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11은 제4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컵부와 토대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combined state of the bra of the fourth embodiment;

도 12는 제5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12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fifth embodiment;

도 13은 제6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Fig. 13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sixth embodiment;

도 14는 제7실시예의 브래지어의 일부분해 표면도,14 is a partial surface view of the bra of the seventh embodiment;

도 15는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1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modification;

도 16은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도 17의 (A) 내지 (D)부분은 브래지어 이외의 의류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A) to (D) in Figure 17 is a view showing a case applied to the clothing other than a bra,

도 18은 종래예의 브래지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bra of the prior art examp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스트 둘레가장자리 위치에서 좌우의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고, 토대부의 분리단 가장자리에 따라서 소요 강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결합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컵부에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피결합부를 상기 결합부에 암수 결합하여 컵부를 토대부에 착탈가능한 연결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를 제공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t the circumferential edge position, and attach a frame lined with a wire made of a resin that retains the required rigidity and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separation end edge of the base portion, The coupling part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frame frame, and the coupling part is provided on the cup part, and the coupling pa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by male and female, so that the cup par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oundation. The clothing which holds a cup part is provided.

컵부와 토대부는 바스트 둘레가장자리, 바람직하게는 가장자리라인에 따라서 분리하고 있다. 또한, 반드시 가장자리라인을 따라서 분리할 필요는 없고, 바스트의 하부는 가장자리라인에 따르지만 양측에서는 겨드랑이측으로 약간 넓혀도 된다.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are separ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edge, preferably along the edge line.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 along an edge line, and although the lower part of a bust is along an edge line, you may be slightly extended to the armpit side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이, 분리한 토대부측에서는, 분리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유연성과 강성을 보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과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컵부와 토대부를 결합수단으로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이 와이어의 기능을 다하여, 바스트업의 보정기능을 손상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와이어상당 기능부재에 결합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parated base portion is attached to a frame with a wire formed of a resin having flexibility and rigidity along the edge of the separating end, the frame covered with the wire when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joined by a joining means. To fulfill the function of this wire, the bust up correction function is not impaired. In other words, the coupling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wire equivalent functional member.

상기 수지로서는 수지나 경질고무 등이 이용되고, 특히 열가소성의 폴리부틸텔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Resin, hard rubber, etc. are used as said resin, Especially thermoplastic polybutyl terephthalate is used preferably.

또, 컵부와 토대부에 설치하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암수(요철)결합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쉽게 벗겨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부와 피결합부의 어느 한쪽의 수(雄)측에는 선단에 머리부를 설치함과 아울러, 암(雌)측의 삽입구멍 내경을 상기 머리부 이하로 함으로써 머리부를 밀어넣어 삽입하면 확실히 결합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engaging part and the to-be-engaged part provided in a cup part and a base part are made into a male-female (uneven | corrugated) coupling shape, it can be detached easily and can also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eel easily. For example, if the head par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male part on either side of the engaging part and the part to be joined, and the inner part of the female insertion hole has an inner diameter of less than the head part, the head part is pushed in and inserted. Can be combined.

또한, 결합부를 수지성형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피부측을 편평한 평면상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드러운 수지를 이용하여 피부촉감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bonding portion is made of a resin molding, the skin side can be made flat, and the skin feel can be improved by using a soft resin.

이와 같이, 좌우 컵부와 토대부를 결합가능하게 함으로써 컵부와 토대부의 디자인이나 컬러를 바꾸어 개개인에 맞는 멋진 모양을 즐기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컵부를 분리하여 세탁하거나, 옷장에 정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여, 컵부의 형상을 오래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way, by allowing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and the base portion to be combin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esign and color of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nd enjoy a nice shape for each person. Moreover,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wash a cup part, to arrange it in a closet, and to keep shape of a cup part for a long time.

상기 토대부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은 수지제의 얇은 띠형상체로 형성하고,컵부의 분리단 가장자리에도 같은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결합부와 같이 피결합부을 가선을 두른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수지성형물끼리의 결합부와 피결합부에서 암수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rame covered with the curved line of the base portion is formed of a thin band made of resin, and the frame having the same curved line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separating end of the cup por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to-be-engaged part like a coupling part integrally with the wired frame, and to couple male-female at the coupling part and to-be-engaged part of resin moldings.

게다가, 이들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토대부 및 컵부의 분리단 가장자리의 대략 전체길이를 따라서 부착하고 있다.In addition, these frames are attach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edge of the separating end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up portion.

한편, 컵부측에서는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 대신에 분리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금속와이어나 수지와이어 등의 와이어 혹은 딱딱한 당포를 부착하고, 이들과는 별개로 피결합부를 부착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on the cup part side, instead of the frame covered with the wire, a metal wire, a wire such as a resin wire, or a hard sugar cloth may be attached along the edge of the separation end, and the to-be-engaged part may be attached separately from these.

상기 컵부로서, 다른 사이즈를 복수종류 설치하고, 이들 복수종류의 컵부는 토대부와의 분리부분을 동일형상으로 하고 있음과 동시에 동일한 결합부를 부착하여, 한종류의 토대부에 복수종류의 컵부를 연결할 수 있게 하고 있다.As the cup part,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up parts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parating part with the base part, and the same coupling part is attach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up parts to one kind of base part. It is possible.

구체적으로는, 사이즈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토대부는 예컨대 S, M, L의 3종류 정도로 하는 한편, 컵부는 토대부와 결합하는 부위는 토대부와 동일한 S, M, L의 3종류로 하는 한편 컵부의 볼륨은 더욱 변화를 가지게 하여 A, B, …G 등의 2종류 이상의 다종류를 설치하고 있다.Specifically,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nge in size, the base portion is made of about three types of S, M, L, for example, while the cup portion is made of three kinds of S, M, L which are the same as the base portion. The volume of the cup portion is further changed to A, B,. Two or more types of G, such as G, are provided.

이것은 토대부를 포함한 동체둘레 치수는, 백포에 신축성을 보유하는 소재를 사용하거나, 좌우 백부를 잠그는 뒷고리의 열을 많게 함으로써 사이즈 조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컵부에 비해 적은 사이즈수로 체형대응은 가능하다.The size of the body circumference including the base can be adjusted in size by using a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in the back cloth or by increasing the heat of the back ring that locks the left and right back parts. .

한편, 컵부는 컵사이즈에 의해서만 맞춤성이 결정되고, 또한 스트레치 레이스 등 신축성을 보유하는 소재로 컵부를 제작하면 형태유지성·조형성이 떨어지게된다. 그 결과, 신축성을 보유하지 않는 소재를 사용하여 작은 사이즈로 나눈 다종류의 컵부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형태유지성, 조형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up part is determined only by the cup size, and if the cup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tretch lace, the shape retaining property and molding are inferior. 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various kinds of cup portions divided into small sizes by using a material which does not have elasticity in terms of formability and molding.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른 사이즈의 컵부를 하나의 토대부에 대하여 연결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연결하는 분리부분의 형상은 동일형상으로 하고, 또한 동일한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o connect the cup parts of different sizes with respect to one base part, the shape of the separating part to connect is made the same shape, and the same engagement part and to-be-engaged part are provided.

물론, 토대부도 컵부와 마찬가지로, 많은 사이즈별 변화를 주어도 된다.As a matter of course, the base portion may also be subjected to many size-specific variations as with the cup portion.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전체길이에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암측 결합부는 선단개구의 소경구멍의 타단에 대경구멍을 연접한 형상으로 하는 한편, 수측 피결합부를 축부 선단에 머리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둘레방향 선단의 일단개구에서 상기 수측 피결합부의 축부를 암측 결합부의 소경구멍에 삽입함과 아울러 머리부를 대경구멍에 삽입하여, 분리위치에 따른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In the frame covered with the pair of wires, a coupling portion and a to-be-engaged portion for coupling the male and female to the entire length are provided, and the female-side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large diameter hol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tip opening. The head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haft, and at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end,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female coupling part and the head is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ho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osition. It is made to slide.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는 경우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분리시키고 있다.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they are separated by sli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 슬라이드 종료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암수 결합부를 체결하는 록수단을 길이방향의 단부 양쪽 혹은 어느 한쪽에 설치하여 두고, 한쪽에 설치하는 경우는 겨드랑이측 단부에 설치하고 있다.Moreover, in order to hold | maintain at the slide end position, the locking means which couples a female-female coupling part is provided in the both sides or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and when it installs in one side, it is provided in the armpit side edge part.

이와 같이, 암수 결합부는 그 양쪽을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설치하여 전체길이에서 결합시키면 안정된 결합이 가능함과 아울러, 결합하기 쉽고 벗겨지지 어려우며, 부분적인 요철이 없기 때문에 착용감도 좋고, 게다가 와이어의 기능도 하기 때문에 조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s are installed over the entire length to be combined at the full length, so that they can be securely coupled, and are easy to be peeled off and difficult to peel off. Therefore,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of shaping | molding.

한편, 어느 한쪽만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하고, 다른쪽은 그것보다 짧게 하여 암수 결합시켜도 좋다.On the other hand, only one side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length, and the other side may be shorter than that, and the male and female may be joined.

혹은,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암측 결합부는 선단개구의 소경구멍의 타단에 대경구멍을 연접한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둘레방향의 일단을 개구, 타단을 폐쇄하는 한편, 수측 피결합부를 축부 선단에 머리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여, 상기 암측 결합부의 둘레방향의 일단개구에서 상기 수측 피결합부의 축부를 암측 결합부의 소경구멍에 삽입함과 아울러 머리부를 대경구멍에 삽입하여, 타단 폐쇄부까지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수측 피결합부가 폐쇄부까지 달하면 이들 암수 결합부에 형성한 요철부가 끼워맞추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Alternatively, the pair of stranded frames are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and a to-be-engaged part that partially engage the male and femal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emale side engaging part has a shape in which the large diameter hole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tip opening. In addition, the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clos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while the male to-be-engaged portion has a shape in which a hea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haft portion, and the shaft portion of the female-to-be-connected portion is female-sided at the one end open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emale-side engaging portion.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formed in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s are fitted into the female small coupling portions by inserting the head portion into the large diameter holes and sliding the other end closure portion to the closed portion.

또, 암수 결합부의 형상은,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축부의 선단에 머리부를 보유하는 수측 결합부를 걸림구멍을 형성한 암측 피결합부에 대하여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겹친 상태에서 밀어넣어 결합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s have a coupling hole and a to-be-engaged portion for coupling the female and female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each other in the frame of the pair of wires, and the engagement hole for retaining the male-side coupling portion having the head at the tip of the shaft portion. It is good also as a shape which pushes and engages the frame which covered the wire with respect to the formed female side to-be-engaged part in the overlapping state.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관통구멍을 형성한 암측 결합부에 대하여 걸림클로를 설치한 수측 피결합부를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지름방향으로부터 밀어넣고, 걸림클로를 관통구멍에서 돌출시켜서 관통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거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Then, the pair of wires are arranged around the male to-be-engaged portion provided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to-be-engaged portion for coupling the male and female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engaging claw is provided for the female-side engaging portion having the through hole.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pushes in from the radial direction orthogonal to a direction, and protrudes a latching claw from a through hole, and hangs on the periphery of a through hole.

한편,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설치하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벗겨지기 어려운 암수 결합형상이면, 상기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의 것도 적절히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art and the to-be-engaged part provided in the frame which carried a pair of wires are not limited to the said shape as long as it is a male-female coupling shape which is hard to peel off, The thing of another shape is used suitably.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은 피부 접촉측에 설치하고 있는 쿠션성을 보유하는 소재의 외면측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토대포나 컵포의 외면측에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상기 토대포나 컵포의 피부측에 또한 피부접촉이 좋은 쿠션성이 있는 천을 겹치고 있다. 또한, 부직포나 폴리우레탄폼 등을 개재시켜도 좋다. 또, 폴리우레탄폼의 표면에 천을 접착한 것을 사용하여도 된다.It is preferable to arrange | position the said wire frame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raw material which has the cushion property provided in the skin contact side. Specifically, a frame with a curved lin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base fabric or the cup cloth, and a cushiony cloth having good skin contact is laminated on the skin side of the base fabric or the cup cloth. Moreover, you may interpose a nonwoven fabric, a polyurethane foam, etc. Moreover, you may use what adhered the cloth to the surface of a polyurethane foam.

이와 같이, 쿠션성이 있는 것을 피부측에 배치하면, 가선을 두른 프레임 및 암수 결합부를 부착한 부위의 피부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Thus, by arranging a cushioned thing on the skin side, the skin contact of the frame which attached the wire | line and the site | part which attached the male-female coupling part can be made smooth.

게다가, 컵부의 표면에 디자인성을 보유하는 천을 부착하고 있다.In addition, a cloth having desig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up portion.

또, 컵부의 이면(피부측 표면)에도 디자인성을 보유하는 천을 부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컵부의 표리 양면에 디자인성을 보유하는 천을 부착하면, 이른바 컵부를 리버서블로 하여, 표면측과 이면측에 다른 디자인의 천을 붙여 두면, 컵부의 불룩함을 역전시켜서 착용함으로써 1개의 컵부로 2개의 디자인 변화를 즐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전하여 사용하면, 우컵부로서 토대부의 우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붙이고 있던 것은 토대부의 좌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좌컵부로 하고 있던 것을 토대부의 우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부착하게 된다.Moreover, you may attach the cloth which retains design to the back surface (skin side surface) of a cup part. In this way, if the fabric holding the design on both sides of the cup portion is attached, the so-called cup portion is reversible, and if a cloth of different design is put on the front side and the back side, the cup portion is reversed and worn so as to be used as one cup portion. You can enjoy two design changes. In such a reverse use, when the right cup portion is attached to the frame having the right side of the base portion, the frame attached to the frame on the left side of the base portion is attached to the frame having the left side of the base portion of the frame.

또한, 토대부와 컵부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이 좌우대칭 형상인 경우는, 표리역전한 경우도 우컵부는 토대부의 우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좌컵부는 토대부의 좌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frame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cup part has a symmetrical shape, the right cup part is attached to the frame with the right side of the base part and the left cup part is attached to the frame with the left side of the base part even when the front and rear reversed. It is possible to do

토대부와 분리하는 좌우의 컵부는, 좌컵부와 우컵부를 분할하여 다른 피스로 하고, 각각 별개로 토대부에 결합부재를 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좌우의 컵부를 별개로 토대부에 부착가능하게 하여 두면, 좌우 다른 디자인이나 컬러의 컵부를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다 개성적인 브래지어 등을 착용자의 기호에 따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separated from the base portion divide the left cup portion and the right cup portion into different pieces, and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se portion through the coupling member separately. In this way, if the left and right cups are separately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it is possible to attach cup parts of different designs and colors left and right, and a more individual bra or the like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wearer.

또, 좌우의 바스트 사이즈가 약간 다른 경우에 있어서, 좌우의 바스트 사이즈에 각각 적합한 좌컵부, 우컵부를 각각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어, 보다 세밀한 사이즈로 밀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ft and right bust sizes are slightly different,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suitable for the left and right bust sizes can be selected and attached, respectively, so that they can be brought into tighter size.

상기 토대부의 좌우 양측에서 배면측으로 배치하는 백부를, 토대부와 일체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된다.The bag portion dispos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from the rear side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via a coupling means.

백부를 토대부에서 분할시켜서 결합수단으로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백부의 신축도의 강약을 바꾼 것이나, 컬러를 바꾼 것을 복수종류 준비하여 두고, 토대부와의 조합을 변경함으로써 착용자가 좋아하는 착용감이나 디자인의 브래지어로 할 수 있다. 프론트후크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여도 된다.When the bag is divided into the base parts and connected by a joining means, a plurality of kinds of strengths or changes in the elasticity of the bag are changed, and a combination of the base parts is prepared. I can do it with a bra of the design. The front hook may be detachably connected.

게다가, 토대부는 좌우의 컵부에 각각 결합수단으로 부착되는 좌우 토대부로 이루어지지만, 이 좌우 토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도 좋고, 전면 중앙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수단으로 연결되는 좌우 토대부로 분리하여도 된다.Moreover, the base part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base parts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by coupling means, respectively, but 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may be integrally provided or may be separated into left and right base parts which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ans from the front center. .

좌우 토대부를 분리하면, 컵부의 좌우를 분리하여 그 사이즈나 컬러가 다른것을 선택한 경우, 그것에 대응한 토대부를 좌우별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When 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are separated, when 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are separated and a different size or color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base part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그리고, 좌우 한쌍의 어깨끈은 그 어깨끈의 양단이 컵부와 백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고, 어깨끈을 선택하여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착용자가 어깨끈을 부착하지 않고 착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shoulder straps ar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and the shoulder straps may be selected and attached.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wearer to wear without attaching the shoulder strap.

또는, 어깨끈은 그 일단이 컵부와 백부의 어느 한쪽에 미리 부착하여 두고, 타단을 상기 어느 다른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어깨끈의 일단을 컵부 또는 백부에 부착하여 두면, 어깨끈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oulder strap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end thereof is attached to one of the cup part and the bag part in advance, and the other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us, if one end of the shoulder strap is attached to the cup part or the back part, the shoulder strap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또, 상기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는, 브래지어, 보디슈트, 브래지어부착 슬립, 브래지어부착 셔츠, 브래지어부착 캐미솔, 수영복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garment holding the cup portion includes a bra, a bodysuit, a bra slip, a bra shirt, a bra camisole, a swimsuit, and the like.

이들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에서는, 컵부와 토대부의 분리위치의 형상 및 결합부재를 공통화하여 두면, 컵부를 공용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래지어의 컵부를 분리하여 보디슈트의 컵부나 브래지어부착 슬립의 컵부로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garment which holds these cup parts, the cup part can be shared by making the shape of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s separation position and the coupling member common.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 the cup portion of the bra and to use it as the cup portion of the body suit or the cup portion of the slip with bra.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제1실시예의 브래지어를 나타낸다.1 to 3 show the bra of the first embodiment.

브래지어(A)는 좌우 컵부(1, 2), 토대부(3), 좌우 백부(4, 5), 좌우의 어깨끈(6, 7)으로 이루어진다.The bra A consists of left and right cups 1 and 2, a base 3, left and right backs 4 and 5, and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6 and 7.

상기 좌컵부(1)와 우컵부(2)는 다른 피스이고, 또한 토대부(3)와도 분리되며, 좌우 컵부(1, 2)는 각각 별개로 토대부(3)에 연결된다. 토대부(3)와 좌우 백부(4, 5)는 일체적으로 연속한 1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어깨끈(6, 7)의 일단은 상기 자우 백부(4, 5)에 미리 연결하고, 타단은 좌우 컵부(1, 2)의 상단에 연결가능하게 하고 있다.The left cup part 1 and the right cup part 2 are different pieces and are also separated from the base part 3, and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1, 2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base part 3 separately. The base part 3 and the left and right back parts 4 and 5 are formed by one member which is integrally continuous.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6 and 7 is connected to the bag portions 4 and 5 in advanc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able to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따라서, 제1실시예의 브래지어(A)에서는, 백부(4, 5), 좌우 어깨끈(6, 7)과 토대부(3)는 1개의 연속된 피스로 이루어지고, 좌우 컵부(1, 2)와 맞추어 3피스를 조합시켜 구성하고 있다.Therefore, in the bra A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ck portions 4 and 5,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6 and 7 and the base portion 3 are composed of one continuous piece, and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re provided. In combination with the three pieces.

상기 좌우 컵부(1, 2)와 토대부(3)의 분리위치는 가장자리라인에 따른 위치이고, 따라서 좌우 컵부(1, 2)의 분할단 가장자리(1a, 2a)는 하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불룩한 라인이 된다. 또 토대부(3)에는 좌우 한쌍의 원호형상 움푹한 컵부착부(3a, 3b)를 설치하고, 이들 컵부착부(3a, 3b)의 원호형상 내주가장자리가 분할단 가장자리(3c, 3d)로 된다.The separation position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nd the base portion 3 is a position along the edge line, so that the divided end edges 1a and 2a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re bulging downward in an arc shape. Becomes The base portion 3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arcuate recessed cup attaching portions 3a and 3b, and the arc-shaped inner peripheral edges of the cup attaching portions 3a and 3b are divided into edges 3c and 3d. do.

상기 좌우 컵부(1, 2)의 분할단 가장자리(1a, 2a)의 전체길이를 따라서 수지제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11A, 11B))을 부착하는 한편, 토대부(3)의 분할단 가장자리(3c, 3d)에도 그 전체길를 따라서 수지제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12A,12B))를 부착하고 있다.The resin 11 is attached to the frame 11 (11A, 11B), which is covered with resin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divided edges 1a, 2a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2, and the divided end of the base portion 3 Frames 12 (12A, 12B) are also attached to the edges 3c and 3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resin.

구체적으로는, 이들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은 전체로서 얇은 띠형상조각을 만곡시킨 형상으로 하고 있다.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은 1㎜정도의 얇은 부착부(12a)와 두께 2.5㎜로 한 상대적으로 두꺼운 돌출부(12b)로 이루어지는 2단 형상이고, 부착부(12a)를 토대부(3)의 천(3e)의 끝가장자리에 겹쳐 꿰매붙이고(H) 있다. 한편,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은 얇은 부착부(11a)의 선단에서 L형상의 굴절의 돌출부(11b)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부(11a)를 좌우 컵부(1, 2)의 컵포(1a, 2a)의 끝가장자리에 겹쳐서 꿰매붙이고(H) 있다.Specifically, the frames 11 and 12 having these curved lines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in bands are curved as a whole. The frame 12 which has a curved line has a two-stage shape consisting of a thin attachment portion 12a of about 1 mm and a relatively thick protrusion 12b having a thickness of 2.5 mm, and the attachment portion 12a of the base portion 3 is formed. It is sewn (H) on the edge of the cloth 3e. On the other hand, the frame 11, which is covered with wires, is provided with an L-shaped refraction protrusion 11b at the tip of the thin attachment portion 11a, and the attachment portion 11a is formed by the cup cloth 1a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 2a) overlapped at the edge and sewn (H).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은 컵부(1, 2)의 컵포(1a, 2a) 및 토대부(3)의 토대포(3a)의 피부측에 꿰매붙이고, 돌출부(11b, 12b)를 피부측과 반대의 외면측에 돌출시키고 있다.Frames 11 and 12, which are covered with the wires, are sewn on the skin side of the cup cloths 1a and 2a of the cup parts 1 and 2 and the base cloth 3a of the base part 3, and the protrusions 11b and 12b are attached. It protrudes on the outer surface side opposite to the skin side.

상기 토대부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의 결합부(14)를 일체형성으로 설치함과 아울러, 컵부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형상의 피결합부(1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들 결합부(14)와 피결합부(15)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의 길이방향의 양단 근방위치와, 그 사이에 소요간격을 둔 복수곳(도시의 실시예에서는 4곳)에 형성하고 있다.The coupling part 14 of the shape shown in FIG. 3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frame 12 which covered the base of the base part side, and the frame 11 of the shape of the shape shown in FIG. The to-be-engaged part 15 is provided. In addition, these coupling portions 14 and the coupling portion 15 are located near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11 and 12, which are covered with wires, and a plurality of locations with necessary intervals therebetween (fou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form).

상기 토대부(3)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에 설치하는 결합부(14)는 수형이고,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에서 돌출하는 축부(14a)의 선단에 구형상 머리부(14b)를 이어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한편, 컵부(1, 2)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에 설치하는 피결합부(15)는 십자형상으로 절결한 구멍으로 이루어지고,상기 구멍을 눌러 벌려서 구형상 머리부(14b)를 삽입하는 볼조인트식 결합수단으로 하고 있다.The coupling part 14 installed in the frame 12 wrapped around the base portion 3 is male and has a spherical head portion 14b at the tip of the shaft portion 14a protruding from the frame 12 wrapped. It is made into the shape which attached. On the other hand, the to-be-engaged part 15 provided in the frame 11 which has the wire | line wired on the cup part 1 and 2 side consists of a cross cut | disconnected hole, and presses the said hole, and opens the spherical head part 14b. The ball joint coupling means is inserted.

따라서, 토대부(3)의 한쌍의 컵부착부(3a, 3b)에 컵부(1, 2)를 끼워넣고, 토대부(3)의 분리단 가장자리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의 돌출부(12b) 상면에 컵부(1, 2)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을 겹치고, 상기 결합부(14)의 구형상 머리부(14b)를 피결합부(15)의 구멍에 밀어넣으면, 컵부(1, 2)가 토대부(3)에 연결된다. 이 연결상태에서 구형상 머리부(14b)는 피부측과 반대측으로 돌출하여, 구형상 머리부(14b)가 피부측에 닿지 않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the projections 12b of the frame 12 are fitted with the cup portions 1, 2 in the pair of cup attaching portions 3a, 3b of the base portion 3, and are lined with the edges of the separating end edges of the base portion 3. When the frame 11 with the cup wires 1 and 2 is overlapp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pherical head 14b of the coupling portion 14 is pushed into the hole of the coupling portion 15, the cup portion 1 , 2) is connected to the foundation 3. In this connection state, the spherical head portion 14b protrudes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kin side, so that the spherical head portion 14b does not touch the skin side.

토대부(3)에서 컵부(1, 2)를 분리할 때는, 컵부(1, 2)의 프레임(11)을 프레임(12)으로부터 떼어내도록 윗쪽으로 당기면 구멍에서 구형상 머리부(14b)가 빠져서 서로 이탈시킬 수 있다.When separating the cups 1 and 2 from the base 3, pull the frame 11 of the cups 1 and 2 upwards to separate them from the frame 12, and the spherical head 14b is pulled out of the hole. You can deviate from each other.

도 4 및 도 5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 제1실시예와 상위점은 컵부(1, 2)와 토대부(3)의 결합수단이다.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4 and 5 show a second embodimen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by means of coupling means of the cup parts 1, 2 and the base part 3.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이 제2실시예에서는, 컵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과 토대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을 전체둘레에 걸쳐서 암수 결합하고 있다.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frame 11 with the cup side wires and the frame 12 with the base wires are male-to-female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즉, 토대부(3)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의 돌출부(12b)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연속된 결합구멍(14a)을 설치하여 암형의 결합부(14)로 하고 있다. 이 결합구멍(14a)은 선단 삽입구(14a-1)를 보유하는 소경구멍(14a-2)과, 상기 소경구멍(14a-2)의 선단에 대경구멍(14a-3)을 연속시킨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둘레방향의 일단 근방(겨드랑이측 단부 부근)에는 돌출부(12b)에 걸림볼록부(12c)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겨드랑이측의 선단을 폐쇄부(12d)로 하고, 반대측을 삽입개구(12e)로 하고 있다. 한편, 컵부(1, 2)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에도 전주에 걸쳐서 L형상의 돌출부(11b)의 선단에서 포탄형상의 걸림 머리부(15a)를 돌출시킨 피결합부(15)를 설치하고 있다. 또, 돌출부(11b)의 단부에는 상기 걸림볼록부(12c)와 걸리는 걸림오목부(11c)를 요설하고 있다. 한편, 상기 소경구멍(14a-2)은 차츰 소경화하는 원추구멍으로 하여도 좋다.That is, the coupling part 14a continuous over the whole length is provided in the protrusion part 12b of the frame 12 which covered the base part 3 side, and it is set as the female coupling part 14.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hole 14a is formed such that the small diameter hole 14a-2 holding the tip insertion hole 14a-1 and the large diameter hole 14a-3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mall diameter hole 14a-2. have. Moreover, in the vicinity of one end (near the armpit side end part)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locking convex part 12c is provided in the protrusion part 12b. The tip of the armpit side is the closed portion 12d, and the opposite side is the insertion opening 12e. On the other hand, the to-be-joined part 15 which protruded the shell-shaped latching head part 15a from the front-end | tip of the L-shaped protrusion part 11b over the whole circumference also in the frame 11 which carried the curved line of the cup part 1, 2 side was carried out. I install it. Further,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11b, the locking projection 12c and the locking recess 11c to be engaged are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small-diameter hole 14a-2 may be a conical hole which gradually hardens.

상기 컵부(1, 2)를 토대부(3)에 연결하는 경우, 컵부(1, 2) 둘레방향의 일단(P2)을 토대부(3)의 컵부착부(3a, 3b)의 둘레방향의 일단(P1)의 삽입개구(12e)에 각각 접촉하여, 걸림머리부(15a)를 걸림구멍(12c)에 밀어넣어 포탄형상의 걸림머리부(15a)를 대경구멍(14a-3)에 수용한다. 이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머리부(15a)를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가서 선단측에서 걸림오목부(11c)를 걸림볼록부(12c)에 건다.When connecting the cup parts 1 and 2 to the base part 3, one end P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p parts 1 and 2 is plac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up attaching parts 3a and 3b of the base part 3.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opening 12e of one end P1, the locking head part 15a is pushed into the locking hole 12c, and the shell-shaped locking head part 15a is accommodated in the large diameter hole 14a-3. . In this state, as indicated by the arrow, the locking head portion 15a is sli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recess 11c is fasten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2c on the front end side.

이와 같이, 전주에 걸쳐서 걸림머리부(15a)를 대경구멍(14a-3)에 수용하여 유지하고 있다.In this way, the locking head portion 15a is accommodated in the large-diameter hole 14a-3 over the entire pole and held therein.

이 암수 결합상태에 있어서, 포탄형상의 걸림머리부(15a)의 최대 외주지름이 소경구멍(14a-2)의 최소 내주지름보다도 큰 것에 의해, 걸림머리부(15a)는 소경구멍(14a-2)을 통하여 용이하게 빠져나올수 없고, 소요의 결합강도로써 컵부(1, 2)는 토대부(3)에 연결된다. 또, 슬라이드 최종위치에서 겨드랑이측 선단 근방에서 걸림오목부(11c)와 걸림볼록부(12c)를 걸어서 잠그고, 또한 선단이 폐쇄부(12d)이기 때문에 암수 결합이 벗겨지지 않고 컵부와 토대부를 확실하게 연결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male and female engagement state, the maximum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ell-shaped locking head 15a is larger than the minimum inner circumference of the small-diameter hole 14a-2, so that the locking head 15a is the small-diameter hole 14a-2. It cannot be easily escaped through), and the cup parts 1 and 2 are connected to the base part 3 by the required coupling strength. In addition, the locking recess 11c and the locking projection 12c are locked by locking the armhole 11c and the locking projection 12c near the tip of the armpit at the final position of the slide. It is possible to fix the connection.

분리할 때에는 부착시와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분리한다.When removing, slide it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ne to attach it.

도 6 및 도 7은 제2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좌우 컵부(1, 2)와 토대부(3)의 분리단 가장자리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의 부착상태를 바꾸고 있다.6 and 7 show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change the attachment state of the frames 11 and 12, which are covered with the wires at the edges of the separating end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nd the base portion 3, respectively.

즉,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은 그 두께방향의 중간위치에서 암수 결합부(11, 12)를 전체길이에 걸쳐서 돌출시켜서 형성하고 있고, 또한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의 피부측에 컵포(1a, 2a), 토대포(3a)를 배치하고 있다.That is, the frames 11 and 12 with the curved lines are formed by protruding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s 11 and 12 over the entire length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the skin of the frames 11 and 12 with the curved lines. Cup cloth 1a, 2a and the base fabric 3a ar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ide.

또, 토대포(3a)는 암수 결합부(11, 12)의 결합위치까지 연재시키고, 이 연재부분에서는 쿠션포(5)로 토대포(3a)를 둘러싸서 꿰매붙이고 있다.In addition, the base fabric 3a is extended to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s 11 and 12, and the base fabric 3a surrounds the base fabric 3a with the cushion cloth 5, and is sewed.

상기 토대포(3a)로서는 비신축성의 마키제트를 사용하고, 쿠션포(5)로서는 트리콧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암수 결합부의 피부측에서는 토대포(3a)와 감싸서 봉한 쿠션포(5) 3매의 천이 겹치기 때문에 피부측으로의 접촉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An inflexible Makitajet is used as the base fabric 3a, and a tricot is used as the cushion cloth 5. In this way, since the fabric of the base fabric 3a and the three wrapped and wrapped cushion cloths 5 overlap on the skin side of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ortions, the contact to the skin side can be smoothed.

또한, 트리콧으로 둘러싼 토대포(3a)에 부직포나 폴리우레탄폼을 더 겹쳐도 좋다.Moreover, you may further overlap a nonwoven fabric or a polyurethane foam to the base fabric 3a surrounding by a tricot.

또, 암수 결합부(11, 12)의 단면 중심이 좌우대칭으로 되기 때문에, 동일한 결합부를 좌우 컵의 어느쪽에도 사용가능하게 되어, 공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center of cross section of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parts 11 and 12 becomes symmetrical, the same coupling part can be used for both of the left and right cups, and common use can be attained.

도 8 및 도 9는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제2실시예와 같이 컵부(1, 2)와 토대부(3)의 결합수단을 제1실시예와 다르게 하고,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다.8 and 9 show the third embodiment, and 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coupling means of the cup parts 1 and 2 and the base part 3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first embodiment. Same as

이 제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같이 둘레방향의 양단 근방과, 그 사이에 소요간격을 둔 복수곳에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에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있다.In this third embodim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rame 11 and 12 are integrally molded in the vicinity of both 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joining portion and the to-be-engaged portion are wired in a plurality of places with a necessary distance therebetween. have.

토대부(3)측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12)의 돌출부(12b)에 간격을 두어 암형의 결합부(1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14)는 박스부(14a)에 지름방향의 관통구멍(14b)을 형성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The female coupling part 14 is provided in the space | interval at the protrusion part 12b of the frame 12 which covered the base line part 3 side. The engaging portion 14 has a shape in which a through hole 14b in the radi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box portion 14a.

한편, 컵부(1, 2)에 부착하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11)에는, 폭을 넓게 한 부착부(11a)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L형상의 피결합부(15)를 설치하고, 그 선단에 걸림클로(15a)를 설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rame 11 with the wires attached to the cups 1 and 2, the L-shaped to-be-engaged portions 15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widened portion 11a. A locking claw 15a is provided at the tip.

컵부(1, 2)를 토대부(3)에 연결하는 작업은, 토대부(3)의 컵부착부(3a, 3b)에 컵부(1, 2)를 배치하고, 각 결합부(14)에 피결합부(15)를 대향위치시켜 피결합부(15)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걸림클로(15a)로 관통구멍(14b)을 밀어 넓히면서 삽입하고, 걸림클로(15a)가 관통구멍(14b)을 통과한 위치에서 걸림클로(15a)를 관통구멍(14b)의 선단에 걸고 있다.The operation | work which connects the cup parts 1 and 2 to the base part 3 arrange | positions the cup parts 1 and 2 to the cup attachment parts 3a and 3b of the base part 3, and attaches to each coupling part 14, respectively. Place the to-be-engaged part 15 oppositely and slide the to-be-engaged part 15 radially, as shown by an arrow, and insert it while pushing the through-hole 14b with the catching claw 15a, and widening it, and the catching claw 15a. ) Is fastened to the tip of the through hole 14b at the position where the through hole 14b passes.

도 10 및 도 11은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제3실시예와 같이, 가선을 두른 프레임(11, 12)에는 둘레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피결합부(15), 결합부(14)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14)의 결합구멍(14a)은 둘레방향의 일단측이 개구이고 타단은 폐쇄로 하고, 또한, 폐쇄측의 결합구멍(14a)에는 걸림볼록부(14c)를 설치하는 한편, 피결합부(15)의 걸림머리부(15a)의 외주에 걸림오목부(15c)를 설치하고 있다.10 and 11 show the fourth embodiment, and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to-be-framed frames 11 and 12 are partially provided with the to-be-engaged portion 15 and the engaging portion 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ave. The engaging hole 14a of the engaging portion 14 has an opening at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other end thereof closed, and a locking projection 14c is provided at the engaging hole 14a at the closed side. A locking recess 15c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head 15a of the engaging portion 15.

컵부(1, 2)를 토대부(3)에 연결하는 작업은, 토대부(3)의 컵부착부(3a, 3b)에 컵부(1, 2)를 배치하고, 각 결합부(14)의 일단측에 각 피결합부(15)를 위치시키고, 결합구멍(14a)의 일단개구로부터 걸림머리부(15a)를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걸림볼록부(14c)와 걸림오목부(15c)를 결합하고 있다.The operation | work which connects the cup parts 1 and 2 to the base part 3 arrange | positions the cup parts 1 and 2 to the cup attachment parts 3a and 3b of the base part 3, Position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15 on one end side, insert the locking head portion 15a from one end opening of the engaging hole 14a, and slide 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this state. 14c) and the locking recess 15c are combined.

상기 제3 및 제4실시예 모두, 제2실시예의 변형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컵포 및 토대포의 외면측에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토대포를 암수 결합위치까지 연재시켜 상기 연재부분을 쿠션성을 보유하는 천으로 둘러싸서 피부접촉을 좋게 하여도 된다.In both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s shown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a frame having a curved lin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up cloth and the base cloth, and the base cloth is extended to the male and female engagement position, so that the serial portion is removed. Skin contact may be performed by surrounding with a cloth having cushioning properties.

도 12는 제5실시예를 나타내고, 브래지어(B)에서는 좌우의 컵부(1, 2)를 연결포(20)로 미리 연결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 연결포(20)로 연결된 좌우의 컵부(1, 2)와 토대부(3)를 결합하는 수단은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어느 것이어도 좋다.FIG. 12 shows the fifth embodiment, and the bra B has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re connected in advance by the connecting fabric 20. The means for coupling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nd the base portion 3 connected by the connecting cloth 20 may be any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도 13은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브래지어(C)에서는, 토대포(3)를 좌우의 백부(4, 5)와 분할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의 컵부(1, 2), 토대포(3), 좌우의 백부(4, 5)의 5개의 다른 피스로 브래지어(C)를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FIG. 13 shows the sixth embodiment, and in the bra C, the base fabric 3 is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back parts 4 and 5. Therefore, the bra C is assembled by five different pieces of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1 and 2, the base fabric 3, and the left and right bag parts 4 and 5, respectively.

토대포(3)의 좌우 양단(3e, 3f)과 백포(4, 5)의 일단(4a, 5a) 사이에는 제2실시예와 같은 결합부(21)와 피결합부(22)를 설치하고 있다.Between the left and right ends 3e and 3f of the base fabric 3 and the one end 4a and 5a of the back cloths 4 and 5, the coupling part 21 and the to-be-engaged part 22 like 2nd Example are provided, have.

도 14는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브래지어(D)는 토대부(3')도 좌우 토대부(30, 31)로 분할하고, 또한 좌우의 어깨끈(7, 8)도 분할하여, 가장 세분화된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좌우의 컵부(1, 2), 좌우의 토대부(30, 31), 좌우의 백부(4, 5), 좌우의 어깨끈(7, 8)으로 합계 8개의 다른 피스로 브래지어(D)를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FIG. 14 shows the seventh embodiment, where the bra D is divided into the base 3 'and 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30 and 31, and the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7 and 8 are also divided into the most subdivisions. It is made up of. That is, the bra (D) in eight different pieces in total in the left and right cups (1, 2), left and right base parts (30, 31), left and right backs (4, 5),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7, 8). To assemble.

좌우의 토대부(30, 31)는 앞부분 중앙에서 분할되고, 결합수단으로서는 제2실시예와 같은 결합부(32)와 피결합부(33)를 설치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30 and 31 are divid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part, and as a coupling means, the coupling part 32 and the to-be-engaged part 33 like the 2nd Example are provided and detachably connected.

또한, 좌우의 토대부(30, 31)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론트후크(35, 36)로 착탈가능하게 걸어도 좋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base parts 30 and 31 may be detachably walked by the front hooks 35 and 36, as shown in FIG.

도 16은 제8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8실시예에서는 컵부(1, 2)에는 토대부(3)와의 분리위치에 따른 전체길이에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고, 분리위치의 양단 및 그 사이의 둘레방향에 간격을 둔 위치에 부분적으로 피결합부(15)를 설치하고 있다. 한편, 토대부(3)에는 분리위치에 따른 전체길이에 가선을 두른 프레임(12)를 설치하고,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의 전체길이에 결합부(14)를 설치하여, 상기 피결합부(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있다. 또, 컵형상도 도 1에 나타낸 제1실시예와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16 shows an eighth embodiment. In the eighth embodiment, the cups 1 and 2 are not provided with a frame in which the length is separated from the base 3, and the frames are spaced at both ends of the separation position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between. The to-be-engaged part 15 is provided in part. On the other hand, the base portion (3) is provided with a frame 12, which is wired to the entire length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osition, the coupling portion 14 is provided to the entire length of the frame with the wire, the to-be-engaged portion 15 ) And detachably. Also, the cup shape has a shap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상기 좌우 컵부(1, 2)와 토대부(3)를 분할하고, 교체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은 브래지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의 (A)부분에 나타내는 보디슈트, (B)부분에 나타내는 브래지어부착 슬립, (C)부분에 나타내는 브래지어부착 셔츠, (D)부분에 나타내는 브래지어부착 캐미솔에도 적용할 수 있다.The structure for dividing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s 1 and 2 and the base portion 3 so as to be replaceable is not limited to a bra, but a body suit shown in part (A) of FIG. 17 and a bra shown in part (B).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slip slip, a bra shirt shown in part (C), and a bra camisole shown in part (D).

이 경우, 토대부(3)는 앞길부 및 뒷길부와 연속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base part 3 is continuous with the front part and the back part.

또, 도 17의 (C)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컵부(1, 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토대부와 연속하는 앞길부를 좌우로 분할하여, 결합부재(37, 38)를 결합시켜서 개폐할 수 있는 타입으로 하여도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part (C) of FIG. 17, the base portion and the front length portion which are detachably coupled to the cup portions 1 and 2 are divided left and right, and the coupling members 37 and 38 are engaged to open and close. It may be a type that can.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브래지어 등의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에서는, 적어도 좌우의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고, 컵부와 토대부를 임의로 선택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암수 결합시켜서 연결하여 브래지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각각 자신의 기호에 따라서 그 디자인, 사이즈를 선택하고, 스스로 교체가능하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착용자의 그날 그날의 기분이나 겉옷과의 조화에 의한 코디네이션의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in the garment which holds the cup part such as the br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and the base part are separated, and the cup part and the base part are arbitrarily selected, and the male and female are joined by the coupling means to form a bra. Because I make the constitution to do it, a wearer chooses the design, size according to each preference, and can make it possible to change it by themselves, and thereby the width of the coordinates by the harmony of the mood and the outerwear of the wearer of the day by that It becomes possible to widen.

또, 컵부와 토대부에 설치하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는, 암수(요철)결합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히 착탈할 수 있음과 아울러 쉽게 벗겨지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결합강도, 결합시의 조작성, 착용감의 모든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브래지어 등의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로 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engaging part and the to-be-engaged part provided in a cup part and a base part are made into a male-female (uneven | corrugated) coupling shape, it can be detached easily and can also be set as the structure which does not peel easily. That is, it can be set as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such as a bra which can be satisfied in all aspects of bonding strength, operability at the time of bonding and wearing comfort.

또한, 컵부와 토대부의 분리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얇은 수지제 등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가선을 두른 프레임이 종래의 와이어부착 브래지어의 와이어의 기능을 하여 바스트의 조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frame with a thin resin wire is attached along the edges of the cup and the base of the base portion, the frame with the wire can function as a wire of a conventional bra with a wir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bust. .

Claims (14)

바스트 둘레가장자리 위치에서 좌우의 컵부와 토대부를 분리하고, 토대부의 분리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소요 강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하고,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 결합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컵부에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상기 피결합부를 상기 결합부에 암수 결합하여 컵부를 토대부에 착탈가능한 연결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Separate the left and right cup parts and the base part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ust, and attach a frame with a wire made of a resin that retains the required rigidity and flexibility along the edge of the base of the base, and integrally joins the frame with the wire.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wherein the cup portion is provided with a to-be-connected portion, and the to-be-coupled portion is female-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cup portion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의 분리단 가장자리에 소요의 강성과 유연성을 보유하는 수지제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부착함과 아울러, 상기 피결합부를 가선을 두른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또한Th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rame made of a resin wire having a rigidity and flexibility required is attached to an edge of the separating end of the cup portion, and the coupled por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rame covered with a wire. 이들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토대부 및 컵부의 분리단 가장자리의 대략 전체길이를 따라서 부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An apparel having a cup portion, wherein the frames with these cut lines are attached along approximately the entire length of the edge of the separating end of the base portion and the cup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와 토대부는 가장자리라인을 따라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are detachable along an edge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부로서 다른 사이즈의 복수종류를 설치하고, 이들 복수종류의 컵부는 토대부와의 분리부분을 동일형상으로 하고 있음과 아울러 동일한 결합부를 설치하여, 1종류의 토대부에 복수종류의 컵부를 연결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2. A plurality of kinds of cups of different sizes are provided as the cup portions, and the plurality of kinds of cup portions have the same shape as the separating portion with the base portion, and the same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to provide one kind of the base portion.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kinds of cup portions are connect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전체길이에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암(雌)측 결합부는 선단개구의 소경구멍의 타단에 대경구멍을 연접한 형상으로 하는 한편, 수(雄)측 피결합부를 축부 선단에 머리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둘레방향 선단의 일단개구에서 상기 수측 피결합부의 축부를 암측 결합부의 소경구멍에 삽입함과 아울러 머리부를 대경구멍에 삽입하여, 분리위치에 따른 둘레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The frame having the pair of curved wire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and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male and female to the entire length, and the female side coupling portion connects the large diameter hole to the other end of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tip opening. In addition, the male to-be-engaged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d at the distal end of the shaft, and the shaft portion of the male-to-be-connect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mall-diameter hole of the female-side engaging portion at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end.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wherein the portion is inserted into a large diameter hole and sli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paration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암측 결합부는 선단 개구의 소경구멍의 타단에 대공구멍을 연접한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둘레방향의 일단을 개구, 타단을 폐쇄로 하는 한편, 수측 피결합부를 축부 선단에 머리부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The frame having the pair of wire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and a to-be-engaged part to partially engage the male and femal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emale side engaging part has a hole hole at the other end of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tip opening.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joint, one 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opened and the other end is closed, while the male side to be engaged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head at the tip of the shaft, 상기 암측 결합부 둘레방향의 일단 개구에서, 상기 수측 피결합부의 축부를 암측 결합부의 소경구멍에 삽입함과 아울러 머리부를 대경구멍에 삽입하여 타단 폐쇄부까지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수측 피결합부가 폐쇄부까지 달하면, 이들 암수 결합부에 설치한 요철부를 끼워맞출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At one end open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emale engagement portion, the shaft portion of the male engagem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mall diameter hole of the female engagement portion, and the hea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arge diameter hole to slide the other end closure portion, and the male engagement portion is closed to the closure portion. The garment which has a cup part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structure which fits the uneven part provided in these male-female coupling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축부의 선단에 머리부를 보유하는 수측 결합부를 걸림구멍을 형성한 암측 피결합부에 대하여 가선을 두른 프레임을 겹친 상태로 밀어넣어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The frame having the pair of wires is provided with a engaging portion and a to-be-engaged portion for engaging the male and female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locking hole having a male side engaging portion having a head portion at the tip of the shaft portion. Clothing having a cup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can be pushed in the overlapp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female to-be-engaged portion to overlap.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선을 두른 프레임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암수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피결합부를 설치하고, 관통구멍을 형성한 암측 결합부에 대하여 걸림클로를 설치한 수측 피결합부를 둘레방향과 직교하는 지름방향으로부터 밀어넣고, 걸림클로를 관통구멍으로부터 돌출시켜 관통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걸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3. The water sid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rame having the pair of wires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and a to-be-engaged part for coupling the male and female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male claw with a female side engaging part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wherein the engagement portion is pushed from a radi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ocking claw is protruded from the through hole to be hooked to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through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선을 두른 프레임은 피부 접촉측에 설치하고 있는 천 또는 쿠션성을 보유하는 소재의 외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The garment having a cup por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covered with the wire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cloth or cushion material provided on the skin contac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컵부를 다른 피스 또는 일체적으로 연속시키고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portion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배면측에 배치하는 백부를, 토대부와 일체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결합수단을 통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g portion disposed on the back side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portion or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up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대부는 좌우의 컵부에 각각 결합수단으로 부착되는 좌우 토대부로 이루어지고, 이 좌우 토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전면 중앙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수단으로 연결되는 좌우 토대부로 분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ortion is composed of left and right base portion attached to each of the left and right cup portion by the coupling means, and the left and right base portion integrally installed, or left and right base portion connected to the coupling means detachably from the front center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characterized by separa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컵부와 백부의 좌우 양측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 한쌍의 어깨끈을 구비하고, 그 어깨끈의 양단이 컵부와 백부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어깨끈의 일단이 컵부와 백부의 어느 한쪽에 미리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어깨끈의 타단이 상기 어느 다른쪽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According to claim 1, It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straps connect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p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g, both ends of the shoulder strap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up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or one end of the shoulder strap Clothing which has a cup part, which is attached to one of the cup part and the bag part in advance, and the other end of the shoulder strap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제1항에 있어서, 브래지어, 보디슈트, 브래지어부착 슬립 또는 브래지어부착 셔츠, 브래지어부착 캐미솔, 수영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부를 보유하는 의류.2. The garment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a bra, a bodysuit, a bra slip or a bra shirt, a bra camisole, and a swimsuit.
KR1020017011059A 2000-06-26 2001-06-25 Clothing with cups KR2002003856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191673 2000-06-26
JP2000191673 2000-06-26
PCT/JP2001/005446 WO2002000049A1 (en) 2000-06-26 2001-06-25 Wear having cup un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565A true KR20020038565A (en) 2002-05-23

Family

ID=1869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1059A KR20020038565A (en) 2000-06-26 2001-06-25 Clothing with cups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20193048A1 (en)
EP (1) EP1323358A1 (en)
KR (1) KR20020038565A (en)
CN (1) CN1362862A (en)
AU (1) AU6632701A (en)
HK (1) HK1046083A1 (en)
TW (1) TW567045B (en)
WO (1) WO2002000049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084B2 (en) * 2002-02-13 2005-09-07 マルコ株式会社 Measurement sample for custom-made clothing and custom-made method
WO2006108267A1 (en) * 2005-04-14 2006-10-19 Max Designs Garment with lowered waist portion
GB2431335B (en) * 2005-10-21 2009-12-02 Courtaulds Textil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hem
ITMI20061524A1 (en) * 2006-08-01 2008-02-02 Marco Maria Valentini BRA STRUCTURE
JP4512123B2 (en) * 2007-08-27 2010-07-28 大祐商事株式会社 Bra with adjustable size and shape
US20120077415A1 (en) * 2010-09-24 2012-03-29 Simeon Dacumos Adjustable Bra System
JP5919702B2 (en) * 2011-09-28 2016-05-18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cup
ITFI20110236A1 (en) * 2011-10-28 2013-04-29 Pbs Italia S R L CUP, BAND AND BLOCK DEVICE FOR BRA
US9173435B2 (en) 2012-02-17 2015-11-03 Thereasa Bailey Configurable bra
CN103767220B (en) * 2012-10-25 2015-09-30 香港理工大学 A kind of chest measurement mechanism
JP6156684B2 (en) * 2013-03-29 2017-07-05 株式会社ワコール Clothing with cup
EP2865284B1 (en) * 2013-10-28 2017-05-17 Hannelore Schlüter Shaping brassiere décolleté dress
GB2532262B (en) * 2014-11-13 2016-09-28 Stolkin Suzannah Garment
WO2019190581A1 (en) * 2018-03-28 2019-10-03 IFGCure Inc.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US20190313704A1 (en) * 2018-04-17 2019-10-17 Naazia Ali Moisture-wicking and sweat reducing brassiere
CN113854651B (en) * 2021-09-17 2024-01-30 义乌市灿鸿服饰有限公司 Suspender vest
WO2023167613A1 (en) * 2022-03-02 2023-09-07 Гульназ Римовна ГАЗИТДИНОВА Versatile bra with interchangeable cup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420A (en) * 1966-12-05 1969-02-04 Dora Steinberger Brassiere with cups attachable by zipper means
JPS479943Y1 (en) * 1967-10-26 1972-04-14
JPH0222310U (en) * 1988-07-25 1990-02-14
JP3038124B2 (en) * 1994-12-08 2000-05-08 株式会社ダッチェス Fou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6083A1 (en) 2002-12-27
US20020193048A1 (en) 2002-12-19
TW567045B (en) 2003-12-21
CN1362862A (en) 2002-08-07
AU6632701A (en) 2002-01-08
WO2002000049A1 (en) 2002-01-03
EP1323358A1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680B2 (en) Leotard including built-in supportive bra
KR20020038565A (en) Clothing with cups
US8739314B2 (en) Garment with tethering system
US7404213B2 (en) Convertible wet suit
US7118444B2 (en) Custom fit bra
US20080045122A1 (en) Clothes with Back Part Such as Brassiere
WO2020131305A1 (en) Women's zippered wader
EP2441336B1 (en) Leg cover
US6839914B2 (en) Suit
US6513209B1 (en) Fastening system for a bra
US6223351B1 (en) Seamless swimwear
JP2002339106A (en) Stretchable inner waist belt
US20070277834A1 (en) Abdomen cover
EP1157624B1 (en) Button fastener
JP2005171477A (en) Stretchable inner waist belt
JP3976385B2 (en) Women's underwear
JP4717201B2 (en) Women's clothing with a cup
JP3704102B2 (en) Back part reinforcement structure such as brassiere
JP4368268B2 (en) Clothing with cup
CN220916673U (en) Clasp member and clasp member of underwear back button
CN215422873U (en) Collar changeable western-style clothes
JP6538254B1 (en) Waist telescopic bottoms
JP3213186U (en) Apparel with front cup
JP3040449U (en) Bias tape with snap made of synthetic resin
JP3214944U (en) clot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