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145A -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 Google Patents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145A
KR20020033145A KR1020020019445A KR20020019445A KR20020033145A KR 20020033145 A KR20020033145 A KR 20020033145A KR 1020020019445 A KR1020020019445 A KR 1020020019445A KR 20020019445 A KR20020019445 A KR 20020019445A KR 20020033145 A KR20020033145 A KR 2002003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ulb
vacuum tube
fragrance
insert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엔프라라이트(주)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라이트(주), 이종석 filed Critical 엔프라라이트(주)
Priority to KR102002001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145A/ko
Publication of KR2002003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생시키며 전구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에 의하면, 방향제(35)가 삽입된 방향카트리지(30)가 자체 탄성력을 통해 진공관(20)의 주변을 감싸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구의 진공관(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향카트리지(30)에서는 향이 원활하게 발생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카트리지(30)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체 탄성력으로 전구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 조건 및 수명이 다했을 경우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Aroma cartridge for electric lamp and electric lamp with aroma cartridge}
본 발명은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점등 시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산시킬 수 있는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는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면서 주변을 밝게 비추는 것으로, 통상 외부전원과 연계된 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전구의 진공관은 유리구 타입 또는 수차례 U 벤딩된 유리관 타입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구는 단순히 조명의 역할만 수행할 뿐 작동 중에 발생되는 열은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최근에는 향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화장실 등과 같이 악취가 항시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밀폐용기에 방향액이 삽입된 방향제품을 사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제품은 인위적으로 방향액을 뿌려주어야만 공기 중으로 분산되면서 방향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그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향을 발생시킬 수 있는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향카트리지를 전구에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 조건 및 수명이 다했을 경우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카트리지 및 이의 조립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카트리지의 내부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 20..진공관
30..방향카트리지 31L..제1삽입부재
31R..제2삽입부재 32..삽입공간
33..결합홈 34..고정핀
35..방향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구용 방향카트리지는;
전구의 진공관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는;
전구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일측에 마구리쇠가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을 갖춘 전구에 있어서,
진공관의 주변을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구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일측에 마구리쇠가 마련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을 갖춘 전구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주를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와, 카트리지 본체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카트리지 및 이의 조립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구는 소켓(미도시)에 조립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에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20)과, 이 진공관(20)의 주변을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배치되어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산하는 방향카트리지(30)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10)는 외부전원과 연계된 소켓에 결합하기 위해 하측에 마구리쇠(11)가 마련되며 상부가 개방된 하부케이스(12)와, 이 하부케이스(12)의 개방부를 덮도록 마련되며 진공관(20)이 관통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4)이 천공된 상부커버(13)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커버(13)에는 각 관통홀(14)의 가장자리를 따라 버링부(15)가 링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진공관(20)들의 단부는 케이스(10)에 내장된 안정기(미도시)와 연계되면서 밀폐되도록 설치되며, 이들은 상부커버(13)의 관통홀(14)을 통해 케이스(10)의 타측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U형상으로 벤딩된 4개의 진공관(20)들이 관통홀(14)을 관통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방향카트리지(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관(20)들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다수개의 삽입공간(32)이 형성된 카트리지본체(31L)(31R)와, 이 카트리지 본체(31L)(31R)의 삽입공간(32)에 삽입되며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젤 타입의 방향제(35)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본체는 일측의 진공관(20)들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삽입부재(31L)와, 이 제1삽입부재(31L)와 대칭되게 배치되어 타측의 진공관(20)들 주변을 감싸는 제2삽입부재(31R)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삽입부재(31L)와 제2삽입부재(31R)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자체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제1,제2삽입부재(31L)(31R)의 내측에는 버링부(15)들을 따라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33)들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제1,제2삽입부재(31L)(31R)에 형성된 삽입공간(32)들은 구획되면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삽입공간(3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고정핀(3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따라서 젤 타입의 방향제(35)를 삽입공간(32)에 인위적으로 삽입하면, 이것은 고정핀(34)들에 의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방향제(35)는 상온에서 보다 고온에서 향 발생율이 월등히 높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점등 시 진공관(20)의 온도인 90도 정도에서 향이 이상적으로 발산되도록 제조하였다. 또한, 방향제(35)는 전구의 사용 장소 및 사용자 취향에 따라 그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무실이나 공부방 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박하향 또는 허브향이 나는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용실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부미용에 좋고 살균효과가 있는 레몬향, 장미향을 발하는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방향카트리지의 조립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1삽입부재(31L)를 인위적으로 밀어 끼우면(도 2의 화살표 A 방향) 탄성 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반원형의 결합홈(33)들이 대응하는 버링부(15)를 따라 면접촉하며, 이것에 의해 제1삽입부재(31L)가 일측 진공관(20)들의 주변을 감싼다. 그리고 반대측에 제2삽입부재(31R)를 동일한 방법으로 밀어 끼우면, 이것은 타측 진공관(20)들의 주변을 감싼다.
따라서 방향카트리지(30)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전구의 진공관(20) 주변을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손쉽게 조립되기 때문에, 방향카트리지(30)의 수명이 다하거나 다른 종류의 것으로 바꾸고자 하는 경우 이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구에 전원이 공급되면 빛이 발하여 주변을 밝게 비추면서 진공관(20)들이 가열된다. 아울러 진공관(20)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방향카트리지(30)가 가열된다. 이 때, 진공관(20)과 함께 방향카트리지(30) 역시 상당한 온도로 가열된다.
이 때, 제1,제2삽입부재(31L)(31R)에 삽입된 젤 타입의 방향제(35)에서는 열에 의해 분자들간의 공극이 커지고 활성화되어 향기가 발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구를 점등시키면, 자동적으로 방향카트리지(30)가 가열되면서 향이 발산되며, 이것에 의해 악취가 제거하거나 실내공기가 쾌적해진다. 즉, 화장실 전구에 악취제거 기능을 갖춘 방향카트리지(30)를 끼워 사용하면, 전구 점등이 유지되는 동안 향이 지속적으로 발산되어 악취가 자동 제거된다.
반면에, 전구를 소등하면 방향제(35)가 냉각되면서 향 발산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방향카트리지(3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방향카트리지(30)의 삽입공간(32)에 젤 타입의 방향제(35)를 삽입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석고 타입 또는 몰딩 타입의 방향제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방향카트리지(30)를 전구의 진공관(20) 주변을 감싸도록 설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제(43)가 삽입된 방향카트리지(40)를 케이스(10)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에도 방향카트리지(4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42)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41)와, 이 카트리지 본체(41)의 삽입공간(42)에 삽입되며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4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에 의하면, 방향제가 삽입된 방향카트리지가 자체 탄성력을 통해 진공관의 주변을 감싸면서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구의 진공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방향카트리지에서는 향이 원활하게 발생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카트리지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자체 탄성력으로 전구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 조건 및 수명이 다했을 경우 이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전구의 진공관(20)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32)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31L)(31R)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31L)(31R)의 삽입공간(32)에 삽입되어 상기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상기 진공관(20)의 일측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삽입부재(31L)와,
    상기 진공관(20)의 타측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제1삽입부재(31L)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삽입부재(31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32)은 상기 제1삽입부재(31L) 및 제2삽입부재(31R)에 일면이 개방되면서 다수개가 구획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에는 상기 방향제(35)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핀(34)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4. 전구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일측에 마구리쇠(11)가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20)을 갖춘 전구에 있어서,
    상기 진공관(20)의 주변을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공간(32)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31L)(31R)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31L)(31R)의 삽입공간(32)에 삽입되어 상기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에는 상기 진공관(20)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14)을 따라 다수개의 버링부(15)가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31L)(31R)는 일측의 상기 버링부(15)들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33)들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관(20)의 일측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1삽입부재(31L)와, 타측의 상기 버링부(15)들을 따라 탄성 변형되면서 결합되도록 내측에 결합홈(33)들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관(20)의 타측 주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삽입부재(31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32)은 상기 제1삽입부재(31L) 및 제2삽입부재(31R)에 일면이 개방되면서 다수개가 구획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에는 상기 방향제(35)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고정핀(34)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
  7. 전구소켓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일측에 마구리쇠(11)가 마련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진공관(20)을 갖춘 전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외주를 띠모양으로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삽입공간(42)이 형성된 카트리지 본체(41)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41)의 삽입공간(42)에 삽입되어 상기 전구의 점등 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향을 발생시키는 방향제(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카트리지를 갖춘 전구.
KR1020020019445A 2002-04-10 2002-04-10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KR20020033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45A KR20020033145A (ko) 2002-04-10 2002-04-10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45A KR20020033145A (ko) 2002-04-10 2002-04-10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145A true KR20020033145A (ko) 2002-05-04

Family

ID=1972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445A KR20020033145A (ko) 2002-04-10 2002-04-10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145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0306A (ja) * 1988-12-12 1990-06-20 Akihiro Nishiyama 芳香剤発散照明器具
US5309338A (en) * 1992-10-29 1994-05-03 Liu Zuo H Rotatable lighting equipment
KR20000005156U (ko) * 1998-08-24 2000-03-15 조순익 오존발생기를 갖는 램프홀더
KR200202275Y1 (ko) * 2000-06-16 2000-11-15 성남전자공업주식회사 컴팩트 형광램프
KR200236706Y1 (ko) * 2001-03-31 2001-10-10 엄세탁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252442Y1 (ko) * 2001-07-23 2001-11-17 주식회사 산도깨비 향기 램프
KR20020023793A (ko) * 2001-12-19 2002-03-29 엔프라라이트(주) 향기나는 램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0306A (ja) * 1988-12-12 1990-06-20 Akihiro Nishiyama 芳香剤発散照明器具
US5309338A (en) * 1992-10-29 1994-05-03 Liu Zuo H Rotatable lighting equipment
KR20000005156U (ko) * 1998-08-24 2000-03-15 조순익 오존발생기를 갖는 램프홀더
KR200202275Y1 (ko) * 2000-06-16 2000-11-15 성남전자공업주식회사 컴팩트 형광램프
KR200236706Y1 (ko) * 2001-03-31 2001-10-10 엄세탁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252442Y1 (ko) * 2001-07-23 2001-11-17 주식회사 산도깨비 향기 램프
KR20020023793A (ko) * 2001-12-19 2002-03-29 엔프라라이트(주) 향기나는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3279B2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and method of emitting a volatile material
USD476070S1 (en) Electrical air freshner
US20090122516A1 (en) Aroma lamp
RU2695345C2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US20130265743A1 (en) Lamp Structure
US20200038540A1 (en) Rotatable aromatherapy lamp
US20040113294A1 (en) Intermediary device
KR20200007514A (ko) 다기능 향초 워머
USD461885S1 (en) Electric air freshener
KR20020033145A (ko) 전구용 방향카트리지 및 이를 갖춘 전구
US20090136390A1 (en) Incandescent aroma lamp
CN1798585B (zh) 用于使化学制剂散发的装置
EP2914305B1 (en) Volatile material dispenser having a faceplate
KR19990073621A (ko) 호롱불 구조의 전기모기향
KR100576683B1 (ko) 멀티탭 콘센트
KR100816776B1 (ko) 전구용 방향제 카트리지 어셈블리
KR100505485B1 (ko) 전구용 방향 카트리지
KR200303476Y1 (ko) 차량용 방향장치
KR200250915Y1 (ko) 훈증기
GB2577343A (en) Rotatable aromatherapy lamp
KR200309659Y1 (ko) 전구용 리필부재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전구
KR200236706Y1 (ko) 향기 발산기능을 갖는 조명기구
KR200245454Y1 (ko) 오존발생기를갖는램프홀더
KR200301857Y1 (ko) 방향효과를 갖는 촛대
KR200358672Y1 (ko) 램프에 착탈이 가능한 방향 카트리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