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199A - 생체 전도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생체 전도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199A
KR20020027199A KR1020010060899A KR20010060899A KR20020027199A KR 20020027199 A KR20020027199 A KR 20020027199A KR 1020010060899 A KR1020010060899 A KR 1020010060899A KR 20010060899 A KR20010060899 A KR 20010060899A KR 20020027199 A KR20020027199 A KR 20020027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ignal
actuator
vibration
voice input
biocond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유치다
마사끼 후쿠모토
도시아끼 수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추후보정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추후보정, 엔티티 도꼬모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7Endoradioson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음향 누설을 감소시키고 전달 특성을 향상시키며 내부 및 외부의 진동 전달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구조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는 조작자의 손목, 손, 손의 뒷부분, 손가락 또는 손톱 끝과 접촉되어 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신호 전달부 및 음성 입력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LIVING ORGANISM CONDUCTIVE ACTUATOR}
본 발명은 음향 신호 같은 통신 신호를 진동 매체 및 음성 입력부와 같은 생물체에 전달하기 위한 부분에 의해 구성된 생물체 도전(conductive) 액추에이터에 관련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전화 등의 호출 신호 및 음성 신호 같은 통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입력 및 출력에 사용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 관련된 것이다.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는 통상적으로 이동 전화등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로 알려져 있다.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는 음성 신호 같은 수신된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 전송부 및 음성 입력부가 축 방향으로 오버래핑되는 구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구성된다. 통신 신호 전송부는 음성 신호 같은 수신된 통신 신호를, 지지용의 2개의 와이어가 통과하여 확장하는 외부 커버의 내부로 전송한다.
통상적인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축방향의 고무에 의해 형성된 외부 표면을 가지며, 통신 신호 전송부 및 음성 입력부를 오버래핑시키기 위한 구조, 즉 세로(longitudinal) 구조는 음향 누설, 진동 전송, 음성 입력에 대한 잡음 및 내부 구조부들 상의 외부 기계 로드에 감소시키는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noise propagation, 이하 음향 누설이라 함)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며 내부 및 외부의 진동 전송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구조를 갖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 기술의 세로 구조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전면도.
도 1B는 도 1A의 액추에이터에 대한 평면 준-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라인 1C-1C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1D는 도 1A의 라인 1D-1D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액추에이터의 전면도.
도 2C는 도 2A의 액추에이터의 저면도.
도 2D는 도 2A의 액추에이터의 라인 IID-IID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A는 통상적인 구조의 음성 입력부의 정렬에 기인한 입력 잡음의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B는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한 음성 입력부의 정렬에 따른 입력 잡음의 감소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외부 커버의 중량의 변화에 기인한 음향 누설 SPL의 분석된 추정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외부 커버의 중량에서의 변화에 기인한 음향 누설 SPL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2-공진 구조의 음향 누설 SPL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연결부에서의 변화에 기인한 고주파수 음향 누설의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A-8D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구조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변형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다라, 조작자의 손목, 손, 손의 뒷부분, 손가락 또는 손톱끝과 접촉하는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분(통신 신호 전송부) 및 음성 입력부에 의해 구성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외부 커버의 코너부는 깎여지고, 외부 커버의 주 몸체의 중량은 수 그램으로 설정되며, 외부 커버는 금속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음성 입력부의 한면 상의 구조적 생물체와 간섭되지 않는 틈이 형성된다. 이 주 몸체의 지지부는 이 지지부의 외부 환경에 정렬된 스프링 성질 및 점탄성체(viscoelastomer)를 갖는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신 신호 전송부는 2공진 시스템이고 제1 진동 시스템의 스프링은 나선형으로 설정되고, 나선형 암(arm)은 이 나선형 면에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로 설정된다. 제2 진동 시스템은 연결부에 큰 포아송 비(Poisson rate)를 갖는 재료를 사용한다. 진동 방지 효과를 갖는 재료가 통신 신호 전송부을 제외한 생물체 접촉부에 사용된다. 음성 입력부는 통신 신호 전송부의 상부에서 그 측면으로 정렬되고, 진동 방지 재료는 외부에 추가된다. 탄성 접착제가 통신 신호 전송부의 상부 및 음성 입력부 근처의 구조 부분의 연결부에 사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조작자의 손목, 손, 손의 뒷부분, 손가락 또는 손톱 끝과 접촉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 전송부 및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외부 부분에 의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스프링 성질을 갖는 2개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바람직하게 점탄성체가 스프링 성질을 갖는 2개의 와이어 부분을 지지하도록 정렬되어, 추가적인 공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위 구조중 하나에서, 통신 신호 전송 부분의 생물체 전송면은 바람직하게 깎은 방향으로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진(resin) 모양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전송된 생물체를 제외한 기계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 불간섭(interference) 간격이 바람직하게 음성 입력 부분의 구조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음성 입력 잡음을 감소시키기위해 음성 입력부가 바람직하게 그 상부로부터의 통신 신호 전송부의 측면 상에 정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통신 신호 전송부로부터의 음성 입력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동방지 재료가 바람직하게 음성 입력부의 외부에 추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생물체로부터 반환된 진동 및 생물체와의 밀착(close contact) 특성의 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통신 신호 전송부를 제외한 생물체 접촉부에서 바람직하게 진동 방지 효과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금속에 의해 제조되고 통신 신호 전달 부분을 저장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하고, 통신 신호 전송부의 기계적 로드에 기인한 잡음은 바람직하게 금속에 의해 제조된 이 외부 커버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주 몸체의 중량은 바람직하게 수십 그램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 전송의 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 커버의 코너 부분을 깎기 위한 구조가 바람직하게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통신 신호 전송 부분의 진동시스템은 바람직하게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2-공진 구조로 설정된다. 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큰 포아송 비를 갖는 재료가 보다 바람직하게 통신 신호 전송 부분의 2-공진 시스템 구조의 연결부에 형성되고, 진동 전송 방향으로의 진동 에너지는 수직 방향으로 분산되며, 진동 에너지는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는 제1 진동 시스템 및 한 덩어리(mass)로서의 요크, 자석 및 평판에 의해 구성되는 자기 회로의 제2 모드에서 더 바람직하게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 시스템은 바람직하게 통신 신호 전송부의 한쪽 끝 및 음성 입력부 근처의 구조부에 의해 형성되고, 진동 방향을 분산시키고 연결부에 탄성 접착제를 사용하기 위한 구조가 바람직하게 진동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진동 전송은 바람직하게 통신 신호 전송부의 제1 진동 시스템의 스프링이 나선형으로 설정되고 나선형 암이 나선형 몸체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사용하므로써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에서, 내부 회로에 관한 기계적 로드는 바람직하게 음성 입력부 및 통신 신호 전송부를 금속으로 커버하는 외부 커버를 생산하므로써 제한된다.
종래 기술의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1D를 참조하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11)는 전체적으로 통신 신호 전송부(17) 및 음성 입력부(19)가 축 방향으로 서로 오버래핑되는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 신호 전송부(17)는 수신된 음성 신호 같은 통신 신호를 지지용의 2개의 와이어(13)가 통과하여 확장되는 확장 커버(15)의 내부로 전송한다. 통신 신호 전송부(17)는 음성 신호 같은 수신된 통신 신호를 지지용의 2개의 와이어(13)가 통과하여 확장되는 외부 커버(15)의 내부로 전달한다. 통신 신호 전송부(21)에서, 컵모양의 요크를 오버래핑하므로써 구성된 자기 회로(35), 영구 자석(31) 및 고정부(33)가 송진 모양의 평판(27)과 오버래핑된다. 또한, 나선형의 스프링(37)이 자기 회로(35)와 오버래핑되고 고정부(38)는 자기 회로(35)를 통해 확장되어 평판(27), 자기 회로(35) 및 고정부(38)가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나선형 스프링(37)은 베이스(23)를 통해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 커버(25)에 고정된다. 코일(39)은 자기 회로(35) 및 베이스(23) 사이에 장착된다.
음성 입력부(19)는 외부 커버(15)의 다른 측면에 노출 되도록 정렬된 진동 방지 재료(41), 진동 방지 재료(41)에 삽입된 마이크로폰(43) 및 탄성 접착제(49)를 통해 마이크로폰(43)의 다른 면에 고정된 기판(45)을 갖는다. 내부 회로(67)는 마이크로폰(43)에 반대면 상의 기판(45) 면에 정렬된다. 내부 회로(67)는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 커버(25)의 바깥 면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유사한 부분들은 유사한 참조번호에 의해 설명된다.
도 2A 내지 2D를 참조하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57)는 수신된 음성 신호및 접촉에 의해 수신된 호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 전송부(59) 및 음성 입력부(61)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 신호 전송부(59)는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21) 및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21)를 커버하는 생물체 진동 접촉부 커버(25)의 외측면 상에 정렬된 내부 회로(67)를 갖는다.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21) 및 내부 회로(67)는 외부 커버(15)로 커버된다.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21)는 송진 모양의 평판(27)의 한면 상에 정렬된 자기 회로(35), 자기 회로(35)를 지지하기 위한 나선형 스프링(37) 및 나선형 스프링(37)을 써포트하기 위한 베이스(23)를 갖는다. 코일(39)은 나선형 스프링(37) 주위에 정렬된 베이스(23) 및 자기 회로(35) 사이에 삽입된다. 베이스(23)는 송진 모양의 스프링(63) 및 큰 포아송 비를 갖는 재료(79)를 통해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의 내부면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송진 모양의 평판(27)은 통신 신호 전송부(59)의 생물체 접촉부에 사용되고, 조작자가 사용할 때의 물리적 무질서의 느낌이 방지될 수 있고, 깎은 방향으로의 마찰이 감소될 수 있다.
자기 회로(35)는 뚜껑 모양의 요크(29), 디스크 모양의 영구 자석(31) 및 영구 자석(3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3)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고정부(38)에 의해 나선형 스프링(37)과 함께 이 순서로 고정된다.
음성 입력부(61)는 외부 커버(25) 내의 통신 신호 입력부에 근접해 있으며, 진동 방지 재료(41)에 저장된 마이크로폰(43), 한면 상의 마이크로폰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45) 및 기판(4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9)를 갖는다. 상기 멤버들은탄성 접착제(49)를 통해 외부 커버(15)에 저장된다. 간격(71)은 외부 커버(15)의 아래측에 형성된다. 간격(71)은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가 조작자의 손목 등에 의해 사용될때의 구부려짐에 기인한 생물체 모양의 변화의 기계적 간섭을 피하도록 형성된다.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57)의 주 몸체는 2개의 와이어(13,13)에 의해 지지된다. 와이어(13)의 외측 주위는 점탄성체(65)에 의해 가이드되어 추가적인 공진의 발생이 구조적으로 제한된다.
도 3A 및 3B를 비교하므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입력 잡음은 음성 입력부(61)의 정렬을 통신 신호 전송부(59)의 상부에서 본 발명의 구조의 그 측면으로 이동시키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15)를 통해 전송된 음성 입력 잡음은 음성 입력부(61)의 마이크로폰 및 기판(45) 주위의 진동 방지 재료(41)를 더하므로써 감소될 수 있다.
진동 절연(insulation) 및 생물체와의 밀착은 통신 신호 전송부(59)를 제외한 생물체에서의 진동방지 효과를 갖는 재료(55)를 사용하여 개선되어, 조작자의 손목, 손, 손의 뒷부분, 손가락 또는 손톱 끝 등의 생물체에 전달된 어떠한 진동도 외부 커버(15)에 반환되지 않는다.
외부 커버(15)를 금속으로 제조하므로써 통신 신호 전송부(59)의 내부 회로(67)에 관한 수동 압박과 같은 기계적 로드에 기인한 잡음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커버(15)를 금속으로 제조하므로써 내부 회로(67)에 관한 수동 압박과 같은 기계적 로드에 기인한 손상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57)의 주 몸체의 중량은 수십 그램으로 설정되고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음향 누설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상적인 중량의 약 2.5배가 되어, 운동 에너지의 중량에 기인한 손실은 증가되고 외부 커버(15)의 측면 상의 진동의 이동은 감소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석에 의해 이번에는 생물체 접촉 진동 전달부(21)의 이동이 중량의 변화에 앞선 이동과 비교하여 변화되지 않음이 예기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 결과에서 잡음 감소 효과 또한 크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외부 커버(15)의 코너부는 깎여지고 진동 전송의 효과 영역은 구조적 음향 누설에 있어서의 감소 만큼 감소된다. 또한, 음향 누설은 통신 신호 전송부(59)의 진동 시스템을 2-공진 구조로 설정하므로써 감소된다.
구체적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제2 진동 시스템은 덩어리로서의 나선형 스프링(37) 및 자기 회로(35)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진동 시스템은 덩어리로서의 송진 모양의 스프링(63), 코일(39) 및 베이스(23)에 의해 구성된다.
제1 진동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는 200 Hz 근처이다. 제2 진동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는 수신된 음성의 고주파수 영역 측면 상의 차단 때문에 10 kHz 이상이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2-공진 구조에서 200 내지 8000 Hz의 주파수 영역에서 음향 누설이 감소됨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큰 포아송 비(거의 0.5)를 갖는 이중 코팅된 테잎과 같은 재료(79)가 제1 및 제2 진동 시스템의 연결부, 제2 진동 시스템 및 생물체 접촉 진동 전송부 커버(25)의 연결부 또는 위 두개의 연결부 모두에 사용된다. 따라서, 진동 전송 방향으로의 진동 에너지는 수직 방향으로 분산되고, 제1 진동 시스템의 제2 모드에서의 진동 에너지(나선형 스프링의 암의 z 방향 공진)는 완화되어 고주파수에서의 음향 누설의 감소에 기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진동 시스템은 음성 입력부 근처의 통신 신호 전송부의 상부, 기판(45) 및 와이어링(51)과 같은 구성 부분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진동 방향성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는 추가적인 진동 잡음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연결부에 탄성 접착제(49)를 사용하므로써 채택된다. 또한, 진동 전송은 통신 신호 전송부(59)의 제1 진동 시스템의 스프링이 나선형체로 설정되고, 나선형 암은 나선형 몸체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 확장하는 구조를 사용하므로써 실험 결과와 같이 개선된다. 진동은 이론적으로 생물체에 초기 로드를 가하므로써 생물체의 외부 표면의 불안정한 부분(시간상으로 비선형으로 확장되는 영역)으로부터 내부(선형에 가까운 모양을 갖는 영역)으로 들어간다.
위에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는 대략 계란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도 8A 내지 8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영향은 호리병 모양(83), 둥근 코너를 갖는 정 사각형 모양(85), 타원형(87) 및 삼각형(89)으로 형성된다. 또한, 액추에이터 및 와이어의 위치들은 세로 및 가로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2C와 유사하게, 도 8A 내지 8D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송진 평판(27)이 노출되는 원형 공동, 마이크로폰(43)에 대응하는 금속 케이스 및 커버로부터 한 단계 후퇴한 간격(71)이 밑면 상에 정렬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음향 누설을 감소시키고 전송 특성을 개선시키며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내부 및 외부의 진동 전송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최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조작자의 손목, 손, 손의 뒷면, 손가락 또는 손톱끝과 접촉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신호 전송부 및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conductive)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에 의해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를 지지하고 스프링 성질을 갖기 위한 2개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점탄성체(viscoelastomer)가 상기 스프링 성질을 갖는 상기 2개의 와이어의 지지부에 정렬되어 추가적인 공진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생물체 전송면은 깎는(shearing) 방향으로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진(resin)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전송된 생물체를 제외하고는 기계적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음성 입력부의 구조에 불간섭(noninterference)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음성 입력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상부로부터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측면 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로부터의 음성 입력 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진동방지 재료가 상기 음성 입력부의 외부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생물체로부터 반환된 진동 및 상기 생물체와의 밀착 특성의 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는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를 제외하고는 생물체 접촉부에서 진동 방지 효과를 갖는 재료를 사용하므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를 저장하기 위한 금속에 의해 제조된 외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기계적 로드에 기인한 잡음은 상기 금속에 의해 제조된 이 외부 커버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의 주 몸체의 중량은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십 그램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전송의 효과 영역을 감소시키기 위해 외부 커버의 코너 부분을 깎아 내기 위한 구조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는 외부 표면 상의 매체에 기인한 잡음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2-공진 구조로 설정되는 진동 시스템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큰 포아송 비를 갖는 재료가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2-공진 시스템 구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진동 전송 방향으로의 진동 에너지가 수직 방향으로 분산되고, 상기 진동 에너지는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제1 진동 시스템 및 한 덩어리로서의 요크, 자석 및 평판에 의해 구성된 자기 회로의 제2 모드에서 완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4.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시스템은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한쪽끝 및 상기 음성 입력부 근처의 구성 부분들에 의해 만들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5.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전송은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의 제 진동 시스템의 스프링 나선형으로 설정되고 나선형 암은 상기 나선형 몸의 표면에 수직으로 확장되는 구조를 채택하므로써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16.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회로에 관한 기계적 로드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커버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통신 신호 전송부를 금속으로 제조하므로써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 도전 액추에이터.
KR1020010060899A 2000-10-02 2001-09-29 생체 전도 액추에이터 KR200200271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2736 2000-10-02
JP2000302736 2000-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99A true KR20020027199A (ko) 2002-04-13

Family

ID=1878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99A KR20020027199A (ko) 2000-10-02 2001-09-29 생체 전도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77435B2 (ko)
EP (1) EP1193998B1 (ko)
KR (1) KR20020027199A (ko)
CN (1) CN1358004A (ko)
DE (1) DE60139448D1 (ko)
HK (1) HK1046206B (ko)
NO (1) NO329887B1 (ko)
TW (1) TW53864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98A (ko) 2019-05-29 2020-12-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유체 제어를 위한 바이오 엑츄에이터, 이의 조립방법, 미세유체 제어장치 및, 미세유체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8513B1 (ko) 2015-04-23 2016-09-2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촉감 전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654A (en) * 1993-07-01 1995-10-10 Ball; Geoffrey R. Implantable magnetic hearing aid transducer
US5574794A (en) * 1995-01-19 1996-11-12 Earmark, Inc. Microphone assembly for adhesive attachment to a vibratory surface
JPH1146230A (ja) * 1997-03-20 1999-02-16 Northern Telecom Ltd 個人用通信装置および呼出処理状態を合図する方法
JPH11215213A (ja) * 1998-01-22 1999-08-06 Ricoh Micro Electronics Kk 情報報知装置、情報報知機能付き装身具、及び、情報報知機能付き腕時計
DE69936476T2 (de) * 1998-03-18 2007-11-08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 Tragbares Kommunikationsgerät zur Eingabe von Befehlen durch Detektion der Fingeraufschläge oder Vibrationen der Fingerspitzen
JPH11355870A (ja) * 1998-06-08 1999-12-24 Onkyoo Ribu Kk 体感方式の低音再生装置
JP2967777B1 (ja) * 1998-06-08 1999-10-25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導スピ−カ
GB9818840D0 (en) * 1998-08-29 1998-10-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ersonal communications apparatus
DE69937221T2 (de) * 1998-09-30 2008-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erechtigungskontrollsystem
JP2000166962A (ja) * 1998-12-08 2000-06-20 Tatsu Ifukube 触覚刺激装置及び方法
US6754472B1 (en) * 2000-04-27 2004-06-2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and data using the human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98A (ko) 2019-05-29 2020-12-0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유체 제어를 위한 바이오 엑츄에이터, 이의 조립방법, 미세유체 제어장치 및, 미세유체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93998B1 (en) 2009-08-05
HK1046206A1 (en) 2002-12-27
TW538648B (en) 2003-06-21
EP1193998A3 (en) 2002-12-04
NO20014795L (no) 2002-04-03
DE60139448D1 (de) 2009-09-17
US20020046619A1 (en) 2002-04-25
US7177435B2 (en) 2007-02-13
NO329887B1 (no) 2011-01-17
EP1193998A2 (en) 2002-04-03
CN1358004A (zh) 2002-07-10
NO20014795D0 (no) 2001-10-02
HK1046206B (zh) 200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77467B2 (ja) 振動スピーカ
KR102179023B1 (ko) 골전도 스피커의 누음을 억제하는 방법 및 골전도 스피커
US9392371B2 (en) Electronic device
US7206428B2 (en) Acoustic receiver having improved mechanical suspension
KR100807811B1 (ko) 전자기기
WO2013153828A1 (ja) 電子機器
EP1044730B1 (en) Vibration actuator having three vibration modes
JP4146346B2 (ja) 多機能型振動アクチュエータ
TW201537996A (zh) 骨傳導喇叭單元
US20240007796A1 (en) Dual function transducer
US11659334B2 (en) Acoustic device
JP2003103220A (ja) 生体伝導アクチュエータ
JPWO2019131283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KR20020027199A (ko) 생체 전도 액추에이터
US5514927A (en) Piezoelectric audio transducer
US6449376B1 (en) Planar-type loudspeaker with at least two diaphragms
US20180115830A1 (en) Unibody diaphragm and former for a speaker
KR102167493B1 (ko) 액추에이터
KR20090067639A (ko) 밀폐형 압전스피커
CN113225653B (zh) 发声器件和电子设备
JP4288269B2 (ja) 生体伝導アクチュエータ
JP2002192076A (ja) 生体伝導アクチュエータ
JP2014075671A (ja) 音響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A3150360C (en) Speaker unit and speaker
CN219893449U (zh) 一种喇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