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852A -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 Google Patents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852A
KR20020034852A KR1020010047534A KR20010047534A KR20020034852A KR 20020034852 A KR20020034852 A KR 20020034852A KR 1020010047534 A KR1020010047534 A KR 1020010047534A KR 20010047534 A KR20010047534 A KR 20010047534A KR 20020034852 A KR20020034852 A KR 2002003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wall
container
sealing material
attracting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5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30545B1 (en
Inventor
요시오 가쓰다
김효준
Original Assignee
토마스 더블유. 헉케이비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우에야마 나오히데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331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5561A/en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331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7263B2/en
Application filed by 토마스 더블유. 헉케이비,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우에야마 나오히데,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마스 더블유. 헉케이비
Publication of KR2002003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5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Abstract

PURPOSE: An insect-attracting bait container is provided to prevent outflow or disperse of poisonous feeds from a container and increase extermination effect. CONSTITUTION: The insect-attracting bait container includes a main body(2) of the container, a bait-receiving portion(3) which is set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2) and is a dent portion for receiving an insect-attracting bait(7) and in which a surrounding wall(8) is formed over the substantially whole periphery of the dent portion, and a seal member(5) which includes a sheet adhered or thermally fu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wall(8)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bait-receiving portion(3), has a pulling piece(5a) continued to one side of the sheet in a folded state, and can be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wall(8) by pulling the pulling piece(5a), and further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wall(8) of the bait-receiving portion(3) in such a structure that a proper sealing property is maintained, when seal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wall(8) with the sealing member, and that the sealing member(5) can easily be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rrounding wall(8).

Description

벌레의 유인모이용기{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본 발명은 주로 사람의 생활 영역에 서식하는 개미, 바퀴벌레, 지네 등과 같은 벌레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모이 또는 독(毒)모이를 용기 내에 넣어두고, 그것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에 의하여 벌레를 용기 내로 유인하여 잡거나 또는 독 모이를 용기 밖으로 물고 나가서 먹게 한 후 독사시키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유인모이용기는 모이를 그 곳에서 먹지 않고 집까지 운반한 다음에 먹는 개미의 습성을 이용하여 용기 내에 넣어둔 독모이를 개미집까지 운반하게하여 개미집내의 개미 집단을 모두 구제하는 개미의 집단구제법에 효과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a gathering or poisoning in the container mainly for the purpose of exterminating insects such as ants, cockroaches, centipedes, etc. inhabiting the living area of humans, attracting the insects into the container by the smell generated therefrom Or it is related to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worms to bite the dog feeds out of the container to eat after eating, in particular,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by transporting the house to home without eating the food there and then using the container's habits to eat It is effective in the ant's collective remedy method to carry out all the anthill in the ant colony, thereby removing all the ant populations in the anthill.

일반적으로 용기 내에 넣어둔 모이의 냄새로 해충을 용기 내에 유인해 넣어 잡거나 또는 독사시키는 종래의 유인모이(또는 독 모이)용기로는 입자 형태나 과립형태의 고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겔, 페이스트 등의 반고체 유동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또는 액체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것 등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attractant (or poisonous) container, which attracts or poisons pests in a container by the smell of the feeder in the container, is a solid attractant in the form of particles or granules, a gel, It is known to hold attractants of semi-solid fluids such as pastes or to hold liquid attractants.

그 중에서 개미의 집단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상기용기에는 입자상태 또는 과립상태의 개미의 독 모이를 용기안쪽의 오목부에 넣어두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이를 밀봉보존하기 위하여 시일재가 오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즉, 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조의 용기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이 용기는 사용할 때에 상기 시일재를 밀봉된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떼어내고 적당한 곳에 놓아둔다.Among them, the container for the purpose of collective control of the ants is placed in the concave inside the container in the form of granulated or granulated ant poison, and the seal material is used to seal the top opening of the concave when not in use. The container of the structure adhered to the peripheral edge part of an opening (namely,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which forms a recessed part) so that it may cover is conventionally proposed. This container, when in use, removes the sealing materi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ealed recess and places it in a suitable place.

그러나, 상술한 개미 등의 해충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시일재와 용기의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이 너무 강하여 시일재를 박리하기가 어려운 것일 때에는 강한 힘으로 시일재를 박리할 필요가 있고, 때로는 오목부내에 넣어둔 유인모이(또는 독모이)가 시일재를 박리할 때 용기 밖으로 비산하는 사태가 생긴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용기는 소형이고, 용기를 손에 든 상태로 시일재를 박리하므로, 용기 밖으로의 모이의 비산 사고가 생기기 쉽다.However, in the above-mentioned attracting container for insects such as ants,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is too strong and it is difficult to peel the sealing material, it is necessary to peel the sealing material with a strong force. In some cases, sometimes the attracted feeder (or dog feeder) stored in the recess is scattered out of the container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In particular, this type of container is compact and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while the container is in the hand, so that scattering of the feed out of the container is likely to occur.

또, 상기의 접착력이 시일재의 내부박리강도보다도 크면, 시일재를 박리할 때 시일재 자체가 찢어져서 그 일부가 용기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채로 남는 폐단도 생긴다. 특히, 예를 들면, 유인모이용기의 모이를 넣어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에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시일 재를 용착하여 윗면 전체와 접착시킨 경우에는 시일 재의 접착성이 필요이상으로 너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Moreover, when said adhesive force is larger than the internal peeling strength of a sealing material,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the sealing material itself will be torn, and the closed end which remains a part adhere |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a container will also arise.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a sealant such as a plastic film is welded to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wall where the feed of the manned feed container is placed, the adhesiveness of the sealant tends to be too strong. .

그 반면, 상기의 해충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시일재와 용기의 오목부 윗면과의 접착성이 너무 약하여 시일재가 박리되기 쉬운 것일 때에는 넣어둔 유인모이(또는 독모이)의 밀봉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따라서 그 보존 중에 모이가 습기 등에 의하여 변질되기 쉬워지고, 또 모이에 함유된 벌레를 유인하여 중독사시키기 위한 유효성분이 방출 휘산(揮散)되기 쉬워지므로,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모이의 유효기간이 되는 문제가 생긴다.On the other hand,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bove-mentioned pests,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too weak to adher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 of the container and the sealing material is easily peeled off, the sealing property of the attracting baby (or dog) that is placed becomes insufficient. Therefore, during the preservation, the feed is likely to be deteriorated by moisture, etc., and the active ingredient for attracting and poisoning the insects contained in the feed is likely to be released and volatilized, so that the shelf life of the feed is particularly effective. There is a problem.

이러한 개미 등의 해충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는 유인모이(독모이)가 들어있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 접착성을 조절하여 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일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insects such as ants, the sealing material can be maintained at the same time by controlling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containing the attracting feeder and the sealing material. It is desired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내의 모이를 넣어둔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시일 재를 쉽게, 그리고 찢어져 그 일부가 남는 일이 없이 박리할 수 있게 하여, 모이의 비산(飛散)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용기 내에 넣어둔 유인 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하여,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을 방지함으로써 모이의 보존 가능 기간 특히, 그 유효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 개미유인 모이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efects, and to allow the sealant to be peeled easily and torn off without leaving a part of the seala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recess in which the feeder is placed in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scattering accidents, and to maintain proper sealing property for the attracted seedlings stored in the container, and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eedlings due to moisture or the like to extend the shelf life of the seedlings, in particular, the expiration date. It is to provide a feeding container which is an ant oil that makes it possi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부를 둘러싼 둘레 벽이 그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모이수납부와, 그 모이수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된 시이트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 조각부를 가지며, 그 당김조각부를 잡아 당김으로써 그 시이트를 상기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시일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은 상기 시일재와의 결합에 있어서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시일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로 되어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a circumferential wall surround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recess for storing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has a substantially front circumference of the recess. And a continuous pull piece which is folded back from one end of the sheet bonded or heat-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age part, and pulls the pull piece. And a sealing material capable of peeling the shee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maintains a suitable sealing property in combination with the sealing material, The structure is such that it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그리고, 본 발명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following constitu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of the 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1)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배껍질무늬가 형성되어 있다.1) A pear bark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er.

2)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주름무늬가 형성되어 있다.2) A wrinkled patter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er.

3)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이 분산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a hemispherical or similar projec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ispersion point.

4)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가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4) A number of furrows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5)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재그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5) The upper cross s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is formed in a zigzag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6)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6) The upper cross s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is formed in a wavy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7)시일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촉하는 쪽은 털면으로 형성하고 있다.7) The side where the seal member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er is formed of hair.

8)시일재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필요에 따라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섬유재로 이루어진다.8) The seal member is composed of a paper sheet having a suitable tensile strength and a fibe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and, if necessar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개미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할 때에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개미의 구제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개미유인모이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of leakage of poisonous hairs and scattering of them out of the container when using them, and also to reduce the control effect of ant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t attracting container. It i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주벽부 및 그 안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둘레벽을 설치하여 구성한 모이수납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외주벽부와 접합되는 덮개체로 된 개미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 둠과 동시에, 그 둘레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 부근에 수하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부착하며, 그 둘레벽 윗면에 박리할 수 있는 시일재를 구비하고, 그 덮개체에는 복수개의 개미의 출입구를 마련하며, 또한 상기 외주벽부의 한쪽면을 상기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고, 또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시일재 박리구멍을 뚫어놓고, 또한 그 한쪽면의 안쪽에 그 한쪽면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을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것에 있다.Characteristic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nt-induced feeder consisting of a container body having a feeder unit formed by installing a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form a recess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a cover body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above, the granu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3 mm or granular granules are placed in the feeder compartment, and the baggage is placed near the bottom of the concave while turning the top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the in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ttached to the sunshad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mall pieces,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that can be peeled of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he door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exits, and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It is formed high up to almos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on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drilled near the upper end, and the inside of one side is about the same as the one side. Is to have double wall structure by installing inner wall with height.

그리고, 본 발명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는 모이 수납부의 차양형상부재와 덮개체의 개미출입구에 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following constitution with respect to the awn opening of the awning-shaped member and the cover body of the feed receiving portion of the 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1)상기에서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이 판자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1) In the above, a small piece of the sunshade member is in a board shape, and is installed side by sid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ss.

2) 개미의 출입구가 덮개체의 둘레가장자리 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다.2)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nt are formed in a long T-shaped slit on the side of the periphery of the cover bod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고,1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2 is a front view of FIG. 1,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종단면도이고,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도 4는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도 5는 제2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5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second embodiment;

도 6a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FIG. 6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as a third embodiment; FIG.

도 6b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6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third embodiment;

도 7a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FIG. 7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as a fourth embodiment;

도 7b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FIG. 7B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as a fourth embodiment;

도 8은 제5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fifth embodiment;

도 9는 제6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고,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sixth embodiment;

도 10은 제7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고,10 is an enlarged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upling form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and the seal member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seventh embodiment;

도 11은 제8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고,11 is an enlarged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upling form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and the seal member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n eighth embodiment;

도 12는 제9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미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시일재 박리 후),12 is a plan view showing an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ninth embodiment (after peeling off the sealing material),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시일재 박리 전)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2 (before sealing member peels off).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고,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2;

도 15는 제10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미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시일재 박리 후),15 is a plan view showing an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nth embodiment (after peeling off the sealing material),

도 16은 도15의 Ⅲ-Ⅲ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시일재 박리 전),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5 (before sealing member peels off),

도 17은 도15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 도이다.1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벌레의 유인모이용기 2: 용기본체1: insect attracting container 2: container body

3: 모이 수납부 4: 벌레의 출입구3: food compartment 4: doors of insects

5: 시일 재 5a: 당김조각부5: seal ash 5a: pull piece

6: 시일 재 박리구멍 7: 벌레의 유인모이6: seal ash peeling hole 7: insect attracting

8: 둘레 벽 9: 배 껍질 무늬8: circumference wall 9: pear shell pattern

10: 주름무늬 11: 반구형상(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10: wrinkled pattern 11: hemispherical shape (or similar projection point)

12: 고랑 부 13: 지그재그형 단면12: furrow 13: zigzag cross section

14: 파도형 단면 20: 털면14: wavy cross-section 20: wool surface

30: 섬유 재 100,221 : 개미의 유인모이용기30: fiber material 100,221: attractant container of the ant

102,222: 용기본체 103,223 : 덮개체102,222: container body 103,223: cover body

104,224: 모이수납부 105,225 : 둘레벽104,224: storage unit 105,225: peripheral wall

106,226: 차양형상부재 107,227 : 작은 조각106,226: Shading member 107,227: small piece

108,228: 독모이 109,229 : 개미의 출입구108,228: Single dog 109,229: Ant entrance

110,230: 시일재 박리구멍111,231 : 시일재110,230: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11,231: sealing material

111a,231a: 당김조각부 112,232 : 내벽111a, 231a: Pull piece 112,232: inner wall

<제1실시예 내지 제8실시예(도1 내지 도11참조)><First to eighth embodiments (see FIGS. 1 to 11)>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벌레의 유인모이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와, 모이수납부와, 시일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개미의 구제에 사용하는 것일 때, 얇은 상자형의 용기(주로 플라스틱제)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모이용기는 개미 등의 해충이 침입할 수 있는 크기의 벌레의 출입구와,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는 오목부(모이수납부)와, 시일재의 당김조각부를 용기밖으로 당겨내어 시일재의 박리를 가능하게 하기위한 시일재 박리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모이수납부는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부로서, 둘레벽이 그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둘레에 걸쳐, 예를 들면 육상트랙경기장의 주행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나, 물론 다각형상이라도 좋다.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t least a container body, a feed unit and a sealing material. The shape of the container bod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when used for the control of ants, a thin box-shaped container (mainly made of plastic) is used. In addition, this type of feed container is the entrance and exit of insects of the size that insects such as ants can invade, the concave part (moisture storing part) which puts the attracting insects of the insect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pull piece of the sealing material. A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for pulling the part out of the container to enable peeling of the sealing material is provided. The feed storing portion is a recess for storing the attracted insects of the worm,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is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running course of the track track stadium, for example, substantiall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thereof, but may be polygonal.

또, 시일재를 박리한 후, 모이가 쏟아져 나오지 않도록 둘레벽의 윗면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안쪽으로 향하여 적당한 차양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after peeling a sealing material, you may provide an appropriate shade toward inward in the position slightly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a circumference so that a feed may not spill out.

또, 시일재는 플라스틱 또는 종이 등으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히이트시일)되어 있다. 또, 시일재는 그 시이트가 접착하는 모이수납부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작부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시이트가 접착하는 모이수납부의 다른 끝쪽을 넘어 상기 용기의 시일재 박리구멍을 지나 용기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밖에서 이 당김조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상기 시이트를 그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시일재를 박리할 수 있다.Moreover, the sealing material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paper, or the like, and is bonded or heat-welded (heat se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age portion. Moreover, the sealing material has a continuous pulling operation part which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feeder storage portion to which the sheet is bonded, and the pull piece extends long, and the sealing material of the container is crossed over the other end of the feeder storage portion to which the sheet is bonded. It extends through the peeling hole and out of the container. The sealing material can be peeled off by pulling the pull piece out of the container and peeling the sheet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ortion (concave por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그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필름과 같은 시일재를 유인모이용기의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의 편평한 윗면에 용착하고, 그 윗면전체와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을 때에는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이 필요이상으로 너무 강해져서 시일재가 박리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시일재를 박리할 때, 오목부내에 수납된 유인모이(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사태가 생기기 쉽다. 시일재를 종이제의 것으로 바꾸면 시일재를 박리할 때 시일재 자체가 찢어져서 그 일부가 용기의 둘레벽 윗면에 접착된 채로 남는 폐단도 생기기 쉽다.Thus, as described above, a sealing material such as a plastic film is welded to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ortion (concave portion) of the attracting container, and when the method of adh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is adopted, The adhesion to the top of the wall becomes too strong than necessary, making the sealing material difficult to peel off. For this reason, when peeling a sealing material, the situation which the attracted feeder stored in a concave part scatters out of a container tends to arise.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replaced with a paper, the sealing material itself is likely to be torn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and a part of the sealing material is likely to remain stuc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그러나, 그 반면에 시일재와 용기의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성을 현저히 약하게 하면, 수납된 우인모이(독모이)의 밀봉성이 불충분하게 되며, 따라서 그 보존중에 모이가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 유효성분의 휘산방출에 의한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모이의 유효기간의 단축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On the other hand, however, if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is significantly weakened, the sealability of the housed herds feeds is insufficient, and thus, during the storage, the feeds are deteriorated due to moisture or the like.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shortening of the shelf life of the feedstock, particularly shortening the shelf life of the feedstock, are caused by volatiliz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는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의 구조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개량을 가함으로써 유인모이(독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한편, 시일재를 둘레벽의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로 모이수납부(오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접착성을 조절한 것이다.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e manned feed container of the ins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proper sealing property to the attracted feed dog by applying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art (concave part). The adhesivenes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upper surface of the gathering part (concave part) and the sealing material is adjust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그 개량법의 첫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배껍질모양 또는 주름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들 모양의 형성에 의하여 시일재가 접착성이 뛰어난 플라스틱(PE)시이트라도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만큼 시일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method of the improvement method is to form a pear shell shape or a wrinkl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ortion. By the formation of these shapes, even if the sealing material is a plastic (PE)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is weaken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또,개량법의 둘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을 분산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를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전자는 점접촉에 의하여 시일재와 결합하는 것이고, 또 후자는 선접촉에 의하여 시일재와 결합하는 것이다. 어느 것이나 시이트상의 시일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전체 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겅우에 비하여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시일재의 박리가 쉬워진다.The second method of the improvement method is to form a hemispherical or similar projection poi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form of a dispersion point, or a number of furrows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t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ormer combines with the sealing material by point contact, and the latter combines with the sealing material by line contact. In either case,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is lower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heet-like sealing material is bonded (heat-weld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torage portion,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is easily peeled off.

또,개량법의 셋째는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단면을 둘레벽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 단면 또는 파도형 단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의 경우와 똑같이 시일재와의 결합에 있어서 시일재와 선접촉하는 구조이고, 따라서 시이트상의 시일재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어 시일재의 박리가 쉬워진다.The third method of the improvement method is to for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ortion so as to be a zigzag cross section or a wavy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is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in lin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and thus the sealing member on the sheet is bonded (heat weld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er. And adhesion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re lower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is easily peeled off.

그 개량법의 네째는 시일재의 표면에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털면의 형성에 의하여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이 접착성이 뛰어난 평탄한 평면이라도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만큼 시일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The fourth method of the improvement method is to form a hair surface on the side of the sealing material which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collecting portion. By the formation of the wool surface,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storage portion is a flat plane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weaken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또, 개량법의 다섯째는 시일재를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필료에 의하여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섬유재로 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 섬유재의 개재라는 구성은 예를 들면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에 사용되는 접착제에 적당한 섬유재 예를 들면 짧고 촙된 섬유를 혼련하여 그 접착제로 시일재를 둘레벽 윗면에 접착시킴으로써 쉽게 달성할 수 있다. 그래서,시일재를 종이제의 것으로 하고, 또한 둘레벽 윗면과의 사이에 섬유재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들레벽의 윗면이 접착성이 뛰어난 평탄한 평면이라도 시일재와 둘레벽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시일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fth method of the improvement method, the seal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paper sheet having a suitable tensile strength and a fibe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llecting portion by the fill material.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position of the fiber material is easily achieved by kneading a suitable fiber material, for example short and chopped fibers, to the adhesive used for bonding the sealing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and bonding the sealing materia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with the adhesive. can do. Therefore, the sealing material is made of paper and the fiber material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that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waddle wall is a flat plane with excellent adhesiveness,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weakened.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off.

본 발명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넣어두는 유인모이로서는 입자 과립 등의 고체의 유인모이와, 겔, 페이스트 등의 반고체 유동체의 유인모이, 또는 액체의 유인모이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과립베이트제, 제리베이트제를 사용한다.Examples of the bait feeder put in the bait feeder of the w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ait feeders of solids such as granules, semi-solid fluids such as gels and pastes, or bait feeders of liquids. For example, a granulated bait agent and a jellybate agent are used.

<제9실시예 내지 제10 실시예 (도12 내지 도17참조)><9th to 10th Embodiments (see Figs. 12 to 17)>

본 발명의 제9 내지 제10실시 예에 따른 개미유인 모이 용기는 적어도 용기본체와, 덮개체와, 시일재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본체와, 바람직한 투명한 덮개 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수지로 이루어지며, 통상 양자의 재질은 같으나 다른 것이라도 무방하다. 용기본체의 둘레가장자리 측면인 외주벽 부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 측면은 접합부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고, 접합방식은 끼워맞춤, 초음파용착, 힌지에 의한 연결 등으로 적절히 채용 가능하다.The feed container of the ant oil according to the ninth to ten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 container body, a cover body, and a sealing material. The container body and the preferred transparent cover body are made of plas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polystyrene, polycarbonate, etc., and the materials are generally the same, but may be different.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which is the circumferential edge side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ircumferential edge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are joined through the joining portion, and the joining method can be suitably employed by fitting, ultrasonic welding, connection by a hinge, and the like.

유인모이용기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나, 취급의 용이성, 가격, 독 모이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용기본체 및 덮개 체의 일변 또는 직경이 4∼8㎝인 대략 정방형, 장방형, 원형이고, 양 부분을 접합한 후의 높이가 1∼2㎝정도의 것이 적당하다.The size of the manned feed contain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handling, the price, the size of the feed dog, etc.,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body are approximately square, rectangular, circular, having a diameter of 4 to 8 cm, It is suitable that the height after joining both parts is about 1 to 2 cm.

외주벽 부 및 후술하는 내벽의 안쪽에는 또 둘레 벽에 의하여 구성되는 모이수납부가 있다. 이 모이 수납부는 상기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한바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데, 둘레 벽의 높이는 6∼12㎜정도가 적당하고, 통상 외주벽의 저변을 향하여 넓어지는 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inner wall,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a feeder portion formed by the circumferential wall. The feeder accommodating portion forms a shap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but the heigh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about 6 to 12 mm, and is generally formed in a weir shape widening toward the bas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특히,제9 내지 제10실시 예는 시일 재를 박리후, 독 모이가 쏟아지지 않도록 둘레 벽의 안쪽의 대략 윗면위치, 바람직하기는 윗면보다 수㎜ 낮은 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 면 부근으로 수하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차양의 폭은 수납하는 독 모이의 양에도 의하나, 3∼8㎜정도가 적합하고, 차양의 아래쪽에는 침입한 개미가 독 모이 수납 부에 들어가기 쉽도록 또한 독 모이를 물고 나가기 쉽도록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하하는 작은 조각이 구비된다. 작은 조작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대략 3각형이나 대형의 판자형상이고, 오목 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 작은 조각은 둘레 벽의 안쪽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하여도 좋고, 또는 예를 들면 둘레 벽이 대략 정방형이면 대향하는 1쌍의 2변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In particular, in the ninth to tenth embodiments, after peeling the sealant, the seal material is turn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referably several millimeter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so as not to spill pois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nshade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small pieces to be attached, the width of the sunshad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dog feed house to accommodate, about 3 to 8mm is suitable, the invading ants in the bottom of the sunshade Small pieces are provid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feed container and to easily feed out the feed dog. Although the shape of a small operation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good to provide side by side so that it may be substantially triangular or large board-shaped, and incline toward the inside of a recessed part. Further, the small pieces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r may be provided only on two pairs of opposing pairs i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approximately square, for example.

또 제9내지 제10실시 예에 따른 개미유인모이용기에는 당연히 개미가 출입하는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출입구는 덮개 체에 마련되고, 독 모이의 누출이나 사용시의 모이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 벽의 윗면 이상의 높은 위치에 코너부를 피하여 복수 개 마련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덮개 체의 둘레가장자리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여러 가지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한다. 또, 출입구의 크기는 개미를 막는 성능의 관점에서 슬릿의 경우는 폭 2∼4㎜정도, 구멍형이면 예를 들면 대략 반원형상이면 직경 2∼5㎜정도로 설계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ninth to tenth embodiments is provided with a doorway through which ants enter and exit.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exits in the cover body, and avoid a plurality of corners at a high position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poisonous feeds or scattering of feeds during use. For example, it forms by the long T-shaped slit on the periphery edge side of a cover body, or is formed by the hole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size of the entrance and exit is preferably about 2 to 4 mm in width for slits and about 2 to 5 mm in diameter for a semicircular shape in the case of a slit in view of the ability to prevent ants.

용기본체에 있어서는 외주벽부의 한쪽 면을 대략 덮개 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고, 또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시일재 박리구멍을 뚫어 설치한다. 한편, 그것에 접합하는 덮개 체에 상당하는 한쪽 면은 상기 외주벽부의 한쪽 면의 형상에 맞추어 그 덮개 체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윗면 둘레 가장자리부 또는 측면 상단 가까이 까지 절결한 형상인데, 상기 시일재 박리구멍을 설치한 용기본체와 접합한다. 좋은 예로는 대략 덮개 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한 외주벽부의 한쪽 면의 상부나 또는 그것에 접합되는 덮개체에 상당하는 윗면 둘레 가장 자리부 또는 측면 상단 부근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절결 함으로써 시일재 박리구멍이 되는 부분을 그들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외주벽부의 한쪽 면 및 덮개체의 한쪽면은 측면전체 뿐만 아니라 측면의 일부도 의미한다.In the container body,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formed to almos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and on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provided near the upper end. On the other hand,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ver body bonded to it is cut out from the lower end side of the cover body to the upper peripheral edge portion or close to the upper side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Join with the installed container body. A good example is peeling off the sealing material by cutting off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formed approximate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or the one or both of the upper peripheral edge or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cover body bonded thereto. The part which becomes a hole is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ed to those junction parts. Here,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one side of the cover means not only the entire side but also a part of the side.

또, 이에 더하여 본발명에서는 상기 높게 형성한 외주벽부의 한쪽면의 안쪽에 그 한쪽면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을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하였으므로, 더욱 확실한 모이누출 방지효과가 있으며, 또 그 내벽도 또한 시일재를 지지하므로, 시일재 박리구멍으로부터 시일재를 박리할 때에 시일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작용하여 유용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wall having the same height as that of one side is formed inside the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formed as high, it has a double wall structure. Moreover, since it supports a sealing material, it acts as a pulling guide of a sealing material and is useful when peeling a sealing material from a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기의 변형으로서는 대략 덮개체 윗면까지 높게 한 외주벽부의 안쪽에 내벽을 설치하지 않고 외주벽부의 한쪽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90도 이상 접어 넣어 차양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차양이 모이누출방지의 효과나 시일재 박리구멍으로부터 시일재를 박리할 때의 시일재의 당김가이드로서의 효과를 나타낸다.As a modification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forming an inner wall 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which is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folding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by 90 degrees or more inward to form a sunshade. have. In this case, the sunshade exhibit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water and the effect of the sealing material as a pulling guide when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from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또, 용기의 변형으로서 시일재 박리구멍을 외주벽부의 전측면이 같은 높이인 용기본체와 상기와 같은 절결한 측면을 갖지 않은 덮개체로 된 용기의 덮개체 또는 외주벽부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s a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n the cover body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which is made of a container body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ortion and the above-notched side. .

이 경우에도 시일재 박리구멍은 모이 누출 방지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하여 용기의 윗면 둘레 가장자리 또는 측면 상단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Even in this cas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preferably provided near the upp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near the upper side of the side of the container to further prevent the leakage of the feed.

개미유인모이용기의 모이수납부는 개미에 의한 모이의 운반용이성을 고려하여 입경이 0.5∼3㎜인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하는 시험예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더욱 바람직한 것은 입경이 0.5∼2㎜인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다. 더 큰 입자,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상의 독 모이를 사용하면 모이누출의 문제가 생기지 않으나, 개미에 의한 모이의 운반 용이성이나 개미의 구제효과의 면에서는 불리하게 된다. 독 모이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라메틸논, 피부로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에 각종 유인성 기재나 부형제를 배합하여 제조한다.Feeding section of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granules or granu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3mm in the consideration of the transportability of the feed by the ants. As illustrated in the test examples described later, more preferable are particulate or granular hair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2 mm. The use of larger particles, agglomerates, or paste-like poison feeds does not lead to problems of feed leakage, but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ase of transport of the feed by the ants and the control effects of the ants. Examples of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poison feed include hydramethylnon, dermalonyl, and the like, which are prepared by blending various attractant substrates and excipients.

이러한 본 발명의 개미유인모이용기를 개미가 배회하는 뜰이나 현관 등에 놓아두면, 용기내에 유인되어 들어간 개미가 독모이를 물고 개미집으로 가져가 개미집내의 개미들과 함께 먹어 모두 죽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효율적인 개미구제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흙 위에 놓아 두는 경우, 본 발명의 용기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용기의 한쪽면을 집게기구가 그 한 끝에 달린 스틱으로 바람직하기는 용기가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집고, 그 스틱을 흙속에 꽂아 넣어 고정시켜도 좋다.When the ant lur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yard or a porch where the ants roam, the ant attracted in the container can take the venom and take it to the anthill and eat it together with the ants in the anthill, 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efficient ant remedy. And, if it is placed on the soil, in order to fix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e side of the container is picked up with a stick attached to one end of the forceps mechanism so that the container is held horizontally, and the stick is inserted into the soil. It may be fix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최량의 실시형태로서 도면에 의하여 구체화된 실시 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1의 Ⅰ-Ⅰ선 방향에 따른 종 단면도이고,도 4는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attracting worm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I-I of Figure 1, Figure 4 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도면 표시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1)는 용기본체(2)로서의 플라스틱제의 얇은 상자형의 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기본체(2)는 그 내부에 설치된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3), 개미 등의 해충이 침입할 수 있는 크기의 벌레의 출입구(4) 및 시일재(5)의 박리에 이용되는 시일재 박리구멍(6)을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3)에는 입자상(약1~2mm의 직경의 것)의 벌레유인모이(7)가 수납되고, 그 오목부의 실질 전둘레에 걸쳐 육상트랙경기장의 주행 경기의 주행 코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벽(8)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attracting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hin box-shaped container made of plastic as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container body 2 has a concave-shaped collecting number provided therein. It is provided with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6 used for peeling the entrance and exit 4 of the insect insect of the magnitude | size which insects, such as a payment part 3 and an ant, invade, and the sealing material 5. In the concave-shaped feeder 3, there are housed insects 7 in the form of particles (of a diameter of about 1 to 2 mm), and the driving course of the running race of the track track stadium over the actual whole circumference of the concave portion. A circumferential wall 8 of similar shape is formed.

시일재(5)는 플라스틱으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3)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8)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둘레벽(8)의 윗면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껍질 모양(9)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상의 시일재(5)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3)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5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5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쪽과 반대쪽의 다른 끝쪽을 넘어 상기의 시일재박리구멍(6)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밖에서 이 당김조각부(5a)를 잡아당김으로써 모이수납부(3)의 둘레벽(8)윗면에 접착된 시이트상 시일재(5)를 둘레벽(8)의 윗면으로부터 박리 함으로써 시일 재(5)를 박리 할 수 있다.The sealing material 5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ing part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as shown in Fig. 4, a pear shell 9 is formed. In addition, the sheet-like sealing material 5 has a continuous pulling piece 5a that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feeder portion 3 to which it is bonded, and the pulling piece 5a extends long, and the one end side thereof. It extends beyond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seal peeling hole 6 above. Then, by pulling the pull piece 5a out of the container, the seal is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by peeling the sheet-like sealing material 5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of the feed storing part 3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The ash 5 can be peeled off.

<실시예2>Example 2

도 5는 제2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worm of FIG. 1 as a second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5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의 윗면만을 주름모양(10)으로 형성함에 의해, 시일 재(5)가 접착성이 뛰어난 플라스틱(PE)시이트라도 시일재(5)와 둘레벽(8)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As shown in Fig. 5,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forming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8 of the feeder portion into a corrugated shape 10, whereby the seal member 5 is a plastic (PE) sheet having excellent adhesio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becomes weak, and the sealing material 5 can be easily peeled by that much.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3>Example 3

도 6a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제3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FIG. 6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of the 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FIG. 1 as a third embodiment, and FIG. 6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of FIG.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rice collecting unit.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6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분산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상 또는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용기에서는 분산점 모양으로 배치된 돌기점(11)의 형성에 의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점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시이트상의 시일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의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As shown in Fig. 6,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has a hemispherical or similar projection point 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in the form of a dispersion point. Therefore, in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made by point contact by the formation of the projection points 11 arranged in the form of dispersion points. Accordingly,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8 is high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the seal member 5 on the sheet is adhered (heat weld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8 of the feed storage portion. Since it falls, it becomes the structure which can peel the sealing material 5 easily.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4>Example 4

도 7a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b는 제4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FIG. 7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of FIG. 1 as a fourth embodiment, and FIG. 7B is a plan view of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insect of FIG. 1 as a fourth embodimen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expands and shows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a feed container.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7의 표시와 같이,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 둘레벽(8)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예의 용기에서는 고랑부(12)의 형성에 의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시이트 상의 시일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As shown in Fig. 7,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furrows 12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8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ing container. Therefore, in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peripheral wall 8 by the formation of the furrow portion 12 is made by line contact.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aling material 5 on the sheet is adhered (heat 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feed storage por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increased. Since it falls, it becomes the structure which can peel the sealing material 5 easily.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Example 1.

<실시예 5>Example 5

도 8은 제5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fifth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8의 표시와 같이, 둘레 벽(8)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재그형 단면(13)으로 형성되어 있다.그래서 본 실시예의 지그재그형 단면(13)의 형성에 의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도8 의 표시와 똑같이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이트 상의 시일재(5)가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8) 윗면과 전체 면에 걸쳐 접착(열 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with a zigzag cross section 13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as shown in Fig. 8. Thus, the seal member is formed by the formation of the zigzag cross section 13 of this embodiment. The combination of 5 and the peripheral wall 8 is made by line contact as shown in FIG.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aling material 5 on the she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bonded (heat-weld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of the feed ho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aling material 5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8 Since the adhesiveness of is reduced, it is a structure which can peel the sealing material 5 easily.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the first embodiment.

<실시예6>Example 6

도 9는 제6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 수납 부의 둘레 벽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 도이다.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unit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insect of FIG. 1 as a sixth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도9의 표시와 같이, 둘레 벽(8)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14)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예의 용기는 파도형 단면(14)의 형성에 의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과의 결합은 실 시예 5와 똑같이 선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시이트 상의 시일재(5)가 모이수납부의 둘레벽(8) 윗면과 전체면에 걸쳐 접착(열용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시일재(5)와 둘레벽(8)윗면과의 접착도가 저하되므로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with the wave shaped cross section 14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as shown in FIG. Thus, in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peripheral wall 8 by the formation of the wave-shaped cross section 14 is made by line contact as in Example 5. Therefore,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sealing material 5 on the sheet is adhered (heat-welded) over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of the feed storage portion,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ing material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high. Since it falls, it becomes the structure which can peel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5 easily.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Example 1.

<실시예7>Example 7

도 10은 제7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 결합형태의 일부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다.10 is an enlarged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a part of the coupling form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and the seal member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as a seventh embodiment.

본 실시 예의 유인모이용기는 둘레 벽(8)의 윗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시이트상 시일재(5)의 모이수납부(3)의 둘레벽(8) 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면(20)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털면(20)의 형성에 의하여 둘레벽(8) 윗면이 시일재(5)와의 접착성이 일반적으로 뛰어난 평면구조라도 시일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시일재(5)를 쉽게 박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 예1의 용기와 같다.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nto a flat surface, and the hair surface 20 is attached to the side of the sheet-shaped sealing material 5 which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of the feeder portion 3. It is formed. Therefore, eve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generally flat with good adhesion to the seal member 5, the adhesion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weakened by the formation of the hair surface 20. As long as the sealing material 5 can be peeled easily. The other structure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ainer of Example 1.

<실시예8>Example 8

도 11은 제8실시 예로서 도 1의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시일재와의 결합 형태의 일부만을 확대 도시한 부분 측 단면도이다.11 is an enlarged partial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a part of the coupling form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and the seal member in the attracting device container of FIG. 1 as an eighth embodiment.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 용기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 시이트의 시일재(5)와, 둘레벽(8)의 윗면을 평탄한 면으로 형성하고, 둘레벽(8)의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된 섬유재(3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시일재(5)를 종이제의것으로 하고, 또한 둘레벽(8)의 윗면과의 사이에 섬유재(30)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둘레벽(8)의 윗면의 시일 재와의 접착성이 일반적으로 뛰어난 평면구조라도 시일재(5)와 둘레벽(8)의 윗면과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그 만큼 시일재(5)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1의 용기와 같다.The manned feed contai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a paper sheet having a suitable tensile strength and a top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with a flat surface and interposed between the top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t is formed by the ash (30). Therefore, the sealant 5 is made of paper and the fiber material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so that the adhesion to the seal memb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8 is prevented. Even in this generally excellent planar structure,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al member 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8 is weakened, so that the seal member 5 can be easily peeled accordingly. It is like a container of 1.

<실시예9>Example 9

도 12는 제9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미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시일재 박리 후), 도 13은 도 12의 Ⅱ-Ⅱ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시일재 박리 전),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n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ninth embodiment (after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2 (before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1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2.

도12∼13은 본 발명의 개미유인모이용기에 대한 제9실시 예로, 본 실시예의 개미유인모이용기(100)는 용기본체(102)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 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와, 덮개체(103)로서의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 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로 이루어지며, 양자는 끼워 맞춘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용기본체(102)는 그 내부에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104)를 가지며,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육상트랙 경기장의 주행 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 벽(105)(높이는 용기본체(102)와 똑같은 약 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105)의 안쪽에는 폭이 3∼8㎜정도이고 둘레벽(105)의 윗면으로부터 2㎜정도 낮은 위치를 도는 차양형상부재(106)가 부착된다. 그리고, 이 차양형상부재(106)는 그 오목부의 저면 부근에 수하(垂下)하는 작은 조각(107)(본 실시 예에서는 대향하는 1쌍의 2변에 판자형상의 것이 합계 8개)을 가지며, 작은 조각(小片)(107)은 오목부에 수납되어 있는 독모이(108)(입경 1㎜의 입제)와 개미가 왕래하기 쉽도록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12 to 13 are ninth embodiments of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bstantially square box-shaped container (one side about 6 cm) made of plastic as the container body 102. , Approximately 8 mm in height, and a substantially square box-shaped container (about 6 cm on one side, about 8 mm in height) made of plastic as the lid 103, and both are joined in a fitted state. The container body 102 has a concave-shaped feed unit 104 therein, and a circumferential wall 105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running coarse of a track track stadium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cave portion. The same about 8 mm) as 102) is formed. A sunshade member 106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that is about 3 to 8 mm wide and about 2 mm lower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The sunshade member 106 has a small piece 107 (in this embodiment, eight board-shaped ones in total on two opposite pairs) that hangs near the bottom of the concave portion. The small pieces 107 are provided side by sid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ss so that ants 108 (grains of 1 mm in diameter) stored in the recess and the ant are easily accessible.

덮개체(103)의 3측면에는 각각 개미의 출입구(109)가 둘레벽(105)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가로가 긴 슬릿(폭 2㎜, 길이 10㎜)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출입구(109)가 없는 덮개체(103)의 나머지 1측면의 중앙부를 윗면 둘레 가장자리 부근까지 절결하고, 대응하는 외주 벽의 1측면부분을 덮개체(103)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하되, 상부를 일부 절결하도록 형성하여, 슬릿상의 시일재 박리구멍(110)을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외주벽부의 그 대응하는 측면의 안쪽은 그 1측면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112)을 설치하여 이중 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확실한 모이누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내벽(112)은 시일재(111)를 지지하므로 시일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도움이 된다.On the three side surfaces of the lid 103, the entrance and exit 109 of the ant is provided in the position which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by a long slits (width 2mm, length 10mm). In additi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maining one side of the lid 103 without the doorway 109 is cut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peripheral edge, and the one sid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outer peripheral wall is raised to almost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103, but the upper portion is It is formed so that it may be partially cut | disconnected and the slit-shaped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10 is comprised. Moreover, the inn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ide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part is provided with the inner wall 112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one side, and has a double wall structure. By this structure, a certain feed leakage prevention effect can be obtained, and since the inner wall 112 supports the sealing material 111, it is useful as a pulling guide of a sealing material.

상기 시일재(111)는 상기 실시예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수지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104)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둘레벽(105)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105)의 윗면에는 배껍질 모양(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 상의 시일재(111)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104)의 한끝 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111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111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 쪽과 반대쪽의 다른 끝 쪽을 넘어 상기 시일재 박리구멍(110)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eal member 111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resin,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age unit 104. And the pear-shell shape (not shown)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105.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sealing material 111 on the sheet has a continuous pulling piece 111a which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feeder storage part 104 to which it is bonded, and the pulling piece 111a extends long, and the one end side thereof. It extends beyond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10.

이렇게 제작된 본 실시예의 개미유인모이용기(100)는 보존 중에 독 모이의 누출을 볼 수 없고, 시일재(111)를 박리하여 사용할 때에도 독 모이가 비산될 염려는 없었다. 그리고 용기를 지면 위에 놓아도, 또 용기의 일 측면을 고정용의 스틱으로 집고 뜰에서 스틱을 흙 속에 꽂아 넣어 사용하여도, 만족스러운 개미구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개미의 습성 때문에 스틱을 타고 덮개 체의 윗면으로 올라간 후, 출입구(109)에 도달하는 것이 인정되었다.The ant attracting container 100 of this embodiment produced as described above did not see the leakage of the poison feed during storage, and there was no fear that the poison feed would scatter even when the sealing material 111 was peeled off and used. And even if the container was placed on the ground and one side of the container was picked up with a stick for fixing, and the stick was put in the soil in the yard, a satisfactory ant relief effect was obtained. In the latter case, it was admitted to reach the doorway 109 after climbing the stick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because of the habit of the ants.

<실시예10>Example 10

도 15는 제10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미유인모이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시일재 박리 후),도 16은 도15의 Ⅲ-Ⅲ선 방향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시일재 박리 전),도 17은 도15에 도시한 용기의 외관 사시 도이다.FIG.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nth embodiment (after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irection of line III-III of FIG. 15 (before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17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shown in FIG. 15.

도15∼17은 본 발명의 개미유인모이용기에 대한 실시예 10으로, 본 실시예의 개미유인모이용기(221)는 실시 예 9와 똑같이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용기(일변이 약 6㎝, 높이 약 8㎜)로 된 용기본체(222) 및 덮개체(223)가 끼워 맞춘 형태로서 접합되어 있다. 또, 용기본체(222)는 실시예 9와 똑같이 그 내부에 오목부형상의 모이수납부(224)를 가지며, 오목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육상트랙 경기장의 주행 코오스와 비슷한 형상의 둘레벽(225)(높이는 용기본체(222)와 같은 약 8㎜)이 형성되어 있다.15 to 17 is an embodiment 10 for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221 of this embodiment is a substantially square box-shaped container (about 6 cm, one side) made of plastic as in Example 9 The container body 222 and the lid 223, each having a height of about 8 mm, are joined in a fitted state. 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222 has a concave-shaped feed unit 224 therein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ninth embodiment, and has a circumferential wall having a shape similar to a running coarse of a track track stadium over substantially the entire circumference thereof. 225 (the height is about 8 mm like the container body 222) is formed.

그리고, 둘레벽(225)의 안쪽에는 폭이 3∼8㎜정도이고 둘레벽(225)의 윗면보다 2㎜정도 낮은 위치를 도는 차양형상부재(226)가 부착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차양형상부재(226)는 그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하하는 둘레벽(225)의 안쪽의 전 둘레에 걸쳐 판자형상의 작은 조각(227)이 합계 14개 정도로 설치되어 있다. 작은 조각(227)도 오목 부에 수납되어 있는 독모이(228)(입경 1㎜의 입자제)와 개미가 왕래하기 쉽도록 오목 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is attached with a sunshade member 226 having a width of about 3 to 8 mm and a position of about 2 mm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The shading member 22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total of 14 pieces of plank-shaped small pieces 227 ove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to be receiv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It is. The small pieces 227 are also arranged side by sid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ss so that anthills 228 (made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mm) and ants are easily housed in the recess.

상기 덮개체(223)의 3측면에는 각각 개미의 출입구(229)가 둘레벽(225)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T자형의 슬릿(폭 3㎜)으로 설치되어 있다. 실시 예9와 똑같이, 출입구(229)가 없는 덮개체(223)의 나머지 1측면의 중앙부를 윗면 둘레 가장자리 부근까지 절결하고, 대응하는 외주벽부의 1측면부분을 덮개체(223)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하되, 상부를 일부 절결하여 형성하여 슬릿상의 시일재 박리구멍(230)을 구성하고 있다. 또, 그 외주벽부의 그 대응하는 측면의 안쪽은 그 1측면 상단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가진 내벽(232)을 설치한 이중 벽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하여 확실한 모이 누출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내벽(232)은 시일재(231)를 지지하므로 시일재의 당김 가이드로서 도움이 된다.On the three side surfaces of the cover body 223, the entrances and exits 229 of the ants are provided with T-shaped slits (width 3 mm) at position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As in the ninth embodimen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maining one side of the lid 223 without the doorway 229 is cut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circumferential edge, and the one sid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s almost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23. Although it is made high, the upper part is partially cut off and the slit-shaped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230 is comprised. The inner side of the corresponding side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has a double wall structure in which an inner wall 232 having a height substantially equal to that of the upper side of one side is provided. By this structure, a certain feed leakage prevention effect can be obtained, and since the inner wall 232 supports the sealing material 231, it is useful as a pulling guide of a sealing material.

시일재(231)는 플라스틱수지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224)의 상부개구를 덮도록 둘레벽(225)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225)의 윗면에도 배껍질모양(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시이트상의 시일재(231)는 그것이 접착되는 모이수납부(224)의 한끝 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231a)를 가지며, 이 당김조각부(231a)는 길게 뻗어 있고, 상기 한끝 쪽과 반대쪽의 타단부를 넘어 상기 시일재 박리구멍(230)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The seal member 231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resin,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age portion 224. A pear shell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225. In addition, the sheet-like sealing material 231 has a continuous pulling piece 231a which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feeding unit 224 to which it is bonded, and the pulling piece 231a extends long, and the one end side thereof. It extends beyond the other en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230.

이렇게 제작된 본실시예 2의 개미유인모이용기(221)도 또한 실시 예 9의 용기와 똑같이 만족스러운 개미구제효과를 나타냈다.The ant attracting container 221 of the second embodiment thus produced also exhibited the same satisfactory ant relief effect as the container of the ninth embodiment.

<시험예1><Test Example 1>

실시 예 9에 준하여 하기 표1에 도시한 개미의 각종 유인용기를 제작하여 하기의 성능을 조사하였다.According to Example 9, various attraction containers of ants shown in Table 1 were prepared, and the following performances were examined.

ⓛ 독모이의 누출 : 시일재를 박리한 후, 용기를 70도의 각도로 세웠을때에 용기로부터 누출되는 독모이량을 조사하였다. 입경을 바꾼 독모이를 사용하였고, 결과는 독모이 수납량에 대한 누출량의 비율로 표시하였다.Leakage of dog hair: After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the amount of dog hair leaking from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was set at an angle of 70 degrees was investigated. The dogs with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were used, and the results were expressed as the ratio of leakage to dogs stored.

② 개미의 구제효과 : 종래의 유인모이용기(출입구를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독모이로서 덩어리를 사용한 것)을 지면 위에 놓아둔 경우와 비교하여 0 ,△,X로 표시하였다.② Remedy effect of ants: It is expressed as 0, △, X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attracted animal container (the entranc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used as a lump as a dog feeder) is placed on the ground.

개미의 유인모이용기Ant lures 시험항목Test Items 독모이의크기(입경: mm)Size of dog feed (particle diameter: mm) 차양형상부재의 유무Presence or absence of sunshade member 출입구(저면으로부터의 높이: mm)Doorway (height from bottom: mm) 독모이의 누출(%)Leakage of dog feed (%) 개미의구제효과Ant Remedies 차양shade 작은 조각bit 1 본1발발1명명1 head 1 outbreak 123123 입제 (1.0)입제 (2.0)입제 (0.8)Granulated (1.0) Granulated (2.0) Granulated (0.8) 있음있음있음Yes Yes Yes 판자형상8개막대기형상4개판자형상8개8 board shapes 8 bar shapes 8 board shapes 덮개체(8)측면 3개덮개체(8)측면 3개덮개체(8)측면3개코너 4개Cover body (8) Three side cover body (8) Three side cover body (8) Three side corners Four 001001 0△~ 000 △ ~ 00 비비교교예예예Comparative Comparative Examples 123451 2 3 4 5 입제 (1.0)입제 (1.0)입제 (1.0)과립 (8)덩어리(20)Granules (1.0) Granules (1.0) Granules (1.0) Granules (8) Lumps (20) 있음있음Yes Yes 판자형상8개8 plank shapes 본체 (1)측면 4개덮개체(8)측면 3개본체 (1)측면 4개덮개체(8)측면 3개본체 (1)측면 4개Main body (1) Four side cover body (8) Three side body (1) Four side cover body (8) Three side body (1) Four side 40144004014400 0△X~△X~△△0 △ X ~ △ X ~ △△

시험결과, 작은 조각을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가지며, 독모이로서 2.0㎜까지의 입경의 입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개미유인모이용기는 독 모이의 누출이나 비산 방지와 개미구제효과의 양면에서 뛰어난 데 대하여, 비교예 1 또는 2와 같이 차양형상부재가 없는 경우, 독 모이가 누출되기 쉽고, 한편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을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 3이나 큰 입경이나 덩어리와 같은 독 모이를 사용한 비교예 4 또는 5에서는 개미의 구제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As a result of the test,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hading member with small pieces, and uses granu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up to 2.0 mm as a dog feeder, is excellent in both the prevention of leakage and scattering of the dog feeder and the ant remedy effect. 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shading member as in Comparative Examples 1 or 2, poison feed is liable to leak, while Comparative Example 3 which does not include a small piece of shading member or a comparative example using a poison feed such as a large particle size or agglomerates. At 4 or 5, the control effect of ants tended to be low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ct attracting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유인모이가 수납된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시일재를 쉽게 박리할 수 있고, 그 때 시일재가 찢어져 그 일부가 그 윗면에 남는 일이 없으며, 또 그 오목부의 밖으로 모이가 비산하는 사고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1)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recess in which the manned feed is housed, and the sealing material is not torn at that time, and a part of the sealing material does not remain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that the huddle scatters out of the recess. Can be reduced.

2)용기내에 수납된 유인모이에 대하여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습기 등에 의한 모이의 변질을 방지하고, 또 모이의 보존가능기간 특히 그 유효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2) Appropriate sealing property can be maintained with respect to the attracted cows stored in the container, thus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feed due to moisture and the like, and extending the shelf life of the feed, especially its effective period.

3)종래의 개미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시에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문제가 없고, 또한 개미의 구제효과가 저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벌레유인모이용기는 바퀴벌레, 개미, 지네 등의 해충의 구제에, 특히 개미집내의 개미집단의 구제에 유효한 잇점을 갖는다.3)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nt-induced feeding container, there is no problem of leaking the poisonous seed or scattering of the poisonous seed out of the container when it is used, and also, the control effect of ants is not reduced. In particular, the 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effective in controlling pests such as cockroaches, ants, centipedes and the like, and particularly in controlling ant populations in ant colonies.

Claims (12)

벌레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In the lure container of worms,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안쪽에 설치된 벌레의 유인모이를 넣어두기 위한 오목 부를 둘러싼 둘레 벽이 그 오목 부의 실질적으로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모이 수납 부와, 그 모이수납부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그 둘레벽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된 시이트의 한끝쪽에서 되접혀 연속하는 당김조각부를 가지며, 그 당김조각부를 잡아당김으로써 그 시이트를 상기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시일재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은 상기 시일재와의 결합에 있어서 적당한 밀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시일재를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쉽게 박리할 수 있을 정도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container body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surrounding the concave portion for holding the attracting insects of the insect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body ar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oncave portion, and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 storage portion. It has a continuous pull piece which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sheet bonded or heat-we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cover it, and has a sealing material which can peel the shee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by pulling the pull piec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has a structure such that the sealing material can be easily peel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while maintaining proper sealing property in the engagement with the sealing material. Attrac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배껍질 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hape of a pear shell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주름모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ng container of claim 1, wherein a plea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반구형상이나 이에 유사한 형상의 돌기점이 분산 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protrusions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or a similar shape are formed in a dispersion point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 윗면에는 둘레벽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은 수많은 고랑부가 둘레 벽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number of furrows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er.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지그 재그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is formed with a zigzag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worm attracting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상부 단면은 둘레벽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파도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worm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is formed in a wavy cross s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재는 모이 수납부의 둘레벽 윗면과 접착되는 쪽에 털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 material has a hair surface formed on a side of the seal material adher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of the feed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재는 적당한 인장강도를 가진 종이시이트와, 상기 모이수납부의 둘레벽의 윗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레의 유인모이용기.The insect attraction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 member is made of a paper sheet having an appropriate tensile strength and a fibe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an upper surface of a circumferential wall of the feeder portion. 외주벽부 및 그 안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둘레벽을 설치하여 구성한 모이수납부을 가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외주벽부와 접합되는 덮개체로 된 개미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In a container main body having a feeder unit formed by forming a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form a recessed portion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inside thereof, and an ant attracting container comprising a cover body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넣어둠과 동시에, 그 둘레 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위치를 돌면서 그 오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하하는 작은 조각을 복수개 구비한 차양형상부재를 부착하고, 그 둘레벽 윗면에 박리할 수 있는 시일재를 구비하고, 그 덮개체에는 복수개의 개미출입구를 설치하고, 또 상기 외주벽부의 1측면을 상기 덮개체의 거의 윗면까지 높게 형성하고 그 상단 부근에 1개의 시일재 박리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또한 그 1측면의 안쪽에 그 1측면과 대략 같은 높이의 내벽을 설치하여 이중벽 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A small piece of grain or granu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3 mm is placed in the feed storage section, and the bag is plac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while turning the approximately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nside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a seal member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sunshade memb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and which can be peeled of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 plurality of ant entrances and exits are provided on the cover body. It is formed high up to almost the upper surface, and on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installed near the upper end, and the inner wall of the same height as the one side surface is installed inside the one side surface, and it has double wall structure. Attracto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형상부재의 작은 조각이 판자형상이고, 상기 오목부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a small piece of the sunshade member is in a board shape and is installed side by side so as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ecess.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개미의 출입구가 덮개체의 둘레 가장자리 측면에 가로가 긴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ant lure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nt is formed of an elongated T-shaped slit on the circumferential edge side of the cover body.
KR10-2001-0047534A 2000-10-31 2001-08-07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KR1004305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33186 2000-10-31
JPJP-P-2000-00333185 2000-10-31
JP2000333185A JP2002125561A (en) 2000-10-31 2000-10-31 Insect-attracting bait container
JP2000333186A JP3747263B2 (en) 2000-10-31 2000-10-31 Insect feeding container
JP2001046820 2001-02-22
JPJP-P-2001-00046820 200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52A true KR20020034852A (en) 2002-05-09
KR100430545B1 KR100430545B1 (en) 2004-05-10

Family

ID=3747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534A KR100430545B1 (en) 2000-10-31 2001-08-07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545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6052Y1 (en) * 1987-02-19 1989-09-11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Increasing suction air device for turbo-charger engine
US5033229A (en) * 1990-10-10 1991-07-23 S. C. Johnson & Son, Inc.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US5548922A (en) * 1995-01-11 1996-08-27 S. C. Johnson & Son, Inc. Insect bait station
IN192594B (en) * 1996-09-18 2004-05-08 Johnson & Son Inc S 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545B1 (en) 200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3854A (en) Granular bait station
CA2093795C (en) Liquid delivery bait station
US8266839B2 (en) Insect bait station with snap-open cartridge and cradle
US7310908B2 (en) Insect bait station
US6202341B1 (en) Reusable pesticide bait station
JP5867919B2 (en) Termite control method and termite control device
JP4788857B2 (en) Ant attraction container
US20020069579A1 (en) Liquid bait station with internal wicking action
US20080256843A1 (en) Insect Bait Station
US4696127A (en) Container for capturing insects
KR100430545B1 (en)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JP4480983B2 (en) Ant poison bait container
KR100425251B1 (en)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JP2002209499A (en) Vessel of ant-attractant bait
JP3930009B2 (en) Ant poison bait container
JP3747263B2 (en) Insect feeding container
JP2002125561A (en) Insect-attracting bait container
JP7079961B2 (en) How to get rid of mice
JPH0224470Y2 (en)
JPH0583U (en) Pest repellent
WO2005043998A1 (en) Ant poison bait container and ant attractant composition for feed
JPH025743Y2 (en)
JPH025744Y2 (en)
JPH0725033Y2 (en) Insecticidal container
JPH059280U (en) Pest contro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