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096A -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 Google Patents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096A
KR20020027096A KR1020000058832A KR20000058832A KR20020027096A KR 20020027096 A KR20020027096 A KR 20020027096A KR 1020000058832 A KR1020000058832 A KR 1020000058832A KR 20000058832 A KR20000058832 A KR 20000058832A KR 20020027096 A KR20020027096 A KR 20020027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message
pay phone
text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남
Original Assignee
정희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남 filed Critical 정희남
Priority to KR102000005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096A/ko
Publication of KR2002002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09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17/3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17/301Code input or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7/00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 H04M2017/25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 H04M2017/2506Prepayment of wireline communication system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or telephone systems using a code code input or re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에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의 단문을 작성한 뒤 이를 상대방의 휴대전화기로 전송할수 있으며 특히 공중전화비용으로 자신이 하고자하는 말을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남길수 있음으로 통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전화기 몸체의 상부에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중앙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수 있는 숫자키들이 구비되며, 몸체의 하부에는 문자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입력키들이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이 구비되어 문자입력키를 선택할 경우 공중전화기에서 휴대전화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Public phone have letter message}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중전화기에서 휴대폰으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공중전화기에 디스플레이부와 문자입력부를 구비함으로써, 공중전화요금으로 상대방 휴대폰에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휴대용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기능에는 음성 사서함 기능이 있다. 음성 사서함 기능은 휴대용단말기를 포함한 전화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의 번호에 원하는 음성메시지를 등록시킬 때 사용하는 기능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였으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발신자의 음성메시지를 개별전화번호의 음성사서함에 녹음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소유자가 자신의 음성 사서함을 열람하는 것으로 발신자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성메시지 사서함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기 소유자의 단말기 배터리가 완전방전 상태이거나 단말기 파워를 꺼놓은 상태 또는 이통통신 서비스 불가능 지역일 때 발신자의 메시지를 받을 수 있게 하므로 상호간의 의사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편리한 것이다.
그러나 음성메시지 전송방식은 이통통신 음성 사서함 가입자가 자신의 사서함에 들어온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부러 자신의 전화번호를 눌러서 이동통신 서비스센터 측과 접속한 후 서비스센터 측의 음성안내에 따라 연속적인 키선택 후에야 비로소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조작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음성메시지의 전송방식은 기록이 불가능하므로 잘못하여 메시지 내용의일부를 놓쳤을 경우에는 다시 처음부터 음성메시지 확인 절차를 거쳐야하기 때문에 메시지 수신시에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와 같은 음성메시지 전달방식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 메시지 전송방식이 제안된바 있다. 이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은 휴대전화기의 키패드 상에 마련된 0에서 9까지의 전화번호 키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편집하고, 이렇게 편집된 문자를 메시지로서 상대방의 단말기에 표시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문자메시지기능을 공중전화기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중전화기에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키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의 단문을 작성한 뒤 이를 상대방의 휴대전화기로 전송할수 있으며 특히 공중전화비용으로 자신이 하고자하는 말을 상대방의 휴대전화기에 남길수 있음으로 통화비용을 절감할수 있는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공중전화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공중전화기의 문자서비스 계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디스플레이부
2 : 숫자키
3 : 문자입력키
4 : 선택버튼
5 : 전화카드투입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중전화기 몸체의 상부에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몸체의 중앙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수 있는 숫자키들이 구비되며, 몸체의 하부에는 문자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하는 문자입력키들이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이 구비되어 문자입력키를 선택할 경우 공중전화기에서 휴대전화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공중전화기의 정면도 로서, 공중전화기를 구성하는 몸체의 상부에 통화내용 또는 문자메시지 입력내용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가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는 LCD 또는 TFT 액정화면으로 구성되며 공중전화기의 크기에 따라 큰 화면으로 구성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을 전부 표시해줄 수 있다.
그리고 공중전화기 몸체의 중앙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키(2)가 구비되며 그 하부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키(3)가 각각 구비된다. 문자입력키(3)는 자음과 모음이 조합된 것으로 각각의 키마다 자음 또는 모음이 최소한 2개 이상 표시된다. 따라서 이 키들을 이용할 때는 별도의 변환키를 이용하여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한 뒤 사용하면 된다. 요즘의 휴대전화기들은 대부분 한 개의 키 마다 3개의 자음 또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으나 공중전화는 몸체가 비교적 큼으로 키를 좀더 많이 만들 수 있어 최소 2개의 자음 또는 모음이 선택되도록 하면 좋다.
또한 공중전화기 몸체의 일측에는 숫자키(2) 또는 문자입력키(3)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4)이 구비되며 이 선택버튼(4)을 누르면 문자입력키(3)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에는 공중전화요금을 지불할 수 있는 전화카드투입구(5)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를 이용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문자서비스는 GSM(Gr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PCS방식 등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이에 음성 또는 문자메시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문자서비스는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간에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한 상황 발생시 주로 이용된다. 음성통화가 곤란한 상황이라 함은 예를 들면, 송/수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회의장 등과 같이 개인적인 음성전화통화가 곤란한 장소에 있는 경우로 이때에는 단말기가 착신된다 하더라도 이에 응답하여 상대방과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긴급하게 통화해야할 일이 발생하는 경우 상대방측 단말기로 발신하여 통화를 형성하였다 하더라도 음성으로 통화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을 말한다.
이런 경우에 단말기 사용자들은 상대방측 단말기 사용자에게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함으로써 제한된 내용이지만 상호간필요한 내용에 대해 연락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말기간의 문자메시지 서비스를 공중전화에서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공중전화기가 문자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 문자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을 통해 이동교환국에 보내지게 된다. 이동교환국에서는 이 문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공중전화기에 알림은 물론이고,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호출한 상대 단말기에도 전달한다. 문자서비스센터는 이동교환국과 도시되지 않은 다른 이동교환국들, 공중교환망이나 종합정보통신망 등에 연결되며, 이들 중 한쪽으로부터 수신한 문자메시지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였다가 다른 쪽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공중전화기 사용자가 다른 휴대용 단말기를 호출하였을 때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이동통신망 문자서비스센터 측에서는 메시지를 남길 것인가 여부를 묻는다.
이때 메시지 전달을 선택하면 센터측에서는 문자메시지와 음성메시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여기에서 음성메시지 전송모드이면 이동통신서비스 제공자 측인 센터측에서는 공중전화기 측으로부터의 음성메시지입력을 기다리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공중전화기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특정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전에 공중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1)와 문자입력키(3)를 이용하여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 상대방과의 접속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접속이 이루어졌을 때 해당 공중전화기에 미리 등록한 단문 메시지가 이동통신서비스 사업자를 통해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공중전화 사용자는 메시지 문장을 만들기 위해 공중전화기상에 마련된 문자입력키(3)를 누르게 되면 이러한 신호는 마이컴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상에는 자음과 모음의 조합에 의해 원하는 문자가 나란히 출력된다.
본 발명은 숫자키에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변환기를 만들어주면 별도로 문자입력키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중전화기를 이용하면 원하는 내용의 단문 문자를 상대방 휴대전화기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공중전화비용으로 휴대전화기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으며, 휴대전화기가 통화중일 때 또는 전화를 받지 못할 상황에서도 문자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중전화기 몸체의 상부에 문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가 구비되고,
    몸체의 중앙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할수 있는 숫자키(2)들이 구비되며,
    몸체의 하부에는 문자를 입력하여 디스플레이부(1)에 표시되도록 하는 문자입력키(3)들이 구비되고,
    몸체의 일측에는 전화번호 또는 문자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버튼(4)이 구비되어 문자입력키(3)를 선택할 경우 공중전화기에서 휴대전화기로 문자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1020000058832A 2000-10-06 2000-10-06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20020027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832A KR20020027096A (ko) 2000-10-06 2000-10-06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832A KR20020027096A (ko) 2000-10-06 2000-10-06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096A true KR20020027096A (ko) 2002-04-13

Family

ID=19692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832A KR20020027096A (ko) 2000-10-06 2000-10-06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0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468B1 (ko) * 2007-06-12 2009-05-2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송신 기능이 구비된 공중전화 단말기
KR100908770B1 (ko) * 2007-06-12 2009-07-22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위치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
KR100934819B1 (ko) * 2007-12-14 2009-12-3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엠엠에스 데이터 전송기능을 갖는 멀티 공중전화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468B1 (ko) * 2007-06-12 2009-05-2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단문메시지 송신 기능이 구비된 공중전화 단말기
KR100908770B1 (ko) * 2007-06-12 2009-07-22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위치정보 전송 기능을 갖는 공중전화 단말기
KR100934819B1 (ko) * 2007-12-14 2009-12-31 케이티링커스 주식회사 엠엠에스 데이터 전송기능을 갖는 멀티 공중전화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1960A (en) Interactive telephonic device for `VCO` relay communication
KR100986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KR20020027096A (ko) 문자메시지 발신기능을 갖는 공중전화기
KR1004627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 송신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Cisco Using the Cisco IP Phone 7940/7960
KR20010077232A (ko) 휴대폰의 문자메세지전송서비스기능을 이용한문자채팅(송,수신)방법
KR100831986B1 (ko) 다양한 메시지 전송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 시스템 및방법
KR100757638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9857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중 서비스 방법
KR20040081623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선택적 착신전환 방법
KR100690704B1 (ko) 휴대폰의 신호 전송방법
KR100827073B1 (ko) 휴대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KR100255371B1 (ko) 키폰시스템에서 전화번호 메모 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08513A (ko) 수신자 부담요청 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9990018110A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 호출자별 부재중 안내방법
KR20060060136A (ko) 무료 문자메시지 표시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267209Y1 (ko) 다수의 사업자별 고유 전화 번호 다이얼 버튼이 설치된전화기
KR10065088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오류 통보방법
KR200369349Y1 (ko) 수신자 부담 다이렉트콜 기능이 내장된 다기능 전화기
KR100813033B1 (ko) 발신번호 표시와 연계한 통화 차단 방법
KR20050057971A (ko) 공중전화 단말기 및 그 발신 방법, 이동전화 단말기
KR2006012976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통화 방법
JPH09135295A (ja) 簡易型携帯電話の使用を可能とした国際電話利用システムおよび電話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