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956A -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 Google Patents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956A
KR20020030956A KR1020000061480A KR20000061480A KR20020030956A KR 20020030956 A KR20020030956 A KR 20020030956A KR 1020000061480 A KR1020000061480 A KR 1020000061480A KR 20000061480 A KR20000061480 A KR 20000061480A KR 20020030956 A KR20020030956 A KR 2002003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transmitting
water
metal
metal hemi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헌
Original Assignee
김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헌 filed Critical 김성헌
Priority to KR102000006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956A/ko
Publication of KR2002003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3/00Surveying specially adapted to open water, e.g. sea, lake, river or canal
    • G01C13/002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 G01C13/004Measuring the movement of open water vertical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이에 있어서,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기 금속 반구와; 상기 외기 금속 반구의 하측에 접합되며, 상기 외기 금속 반구와 열전도성이 다른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수면 금속 반구와; 부이가 설치된 수상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감지 대응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감지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BUOY FOR MEASERMENT OF SEA WATER TEMPERATURE}
본 발명은 부이(Buo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강, 호수 및 해양 등 수상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부이에 관한 것이다.
강, 호수 및 해양에서는 정보 수집 시설의 설치 및 유지가 어려우므로, 관측 시설의 설치가 용이한 육상에 비해 정보 수집 망이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해양을 예를 들어 본다면, 우리나라의 경우에 있어서도 관할 해역은 국토의 4.5배이며, 총연장 11,542 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나, 육지 관측소의 1/100에도 못미치는 정보 수집 망만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설치 후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호우 및 태풍과 같은 악천후에서도 수상 상태를 수집하기 위한 정보 수집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강, 호수 등 담수에 있어서는 수온, 수질 상태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요구되며, 해양에 있어서는 수온, 파고, 파향, 파주기, 수질 상태 등을 판단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요구된다. 더우기, 해양에 있어서는 지구상 곳곳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이상 기온, 호우, 가뭄 등의 원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엘리뇨 및 라니냐 현상들을 분석하고 예측하기 위해, 해수 온도의 분포 측정이 필수적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담수 및 해수 등 수상 정보 수집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없이도 반영구적으로 수상 수집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이에 있어서,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기 금속 반구와; 상기 외기 금속 반구의 하측에 접합되며, 상기 외기 금속 반구와 열전도성이 다른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수면 금속 반구와; 부이가 설치된 수상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감지 대응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부와; 상기 감지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외기 금속 반구 120 : 수면 금속 반구
130 : 센서부 140 : 송신부
150 : 웨이트 160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100)는 외기 금속 반구(110), 수면 금속 반구(120), 센서부(130), 송신부(14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외기 금속 반구(110)는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금속 반구(110)는 외기 온도(T1), 즉 해수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온도가 변한다.
상기 수면 금속 반구(120)는 상기 외기 금속 반구(110)의 하측에 접합되며, 상기 외기 금속 반구(110)와 열전도성이 다른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면 금속 반구(120)는 담수/해수 온도(T2), 즉 담수면 또는 해수면 내부의 온도에 따라 온도가 변한다. 상기 외기 금속 반구(110)와 수면 금속 반구(120)는 담수 또는 해수의 침투를 막기 위해 밀봉 접합되며, 또한 그 외면은 절연체로 피복된다.
상기 센서부(130)는 부이가 설치된 수상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센서부(130)는 수온 감지 센서, 파고 센서 및 수질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응용예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수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를 부가할 수 있다. 상기 외기 금속 반구(110)와 수면 금속 반구(120)의 온도차에 의한 전압 발생은 제벡 효과(Seebeck)에 기인한다. 상기 제벡 효과는 열전도성이 상이한 두 개의 금속을 접합한 경우, 접합한 금속간에는 온도차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한다는 원리이다. 상기 제벡 효과에 따라 외기와 담수/해수 온도차에 비례하는 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이의 전원이 된다.
상기 송신부(140)는 상기 제어부(160)에서 출력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감지 대응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상기 감지 대응 신호는 센서부(130)에 의해 감지된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송신부(140)에서 송출된 신호는 인공 위성 등을 통해 육상 제어국, 해안 기상대 및 기상 관측선 등에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센서부(130)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부(14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100)는 해류 등에 의해 흘러가지 않고 최초에 설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계류 수단으로서, 담수/해수면 바닥에 고정된 웨이트(150)와, 상기 웨이트(150)와 수면 금속 반구(120) 사이를 연결하는 계류줄(152)를 구비한다. 상기 웨이트(150)로는 앵커 혹은 싱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계류줄(152)로는 와이어, 체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는 수상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송신함으로써 수상 상태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 기상 변화등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외기 온도와 수온과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을 전원으로 이용하므로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없이도 반영구적으로 수상 정보를 측정하여 송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부이에 있어서,
    수면상에 제공되며,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기 금속 반구와, 상기 외기 금속 반구의 하측에 접합되며 상기 외기 금속 반구와 열전도성이 다른 반구 모양의 금속으로 이루어져 온도차를 통해 전원을 발생하는 수면 금속 반구로 이루어진 제벡부와;
    상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통해, 부이가 설치된 수상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및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감지 대응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송신부, 그리고 상기 감지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송신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수온 감지 센서, 파고 센서 및 수질 감지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3. 제 1항에 있어서,
    해수면 바닥에 고정된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와 수면 금속 반구 사이를 연결하는 계류줄을 추가로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금속 반구 및 상기 수면 금속 반구는,
    담수 또는 해수의 침투 방지에 따라 상호 밀봉 접합되며, 그 외측이 절연체로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금속 반구의 외면에, 상기 수면 금속 반구에 대응하여 온도변화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요철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방열날개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KR1020000061480A 2000-10-19 2000-10-19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KR20020030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80A KR20020030956A (ko) 2000-10-19 2000-10-19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80A KR20020030956A (ko) 2000-10-19 2000-10-19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956A true KR20020030956A (ko) 2002-04-26

Family

ID=1969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480A KR20020030956A (ko) 2000-10-19 2000-10-19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9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368B1 (ko) * 2005-12-26 2006-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 해양관측 카메라의 해색정보 최적화 검출방법
CN106880309A (zh) * 2017-01-12 2017-06-23 泉州迪特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浴缸智能漂浮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220542A (zh) * 2018-03-02 2019-09-10 光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件的无线网络传感器及透地通信系统
CN112829875A (zh) * 2021-01-06 2021-05-25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洋浮标
CN112924645A (zh) * 2021-01-29 2021-06-08 傅建文 基于物联网的水环境现状监测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368B1 (ko) * 2005-12-26 2006-12-0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 해양관측 카메라의 해색정보 최적화 검출방법
CN106880309A (zh) * 2017-01-12 2017-06-23 泉州迪特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浴缸智能漂浮装置及其工作方法
CN110220542A (zh) * 2018-03-02 2019-09-10 光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件的无线网络传感器及透地通信系统
CN112829875A (zh) * 2021-01-06 2021-05-25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洋浮标
CN112924645A (zh) * 2021-01-29 2021-06-08 傅建文 基于物联网的水环境现状监测装置
CN112924645B (zh) * 2021-01-29 2023-08-29 傅建文 基于物联网的水环境现状监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2318B (zh) 一种面向冬季海冰风险管理的海洋信息在线监测浮标系统
US8195395B2 (en) System for monitoring, determining, and reporting directional spectra of ocean surface waves in near real-time from a moored buoy
US20160359570A1 (en) Measurement system for seas, rivers and other large water bodies
CN108189969A (zh) 一种基于卫星通讯数据实时传输的深海锚系潜标系统
US20110012728A1 (en) Sensor and System to Detect Bridge Scour
CN206618872U (zh) 一种台风实时监测系统及实时监测预警系统
US20220044545A1 (en) Air-sea buoy monitoring system towards mid-latitude ocean
JP2014502345A (ja) 定置構造物の完全性監視システムおよび完全性監視方法
JP2006170920A (ja) 潮位監視システム,潮位監視システム用の海上ブイ及び地上局装置、潮位監視方法、潮位監視プログラム
CN111965321A (zh) 一种用于实时追踪监测大区域海洋环境的多功能监测系统
KR20190038211A (ko) 실시간 위치기반 표준형 등부표용 해양 감시 시스템
US20220161910A1 (en) Fishing tool los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0989193B1 (ko) 해양 정보 수집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09450A (ko) 어망 감시용 부표의 위치 확인 및 이 부표를 이용한 적조의 확산 예측 방법
WO2003062044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nderwater conditions
KR20020030956A (ko) 자가 송신이 가능한 부이
KR100823877B1 (ko) 수질 및 생태 환경 감시 시스템
JP2008140178A (ja) 構造物の監視システムおよび構造物の監視方法
Ragnoli et al. Flood monitoring: A LoRa based case-study in the city of L’Aquila
KR20070105488A (ko) 해수 정보 관리 시스템
CN116182936A (zh) 一种暴雨山洪水文多要素遥测系统及方法
JP2006201147A (ja) 津波早期検知装置(異常潮位観測装置)
CN215064919U (zh) 移动式温度链实时监测系统
CN201575990U (zh) 分体式溢油报警浮标装置
KR20230065455A (ko) Cctv를 이용한 수위 자동 산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