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5251B1 -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 Google Patents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5251B1
KR100425251B1 KR10-2001-0054234A KR20010054234A KR100425251B1 KR 100425251 B1 KR100425251 B1 KR 100425251B1 KR 20010054234 A KR20010054234 A KR 20010054234A KR 100425251 B1 KR100425251 B1 KR 100425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nt
circumferential wall
ho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6464A (en
Inventor
요시오 가쓰다
김효준
Original Assignee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13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88857B2/en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더 클로록스 인터내셔날 캄파니 filed Critical 다이니혼 죠츄기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6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4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2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05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 A01M1/2011Poisoning insects using bait station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전 및 사용중의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飛散)되는 것을 해소하여 뛰어난 구제효과를 갖게한 개미의 유인모이용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 attracting container of an ant which has an excellent remedy effect by eliminating the scattering of venom before use and during use.

이러한 본 발명은 외주벽(3) 및 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4)에 의한 모이수납부(5)를 가진 용기본체(2)와, 그 용기본체와 접합되는 덮개체(6)로 이루어지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1)에 있어서, 그 모이수납부(5)에 입경이 0.5~3mm의 독모이(7)를 수납하고, 그 둘레벽(4)의 윗면에 박리(剝離)가능한 밀봉(密封)재(8)를 구비함과 동시에, 그 유인모이용기(1)의 측면에 복수의 개미출입구멍(9) 및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10)을 설치하고, 또한 그 둘레벽의 안쪽에서 그 대략 윗면 위치를 돌면서 그 모이수납부의 바닥면 부근에 인접되는 구조로 위치되게 한 복수의 작은 조각부(12)를 구비한 차양 형상부(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 consisting of a container body 2 having a feed unit 5 by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3 and a circumferential wall 4 forming a recess, and a lid 6 joined to the container body. In the manned feed container 1, the feeder 7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3 mm is housed in the feeder unit 5, and a sealable sealabl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4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material 8, a plurality of ant entry holes 9 and on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0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ttracting container 1, and the in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hereof is provided. A sunshade portion 13 having a plurality of small carving portions 12 arranged in an adjacent structure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feed storage portion while being rotated at an approximately upper surface position is provided.

Description

개미의 유인 모이용기{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본 발명은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관한 것인데, 더 상세히 말하면 주로 사람의 생활 영역에 서식하는 개미의 구제를 위해, 유인성을 부여한 독 모이를 용기내에 넣어두고, 그 독모이로서 개미를 용기내에 유인하여 독 모이를 용기 밖으로 물고 나가게 한 후 독사시키는 개미의 유인 모이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 attracting device of a ant, more specifically, for the control of ants inhabiting a living area of human beings, a poisonous feeder having been attracted is placed in a container, and the ant is attracted to the container as a poison It's about an ant attracting feeder for an ant that feeds it out of its container and then poisons itself.

개미는 먹이를 그 자리에서 먹지 않고 개미집으로 물고 가서 먹는 습성이 있으며,이 습성을 이용한 구제법, 즉, 용기내에 넣어둔 독 모이를 개미집으로 운반하게 하여 개미집 내의 개미 집단을 몽땅 구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용기에는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형태인 개미의 독모이가 용기 안쪽의 오목부에 수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모이를 밀봉 보관하기 위하여 시일재가 오목부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조의 용기가 종래 제안되어 있다. 이 용기는 사용할 때에는 상기 밀봉재를 밀봉된 오목부의 둘레벽 윗면으로부터 박리한 후, 적당한 장소에 놓아둔다.Ants do not eat food on the spot, but eat it by going to the anthill, and there is a known method of using this habit, that is, a method of extinguishing the ant population in the anthill by carrying the venom gathered in the container to the anthill. . The container is housed in a recess in the form of granules or granules, and when not in use,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opening is formed so that the sealing material covers the upper opening of the recess so as to seal and store the feed. The container of the structure adhere | attach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which forms a recessed part is proposed conventionally. When the container is used,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sealed recess, and then placed in a suitable place.

그러나, 종래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는 시일재의 약화에 의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시에 밀봉재를 박리할 때에 용기가 흔들려서 독모이가 용기밖으로 비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nt attracting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iner is shaken when the dog is leaked due to the weakening of the sealing material or the container is shaken when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during use.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시에 독모이가 용기 밖으로 비산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개미의 구제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유인모이용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leakage of venoms and scattering out of the container when using them, compared to conventional attractants of ants. To provide a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요지로 하는 바는 다음의 점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lies in the following points.

(1)외주벽 및 그 안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에 의하여 구성한 모이수납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외주벽과 접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개미의 유인모이 용기에 있어서,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mm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수납하고, 상기 둘레벽의 윗면에 박리가능한 밀봉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또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복수의 개미출입구멍 및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의 안쪽에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 위치를 돌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바닥면 부근에 수직으로 내린 복수의 작은 조각부를 구비한 차양 형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이다.(1) The attracting container of an ant, comprising: a container body having a feeder unit constitut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a circumferential wall forming a recess therein; and a cover body joi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The granu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 to 3 mm are housed therein, and a sealant which can be peeled off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at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 or on the side of the lid body. A sunshade shape having an ant entry hole and on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mall pieces that are vertically lowered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eeder portion while rotating about the top posi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nside the circumferential wall. It is an ant attracting device of an ant, which is provided with a part.

(2)상기 차양형상부의 작은 조각부는 판자형상이고, 또한 상기 모이수납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1)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이다.(2) The small carving part of the said shading part is a board | substrate shape, and is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nt as described in (1) characterized by being inclined side by side toward the center of the said seed | sucking part.

(3)또한,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또는 그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외주벽의 안쪽에 또 상기 둘레벽의 바깥쪽에 모이비산 방지벽을 설치하되 2중 벽구조로한 것을 특징으로하는(1)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이다.(3) In addition, a double wall structure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on the out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face the sealant peeling hole, or the sealant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hole. It is the attractant group of the ant described in (1).

(4)상기 모이 비산방지벽은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또는 그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덮개체의 이면으로부터 상기 둘레벽의 윗면부근까지 수직으로 내린 것을 특징으로하는(3)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 모이용기 이다.(4) The feeding shatterproof wall is vertically lower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lid to near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fac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or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hole (3) It is the lure feeder of the ants described in.

(5)상기 모이 비산 방지벽은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에 거의 접하는 높이까지 뻗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모이 용기이다.(5) The said seed scattering prevention wall is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nt as described in (3) characterized by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container main body to the heigh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said cover body so that it may face the said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

(6)개미출입구멍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또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이다.(6)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ant as described in (1), wherein the ant entrance hole is formed of an elongated or T-shaped slit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 or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to be.

(7)밀봉재 박리구멍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또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개미의 유인모이 용기이다.(7) The attractant container for ants as described in (1), wherein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formed of an elongated or T-shaped slit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 or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to be.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는 용기본체와 덮개체와 밀봉재로 구성되는데, 용기본체 및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덮개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틸렌,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수지로 제조된다. 용기본체 및 덮개체는 통상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나, 서로 다른 재료로 제조하여도 상관없다. 용기본체의 외주벽과 덮개체는 접합되어 있고, 접합방식은 끼워맞춤, 초음파용착, 힌지에 의한 연결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The attractant container of the 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a cover body and a sealing material. The container body and preferably the transparent cover body are made of plastic resin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ester, polystyrene and polycarbonate.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ver body are usually made of the same material, but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lid body are joined, and the joining method can be appropriately adopted by fitting, ultrasonic welding, connection by hinge, and the like.

유인모이용기의 크기는 특별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나, 취급의 용이성, 코스트, 독모이의 크기 등을 고려하면 1변 또는 직경이 4~8cm의 대략 정방형, 장방형, 원형의 형태이며, 용기본체와 덮개체를 접합한 후의 높이가 1~2cm 정도의 유인모이용기가 적당하다.The size of the manned feed contain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considering the ease of handling, cost, and size of the feedstock, it is in the form of a square, a rectangle, and a round shape with a side or a diameter of 4 to 8 cm. Attractors with a height of 1 to 2 cm after joining the sieves are suitable.

상기 용기본체는 외주벽의 안쪽의 둘레벽에 의하여 구성되는 오목부인 모이수납부를 가진다. 둘레벽은 예컨대 육상경기장의 트랙과 비슷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모이수납부를 구성하나, 물론 다각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The container body has a feeder unit, which is a recess formed by a circumferential wall 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The circumferential wall is formed, for example, in a shape similar to a track of an athletic stadium, so as to form a collecting unit, but may be formed in a polygon.

둘레벽의 높이는 6~12mm 정도가 적당하며, 통상 외주벽의 저변을 향하여 경사진 둑형상으로 형성한다.The height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about 6 ~ 12mm is suitable, usually formed in the shape of a weeping inclined toward the base of the outer peripheral wall.

상기 모이수납부에는 개미구제용의 독모이를 수납한다. 본 발명의 개미유인모이용기에서는 개미가 물고 운반하기 용이성을 고려하여 입경이 0.5~3mm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하는 시험예가 예시하는 바와같이 가장 좋은 것은 입경이 0.8~2mm의 입자상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 이다. 그 보다 큰 입경의 입자, 덩어리 또는 페이스트상의 독모이를 사용하는 것은 모이누출방지의 점에서는 유리하나, 개미가 물고 운반하기 용이성, 그리고 개미의 구제효과의 면에서는 불리하다. 독모이의 유효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히드라메틸논, 피프로닐 등을 들 수 있는데, 이것에 각종 유인성 기재(基材), 부형제(賦形劑) 등을 배합하여 제제(製劑)한다.The feeder for storing ants is stored in the feeder. Ant antler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cle size of the granules or granules of 0.5 ~ 3mm i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carrying and transporting ants. As illustrated by the test examples described below, the best one is a particulate or granular hair wool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8 to 2 mm. The use of larger particle size particles, lumps or pastes of feedstock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evention of feed leakage, bu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ase of carrying and transporting of ants and control of ants. Examples of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feed moiety include hydramethylnon, fipronil, and the like, and various attractant bases, excipients, and the like are blended therein to form a formulation.

상기 둘레벽의 윗면에는 박리가능한 밀봉재가 구비된다. 그 밀봉재는 사용하기 전에 모이를 밀봉보관하기 위한 플라스틱수지 또는 종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이트상 부재로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둘레벽의 윗면에 접착 또는 열용착(히이트 시일)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is provided with a peelable sealing material. The sealing material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resin or paper for sealing and storing the feeder before use, and is bonded or heat welded (heat sea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cover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er.

또, 밀봉재는 그 밀봉재가 부착되는 둘레벽의 한끝으로부터 길게 뻗은 당김용 조각부를 가지며, 그 당김용 조각부는 그 한끝에서 되접혀서 그 한끝과 대향하는 둘레벽의 타단부를 넘어 용기측면에 설치된 밀봉재 박리구멍을 지나 용기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밖에서 이 당김용 조각부를 잡고서 당기면 둘레벽 윗면에 부착된 밀봉재가 박리되어 모이수납부가 개구된다.Moreover, the sealing material has a pulling piece extending long from one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to which the sealing material is attached, and the pulling piece is folded back at one end and peeled off the sealing material provided on the container side beyond the other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facing the one end. It extends through the hol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en, when the pull piece is grabbed and pulled outside the container, the sealing material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peeled off, and the feed storage part is opened.

따라서, 밀봉재의 부착을 위하여 둘레벽의 정상부는 평면인 것이 좋다. 또, 둘레벽의 윗면에 연속된 돌기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윗면에 배껍질 모양이나 주름모양을 형성하면, 상기 밀봉재의 적절한 접착 밀봉성과 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으므로 좋다.Therefore, the top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preferably flat for the attachment of the sealing material. Further, if a continuous proj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r a pear shell shape or a plea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t is possible to achieve proper adhesive sealing property and peelability of the sealing material.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는 당연한 것이지만 개미출입구멍이 형성된다. 또, 그것을 통하여 밀봉재의 당김용 조각부가 삽통되는데, 그 밀봉재 박리구멍도 형성된다. 그 밀봉재 박리구멍 및 그 개미 출입구멍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또는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Naturally, the ant entry hole is formed in the attracting device of the 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although the pulling piece of sealing material is inserted through this,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also formed.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ance hole are preferably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 or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유인 모이용기의 윗면에 그 구멍들을 형성하면 유인모이용기를 옥외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 유인모이용기내에 빗물이 들어갈 염려가 있다. 또 유인모이용기의 아래면 부근에 마련한 경우 유인모이용기로부터 독 모이의 누출됨이 쉬워진다.If the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nned feeder, rainwater may enter the manned feeder when the manned feeder is installed outdoors. In addition, when provid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ractant container, it is easy to leak poison from the attractant container.

개미출입구멍은 예컨대,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 또는 여러가지 형상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개미출입구멍의 치수가 크면 클수록 더 쉽게 개미가 독모이에 접근하기 쉽게 되나, 한편 큰 개미출입구멍은 유인모이용기 밖으로의 독모이의 비산방지의 관점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개미출입구멍의 치수는 슬릿이면 폭2~4mm 정도, 대략 반원형상의 구멍이면 예컨대, 직경 2 ~ 5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The ant entry holes can form elongated or T-shaped slits or holes of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ant entry hole, the more easily the ant is able to access the larvae, while the large ant entry hole is problematic in terms of preventing scattering of the larvae out of the manned container. Therefore, the dimension of the ant entrance hole is preferably about 2 to 4 mm in width if it is a slit, and about 2 to 5 mm in diameter when it i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hole.

밀봉재 박리구멍의 형상은 상기 개미출입구멍과 같이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으로 할 수 있으나, 그 당김용 조각부의 가로폭에 맞추어 일반적으로 그 밀봉재 잡아당기는 구멍은 개미출입구멍보다 폭이 넓다.The shape of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may be a long or T-shaped slit like the ant entry hole, but the sealing material pulling hole is generally wider than the ant entry hole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f the pulling piece.

본 발명의 유인모이용기에서는 밀봉재 박리시 및 밀봉재 박리 후의 사용시에 용기의 전도(顚倒)등에 의하여 그 유인모이 용기로부터 독모이가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레벽의 안쪽의 대략 윗면위치를 돌면서 모이수납부의 바닥면부근에 수직으로 내려진 작은 조각부를 복수개 구비한 차양 형상부를 설치한다.In the attractan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eedlings from pouring out of the attractant container due to the fall of the container during peeling of the sealing material and in use after the sealing material is peeled off, the number of roundings can be collected while turning the approximately upper surface in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 sunshade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mall pieces vertically lower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paid portion is provided.

그 차양 형상부의 폭은 수납하는 독모이의 량에도 의하나, 3~8mm 정도가 적합하며, 차양형상부의 아래쪽에는 침입한 개미가 모이수납부에 들어가기 쉽고 또한 독모이를 물고나가기 쉽도록 오목부의 바닥면부근에 수직으로 내려진 작은 조각부가 구비된다. 작은 조각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대략 3각형이나 대형(臺形)의 판자형상이고, 모이수납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병설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작은 조각부는 둘레벽의 안쪽의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하여도 좋고, 또 예컨대 둘레벽이 대략 정방형이면 대향하는 1쌍의 2변 쪽에만 설치하여도 상관없다.The width of the sunshade is dependent on the amount of dog feeder to be stored, but about 3 to 8 mm is suitable, and the bottom of the sunshade has a bottom portion of the recess so that the invading ants can easily enter the feeder and the dogs can be picked up. It is provided with a small piece lowered vertically near the face. Although the shape of a small carving par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is good that it is a substantially triangular or large board | substrate shape, and is arranged so that it may incline toward the center of a feed | transport storage part. In addition, the small engraving may be provid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r may be provided only on two opposite pairs of sides i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substantially square, for example.

본 발명의 유인모이용기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또는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외주벽의 안쪽에 또 상기 둘레벽의 바깥쪽에 실질적으로 그 구멍의 개구의 전체에 걸친 모이비산 방지벽을 설치하여 2중벽 구조로 한다. 모이비산 방지벽에 대해서는 상기 덮개체로부터 내려진 구성 및 용기본체에 세워 설치하는 구성의 어느 것이나 채용 가능하다.In a preferred aspect of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the entire opening of the hole is formed inside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outside the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face the sealant peeling hole or the sealant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hole. A double wall structure is provided by installing the moi-shan scattering barrier over. As the moist scattering prevention wall, any one of the configuration lowered from the lid and the structure mounted on the container main body can be adopted.

모이비산 방지벽을 덮개체의 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진 경우에는 모이비산 방지벽을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에 또는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설치하고, 수직으로 내려진 모이비산 방지벽이 상기 둘레벽의 윗면 부근까지 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여 어떤 원인에 의하여 독모이가 모이수납부로부터 누출되더라도 유인모이용기의 외부에까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anti-moisture scattering wall is lowered vertically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body, the anti-moisture scattering wall is provided at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or facing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hole, and the vertical scattering preventing wall is provided. It is good to reach near the top of the circumference wall. As a result, even if the seedlings are leaked from the feed collection unit by any cause, it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of the attracting mother container.

또 모이비산 방지벽을 용기본체의 내면에 세워 설치하는 경우에는 모이비산 방지벽을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에 대향하도록 설치하여 덮개체에 거의 접하는 높이까지 모이비산 방지벽을 연장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의 모이비산 방지벽에 의해서도 유인모이용기 밖으로의 독모이의 비산은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nti-moisture barri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t is advisable to install the anti-moisture barrier against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so as to extend the anti-moisture barrier against the cover body. The scattering of poison hairs outside the attracting mother container can also be prevented by the moisture scattering prevention wall of such a structure.

그러나, 모이비산 방지벽은 상기 둘레벽과 같이 전둘레에 걸쳐 형성해서는 안되고, 반드시 절결에 의해 중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 둘레에 걸쳐 형성하여 하나로 연속된 모이비산 방지벽은 모이의 비산은 방지하지만, 동시에 독모이에의 개미의 접근도 방해하는 구조로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모이비산 방지벽은 개미출입구 및 밀봉재 박리구멍으로부터 독모이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이면 좋으나, 원칙적으로 개미출입구로부터 모이수납부까지의 개미의 통로는 확보되어야 한다.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ist scattering prevention wall is not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like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s always interrupted by notching. Moisture shatterproof walls which ar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one another may prevent the scattering of the rice hulls, but at the same time may prevent the access of ants to the dog mudsock. Therefore, the desirable moist scattering barrier should be sufficient to prevent scattering of venom from the ant entrance and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but in principle, the passage of the ant from the ant entrance to the feeding container should be secured.

또, 본 발명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의 모이비산 방지벽은 용기밖으로 독모이가 비산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지만, 동시에 특히 유인모이용기를 옥외에서 사용한 경우에 용기 내부로 문제가 되는 물의 침입방지에도 유효하다.In addition, the anti-moisturizing wall in the attractant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prevents scattering of poisonous hair out of the container,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effective in preventing water intrusion into the container, especially when the attractant container is used outdoors. .

본 발명의 유인모이용기의 변형으로서는 대략 덮개체 윗면까지 높게 한 외주벽의 안쪽에 외주벽의 1측면의 상부를 안쪽으로 90도이상 접어 넣은 차양부를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차양부가 모이 누출 방지의 효과를 나타내거나, 밀봉재 박리구멍으로부터 밀봉재를 박리할 때의 밀봉재의 잡아당김 가이드로서 작용하기도 한다.A modification of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ming a sunshade in which an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is folded by 90 degrees or more inwar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that is substantially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body. In this case, the shading part exhibit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feed, or acts as a pulling guide of the sealing material at the time of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from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를 개미가 돌아다니는 마당이나 현관 등에 놓아두면, 용기내로 유인된 개미가 독모이를 물고 개미집으로 돌아가서 나누어 먹고, 그 결과 개미집 내의 개미 모두를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효율적인 개미구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 끝에 유인모이 용기를 상하로 집는 집게부를 가지며 또한, 다른 끝에 지면 등에 꽂는 앵커부를 가진 스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용기를 소정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 스틱에 의하여 바람이나 설치장소의 경사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유인모이용기를 개미집 근처에 고정시키거나,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f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laced in a yard or a porch where the ants move around, the ant attracted into the container can return to the anthill by eating the dog's feed, thereby effectively eradicating all the ants in the anthil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icient ant rescue method. In addition, th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 stick having a tong part that picks up the manned feed container up and down at one end and an anchor pa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und at the other end. By the stick, it is possible to fix the manned feeder near the anthill or install it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ind or the inclina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의 1실시예의 덮개체 및 시일재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ver body and the sealing material of one embodiment of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attracting feed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우측면도이다.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ttracting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좌측면도이다.FIG. 4 is a left side view of the attracting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덮개체 및 밀봉재를 투시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ver body and a sealing material of the attracting feed container shown in FIG. 1.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저면도이다.FIG. 6 is a bottom view of the attracting container shown in FIG. 1. FIG.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A-A'선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attracting feed container shown in FIG.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B-B'선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attracting feed container shown in FIG.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유인 모이용기의 덮개체를 벗겨 독모이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d is removed by removing a cover of the attracting container shown in FIG. 1.

도 10은 도9에 도시된 용기 본체만을 밀봉재를 박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이다.FIG. 10 is a plan view seen from above with only the container body shown in FIG. 9 peeled off the sealing material. FIG.

도11은 도 1에 도시한 유인모이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ttractant container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개미의 유인모이용기 2 : 용기본체1: ant decoy container 2: container body

3 : 외주벽 4 : 둘레벽3: outer wall 4: peripheral wall

5 : 모이수납부 6 : 덮개체5: Feeding unit 6: Cover body

7 : 독(毒)모이 8 : 밀봉재7: poison feed 8: sealing material

8a : 당김용 조각부 9 : 개미출입구멍8a: pulling portion 9: ant entry hole

10 : 밀봉재 박리구멍 11 : 모이 비산 방지벽DESCRIPTION OF SYMBOLS 10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1: Moisture scattering prevention wall

12 : 작은 조각부 13 : 차양 형상부12: small sculpture 13: shade shape

14 : 스틱 14a : 집게부14 stick 14a: tongs

14b : 앵커부14b: anchor

이하, 본 발명의 한 태양(態樣)으로서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an embodim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s as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대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덮개체 및 밀봉재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그 정면도, 도 3은 그 우측면도, 도 4는 그 좌측면도, 도 5는 덮개체 및 밀봉재를 투시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그 저면도, 도 7은 그 A-A'선 단면도, 도 8은 그 B-B'선 단면도, 도 9는 덮개체를 벗기고 독모이를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9에 도시된 용기 본체만을 밀봉재를 박리한 상태에서 위에서 보아 표시한 평면도, 도11은 도 1에 도시한 유인모이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to 11 show one embodiment of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d and a sealing material, Figure 2 is a front view thereof, Figure 3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Fig. 4 is a left side view thereof,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lid and a sealing member, Fig. 6 is a bottom view thereof,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line B-B'.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removed and the dog is housed, FIG. 10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main body shown in FIG. 9 as viewed from above with the sealing material peeled off, and FIG. 11 is shown in FIG.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use condition of the attracting container.

본 실시예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1)는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용기(1변이 약 60mm, 높이 약 10mm)인 용기본체(2)와, 플라스틱제의 대략 정방형의 상자형용기(1변이 약 60mm, 높이 약 5mm)인 덮개체(6)로 이루어지며, 양자는 끼워맞추어 접합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외주벽(3)과, 그 내부에 있는 육상 경기장의 트랙과 비슷한 형상의 둘레벽(4)(높이는 용기본체(2)와 똑같은 약 10mm)에 의하여 형성된 오목부 형상의 모이 수납부(5)(세로 45mm, 가로 25mm)를 가지고 있다.The ant attracting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body 2 of approximately a square box container made of plastic (one side of about 60 mm and a height of about 10 mm), and an approximately square box container made of plastic 1 The lid is made of a lid 6 having a side of about 60 mm and a height of about 5 mm), and both are fitted and joined. The container body 2 is a concave-shaped convex formed by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3 and a circumferential wall 4 (height is approximately 10 mm equal to the container body 2) that is similar in shape to the track of an athletic stadium therein. It has the storage part 5 (45 mm in length and 25 mm in width).

그리고, 둘레벽(4)의 안쪽에는 폭이 3~7mm 정도이고 둘레벽(4)의 윗면과 같은 높이의 위치를 둘러감는 구조의 차양 형상부(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차양 형상부(13)에는 상기 차양형상부(13)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모이 수납부(5)의 바닥면 부근에 인접되는 상태로서 수직방향으로 내려져서 상기 모이 수납부(5)의 바닥면 과는 약간의 거리를두고 위치된 판자형상의 작은 조각(小片)부(12)를, 상기 모이 수납부(5)의 각각의 변(邊)의 중심 및 모이수납부(5)의 4각에 합계 8개를 가지고 있다(도7,도8참조). 상기 작은 조각부(12)는 독모이(7)(입경 약 0.5mm의 괴립제)가 수납되어 있는 모이 수납부(5)에 개미가 접근하기 쉽도록 모이 수납부(5)의 안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병설되어 있다.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is provided with a sunshade shape portion 13 having a width of about 3 to 7 mm and surrounding the position of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The sunshade portion 13 is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unshade portion 13 to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eeder portion 5 so as to be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oard-shaped small pieces 12 placed at a slight distance from the surface are plac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of the feed storage portion 5 and the four corners of the feed storage portions 5. Has a total of 8 (see Figs. 7 and 8). The small carving portion 12 is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feed storage portion 5 so that the ant easily approaches the feed storage portion 5 in which the feedstock 7 (granulation agent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about 0.5 mm) is stored. It is added.

상기 유인모이용기(1)의 3측면의 중앙부에는 각각 덮개체(6)에 설치된 가로가 긴 슬릿(길이 약 13mm, 폭 약 2mm)과, 용기본체(2)에 형성된 작은 구멍(세로 약 2mm, 가로 약 3mm)으로 된 개미 출입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개미출입구멍(9)이 없는 유인모이용기(1)의 나머지 1측면의 중앙부에는 덮개체(6)에 설치된 가로가 긴 슬릿(길이 약 40mm, 폭 약 2mm)과, 용기본체(2)에 형성된 작은 구멍(세로 약 2mm, 가로 약3mm)으로 된 밀봉재 박리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ree sides of the attracting container 1, a long slits (about 13 mm long and about 2 mm wide) provided in the cover body 6, respectively, and a small hole (about 2 mm long,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2), An ant entry / exit hole 9 of about 3 mm in width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center of the remaining one side surface of the attracting container 1 without the ant entry hole 9, an elongated slit (about 40 mm in length and about 2 mm in width) provided in the lid body 6, and the container body 2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0 which consists of the small hole (about 2 mm in length, about 3 mm in width) formed in the hole is formed.

상기 밀봉재(8)는 플라스틱수지로 된 시이트상의 부재로서, 모이수납부(5)의 상부 개구를 덮어 둘레벽(4)의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둘레벽(4)의 윗면에는 배껍질모양(도시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밀봉재(8)는 그것이 접착된 둘레벽(4)한 끝쪽에서 되접혀서 연속하는 당김용 조각부(8a)를 가지며, 이 당김용 조각부(8a)는 길게 뻗어서 그 한 끝쪽에 대향하는 타단부를 넘어 밀봉재 박리구멍(10)을 지나 용기 밖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The sealing material 8 is a sheet-like member made of plastic resin, which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by covering the upper opening of the feeder portion 5.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is provided with a pear shell shape (not shown). In addition, the sealing material 8 has a continuous pulling piece 8a, which is folded back at one end of the peripheral wall 4 to which it is bonded, and the pulling piece 8a extends long and is opposite to the other end thereof. It extends beyond and through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0 to the outside of a container.

본 실시예의 유인모이용기(1)에서는 개미출입구멍(9) 및 밀봉재 박리구멍(10)과 대향하도록 덮개체(6)의 내면으로부터 둘레벽(4)의 윗면 부근에까지 수직으로 위치된 모이비산 방지벽(11)이 4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이 비산 방지벽(11)의 형상 및 치수는 대향하는 구멍 및 수직으로 위치된 둘레벽(4)의 형상에 따라서 각각 다르며, 개미 출입구멍(9)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상기 둘레벽(4)의 직선상의 부위에 수직으로 내린 것은 길이 약 18mm, 높이 약 3mm의 직선상의 벽이고, 개미출입구멍(9)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둘레벽(4)의 원호상의 부위에 수직으로 내려진것은 길이 약 30mm, 높이 약 3mm의 원호상의 벽이고, 그리고 밀봉재 박리구멍(10)에 대향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둘레벽(4)의 원호상의 부위에 수직으로 내려진 것은 길이 약 45mm, 높이 약 3mm의 원호상의 벽이다. 모이 비산 방지벽(11)에 의하여 2중 벽구조가 달성되어, 더욱 확실한 모이 누출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모이비산 방지벽(11)의 사이에는 어느 것이나 적어도 10mm이상의 간격이 있으므로 개미출입구멍(9)으로부터 모이수납부(5)로의 개미의 통로는 충분히 확보되어 있다.In the attracting container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vertic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6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so as to face the ant entry hole 9 and the sealant peeling hole 10. Four walls 11 are provided. The shape and dimensions of the seed scattering prevention wall 11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opposing hole and the vertically positioned peripheral wall 4, respectively, and are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he ant entrance / exit hole 9 so that the peripheral wall ( 4) A straight wall having a length of about 18 mm and a height of about 3 mm is lowered perpendicularly to the linear portion of 4),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ant entry hole 9 and lowered perpendicularly to the circular arc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It is an arc-shaped wall having a length of about 30 mm and a height of about 3 mm, and is install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10 and lowered perpendicularly to the arc-shaped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4 having a length of about 45 mm and a height of about 3 mm. It is an arced wall. The double wall structure is achieved by the feed scattering prevention wall 11, and a more sure feed leakage prevent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space of at least 10 mm or more between the moist scattering prevention walls 11, the passage of the ants from the ant entrance hole 9 to the feed storage part 5 is sufficiently secured.

이렇게 제작된 본 실시예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1)는 보관 중에 독모이의 누출이 없고, 또 밀봉재(8)를 박리할 때 및 그 후에 사용할 때에도 독모이가 비산될 염려는 없다. 그리고, 유인모이용기(1)를 직접 지면 등의 위에 놓아두고 사용하여도, 또 유인모이용기(1)의 상하를 스틱(14)의 집게부(14a)로 집은후, 앵커부(14b)를 흙 등의 지중에 꽂아 사용하여도 만족 스러운 개미소제 효과를 나타냈다.The attractant container 1 of the a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us produced has no leakage of venom during storage, and there is no fear that the venom will scatter even when the sealing material 8 is peeled off and used later. Further, even when the attracting mother container 1 is directly placed on the ground or the lik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ttracting mother container 1 are also picked up by the forceps 14a of the stick 14, and then the anchor part 14b is used. It also showed satisfactory ant-scavenging effect even when used in the soil.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개미의 습성 때문에 스틱(14)을 타고 덮개체(6)의 윗면으로 올라간 후, 개미출입구(9)에 도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In the latter case,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 entrance 9 was reached after the stick 14 was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6 due to the habit of the ants.

<시험예 1><Test Example 1>

실시예 1에 준하여 표1에 표시한 개미의 각종 유인모이용기를 제작하여 하기의 성능을 조사하였다.According to Example 1, various kinds of attracting cats of ants shown in Table 1 were prepared, and the following performances were examined.

①독모이의 누출 : 밀봉재를 박리한 후, 용기를 70도 각도로 세웠을 때의 용기로부터 누출하는 독모이 량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독모이 수납량에 대한 누출량의 백분율로 표시하였다.(1) Leakage of dog hair: After peeling the sealing material, the amount of dog hair leaking from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was set at an angle of 70 degre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the amount of leakage to the dog stock.

②개미 구제효과 : 종래의 개미유인모이용기(개미출입구멍을 용기본체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독모이로서 덩어리를 사용한 것)를 지면 위에 놓아둔 경우와 비교하여 O,△ 및 ×로 표시하였다.② Ant control effect: O, △ and × are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ant attracting container (the ant entrance hole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mass is used as the dog feeder) is placed on the ground.

[표 1]*1 : 밀봉재 박리구멍 및 개미출입구멍에 대향TABLE 1 * 1: Opposes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hole

*2 : 밀봉재 박리구멍에 대향* 2: Opposit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3 : 모이 비산 방지벽에 절결이 존재하지 않음* 3: No cutout exists in the shatterproof barrier

시험의 결과, 차양형상부를 가지며 독모이로서 2.0mm이하의 입경의 입자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개미의 유인 독모이 용기는 독모이의 누출 및 비산의 방지와 개미 구제효과의 양면에서 뛰어나고 있었다. 또, 덮개체의 이면으로부터 둘레벽의 윗면 부근까지 수직으로 설치한 모이비산 방지벽, 또는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덮개체에 거의 접하는 높이까지 뻗은 모이 비산 방지벽을 가진 태양은 독모이가 전혀 누출하지 않아 좋았다.As a result of the test, the attracting canister of the a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a shading shape and uses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0 mm or less, has been excellent in preventing both leakage and scattering of the dog, and ant relief effect. In addition, the sun does not leak at all when the sun has a moist shatterproof wall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r a shatterproof wall exten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o a height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ver body. Not good.

이에 대하여 차양형상부를 갖지 않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유인모이 용기에서는 독모이가 누출되기 쉬웠다. 특히 비교예1의 유인모이용기는 밀봉재 박리구멍 및 개미 출입구멍이 용기의 바닥면 부근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거의 반의 독모이가 누출되어 버렸다. 또, 차양형상부를 가지지만 그들 구멍이 용기의 바닥면부근에 설치된 비교예3의 유인 모이용기에서도 독모이의 누출은 다량이었다. 한편, 모이비산 방지벽을 전 둘레에 걸쳐 설치한 비교예4 및 입경이 큰 입자 및 덩어리의 독모이를 사용한 비교예5 및 6의 유인 모이용기에서는 독모이의 누출은 생기지 않았으나 개미의 통로가 방해되었기 때문에, 또는 독모이를 개미가 개미집으로 물고 돌아갈 수 없었기 때문에 개미 구제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comparative example 2 which does not have a shading part, dog hair was easy to leak. In particular, sinc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ance hole we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attracting agent container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leaked almost half of the dog feed. In addition, even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Comparative Example 3, which had a sunshade portion and those holes were provid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here was a large amount of leakage of venom. On the other hand, 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Comparative Example 4 in which the molybdate blocking wall was install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using the particle feed of particles and agglomerates having large particle diameters, leakage of the poison feed did not occur, but the passage of the ants was obstructed. The ant remedy tended to be less effective, either because it could not be returned to the anthill, or because the anthill could not return to the anthill.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종래의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비하여 독모이가 누출되거나 사용시에 독모이가 용기 밖으로 비산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고, 또한 개미의 구제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solved the problem that the venom leaks out of the container or scatters out of the container when us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ttracted animal container, and also does not reduce the control effect of the ant. there was.

Claims (7)

외주벽 및 그 안쪽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둘레벽에 의하여 구성된 모이 수납부를 가진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외주벽과 접합되는 덮개체로 이루어지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에 있어서,In the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nt which consists of a container main body which has a feed body comprised by the outer peripheral wall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which forms the recessed part inside, and the cover body joined with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main body, 상기 모이수납부에 입경이 0.5~3mm의 입자 또는 과립상의 독모이를 수납하고, 상기 둘레벽의 윗면에 박리 가능한 밀봉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복수의 개미출입구멍 및 1개의 밀봉재 박리구멍을 각각 설치하고, 또한 상기 둘레벽의 안쪽에는 그 둘레벽의 대략 윗면 위치를 돌면서 상기 모이수납부의 바닥면 부근에 그 바닥면과는 거리를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의 작은 조각부를 구비한 차양형상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feeder unit accommodates particles or granular granu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0.5 to 3 mm and is provided with a sealing material that can be peeled off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at the same time on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on the side of the cover body. An ant entry hole and a sealing member peeling hol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respectively, and the inn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is rotated about the top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and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feed container.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of the an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shading part provided with the some small carving part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형상부의 작은 조각부는 판자형상이고, 또한 상기 모이수납부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지게 병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ll carving portion of the sunshade portion is formed in a board shape and is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fee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 비산방지벽은 밀봉재 박리구멍 또는 그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외주벽에 대해서는 안쪽에 그리고 상기 둘레벽에 대해서는 바깥쪽에 위치되게 설치하여 2중벽구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2. The double wall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feed scattering wall is dispos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and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wall to face the sealant peeling hole or the sealant peeling hole and the ant entry / exit hole. Attractor container of ants characterized by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 비산방지벽은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 또는 그 밀봉재 박리구멍 및 상기 개미출입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덮개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둘레벽의 윗면 부근에까지 수직으로 내려져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said scattering prevention wall is installed vertic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cover body to the vicinity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circumferential wall so as to oppose the said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or its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and the said ant entry hole. Ant manned feed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 비산방지벽은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에 대향하도록 상기 용기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덮개체에 거의 접하는 높이까지 뻗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4. 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eed scattering wall extends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to a height almost in contact with the cover body so as to face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미출입구멍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t entry / exit hole is formed of an elongated or T-shaped slit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ide surface of the cove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 박리구멍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벽 상부 및 상기 덮개체의 측면에 가로가 긴 또는 T자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미의 유인모이용기.The ant attracting contain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ling material peeling hole is formed in a lateral or long T-shaped slit on an upp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ontainer body and a side surface of the lid body.
KR10-2001-0054234A 2001-02-10 2001-09-04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KR1004252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7248 2001-02-10
JPJP-P-2001-00077248 2001-02-10
JPJP-P-2001-00213923 2001-07-13
JP2001213923A JP4788857B2 (en) 2001-02-10 2001-07-13 Ant attraction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464A KR20020066464A (en) 2002-08-17
KR100425251B1 true KR100425251B1 (en) 2004-03-30

Family

ID=37488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234A KR100425251B1 (en) 2001-02-10 2001-09-04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25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464A (en) 200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6384B1 (en) Insect bait station
US5953854A (en) Granular bait station
US6502348B2 (en) Reusable pesticide bait station
US20130067797A1 (en) Ground trap for eastern cicada killer wasp
JP4788857B2 (en) Ant attraction container
US6718689B1 (en) Insecticide packet for biting insects
US4696127A (en) Container for capturing insects
US20030145511A1 (en) Bait tray with a breachable internal seal
KR100425251B1 (en)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GB2168680A (en) Distribution of living arthropods or the like
US6338315B1 (en) Live feeder
US20020104255A1 (en) Trap for crawling insects
JP5698806B2 (en) Poison bait container for ants
JP4480983B2 (en) Ant poison bait container
CA1319823C (en) Animal trap
JP2694338B2 (en) Capture device for cockroaches and mice
JP2010130947A (en) Harmful insect control device and rearing case
KR100430545B1 (en) Bait Container for Enticing Ants
KR101201394B1 (en) Ant granule bait station
JP2002209499A (en) Vessel of ant-attractant bait
JP4703894B2 (en) Cockroach bait storage container and cockroach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20060206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exterminating insect
EP1002462A2 (en) Device for catching snails and means for use in such a device
JP3930009B2 (en) Ant poison bait container
JP2002125561A (en) Insect-attracting bait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