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255A -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 Google Patents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255A
KR20020024255A KR1020020007946A KR20020007946A KR20020024255A KR 20020024255 A KR20020024255 A KR 20020024255A KR 1020020007946 A KR1020020007946 A KR 1020020007946A KR 20020007946 A KR20020007946 A KR 20020007946A KR 20020024255 A KR20020024255 A KR 20020024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gravel
sewage
barr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102002000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4255A/en
Publication of KR20020024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255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Abstract

PURPOSE: A sewage purifying basin using charcoal and gravel is provided, which can purify wastewater and sewage delivered from plants and households by changing water path and by treating with simple water purifying basin charged with gravel and charcoal. CONSTITUTION: The sewage purifying basin(30) of an integrated form comprises a gravel chamber(10) and a charcoal chamber(20) which are removably installed in the basin(30) to ease replacement of them. The gravel chamber(10) having gravel of 10 mm in diameter is set at front to act as a screen and the charcoal chamber(20) having numbers of 4-8 is set at the rear to act as a filter.

Description

숯과 자갈을 이용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 하수 정화 설비{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본 발명은 하수 정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숯과 자갈을 이용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 하수 정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age treatment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wage treatment tank using charcoal and gravel and a simple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숯은 여과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이러한 숯의 구조와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목재를 태우면 25∼30% 정도의 숯이 생산되고 5%의 목초가 부수적으로 얻어지게 된다. 숯의 경우 굽는 온도에 따라 알칼리의 높고 낮음이 결정되는데 이것은 산성토양의 개량과 산성비 대책에 사용된다. 이렇게 얻어진 숯의 기공 내부표면적을 측정하면 숯 1g당 200∼400평방미터의 단면적을 갖게된다. 숯 내부의 기공은 100만분의 1mm단위까지의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미생물이 서식하기에 아주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 박테리아, 방선균등의 유익한 미생물의 번식에 매우 유리하게 되어있다.In general, charcoal is known to have excellent filtra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such charcoal will be described. Burning wood produces about 25-30% of the charcoal and 5% of the grass is incidentally obtained. In the case of charcoal, the high and low alkali is determined by the baking temperature, which is used to improve acid soil and counteract acid rain. The pore inner surface area of the char thus obtained has a cross-sectional area of 200 to 400 square meters per gram of char. The pores inside the charcoal have a variety of sizes up to one millionth of a millimeter and have a structure that is very suitable for microorganisms to grow, which is very advantageous for propagation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actinomycetes.

이러한 숯의 여과 기능 및 효과를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예로부터 숯은 우리 생활에서 더러움을 제거하는 역할에 쓰였으며 간장이나 동치미를 담글 때 숯을 넣어 정화용도에 사용했다. 숯에 오염된 공기와 물을 통과시키면 놀라운 정화 효과를 볼 수 있다. 숯의 강력한 정수력이 있는 것은 숯 내부가 위에서 말한 다양한 크기와 표면적을 가진 다공질로 되어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예로 독가스를 무독화하는 방독 마스크 에도 숯이 들어있다. 숯에는 수돗물의 냄새를 없애고 맛을 좋게 하는 미네랄 분을 공급하는 두가지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것도 숯의 구조적 특징에서 오는 효과라고 볼 수 있는 데 다공질인 숯의 내부는 안팎이나 아래위로 통해 있어서 물이나 공기가 통하기 쉽고 또한 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엄청난 흡착력을 갖게된다. 따라서 숯은 냄새가 나는 소독제나 오염의 기본이 되는 여러 가지 유기물을 무한히 흡착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중금속 및 오염물질 흡착력이 뛰어나 정수 및 정화기능이 있다. 유기 화합물질과 기타 오염 물질을 저감시키는 기능이 있다.The filtration function and effects of such charcoal will be described below. Since ancient times, charcoal has been used to remove dirt from our lives, and charcoal was used to purify soy sauce and Dongchimi. Passing through air and water contaminated with charcoal provides an amazing cleansing effect. The strong water purification of charcoal is possible because the interior of the charcoal is a porous structure with various sizes and surface areas mentioned above. For example, charcoal is also contained in a gas mask that poisons poison gas. Charcoal is effective in eliminating the smell of tap water and supplying minerals that improve taste. This is also the effect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rcoal, the interior of the porous charcoal inside and out through up and down, so that water or air is easy to pass through, and the water is in contact with the air has a great adsorption power. Therefore, charcoal has infinitely adsorbing various disinfectants or organic substances that are the basis of pollution. Excellent adsorption of heavy metals and pollutants, water purification and purification. It has the function of reducing organic compounds and other pollutants.

이에 따라서, 기존에도 숯을 이용한 정화 설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0-13803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숯 망태(2)를 물에 넣어 수질을 정화하나, 스크린 장치가 없으므로, 부유물등이 제거되지 않아, 숯통의 여과를 방해할 정도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요인이 되며, 하천 전체를 막는 경우 숯통의 부피가 커서 탈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disclosed a purification facility using charcoal (Patent Application No. 10-2000-13803). As shown in FIG. 1, the charcoal mesh 2 is put into the water to purify the water quality, but since there is no screen device, the suspended solids are not removed, and thus the factor that does not smooth the flow of water to hinder the filtration of the charcoal. When the entire river is blocked, the volume of the charcoal is larg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esorption is not easy.

또한 기존의 다른 정화 설비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의 전체를 막는 하수 정화 설비가 있었으나, 숯망태(2')를 물에 넣어 수질을 정화하고, 모기장을 이용한 스크린 장치(1)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스크린 장치(1)에 걸러지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쉽게 숯통(2')으로의 물의 흐름을 막는 단점이 있으며, 숯통(2') 역시 부피가 커 탈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정화설비의 오염원 제거 효과는 다음의 표 1에서와 같이 분석되었다. 표 1에서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COD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 TN은 총질소(total nitrogen), TP는 총인(total phosphorus)를 의미한다. 여기서, TN과TP는 하천이나 호수에서 대표적인 부영양화 물질로 알려wu 있다. 따라서 호수나 하천에 질소와 인이 많아지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로 부영양화가 일어나면 적조가 발생하며 부유조류가 증식되어 미관상의 가치를 감소시킨다. 오염된 호수 및 담수호의 물을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돗물에서 맛과 냄새를 유발시킨다. 고급 어종들이 소멸되고, 대량의 조류나 수생식물들이 사멸될 때 급속히 분해되어 악취를 발생하고 다량의 용존산소를 소비하게된다. 이렇게 부영양화가 일어나서 조류가 증식되어 있을 때는 수질은 악화된다. 따라서 TN과 TP의 농도가 오염된 하천에서 감소하면 부영양화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re was a conventional sewage treatment facility that blocks the entire stream. However, the screen device 1 using a mosquito net to purify the water quality by inserting a charcoal net 2 'into the water. Although it is used, this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preventing the flow of water to the charcoal (2 ') easily because it is not easy to remove the suspended matter filtered by the screen device (1), the charcoal (2') is also bulky and easy to remove. There was a disadvantage. In addition, the pollutant removal effect of the existing purification plant was analyzed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Table 1, BOD means biological oxygen demand, COD means chemical oxygen demand, TN means total nitrogen, and TP means total phosphorus. Here, TN and TP are known as representative eutrophicants in rivers and lakes. Therefore, the increase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lake or river will adversely affect the water quality. For example, when eutrophication occurs, red tide occurs and floating algae multiply, reducing the aesthetic value. If water from contaminated lakes and freshwater lakes is used as a water source, tap water causes taste and smell. When higher fish species die out and large quantities of algae or aquatic plants die, they are rapidly degraded, producing odors and consuming large amounts of dissolved oxygen. When eutrophication occurs and algae is multiplying,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Therefore, if th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are reduced in polluted streams, the effects of eutrophication can be reduced.

(단위mg/L)(Unit mg / L) BODBOD CODCOD TNTN TPTP 유입수Influent 50.850.8 44.744.7 4.804.80 11.411.4 유출수Runoff 3.903.90 2.912.91 0.80.8 0.110.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하천, 논에 농업용수를 대기 위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 등에 설치되어, 스크린 기능과 여과기능을 통합하여 하나의 정화통으로 만들고, 각 기능을 수행하는 자갈통과 숯통의 교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is installed in small rivers, small ditches for waiting for agricultural water in rice fields, sewage, such as wastewater and sewage from factories and homes, the screen function and filt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age septic tank and a simple sewage scavenging facility using the same, which facilitates the exchange and management of gravel and charcoal buckets that perform each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을 이용하여 하천으로부터 오염된 물을 끌어들여 정화한 후 하천으로 다시 출수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mple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that draws and cleans contaminated water from a stream using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discharges it back to the stream.

도 1은 기존의 하수 정화 설비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ation of a conventional sewage treatment plant.

도 2는 기존의 하수 정화 설비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installation of the existing sewage treatment facility.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수 정화통을 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도랑에 설치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ewage treatmen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itch for supplying water to rice fields.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본 하수 정화통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wage treatment tank viewed along line A-A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 정화통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the sewage treatment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하수 정화통을 위해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as viewed for the sewage treatment tank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하수 정화통으로부터 탈착된 숯망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coal net detached from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FIG.

도 8은 도 6의 하수 정화통으로부터 탈착된 자갈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ravel bucket detached from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을 이용하여 하천으로부터 끌어올린 농업용수를 정화하는 간이 용수 정화 설비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imple water purification facility for purifying agricultural water drawn up from a river by using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자갈통, 20...숯통10 ... pebbles, 20 ... charcoal

30...정화통, 40...용수펌프30 ... septic tank, 40 ... water pump

50...정화수 유로, 60...물지연둑50 water purifying euros, 60 water muffler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하수 정화통에 있어서, 전면에 스크린 역할을 하는 자갈통을 설치하고 후면에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숯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갈통과 숯통을 통합한 구조이고, 상기 자갈통과 숯통으로부터 자갈과 숯을 교체하기 쉽도록 상기 자갈통과 상기 숯통을 상기 정화통에 대해서 탈착가능한 구조로 한, 하수 정화통을 제공한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in the sewage treatment tank for removing the contamination of the sewage, install a charcoal bucket to install the gravel barrel acting as a screen on the front and performs the filtration function on the rear It is made by, and the structure is an integrated structure of the gravel barrel and charcoal, and provides a sewage treatment tank having the structure of the gravel barrel and the charcoal detachable to the purifying tank so that it is easy to replace the gravel and charcoal from the gravel barrel and the charcoal barre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종래의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하천, 논에 농업용수를 대기 위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로부터 물을 끌어올려 둑을 막고 하수 정화통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제공하되, 상기 하수 정화통은 전면에 스크린 역할을 하는 자갈통을 설치하고 후면에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숯통을 통합 설치하고, 상기 자갈통과 숯통으로부터 자갈과 숯을 교체하기 쉽도록 상기 자갈통과 상기 숯통을 탈착가능한 구조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ll river, a small ditches for waiting for agricultural water in rice fields, and draws water from sewage flowing through wastewater and sewage from factories and homes, and prevents dams. Provide a simple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to allow the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septic tank, the sewage septic tank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gravel barrel to serve as a screen and the charcoal to perform the filtration function in the rear, the gravel It provides a simple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vel barrel and the charcoal can be removable to make it easy to replace the gravel and charcoal from the passing charcoal.

상기 자갈은 직경 10mm 내외의 자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gravel is preferably using a gravel of about 10mm in diameter.

상기 숯은 번호 4-8#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The char is preferably used the number 4-8 #.

상기 간이 정화 설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흐름지연둑을 더 구비하고 상기 둑에 정화통을 더 구비하여 정화효과를 증진시킴을 특징으로 한다.The simple purification facilit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water flow delay pond and further comprises a purifying tank on the dam to enhance the purification effect.

이로써,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은 제작, 운반 및 설치는 물론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작은 마을에 분포되는 소형 하천, 논에 농업용수를 대기 위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의 하수도에 흐르는 물을 소단위로 용이하게 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us,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and install, as well as easy to maintain, small rivers distributed in small villages, small ditches for agricultural water in rice fields, wastewater and sewage from factories and homes, etc.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purify the water flowing into the sewer of the subuni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숯과 자갈을 이용한 하수 정화통 및 그를 이용한 간이 하수 정화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wage treatment tank using charcoal and gravel and a simple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30)은 물빠짐이 좋은 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물이 흘러오는 쪽, 즉 통의 전면에는 스크린 역할을 하는 자갈통(10)을 넣을 수 있는 구조이고 통의 후면에는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숯망태(20)를 넣을 수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자갈통(10)과 숯통(20)을 통합한 구조의 하수 정화통은 제작, 운반, 설치,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그 정화통(30)의 크기는 도랑, 작은 하천, 하수도의 폭과 깊이에 따라서 제작하면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정도 표준크기의 정화통은 폭을 1미터, 깊이 20센티미터, 길이 30센티미터의 경우로 하여, 도랑의 폭이 1미터를 넓은 경우에는 정화통을 여러 개 횡으로 가공하여 배치하고, 도랑의 깊이가 30센티미터를 넘는 경우에는 별도 제작하거나 정화통을 여러 개 종으로 가공하여 배치하여, 흐르는 물이 모두 정화통을 통과하도록 설치한다.As shown in Figure 6, the sewage treatment tank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good drainage, the water flows,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bucket is a gravel bucket 10 that acts as a screen It is a structure that can be put and the back of the barrel is a structure that can put the charcoal mesh 20 to perform the filtration function.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structure incorporating the gravel bucket 10 and the charcoal bucket 20 is easy to manufacture, transport, install, and maintain. The size of the septic tank 30 may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width and depth of the ditches, small rivers, and sewers.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tic tank of a certain size may be 1 meter wide, 20 centimeters deep, and 30 centimeters long. When the width of the trench is 1 meter wide, process and arrange several purification vessels horizontally, and when the depth of the trench exceeds 30 centimeters, make them separately or process and arrange the various kinds of purification vessels. Install them all through the septic tank.

한편, 정화통(30)의 숯통(2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통(3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된 숯망태 속에 4-8#의 숯(활성탄)을 채워넣고 숯통(20)에 넣다 뺐다가 용이하도록 설계한다. 정화통(30)의 자갈통(1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통(3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자갈통(20)에 직경 10mmm정도의 자갈을 채워넣고 손잡이를 만들어 탈착이 용이하도록 설계한다. 정화통의 자갈통(10)과 숯통(20)에는 하나 이상의 자갈통(10)과 숯망태(20)가 설치되고 자갈통(10)과 숯통(20)의 사이에는 파티션이 구비되어 자갈통과 숯망태를 넣고빼기에 용이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harcoal 20 of the purification tank 30 is filled with charcoal (activated charcoal) of 4-8 # into the charcoal mesh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purification tank 30, as shown in Figure 7 and put into the charcoal bucket 20 Designed to be easy. The gravel container 10 of the purification container 3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purification container 30 as shown in FIG. 8, and the removable gravel container 20 is filled with gravel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mm and made to have a handle. Design to facilitate At least one gravel barrel 10 and a charcoal bucket 20 are installed in the gravel bucket 10 and the charcoal bucket 20 of the septic tank, and a part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gravel bucket 10 and the charcoal bucket 20 so that the gravel bucket and the charcoal bucket are provided. It is easy to put in and take out.

본 발명에 따는 이러한 구조의 숯통과 자갈통의 통합구조의 하수 정화통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두렁과 논두렁의 사이에 형성된 도랑, 작은 개천, 하수도랑 등에 설치되어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은 논바닥 밑에 바닥이 묻히도록 설치되어 강한 물살에도 떠내려가는 일이 없도록 설치한다. 또한 도랑에 흐르는 물이 거의 모두 정화통을 통과하여 흐르도록 수면보다 높게 정화통이 나오도록 설치한다. 도 3의 선 A-A'의 단면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물의 흘러오는 쪽으로 정화통의 전면이 위치하여 전면의 자갈통(10)에 의해 물에 포함된 부유물질 및 고형물이 스크린되도록 하고, 후면에는 숯통(20)이 위치하여 하수의 여과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정화통(30)을 위에서 본 평면도로 전면에 자갈통(10)이 있고 후면에 숯통이 있다. 본 발명에서, 숯(활성탄)은 1달후 교체 하며, 자갈은 1달 후 교체하거나 정화통에서 분리하여 자갈을 세척한 후 다시 설치하여 사용한다.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integrated structure of the charcoal bucket and gravel bucket of thi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rench, small stream, sewage gutter formed between the ricefield and the ricefield as shown in Figures 3 to 5 to purify contaminants. Perform the func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bottom is buried beneath the rice paddy floor so as not to float even in a strong water flow. In addition, almost all the water flowing in the ditch flows through the purifier, so that the sump comes out above the water surface.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is shown in FIG. 4, in which the front side of the purification vessel is located toward the flow of water so that the suspended solids and solids contained in the water are screened by the gravel pail 10 at the front thereof. The back of the charcoal 20 is to perform the filtration of sewage. 5 is a top view of the purifying container 30 in the gravel container 10 in the front and the charcoal in the rear. In the present invention, charcoal (activated charcoal) is replaced after one month, gravel is replaced after one month or separated from the purifier to wash the gravel and use it to install agai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을 사용하여 하수의 오염을 줄인 결과 유입수에 대한 유출수의 수질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에서 BOD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COD는 화학적 산소 요구량, SS는 현탁물질(suspended solid), TN은 총질소(total nitrogen), TP는 총인(total phosphorus)를 의미한다. 여기서, SS는 무기물과 유기물을 함유하는 고형물질로서 0.1μ이상의 입자로 수중에 부유하는 물질을 말하며 물의 탁도를 유발하므로 현탁물질이라고도 한다. 수중에 부유하는 불용성 물질은 수질오탁의 원인일 뿐 아니라, 하천에 오니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부유물질이 유기물질인 경우 이것이 부패하여 물 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소비시키며 어류의 아가미에 부착하여 폐사시키며 빛의 투과를 방해하고 식물의 광합성에 방해를 준다. 따라서 수질오염도에서 부유물질의 농도가 낮으면 이러한 피해를 줄일 수 있다.As a result of reducing the contamination of sewage using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quality of the effluent with respect to the influent is shown in Table 2 below. In Table 2, BOD is biological oxygen demand, COD is chemical oxygen demand, SS is suspended solids, TN is total nitrogen, and TP is total phosphorus. Here, SS is a solid substance containing inorganic and organic substances and refers to a substance suspended in water with particles of 0.1 μ or more, and is also called a suspended substance because it causes turbidity of water. Insoluble matter suspended in water is not only a source of water pollution, but also forms sludge in rivers, or when suspended matter is organic, which decays and consumes dissolved oxygen in the water. Interferes with its penetration and interferes with plant photosynthesis. Therefore, the low concentration of suspended solids in water pollution can reduce this damage.

(단위: mg/L)(Unit: mg / L) BODBOD CODCOD SSSS TNTN TPTP 유입수Influent 51.351.3 70.170.1 72.072.0 34.634.6 2.462.46 유출수Runoff 3.53.5 5.75.7 8.08.0 2.32.3 0.570.57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을 사용하면 BOD, COD 및 여러 수질항목의 수치가 기존의 정화 설비에 비하여 월등히 줄어듦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2, the use of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en that the BOD, COD and the number of various water quality items a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existing purification facilities.

도 9는 이러한 본 발명의 하수 정화통을 사용하여 소형 하천, 논에 농업용수를 대기 위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에 설치하여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간이 정화 설비는 하천으로부터 펌프(40)를 이용하여 물을 끌어올려서 둑(70)에 의해 물을 막고, 정화통(30)을 통하여 물이 정화된 후 전답의 농업용수로 유출되거나, 더 큰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물지연둑(60)을 중간중간 설치하여 물의 흐름(60)이 지연되어 정화효과가 커지도록 한다. 물을 끌어올리는 수단이 전기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는 전기공급이 원할하도록 전신주(90)에 인접하여 간이 정화 설비를 설치한다.9 is a simplified sewage treatment facility installed in a small river, a small ditches for waiting for agricultural water in rice fields, wastewater and sewage from plants and homes, and the like, using the sewage treatment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the simple purification facility lifts water from the stream using the pump 40 to block water by the weir 70, and after the 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clarification tank 30, the agricultural water is transferred to the farmland. Either spill or enter larger rivers. At this time, by installing the middle of the water pond 60 is to delay the flow of water 60 to increase the purification effect. When the means for raising water is driven by electric power, a simple purification facility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elephone pole 90 so that the electricity supply is desired.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이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efinition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iew of the technical difficulty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be different from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modifications may be made, it is obvious that both th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using the concepts in the above description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숯 및 자갈을 이용한 통합형 하수 정화통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형 하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로부터 물을 끌어올려 둑을 막고 하수 정화통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소단위별로 하수에 오염된 오염물질을 초기부터 제거하여 생활용수와 공업용수에 사용되는 물의수질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sewage treatment tank using charcoal and gravel, by using it to pull water from the sewage flowing through the small streams, small ditches, wastewater and sewage from factories and homes to prevent dams and sewage By providing a simple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that allows purified water to flow out through the clarification tank,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used for domestic and industrial water by removing contaminants contaminated with sewage from the beginning. There is.

Claims (7)

하수의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하수 정화통에 있어서,In the sewage septic tank for decontamination of sewage, 전면에 스크린 역할을 하는 자갈통을 설치하고 후면에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숯통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갈통과 숯통을 통합한 구조이고, 상기 자갈통과 숯통으로부터 자갈과 숯을 교체하기 쉽도록 상기 자갈통과 상기 숯통을 상기 정화통에 대해서 탈착가능한 구조로 한, 하수 정화통.It is made by installing a gravel barrel acting as a screen on the front and a charcoal barrel performing a filtration function on the rear, the structure is an integrated structure of the gravel barrel and charcoal, so as to easily replace the gravel and charcoal from the gravel barrel and charcoal barrel A sewage purification tank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gravel container and the charcoal container are detachable from the purificatio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은 직경 10mm 내외의 자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정화통.The sewage treatment tan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avel uses gravel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은 번호 4-8#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 정화통.The sewage treatment tank of claim 1, wherein the charcoal uses a number 4-8 #. 소형 하천, 작은 도랑, 공장 및 가정에서 나오는 폐수 및 오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로부터 물을 끌어올려 둑을 막고 하수 정화통을 통과하여 정화된 물이 출수되도록 하는 간이 하수 정화지를 제공하되, 상기 하수 정화통은 전면에 스크린 역할을 하는 자갈통을 설치하고 후면에 여과기능을 수행하는 숯통을 통합 설치하고, 상기 자갈통과 숯통으로부터 자갈과 숯을 교체하기 쉽도록 상기 자갈통과 상기 숯통을 탈착가능한 구조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Provide a simple sewage clarifier that raises water from sewers flowing from small streams, small ditches, wastewater and sewage from factories and homes, prevents dams, and passes purified water through sewage septic tanks. Install the gravel barrel acting as a screen on the screen and integrate the charcoal barrel to perform the filtration function on the back, and the gravel barrel and the charcoal can be removable structure so that it is easy to replace the gravel and charcoal from the gravel barrel and charcoal barrel Simple sewage purification plant made wi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갈은 직경 10mm 내외의 자갈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The simple sewage treatment plant of claim 4, wherein the gravel uses gravel having a diameter of about 10 m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숯은 번호 4-8#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The simple sewage treatment plant of claim 4, wherein the charcoal uses numbers 4-8 #.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흐름지연둑을 더 구비하고 상기 둑에 정화통을 더 구비하여 정화효과를 증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하수 정화 설비.The simplified sewage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6, further comprising one or more water flow delay banks, and further comprising a septic tank on the banks to enhance the purification effect.
KR1020020007946A 2002-02-14 2002-02-14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KR200200242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46A KR20020024255A (en) 2002-02-14 2002-02-14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7946A KR20020024255A (en) 2002-02-14 2002-02-14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255A true KR20020024255A (en) 2002-03-29

Family

ID=1971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46A KR20020024255A (en) 2002-02-14 2002-02-14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425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24B1 (en) 2004-08-16 2007-08-07 (주) 정수엔지니어링 Purifying methods using activated carbon fiber structures
KR100782940B1 (en) * 2002-08-07 2007-12-07 보림산업 주식회사 A purifyer using active carbon for str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102A (en) * 1990-07-09 1992-03-03 Tokai Yuki Kenkyusho:Kk Golf course equipped with structure for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KR930023280A (en) * 1992-05-13 1993-12-18 겐사쿠 아베 River Purification Device
JPH0724442A (en) * 1993-07-16 1995-01-27 Naoyuki Hashimoto Rubbish removing method and water purifying method for rivers
JPH10231510A (en) * 1997-02-18 1998-09-02 Kawamotogumi:Kk River purify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8102A (en) * 1990-07-09 1992-03-03 Tokai Yuki Kenkyusho:Kk Golf course equipped with structure for purification of agricultural chemicals
KR930023280A (en) * 1992-05-13 1993-12-18 겐사쿠 아베 River Purification Device
JPH0724442A (en) * 1993-07-16 1995-01-27 Naoyuki Hashimoto Rubbish removing method and water purifying method for rivers
JPH10231510A (en) * 1997-02-18 1998-09-02 Kawamotogumi:Kk River purify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940B1 (en) * 2002-08-07 2007-12-07 보림산업 주식회사 A purifyer using active carbon for stream
KR100747024B1 (en) 2004-08-16 2007-08-07 (주) 정수엔지니어링 Purifying methods using activated carbon fiber struc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378B2 (en)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US20070289922A1 (en) Modula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6264838B1 (en) On site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US9951509B2 (en) Water treatment system
KR20060028233A (en) The method and device to treat rivers and lak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upflow contact/filtration facility and artificial wetland with rolls(/mats) to grow vegetation
KR101186604B1 (en)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activated-bio carrier
CN109607975B (en) Constructed wetland structure for repairing super-eutrophic water body and endogenous pollution
KR20130019164A (en) Continuous tim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dsorption pack
US6960304B1 (en) Wastewater treatment
WO1993023338A1 (en) Purifying apparatus
KR20020024255A (en) Vessel for purifying sewage using charcoals and pebbles and small sewage purification facility
RU2736187C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domestic waste water
KR101960876B1 (en) integrated discharge water filter
CN111943434A (en) Micro-polluted drinking water source biological ecologic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CN219098913U (en) Three-pond septic sewage treatment device
Al-Zboon et al.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KR100249465B1 (en) Filtration tub of sewage purification tub
JP5273962B2 (en)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CN214611966U (en) Ecological ditch normal position deposition-promoting purification device
RU2260568C1 (en) Sewage purification installation for cottages
CN109809625A (en) Sewage disposal reaction tank and sewage treatment-purification system
CN212581724U (en) Eight-stage purification device
KR200449638Y1 (en) sewage water purifying tank for home
JP2664334B2 (en) Purification equipment
KR101059827B1 (en) Ecological ponds with clarification along the periphery of the landsc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