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390A - 전해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해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390A
KR20020025390A KR1020000057130A KR20000057130A KR20020025390A KR 20020025390 A KR20020025390 A KR 20020025390A KR 1020000057130 A KR1020000057130 A KR 1020000057130A KR 20000057130 A KR20000057130 A KR 20000057130A KR 20020025390 A KR20020025390 A KR 2002002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ank
electrolytic
electrolytic cell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환신
Original Assignee
이환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환신 filed Critical 이환신
Priority to KR102000005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5390A/ko
Publication of KR2002002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39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여기에 오, 폐수를 전해 정화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전해 정화 시스템은 전해조, 응집조 및, 침전조를 수직, 입상으로 구성함으로 자유낙하에 의한 무동력으로 공정간 오, 폐수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오, 폐수를 희석하여 정화함으로 오, 폐수의 오염도에 변화가 있어도 이를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전해조의 전극판을 전해 처리 효율이 증가되도록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다. 게다가 혼합 펌프를 이용하여 오, 폐수를 혼합함으로 전해조 내의 오, 폐수 전반에 대하여 고르게 전해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극판 세정에 있어 에어 세정과 세정수를 이용한 두 단계의 세정을 함으로 전극판 세정 효과가 증가되어 전극판의 수명이 더욱 연장된다.

Description

전해 정화 시스템{ELECTROLYTIC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오, 폐수의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기 분해 방식에 의해 유기질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생활하수, 분뇨 및 공장 폐수 등과 같은 오, 폐수의 정화 또는 중수도의 정화 처리를 수행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에는 크게 생물학적 처리법, 화학처리법, 물리적 처리법 등이 있다. 이 방법들은 비용, 성능, 안전성, 소요면적 등에서 각기 장단점을 갖고 있다. 최근 강과 하천의 수계 지역에 대하여 수질 강화를 위해 널리 설치되고 있는 합병 정화조의 경우 설치 면적이 작고 수질 개선 효과가 양호한 반면 계절의 변화와 오수량의 변동에 따른 미생물 관리가 사실상 어려워 조금만 관리에 소홀할 경우, 처리 결과가 법적 규제치를 벗어나는 사례가 적지 않게 발생되고 있다.
응집제를 사용하는 침전 방법은 그 첨가물 때문에 침전 속도가 느리고 방류수 pH를 맞추기 위해 추가 약품의 투입과 중화 시설이 필요하며, 탈수 슬러지의 함수율이 높아 처리 분량이 과다하여 또 하나의 환경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생물학적 처리법은 무엇보다 공정에 숙달된 관리 인원이 필요하여 운영비 부담이 크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전기 분해 방법은 무기성 또는 유기성 전해질이 혼합된 폐수에 전기에너지를공급함으로서 전기분해 반응을 일으켜 폐수를 정화하는 방법이다. 전기 분해에 의한 오, 폐수의 정화 방법은 1950년경 개발된 이후 슬러지(sludge)의 생성이 적고 기온의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오수처리 톤당 소요되는 시설투자가 막대하며, 전력 비와 소모된 전극의 교체 비용이 높고, 게다가 주기적으로 이물질 청소를 해주어야하는 번잡성 때문에 범용적으로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전기 분해 방식에서 과다한 전극 소모비용과 전극판의 열화에 따른 통전 효율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전극판 대신에 철이나 스텐레스 전극판을 채용하고 보조적으로 응집제를 사용하는 등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술한 전기 분해 방식의 문제들을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일부에서 백금, PbO 등의 불용성 전극을 사용하고 응집제 투입을 병행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전극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투자비 과다로 범용적인 사용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전해 정화 시스템은 유입되는 오, 폐수를 저수조에 모아두었다가 그대로 전해조에 투입한 후 장시간 전해처리를 하고 있다. 그런데, 전해 처리 시간이 과다할 경우 전극에서의 방전에 의해 표준전위가 낮은 알루미늄(Al)이 알루미늄 이온(Al3 +)으로 전환하는 산화 반응은 지속적으로 활발한 반면 알루미늄 이온이 수산화 알루미늄 이온(Al(OH)3)으로 전환되는 반응은 오수 수용액 내에서 수산화알루미늄 농도가 높아지고, 점차 그 속도가 느려지게 됨으로서 반응되지 않은 채 잔류된 알루미늄이온량이 점차 증가하여 불필요한 전극의 소모가 심해지며 장시간 반응에 따른 전해조내 온도와 pH의 상승으로 스케일 생성, 부착이 증가되는 등 부작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 폐수 정화 장치는 전극판의 산화 및 슬러지의 착화 현상으로 빈번히 전극판의 교체 및 청소를 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으며, 일부 전극판으로 철, 티타늄, 백금, 스텐레스,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부식성이 강한 소재로서 사후관리 및 인적 물적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설비 및 공정을 단순화하고 전극의 과다 소모, 전극판의 산화피막과 스케일 부착을 줄일 수 있는 전해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전해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3은 도 1의 탈수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저수조110: 세정에어펌프
120: 전해조130: 응집조
140: 침전조150: 탈수기
160~168 : 전자 밸브170~174: 이송 펌프
200: 시스템 제어부210: 전원공급부
220: 밸브 제어부230: 펌프 제어부
240: 검출부250: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
260: 통신부300: 중앙 관제 센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오, 폐수를 전기 분해 방식에 의해 정화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은: 오, 폐수를 받아들이고, 희석수를 받아들여 상기 오, 폐수를 희석시키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희석된 오, 폐수를 받아들여 전해 처리를 수행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는 다수개의 전극판, 상기 전극판에 착화된 슬러지를 탈착시키기 위한 기포를 발생하는 극판 세정 에어 노즐, 상기 전극판을 세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장착된 세정수 공급관 및, 상기 전해조에 담겨진 오, 폐수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조로 세정 에어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저수조로 폭기를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세정 에어 펌프; 상기 전해조로부터 전해된 오, 폐수를 받아들여 슬러지 응집 반응을 수행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로부터 응집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 폐수를 받아들여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정화된 오. 폐수를 방류하되 그 일부를 상기 저수조의 희석수로 제공하고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전해조의 세정수로 제공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로부터 침전된 슬러지를 받아들여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 상기 저수조의 오, 폐수를 상기 전해조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 펌프; 상기 침전조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를 상기 저수조의 희석수로 공급하는 제2 이송 펌프; 상기 침전조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를 상기 전해조의 세정수로 공급하는 제3 이송 펌프; 상기 각 조들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전자 밸브들 및; 상기 전해 정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 상기 응집조, 상기 침전조는 수직 입상으로 구성되어 각 조에서 이송되는 오, 폐수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의 원리로 이송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Mn 또는 Zn 중 어느 하나의 함량이 0.5~5%을 갖는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Al-Cu-Mn-Mg 계열의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스크류 방식으로 구성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정화 시스템은 저수조(100), 세정에어펌프(washing air pump)(110), 전해조(120), 응집조(130), 침전조(140), 탈수기(150), 다수개의 전자밸브들(160, 162, 164, 166, 168), 다수개의 이송 펌프들(170, 172, 174),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해 정화 시스템은 시스템의 각종 상태(예를 들어, 오, 폐수의 전기 전도도, 오, 폐수의 각종 농도 검출, 각 조의 수위 검출 등)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검출 센서들(미도시)을 구비한다.
시스템 제어부(200)는 전해조(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210), 다수개의 전자밸브들(160, 162, 164, 166, 168)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밸브 제어부(220), 다수개의 이송 펌프들(170, 172, 17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펌프 제어부(230), 상기 검출 센서를 통해서 전해 정화 시스템의 각종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240), 시스템 제어부(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유닛(microprocessor unit; MPU)(250), 중앙관제센터(30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260)로 구성된다.
저수조(100)로 유입되는 오, 폐수는 전해조(120), 응집조(130), 침전조(140)를 거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오, 폐수는 침전조(120)에서 방류되고, 그 일부는 저수조(100)와 전해조(120)로 제공되어 오, 폐수의 희석과 전극 세정에 사용된다.탈수기(150)는 침전조(140)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를 탈수 처리한다. 시스템 제어부(200)는 전해 정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시스템 상태 정보를 중앙관제센터(300)로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전해 정화 시스템의 전해조(120), 응집조(130), 침전조(140)는 수직 입상으로 배열되어 구성된다. 그럼으로 각 공정에서 처리된 오, 폐수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의 힘으로 공정간을 이송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이송 펌프를 구성할 필요가 없어 설비비 및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해 정화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 동작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저수조(100)는 전해 정화를 위한 오, 폐수를 받아들인다. 저수조(100)는 일반적인 저수조의 구성과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전조(미도시)와 하나의 폭기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에어펌프(110)는 전해조(120)로 전극 세정을 위한 에어를 공급하고, 저수조(100)의 폭기조에 폭기(aeration)를 위한 에어를 공급한다. 세정에어펌프(110)로부터 저수조(100)의 폭기조로 에어가 공급됨으로 폭기조에 담겨있는 오, 폐수가 폭기 된다.
한편, 저수조(100)는 침전조(140)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물의 일부를 희석수로 받아들여 저수조(100)에 유입된 오, 폐수를 희석시키게된다. 그럼으로 전해조(120)로 오염도가 낮춰진 오, 폐수가 유입되게 된다. 오, 폐수의 오염도가 낮게 유지됨으로 인하여 전해조(120)에서의 전해반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오, 폐수의 희석에 의해 전해조(120) 내에서 오, 폐수를 전해 처리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정화 능력을 향상시키고 공정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필요에 따라 저수조(100)의 오, 폐수를 희석시키기 위한 희석수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보조탱크(미도시)를 구비할 수 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전해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전해조(120)는 내부 상단 영역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노즐(122a)을 갖는 세정수 공급관(122), 내부 하단 영역에 위치하는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 및, 세정수 공급관(122)과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 사이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전극판(12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전해조(120) 내의 오, 폐수를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 펌프(125)와 혼합 펌프 연결관(126)이 전해조(120)의 외부에 장착된다.
저수조(100)에 저장된 오, 폐수는 펌프(170)에 의해 이송관(127)을 통해 전해조(120)로 유입된다. 전해조(120)내로 오, 폐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전극판(124)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기 분해 과정이 진행된다. 전기 분해 과정이 완료되면, 전자밸브(166)가 열리면서 세정 에어 펌프(110)로부터 제공되는 세정 에어가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로 공급되어 극판 세정이 이루어진다. 에어 세정 과정이 완료되면 전자밸브(160)가 열리면서 전기 분해된 오, 폐수는 이송관(129)을 통해 응집조(130)로 이송된다. 응집조(130)로 오, 폐수의 이송이 완료되면, 침전조(140)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의 일부가 고압으로 동작하는 펌프(174)에 의해 이송관(121)을 통해 세정수 공급관(122)으로 제공되어 다수개의 노즐(122a)을 통해 세정수가 전극판(124)으로 고압으로 분사되어 전극판(124)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이상의 전해조의 구성 및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이하 설명한다.
상기 전극판(124)은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판(124)의 재료로서 Mn 또는 Zn 함량이 0.5~5% 포함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여 산소, 수소 가스 발생을 억제하고 산화피막형성을 완화시켜 전극판(124)의 수명연장과 전극 청소 작업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극판(124)의 재료로서 Al-Cu-Mn-Mg 계열의 경도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금재료를 사용함으로 산화, 환원 속도를 조절하여 수명 연장과 전극 청소 작업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판(124)을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함으로 전해 반응시 산화제 및 환원제 역할을 하게된다. 그러므로 오, 폐수 수용액내의 전극판(124) 부근에서 일어나는 산화와 환원반응을 일정 부분 억제 조절하여 산화피막 등에 의한 전극의 열화를 방지하고 전극에서 발생되는 산소, 수소 가스에 의한 기포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혼합 펌프(125)에 의한 전해조(120) 내의 오, 폐수의 교반, 순환 흐름이 더욱 균일하게 되어 오, 폐수의 전해 반응이 전극판(124)의 전체에서 균일하고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그럼으로 종래에 전해조(120)내에서 오, 폐수의 농도, 온도 및, 유속의 불균일에 의해 초래되던 국부적인 전극판(124)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전극판(124)에 전압, 전류가 인가되면 양극과 음극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전극판(124)의 양극에서는 Al3 +이온이 용출되며, 물의 전기 분해시 용출하는 OH-이온과 반응하여 Al(OH)3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전하를 띤 친수 콜로이드(colloid) 현탁물과 유기물 입자가 응집되어 플록(floc)을 형성한다. 이 형성된 플록은 음극에서 발생하는 수소 가스에 부착되어 부상 분리가 이루어진다. 전기 분해시 양극에서 용출되는 Al3 +이온은 활성이 강하여 화공약품 응집제보다도 우수한 응집력을 보유한다.
이와 같은 전기 분해 과정에서 전기 에너지는 콜로이드 상태로 부유하고 있는 불순물에 제공되어 (+)와 (-)전하를 띠고 2중층을 형성하고 있는 정전기를 중화하여 응집을 촉진하며,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는 살균력이 강하여 미생물 등을 완벽하게 멸균한다. 그리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극판(124)에 스케일이 부착되어 고착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극판(124)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주기적으로 (+), (-) 극성을 변환시킨다. 그러므로 전극판(124)의 산화가 어느 한쪽에만 발생하여 전극판(124)이 손상되는 것을 양쪽으로 분산하여 전극판(124)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이온화 현상이 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저수조(100)로부터 전해조(120)로 제공되는 희석된 오, 폐수는 전해조(120)에서 고속 산화와 환원(대략 10~13/초)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산화, 환원, 분해, 석출, 중화, 응집, 살균 등의 작용이 이루어지며, 전극판(124)과 오, 폐수의 경계면에서 전극 반응과 전극 반응 생성물이 폐수중의 성분과 작용하여 2차 반응을 함으로써 완벽한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폐수 혼합 펌프(125)는 전해조(120)에서 전기 분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동작하여, 전해조(120)내의 오, 폐수가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여 오, 폐수 전반에 걸처 고르게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해조(120)에서 전기 분해가 완료되면, 이어 전극판(124)의 세정 과정이 진행된다. 전극판(124)의 세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 세정과 세정수를 이용한 세정으로 두 번에 걸처 진행된다.
전해조(120)에서 오, 폐수의 전기 분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극판(124)에는 슬러지 착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은 예를 들어, 초음파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 방울이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로부터 초음파 진동에 의해 공기 방울이 생성되고 이와 더불어 전극판(124)과 전해조(120)내의 오, 폐수에 진동이 발생되어 전극판(124)에 착화된 슬러지가 분리되게 된다.
극판 세정 에어노즐(123)을 이용한 에어 세정 과정이 완료되면, 오, 폐수는 응집조(130)로 배출된다. 응집조(130)로의 오, 폐수의 배출이 완료되면, 세정수를 이용한 전극판(124)의 세정 과정이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침전조(140)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중 일부는 고압으로 동작하는 펌프(174)에 의해 이송관(121)을 통해 세정수 공급관(122)으로 제공되어 다수개의 노즐(122a)을 통해 세정수가 전극판(124)으로 고압으로 분사되어 전극판(124)에 남아있을 수 있는 슬러지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에어 세정과 세정수를 이용한 세정을 통해 두 번에걸처 전극판(124)을 세정하게 됨으로 보다 완벽하게 전극판(124)을 세정할 수 있다.
전해조(120)에서 전기 분해된 오, 폐수는 응집조(130)로 이송되어 응집 과정이 진행된다. 응집조(130)는 응집 반응을 강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응집조(130)에서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전자 밸브(162)가 열리면서 응집조(130)의 오, 폐수는 침전조(140)로 이송된다. 침전조(140)로 이송된 오, 폐수는 침전이 이루어지고, 침전조(140)에 의한 처리 과정이 완료되면 정화 처리가 완료된 오, 폐수는 방류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은 펌프들(172, 174)에 의해 저수조(100)와 전해조(120)로 제공된다. 침전조(140)에 침전된 슬러지는 전자 밸브 (164)가 열리면서 탈수기(150)로 제공된다.
도 3은 도 1의 탈수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탈수기(150)는 소형의 간이 스크류 방식으로 구성된다. 탈수기(150)는 탈수기 구동 모터(151), 탈수기 하우징(152), 탈수기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탈수기 구동 모터(151)에 일단이 연결되는 스크류(155)로 구성된다. 스크류(155)의 타단은 이송관(157)에 연결되어 침전조(140)로부터 이송되는 오, 폐수를 포함하는 슬러지를 받아들인다. 스크류(155)에는 다수개의 슬러지 배출공(156)이 형성되어 있다, 탈수기 하우징(152)의 일 측에는 탈수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구(153)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탈수를 배출하기 위한 탈수 배출구(154)가 구성된다. 탈수는 방류되거나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판의 세정수 또는 저수조의 희석수로 사용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전해 정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화처리 전후의 오, 폐수의 각종 측정치를 비교한 것을 보여준다.
정화 시료1(가정하수) 시료2(식당오수) 시료3(공장폐수)
SS 31 134 121
0.01 0.04 0.07
CODMN 141 268 244
21 27 23
BOD 102 224 217
12 18 21
대장균 1800 200 3600
0 0 0
시스템 제어부(200)는 본 발명의 전해 정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고, 정화 처리 결과를 중앙관제센터(300)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수조(100), 전해조(120), 응집조(130), 침전조(140)의 각 배출 부위에는 각종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COD, T-N, T-P, Cl, pH, 수온 농도 등을 검출하게 된다. 시스템 제어부(200)의 검출부(240)는 상기 각종 센서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검출을 수행한다. 시스템 제어부(200)는 검출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해 정화 시스템의 공정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저수조(100)의 오, 폐수 희석 정도 조절, 전해조(120)의 전극판(124)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량 조절, 극성 전환 시간 제어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200)는 전해 정화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중앙관제센터(300)로 이를 알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정화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조, 응집조 및, 침전조를 수직, 입상으로 구성함으로 자유낙하에 의한 무동력으로 공정간 오, 폐수를 이송할 수 있어 오, 폐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오, 폐수를 희석하여 정화함으로 오, 폐수의 오염도에 변화가 있어도 이를 안정적으로 보정할 수 있고, 전극판을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하므로 전해 처리 효율이 증가된다. 게다가 혼합 펌프를 이용하여 오, 폐수를 혼합함으로 전해조내의 오, 폐수 전반에 대하여 고르게 전해 처리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전극판 세정에 있어 에어 세정과 세정수를 이용한 두 단계의 세정을 함으로 전극판 세정 효과가 증가되어 전극판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다.

Claims (5)

  1. 오, 폐수를 전기 분해 방식에 의해 정화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에 있어서:
    오, 폐수를 받아들이고, 희석수를 받아들여 상기 오, 폐수를 희석시키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로부터 희석된 오, 폐수를 받아들여 전해 처리를 수행하는 전해조, 상기 전해조는 다수개의 전극판, 상기 전극판에 착화된 슬러지를 탈착시키기 위한 기포를 발생하는 극판 세정 에어 노즐, 상기 전극판을 세정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이 장착된 세정수 공급관 및, 상기 전해조에 담겨진 오, 폐수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해조로 세정 에어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저수조로 폭기를 위한 에어를 공급하는 세정 에어 펌프;
    상기 전해조로부터 전해된 오, 폐수를 받아들여 슬러지 응집 반응을 수행하는 응집조;
    상기 응집조로부터 응집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오, 폐수를 받아들여 슬러지를 침전시키고 정화된 오. 폐수를 방류하되 그 일부를 상기 저수조의 희석수로 제공하고 또 다른 일부를 상기 전해조의 세정수로 제공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로부터 침전된 슬러지를 받아들여 탈수 처리하는 탈수기;
    상기 저수조의 오, 폐수를 상기 전해조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 펌프;
    상기 침전조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를 상기 저수조의 희석수로 공급하는 제2 이송 펌프;
    상기 침전조에서 방류되는 정화된 오, 폐수를 상기 전해조의 세정수로 공급하는 제3 이송 펌프;
    상기 각 조들간에 구성되는 다수개의 전자 밸브들;
    상기 전해 정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 상기 응집조, 상기 침전조는 수직 입상으로 구성되어 각 조에서 이송되는 오, 폐수는 중력에 의한 자유낙하의 원리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Mn 또는 Zn 중 어느 하나의 함량이 0.5~5%을 갖는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은 Al-Cu-Mn-Mg 계열의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는 스크류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전해 정화 시스템
    .
KR1020000057130A 2000-09-28 2000-09-28 전해 정화 시스템 KR20020025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130A KR20020025390A (ko) 2000-09-28 2000-09-28 전해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7130A KR20020025390A (ko) 2000-09-28 2000-09-28 전해 정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250U Division KR200229123Y1 (ko) 2000-09-28 2000-09-28 전해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390A true KR20020025390A (ko) 2002-04-04

Family

ID=1969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130A KR20020025390A (ko) 2000-09-28 2000-09-28 전해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53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59B1 (ko) * 2015-02-16 2016-07-28 남성태 전기분해 오폐수 처리 모듈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32U (ko) * 1997-01-09 1998-10-15 김광수 양극산화피막 알루미늄극판을 지니는 전기집진장치
JPH10277555A (ja) * 1997-04-07 1998-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KR19990083653A (ko) * 1998-09-22 1999-12-06 고선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JP2000189975A (ja) * 1998-12-24 2000-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極皮膜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水浄化装置
KR20010009677A (ko) * 1999-07-13 2001-02-05 우춘호 정전류형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와 분뇨 및 축산분뇨의 고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232U (ko) * 1997-01-09 1998-10-15 김광수 양극산화피막 알루미늄극판을 지니는 전기집진장치
JPH10277555A (ja) * 1997-04-07 1998-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浄化装置
KR19990083653A (ko) * 1998-09-22 1999-12-06 고선태 전기화학적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JP2000189975A (ja) * 1998-12-24 2000-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極皮膜の除去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水浄化装置
KR20010009677A (ko) * 1999-07-13 2001-02-05 우춘호 정전류형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와 분뇨 및 축산분뇨의 고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3559B1 (ko) * 2015-02-16 2016-07-28 남성태 전기분해 오폐수 처리 모듈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5357B2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EP10176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on of fluids
CN105384222A (zh) 废水的电絮凝处理设备
KR101221565B1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20090047641A (ko) 전기분해에 의한 폐수처리장치
KR100319022B1 (ko) 전해부상법을이용한폐수처리장치
KR100630279B1 (ko) 전기분해 응집부상방식 수처리장치
KR100664683B1 (ko) 복수탈염설비의 재생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9990026365A (ko) 펜톤산화와 전기전해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및 장치
KR200229123Y1 (ko) 전해 정화 장치
CN108383297A (zh) 一种电化学处理高浓度废切削液工艺
KR100490307B1 (ko) 오폐수처리용 철-전기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시스템
KR20020004661A (ko) 원통형 전기응집기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N215559589U (zh) 电絮凝-电芬顿耦合反应器
CN216039059U (zh) 一种序批式电絮凝装置
KR100327802B1 (ko) 하폐수 처리 장치
KR20020025390A (ko) 전해 정화 시스템
CN111825251B (zh) 一种钻井废水处理装置和方法
CN113105030A (zh) 废水处理装置及方法
KR0167123B1 (ko) 전기분해법에 의한 폐수처리장치
CN113860645A (zh) 一种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处理方法
CN210855619U (zh) 一种含盐有机废水电催化氧化耦合预处理装置
CN111995132A (zh) 一种针对高浓度高盐的las废水处理系统及其工艺
KR101005470B1 (ko) 동력학적 전기분해 및 철 여과를 통한 생물학적 처리수의 인 제거 장치
KR100466280B1 (ko) 전해부상 및 침전에 의한 폐수중 부유고형물질의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