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995A -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 Google Patents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995A
KR20020024995A KR1020000056878A KR20000056878A KR20020024995A KR 20020024995 A KR20020024995 A KR 20020024995A KR 1020000056878 A KR1020000056878 A KR 1020000056878A KR 20000056878 A KR20000056878 A KR 20000056878A KR 20020024995 A KR20020024995 A KR 20020024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wind
wind turbine
shaft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인호
Original Assignee
원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인호 filed Critical 원인호
Priority to KR102000005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4995A/ko
Publication of KR20020024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99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연결 풍력 발전장치(A)를 제작함에 있어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2)를 제작함에 있어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 와 제 2 수풍회전발생장치(A-2)를 제작 연결하여서 되는 것과 필요에 따라 동일의 수풍회전 발생장치를 계속 연결착을 시켜주어 보다 많은 용량의 발전 에너지를 얻어낼 수 있게 개발해낸 인호식 연결풍력 발전장치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본 발명은 풍력발전 장치를 필요에 따라 계속 연결시켜 많은 용량의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게 개발해낸 인호식 연결풍력 발전장치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풍력발전기는 단순히 일기로써 사용할 수 있게 설계 제작이 되었을 뿐 연결시켜 발전에너지를 생산 해내지는 못하였던 것이며, 특히 산의 능선이나 해안가나 비탈진 곳에서도 독립기로써의 기능밖에는 설치를 해낼 수가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을 발견하여 개발해낸 본 발명은 바람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연결시켜 시공을 할 수 있게 하였고 크고 작은 풍속을 이용하여 연결되어진 풍력 발전 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용량의 크고 작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있게 개발을 하였는바, 도시한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인호식 연결풍력발전장치의 사시도
제 2 도는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 장치의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A : 인호식 연결풍력 발전장치 A-1 : 제 1 수풍회전 발전장치
A-2 : 제 2 수풍회전발전장치 1,1-1 : 수풍판
2,2-1 : 유풍방지판 3,3' : 샤푸트
4,4-1,4-2 : 발전기 5,5-1,5-2 : 발전기 삽설지지구
6 : 풍력발전장치 지지판
제 1 수풍회전발전 장치의 제작
제1 수풍회전발전장치(A-1)를 구성함에 있어 정면과 편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낼 수있게 한 다수의 유풍방지판(2)을 일정 간격으로 샤푸트(3)와 고착을 시켜주고 유풍방지판(2)의 각각의 사이와 사이에는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 회전구동을 할 수있는 수풍판(1)을 다수 일정간격으로 유풍방지판(2)과 임의 설정 되어진 동일 각도로 하여 간 설착을 시켜주어 제 1 수풍회전 발전장치(A-1)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구성 시켜서된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의 일측에 나가 있는 샤푸트(3)와 발전기(4)의 샤푸트와 연결을 시켜주고 이를 고정지지 해줄 수있는 발전기(4)를 내삽되어질 수있게 제작되어진 발전기 삽설지지구(5)(5')를 결착시켜주어 독립된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를 제작하는 것이다.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의 제작 및 제 1 수풍회전 발전장치와의 연결착 방법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구성함에 있어 정면과 편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질 수있게한 다수의 유풍방지판(2-1)을 일정 간격으로 샤푸트(3-1)와 고착을 시켜주고 유풍방지판(2-1)의 각각의 사이와 사이에는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 회전구동을 할 수있는 수풍판(1-1)을 다수 일정 간격으로 임의 설정되어진 동일 각도로 하여 유풍방지판(2-1)과 간설착을 시켜주어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제 2 수풍회전발전장치(A-1)의 샤푸트 일측은 발전기(4-1)의 샤푸트와 연결을 시켜주고 이를 고정 지지해 줄 수 있는 발전기(4-1)를 내삽되어질 수 있게 제작되어진 발전기 삽설 지지구(5-1)를 결착 시켜주고 다른 일측의 샤푸트(3-1)는 발전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제작하여 제 1 수풍회전장치(A-1)의 샤푸트와 연결착을 시켜주고 시공설치가 되어 있는 풍력발전 장치 지지판(6)위에 발전기 삽설지지구(5)(5-1)(5-2)를 수평을 맞추어 고착을 시켜주는 것이며 설치장소의 형편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어진 수풍회전 발전장치를 연결착 시켜주게 하여 보다 많은 발전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제작하여서된 연결 풍력 발생장치를 바람이 많이 부는 바닷가나 도서지역과 산의 능선이나 넓은 계곡 등에 설치를 할 경우 단독의 발전능력보다 더 많은 용량의 발전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특징과 기대효과를 볼 수있으며 미풍의 경우도 필요한 용량의 전기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효과도 거둘 수 있게 개발 하여서된 인호식 연결 풍력 발전장치의 제작인 것이다.

Claims (3)

  1. 연결 풍력 발전장치(A)를 제작함에 있어,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와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제작연결하여서 되는 것과 필요에 따라 계속 연결착을 시켜주어 보다 많은 용량의 발전에너지를 얻어낼 수 있게 제작된 인호식 연결풍력 발전장치의 제작
  2. 제 1항에 있어서 제1 수풍회전발전장치(A-1)를 구성함에 있어 정면과 편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낼 수있게 한 다수의 유풍방지판(2)을 일정 간격으로 샤푸트(3)와 고착을 시켜주고 유풍방지판(2)의 각각의 사이와 사이에는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 회전구동을 할 수있는 수풍판(1)을 다수 일정간격으로 유풍방지판(2)과 임의 설정되어진 동일 각도로 하여 간 설착을 시켜주어 제 1 수풍회전 발전장치(A-1)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구성 시켜서된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의 일측에 나가 있는 샤푸트(3)와 발전기(4)의 샤푸트와 연결을 시켜주고 이를 고정지지 해줄 수있는 발전기(4)를 내삽되어질 수있게 제작 되어진 발전기 삽설지지구(5)(5')를 결착시켜주어 독립된 제 1 수풍회전발전장치(A-1)를 제작 하여서된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 장치의 제작.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구성함에 있어 정면과 편면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질 수있게한 다수의 유풍방지판(2-1)을 일정 간격으로샤푸트(3-1)와 고착을 시켜주고 유풍방지판(2-1)의 각각의 사이와 사이에는 불어오는 바람을 받아 회전구동을 할 수있는 수풍판(1-1)을 다수 일정 간격으로 임의 설정되어진 동일 각도로 하여 유풍방지판(2-1)과 간설착을 시켜주어 제 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구성하고 이와 같이 구성시켜서된 제 2 수풍회전발전장치(A-1)의 샤푸트 일측은 발전기(4-1)의 샤푸트와 연결을 시켜주고 이를 고정 지지해 줄 수 있는 발전기(4-1)를 내삽되어질 수 있게 제작되어진 발전기 삽설 지지구(5-1)를 결착 시켜주고 다른 일측의 샤푸트(3-1)는 발전기 삽설지지구(5-2)에 삽착되어 있는 발전기(4-3)의 샤푸트와 연결착을 시켜주어 제2 수풍회전 발전장치(A-2)를 제작하여 제 1 수풍회전장치(A-1)의 샤푸트와 연결착을 시켜주고 시공설치가 되어 있는 풍력발전 장치 지지판(6)위에 발전기 삽설지지구(5)(5-1)(5-2)를 수평을 맞추어 고착을 시켜주는 것이며 설치장소의 형편에 따라 같은 방식으로 제작되어진 수풍회전 발전장치를 연결착 시켜주게 하여 보다 많은 발전 에너지를 생산해 낼 수있게 한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KR1020000056878A 2000-09-27 2000-09-27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KR200200249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878A KR20020024995A (ko) 2000-09-27 2000-09-27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878A KR20020024995A (ko) 2000-09-27 2000-09-27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995A true KR20020024995A (ko) 2002-04-03

Family

ID=19690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878A KR20020024995A (ko) 2000-09-27 2000-09-27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49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33A (ko) * 2001-04-16 2002-10-26 원인호 인호식 원구형 풍력회전장치
KR20020083305A (ko) * 2001-04-26 2002-11-02 원인호 인호식 풍력에 의한 고회전 구동장치
KR20020083545A (ko) * 2001-04-26 2002-11-04 원인호 수평식 수풍 강회전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633A (ko) * 2001-04-16 2002-10-26 원인호 인호식 원구형 풍력회전장치
KR20020083305A (ko) * 2001-04-26 2002-11-02 원인호 인호식 풍력에 의한 고회전 구동장치
KR20020083545A (ko) * 2001-04-26 2002-11-04 원인호 수평식 수풍 강회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851B2 (en) Wind turbine
US7008171B1 (en) Modified Savonius rotor
US9915242B2 (en) Roof ridge wind turbine
US20100257795A1 (en) Building-integrated system for capturing and harvesting the energy from environmental wind
US20100158673A1 (en) Artificial Tree and Vertical Axis Wind Turbine Combination
JP2010065676A (ja) 風力エネルギーシステム、風力エネルギー変換システム及び風トンネルモジュール
US20100060010A1 (en) Ecology friendly compound energy unit
JP2001193631A (ja) 風力発電装置
JP2002021705A (ja) 屋根設置用風車
KR20020024995A (ko) 인호식 연결 풍력발전장치의 제작
KR20100015047A (ko) 빗물 발전기
CN101092933A (zh) 一种全方位采风罩装置
KR20090098674A (ko) 수직 임펠러형 풍력 발전 장치
JP2011058389A (ja) 発電機一体型薄型ファンを並列多重に組み合わせた風力発電装置
KR100936503B1 (ko) 부스터 블레이드를 갖는 세그먼트 트위스팅 풍력발전시스템
KR101882331B1 (ko) 다중 블레이드 수직형 풍력발전장치
KR100391772B1 (ko) 발전기
JP2003222071A (ja) 発電機を複数設置したダリウス型風力発電装置と風の収集パネルを取り付ける発明。
KR20110065922A (ko) 도로용 풍력발전시스템
Utama et al. The Investigation of Savonius Type and Darrieus H Type Wind Turbine Simulation with Wind Speed Variable
KR20020023448A (ko) 인호식 전천후 풍력 발전장치
KR20020082327A (ko) 인호식 양축심 수풍회전장치
RU2732006C1 (ru) Турбина ветрогенератора и ветростанция на ее основе
RU2147079C1 (ru) Ветр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KR200240847Y1 (ko) 인호식 양축심 수풍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