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885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885A
KR20020031885A KR1020000062656A KR20000062656A KR20020031885A KR 20020031885 A KR20020031885 A KR 20020031885A KR 1020000062656 A KR1020000062656 A KR 1020000062656A KR 20000062656 A KR20000062656 A KR 20000062656A KR 20020031885 A KR20020031885 A KR 20020031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test
management block
failure
tr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1885A/ko
Publication of KR2002003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5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the faulty arrangement being the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장애 발생시 해당 망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해당 망요소를 시험하여 정상 유무에 따라 상기 해당 망요소를 격리시키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장애 관리 블록에서 망요소로부터 장애 발생을 통보 받는 단계와, 상기 장애 관리 블록에서 시험 관리 블록으로 시험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시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시험 관리 블록이 시험을 통해 결과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결과에 의해 상태 관리 블록이 망요소를 격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망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망요소에 대해 격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Method for the network element isol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애 감시와 시험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장애 발생시 해당 망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해당 망요소를 시험하여 정상 유무에 따라 해당 망요소를 격리시키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까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애 감시 기능과 시험 기능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었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시 장애 발생의 원인을 정확히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많아서 다른 블록에서는 해당하는 망요소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따라서 특정 장애 발생시 해당하는 망요소를 시험하여 정확한 망요소의 상태를 알아본 후 해당 자원의 사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즉, 장애 관리 블록과 상태 관리 블록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어 망요소의 상태를 관리하는 상기 상태 관리 블록에서 상기 망요소의 상태가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정확한 상기 망요소의 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장애 관리 블록과 시험 관리 블록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며 특정 망요소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블록에서는 상기 특정 망요소를 바로 시험해 보지 않고 이동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용자가 직접 명령을 내리거나 특정한 시간에 주기적으로만 상기 특정 망요소를 시험하여 해당하는 이 망요소를 사용할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시험 블록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운용자가 직접 시험하거나 특정한 시간에 주기적으로 망요소를 시험한 후 결과가 비정상인 경우 장애 발생이나 상기 망요소의 상태를 비정상으로 보고하여 이 망요소를 격리시키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장애 관리 블록과 상태 관리 블록이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상태에서 망요소가 상태 관리 블록에서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장애가 발생할 때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없으며, 상기 장애 관리 블록과 시험 관리 블록이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상태에서 상기 망요소에 장애가 발생하였어도 상기 시험 관리 블록에서 바로 상기 망요소를 시험해 보지 않고 시스템 관리 운용자가 명령을 내리거나 특정 시간에 주기적으로 상기 망요소를 시험해서 사용 유무를 판단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시험 관리 블록에서 시험을 한 후에 시험 결과가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망요소의 상태를 비정상적으로 보고하여 격리시키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장애 관리 블록에서 망요소로부터 장애 발생을 통보 받는 단계와, 상기 장애 관리 블록에서 시험 관리 블록으로 시험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시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시험 관리 블록이 시험을 통해 결과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결과에 의해 상태 관리 블록이 망요소를 격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망요소의 관리를 통해 상기 망요소의 장애 발생시 상기 장애 발생 보고를 받으며 장애가 발생한 임의의 망요소에 대해서 상기 망요소를 시험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시험 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장애 관리 블록과, 상기 망요소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고 상기 시험 결과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시험 관리 블록과, 상기 장애 발생한 상기 망요소에 대한 격리의 메시지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으로부터 전송 받으며 이에 따라 상기 망요소에 대해서 격리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요소 장애 발생시 상기 망요소의 격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요소 관리 시스템 101 : 장애 관리 블록
102 : 상태 관리 블록 103 : 시험 관리 블록
200 : 망요소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망요소 장애 발생시 상기 망요소의 격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시스템을 참조하면, 망요소(200)의 관리를 통해 장애 발생시 보고를 받으며 장애가 발생한 임의의 망요소에 대해서 시험 관리 블록(103)에서 시험하도록 메시지를 상기 시험 관리 블록(103)으로 전송하는 장애 관리 블록(101)과,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으로부터 장애가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상태가 된 상기 망요소(200)에 대한 천이와 격리의 메시지를 전송 받으며 이에 따라 상기 망요소(200)에 대해서 격리를 수행하는 상태 관리 블록(102)과, 상기 망요소(200)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고 상기 시험 결과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으로 전송하는 시험 관리 블록(103)과, 이동 통신에 관련된 기지국이나 제어국에 실장될 수 있는 프로세서 칩이나 프로세서 보드 어셈블리 및 GPS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와 상기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망요소(200)로 구성된다.
요소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과 상기 상태 관리 블록(102)과 상기 시험 관리 블록(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망요소 장애 발생시 망요소의 격리 시스템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다.
장애 관리 블록(101)으로 임의의 망요소(200)에 대한 장애가 보고되며 먼저 상태 관리 블록(103)에서 현재 망요소의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현재 장애가 발생한 망요소(200)에 대한 정상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망요소(200)에 대해 정상인 경우와 상기 망요소(200)에 대해 장애가 발생할 경우 시험 가능 유무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망요소(200)에 대해서 시험이 가능하다면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에서 상기 시험 관리 블록(103)으로 시험을 실시하도록 메시지를 보낸다.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에서 상기 시험 관리 블록(103)으로 시험 실지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시험 관리 블록(103)에서 상기 시험이 가능한 망요소(200)에 대해서 시험을 실시한다.
상기 시험 결과 메시지는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으로 전송된다.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으로 전송된 결과에 따라 상기 망요소(200)가 정상적인 경우 망요소(200)의 장애에 대한 상태를 정상적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 시험한 망요소(200)의 상태가 비정상적인 경우에는 그망요소(200)를 비정상으로 천이하고 상기 망요소(200)를 격리시키도록 상태 관리 블록(102)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장애 관리 블록(101)에서 상태 관리 블록(102)으로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망요소(200)의 상태를 비정상으로 천이하며 콜(Call) 블록 같은 다른 블록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격리시킨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애를 관리하는 블록에서 어떤 망요소에 대한 장애가 보고되는 경우 상기 해당 망요소의 상태가 현재 정상인지 여부를 상태 관리 블록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판단한다.
상기 판단에 따라 정상적인 경우 시험 관리 블록에서 상기 망요소에 대한 시험을 하고 결과가 정상적으로 보고되는 경우 장애의 상태를 정상으로 만든다.
상기 판단 결과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망요소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상태 관리 블록에서 상기 망요소의 상태를 비정상으로 천이시키며 다른 블록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상기 망요소를 격리시키도록 한다.
상기 망요소를 격리시킴에 있어서 격리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망요소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해당 망요소를 관리하는 프로세서로 데이터를 보내면 망요소를 관리하는 프로세서에서 현재 망요소의 상태를 격리로 만들어 다른 프로세서들이 상기 망요소를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임을 뜻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해당 망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망요소에 대해 격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

  1. 장애 관리 블록에서 망요소로부터 장애 발생을 통보 받는 단계와;
    상기 장애 관리 블록에서 시험 관리 블록으로 시험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시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시험 관리 블록이 시험을 수행하여 결과를 상기 장애 관리 블록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결과에 의해 상태 관리 블록이 망요소를 격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태 관리 블록이 망요소를 격리하는 단계는,
    망요소를 관리하는 프로세서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상기 망요소를 관리하는 프로세서에서 현재 상기 망요소의 상태를 격리상태로 만들어 다른 프로세서들이 상기 망요소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KR1020000062656A 2000-10-24 2000-10-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KR20020031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56A KR20020031885A (ko) 2000-10-24 2000-10-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656A KR20020031885A (ko) 2000-10-24 2000-10-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885A true KR20020031885A (ko) 2002-05-03

Family

ID=19695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656A KR20020031885A (ko) 2000-10-24 2000-10-24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18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125B1 (ko) * 2008-01-08 2014-04-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회선 관리방법 및 프로세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125B1 (ko) * 2008-01-08 2014-04-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회선 관리방법 및 프로세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8218A (en) Model based alarm coordination
US7281040B1 (en) Diagnostic/remote monitoring by email
US20050108389A1 (en) Network endpoint health check
US5594426A (en) Network station and network management system
US79332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ioritized failure announcements
US7436291B2 (en) Protection of devices in a redundant configuration
CN101247213A (zh) 一种主备倒换的方法及系统
KR2002003188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망요소 격리 방법
KR960028033A (ko) 에스엠엑스(smx)-1 이중화 운용관리 장치 및 방법
US20080310314A1 (en) Method for Detecting a Message Interface Fault in a Communication Device
KR20030051913A (ko) 전송장비의 경보신호 처리 방법
US20070252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ower
KR100309380B1 (ko) 무선 통신망의 고장을 검출 및 차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방법
KR100644284B1 (ko) 광가입자 전송장치의 관리자와 대행자간 운용관리 통신채널 상태 진단 방법
KR1002778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이중화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변경 방법
KR100291099B1 (ko) 디바이스 제어보드의 이중화 상태 보고 방법
CN116614412A (zh) 终端异常修复方法、装置、系统、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079006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교환기에서 지능 관리 플랫폼의데이터베이스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224106B1 (ko) 통신시스템의 전송장비를 원격에서 설치하는 방법
KR20030038207A (ko) 네트워크 링크 에러 감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9136A (ko) 통신망의 트러블 티켓 운용 시스템
KR100303983B1 (ko) 장애보고용 링을 이용한 교환 시스템의 장애 처리 장치 및 방법
KR19980054469A (ko) 아이피스(ipc)통신이 가능한 교환기와 제어국간의 중계선 시험방법
KR19980014837A (ko) 페이징 송신기의 장애 상황 알림 방법
KR100439370B1 (ko) 통합 액세스 장비의 유-링크 장애 처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