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6542A - 반향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반향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6542A
KR20020036542A KR1020000066776A KR20000066776A KR20020036542A KR 20020036542 A KR20020036542 A KR 20020036542A KR 1020000066776 A KR1020000066776 A KR 1020000066776A KR 20000066776 A KR20000066776 A KR 20000066776A KR 20020036542 A KR20020036542 A KR 20020036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frequency
finite
microphone
shock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범
Original Assignee
김승범
주식회사 나다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범, 주식회사 나다텔 filed Critical 김승범
Priority to KR102000006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6542A/ko
Publication of KR20020036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5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1/0216Noise filter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used for estimating noise
    • G10L21/0232Processing in the frequency doma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208Noise filtering
    • G10L2021/02082Noise filtering the noise being echo, reverberation of the spee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수의 지연 탭(delay tap)으로 구성된 유한 충격 응답(Finite Impulse Response : FIR)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반향 음을 제거하는 반향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전 대역에 걸쳐 필터링하기 때문에, 그만큼 많은 샘플에 대해서 지연 및 가중치를 곱하기 위한 지연기 및 가중치 곱셈기를 많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가중치 곱셈기가 많기 때문에, 각 가중치 곱셈기가 순차적으로 가중치를 변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다수의 대역으로 나누어 짧은 지연 탭을 갖는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를 사용해서 각 대역별로 필터링하여 가중치를 신속하게 변경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가중치를 신속하게 변경하기 때문에, 반향 음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향 제거 장치{ECHO CANCELLER}
본 발명은 반향 제거 장치(echo cancell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수의 지연 탭(delay tap)으로 구성된 유한 충격 응답(Finite Impulse Response : FIR) 필터(filter)를 이용하여 반향 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유한 충격 응답 필터(2) 및 가산기(4)로 구성된다. 좌측의 마이크로폰(microphone) 및 스피커(speaker)와 우측의 스피커 및 마이크로폰은 상대방과 사용자가 각각 들어가 있는 각기 다른 룸(room)에 설치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우측 룸의 사용자는 자신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듣고 자신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상대방 측의 스피커로 자신의 음성을 송출하여 상대방이 듣도록 한다. 상기 우측 룸 및 좌측 룸의 각 마이크로폰에서 출력되는 음성은 소정의 주파수로 샘플링(sampling)되어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변환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샘플링된 디지털 신호는 스피커에 인가되기 전에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좌측 룸의 상대방은 자신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듣고 자신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측의 스피커로 자신의 음성을 송출하여 사용자가 듣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응용하면 원격 회의 시스템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유한 충격 응답 필터(2)는 합산기, 다수의 가중치 곱셈기, 및 직렬로 연결된 다수의 지연기로 구성된다. 다수의 지연기는 상대방의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의 각 샘플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킨다. 각각의 가중치 곱셈기는 각각의 지연기로 인입되는 각 음성 신호의 샘플 및 마지막 지연기가 출력하는 샘플을 각각 받아 각각의 가중치로 곱한다. 합산기는 각 가중치 곱셈기의 출력을 모두 합산하여 가산기로 제공한다. 각각의 가중치 곱셈기는 가산기(4)의 출력을 참조하여 적응 알고리즘인 정규화 된 최소 평균 자승(Normalized Least Mean Square : NLMS) 방법을 사용해서 자신의 가중치를 매번 새로 설정한다. 합산기의 출력과 우측의 스피커 출력이 우측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인입한 음성 신호가 동일하여 가산기(4)가 "0"를 출력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예로, 특정 룸의 환경에 따라 스피커의 음성 출력이 같은 룸의 마이크로폰까지 전달되는 경우에 있어, 총 지연 시간을 200ms로, 샘플 간격 시간을 0.25ms로 가정하면 각 지연기의 각 샘플 지연 시간은 0.25ms이다. 따라서, 지연기는 800 개(총 지연 시간 200ms/ 샘플 간격 시간 0.25ms)가 필요하다. 또한, 800 개의 가중치가 매 샘플마다 갱신되어야 한다.
가산기(4)는 우측의 스피커 출력이 우측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에서 유한 충격 응답 필터(2)의 출력 즉, 합산기의 출력을 감산하여 반향 음이 제거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상대방 스피커로 제공한다.
따라서, 유한 충격 응답 필터(2)는 좌측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적응 필터이며, 전 대역에 걸쳐 필터링하기 때문에, 각 샘플에 대해서 다수 필터의 가중치를 단번에 갱신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각 가중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최적의 가중치들을 얻게 될 때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많은 가중치 곱셈기의 출력을 합산할 합산기도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다수의 대역으로 나누어 짧은 지연 탭을 갖는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를 병렬로 사용해서 각 대역별로 필터링하여 가중치를 신속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반향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반향 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주파수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는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유한 충격 응답 필터링하는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 상기 음성 신호가 스피커 출력되어 특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후, 특정 주파수로 다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는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에서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가 제공하는 샘플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필터링된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을 각각 감산하고 상기 감산 결과를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로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 중에서 해당 유한 충격 응답 필터의 특정 가중치를 적응적으로 변경시키는 다수의 가산기; 상기 다수의 가산기의 출력에 따른 각 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합성하는 주파수 대역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유한 충격 응답 필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22 : 제 1,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
14, 16 : 제 1, 제 n 유한 충격 응답 필터
18, 20 : 제 1, 제 n 가산기 24 : 주파수 대역 합성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향 제거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 1,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12, 22),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 다수의 가산기(18, 20), 및 주파수 대역 합성부(24)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12)는 상대방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주파수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여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로 각각 제공한다. 상기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는 경우에 있어, 샘플링 주파수를 높은 것을 사용할수록 지연 탭이 많은 유한 충격 응답 필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주파수 대역으로 분리해야 한다.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12)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유한 충격 응답 필터링하여 다수의 가산기(18, 20)로 각각 제공한다.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22)는 상기 음성 신호가 스피커 출력되어 특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후, 특정 주파수로 다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여 다수의 가산기(18, 20)로 각각 제공한다.
다수의 가산기(18, 20)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22)로부터 제공되는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에서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22)가 제공하는 샘플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필터링된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을 각각 감산한다. 이 후, 상기 감산 결과를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로 각각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14, 16)의 해당 유한 충격 응답 필터의 가중치를 적응적으로 갱신시키며 상기 감산 결과들은 주파수 대역 합성부(24)로 제공된다.
주파수 대역 합성부(24)는 상기 다수의 가산기(18, 20)의 출력에 따른 각 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환원하고 이를 합성하여 전달되고 상대방 측의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시킨다.
도 3은 유한 충격 응답 필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지연기(32, 34), 다수의 가중치 곱셈기(36, 38), 및 합산기(4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가중치 곱셈기(36, 38)의 총 개수는 다수의 지연기(32, 34)의 총 개수보다 1 개 더 많다.
동 도면에 있어서, 다수의 지연기(32, 34)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화된 음성 신호의 각 샘플을 순차적으로 지연시킨다. 각각의 가중치 곱셈기(36, 38)는 각각의 지연기(32, 34)로 인입되는 각 음성 신호의 샘플 및 마지막 지연기(34)가 출력하는 샘플을 각각 받아 각각의 가중치로 곱한다. 합산기(40)는 각 가중치 곱셈기(36, 38)의 출력을 모두 합산한다. 각각의 가중치 곱셈기(36, 38)는 에러 값을 참조하여 적응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자신의 가중치를 매 샘플마다 새로 설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제공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다수의 대역으로 나누어 짧은 지연 탭을 갖는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를 사용해서 각 대역별로 필터링하여 가중치를 신속하게 변경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가중치를 신속하게 변경하기 때문에, 반향 음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반향 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주파수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는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을 각각 유한 충격 응답 필터링하는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
    상기 음성 신호가 스피커 출력되어 특정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후, 특정 주파수로 다시 샘플링된 디지털 음성 신호를 다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각기 분리하는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에서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로부터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분리부가 제공하는 샘플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필터링된 각 주파수 대역별 샘플을 각각 감산하고 상기 감산 결과를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로 제공하여 상기 다수의 유한 충격 응답 필터 중에서 해당 유한 충격 응답 필터의 특정 가중치를 적응적으로 변경시키는 다수의 가산기;
    상기 다수의 가산기의 출력에 따른 각 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주파수 대역으로 합성하는 주파수 대역 합성부를 포함하는 반향 제거 장치.
KR1020000066776A 2000-11-10 2000-11-10 반향 제거 장치 KR20020036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776A KR20020036542A (ko) 2000-11-10 2000-11-10 반향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776A KR20020036542A (ko) 2000-11-10 2000-11-10 반향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542A true KR20020036542A (ko) 2002-05-16

Family

ID=1969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776A KR20020036542A (ko) 2000-11-10 2000-11-10 반향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654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109B1 (ko) * 2000-12-06 2003-08-06 천진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796427B1 (ko) * 2005-03-23 2008-01-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에코 방지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에코 방지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KR100796910B1 (ko) * 2005-03-23 2008-01-2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에코 방지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에코 방지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KR100842590B1 (ko) * 2004-11-09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음향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CN106782592A (zh) * 2016-12-27 2017-05-31 中山大学花都产业科技研究院 一种用于消除网络声音传输的回音和啸叫的系统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281A (ja) * 1994-02-18 1995-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反響消去装置
US5548642A (en) * 1994-12-23 1996-08-20 At&T Corp. Optimization of adaptive filter tap settings for subband acoustic echo cancelers in teleconferencing
JPH1041859A (ja) * 1996-07-23 1998-02-13 Nec Corp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JPH11313014A (ja) * 1998-04-27 1999-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帯域分割型エコーキャンセ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1281A (ja) * 1994-02-18 1995-08-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反響消去装置
US5548642A (en) * 1994-12-23 1996-08-20 At&T Corp. Optimization of adaptive filter tap settings for subband acoustic echo cancelers in teleconferencing
JPH1041859A (ja) * 1996-07-23 1998-02-13 Nec Corp 音響エコーキャンセラ
JPH11313014A (ja) * 1998-04-27 1999-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帯域分割型エコーキャンセ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109B1 (ko) * 2000-12-06 2003-08-06 천진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842590B1 (ko) * 2004-11-09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음향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US7869587B2 (en) 2004-11-09 2011-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ing acoustic echo in a mobile terminal
KR100796427B1 (ko) * 2005-03-23 2008-01-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에코 방지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에코 방지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KR100796910B1 (ko) * 2005-03-23 2008-01-22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에코 방지 회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 에코 방지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및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의 필터 계수 설정 방법
CN106782592A (zh) * 2016-12-27 2017-05-31 中山大学花都产业科技研究院 一种用于消除网络声音传输的回音和啸叫的系统和方法
CN106782592B (zh) * 2016-12-27 2020-06-19 中山大学花都产业科技研究院 一种用于消除网络声音传输的回音和啸叫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2223B1 (en) Echo canceller with reduced requirement for processing power
EP12876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acoustic echo cancellation combined with adaptive beamforming
CA2593183C (en) Partitioned fast convolution in the time and frequency domain
US6002776A (en) Directional acoustic signal processor and method therefor
KR101422984B1 (ko) 잔류 에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30206624A1 (en) Full duplex echo cancelling circuit
US9947337B1 (en) Echo cancellation system and method with reduced residual echo
EP17004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hanced subjective stereo audio
US5636272A (en) Apparatus amd method for increasing the intelligibility of a loudspeaker output and for echo cancellation in telephones
US20080004868A1 (en) Sub-band periodic signal enhancement system
JP2011075728A (ja) 音声帯域拡張装置および音声帯域拡張プログラム
CA2357200A1 (en) Listening device
KR100633213B1 (ko) 불가청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적응형 필터 성능을개선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842590B1 (ko) 이동 단말에서 음향 반향 제거 방법 및 장치
JPH06112743A (ja) 可聴周波数帯域分割を利用した音響信号歪み補正装置
EP1186157B1 (en) Symmetry based subband acoustic echo cancellation
KR20020036542A (ko) 반향 제거 장치
TW200835374A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omni-directional microphones for speech enhancement
JPH09307651A (ja) 簡易ステレオ伝送方式
JP3391144B2 (ja) 帯域分割型エコーキャンセラー
US6483915B1 (en) Equipment and processes for echo suppression with adaptive fir filters
JPH07143600A (ja) 音響クロストーク制御装置
Jabloun et al. A fast subband room response simulator
JP2577351B2 (ja) エコ−除去装置
JP2766887B2 (ja) 反響消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