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291A - 부력 기동장치 - Google Patents

부력 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291A
KR20020023291A KR1020020001825A KR20020001825A KR20020023291A KR 20020023291 A KR20020023291 A KR 20020023291A KR 1020020001825 A KR1020020001825 A KR 1020020001825A KR 20020001825 A KR20020001825 A KR 20020001825A KR 20020023291 A KR20020023291 A KR 20020023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n
floating
mandre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영락
Original Assignee
천영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영락 filed Critical 천영락
Priority to KR1020020001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291A/ko
Publication of KR20020023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기동장치에 관한것으로 부력을 동력화하기 위하여 용량이 큰 탱크(TANK)를 준비하는 단계. 탱크의 내부에 수직굴대를 장치하는 단계. 굴대에 부력에 상관하는 부력본체, 부력판, 상하운동하기 위한 수평판과 좌우운동하기 위한 수직판을 장치 하는 단계. 비중높은 액체를 탱크에 유입하는 단계로 되어 액체 용기 속에서 수직굴대를 한방향으로 회전시켜 동력을 이끌어 내고저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력 기동장치{BUOYANCE STARTER}
본 발명은 부력기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밀기계공법으로 부력을 전환하여기계적으로 동력을 회득하여 국가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하고자 합니다.
본 발명은 액체 속에서 부력을 응용 전환하려 함으로 수조의 깊이와 크기를 상당하게 고려하여야 하며 부력과 압력에 최대 인내 할수 있는 정도의 가벼운 소재의 사용과 공기층의 확보 및 바닥면과 윗면의 압력의 차이 등과 같이 미묘한 상태에서의 출발임으로 정밀한 계량으로 제작하고 수조 윗부분에서의 수평굴대로의 결집시에는 "정보기술"이 동원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1. 수조를 준비한다.(폐선박.건물지하실.폐탱크사용가능)
2. 수직굴대를 장치하여 정위치 한다.
3. 수직굴대에 수평으로 회전 운동할수 있도록 부력물체를 고정장치한다.
4. 탱크내에 액체를 채워 넣는다.
5. 수직 굴대 상부(탱크외부상층)에 장착된 캠을 통하여 수평굴대 운동시킨다. 는 단계로 된것에 특징이 있으며 수평증설, 수하(垂下)증설하여 이용의 극대화를 기하고저 합니다.
[도1]
깊이와 용량이 큰, 액체가 가득한 탱크 내부에서 상단부에 캠이 장치되고 액체속에서 수직굴대와 수평으로 부력회전물을 장착한 상태의 개념도.
[도2]
1개의 탱크, 또는 연결되는 복수의 탱크에 좌우증설된 수직굴대의 증설모양 및 수하(垂下)하여 아래로 부력회전물체를 증설한 모양의 개념도.
[도3]
수직굴대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시켜야 하는 부력본체 및 각도조절 부력판을 결합한 형태는 그 중심선이 원 운동선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원형 개념도.
(A)부력 본체의 끝의 위와 아래에 장치되는 각도 조절용의 기구 개념도.
(B)각도조절기구와 부력판 사이의 조절선으로 부력판을 조정한 상태의 부력판 각도유지 개념도.
[도4]
(A)부력본체에 결합되는 증설 부력판의 연결구멍 예시도.
(B)부력판의 끝에 장치되어 수직형 지느러미의 좌우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베아링 내장형 기구의 예시도.
(C)[도4]B의 상단부에 장치되어 수평형 지느러미의 상하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써 고정걸이와 스프링을 장치한 기구의 예시도.
[도5]
고래의 꼬리 부분을 인공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평지느러미 방식의 예시도.
[도 5-1]
대표적으로 생각되는 꼬리부분 지느러미를 인공화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지느러미 방식의 예시도.
[도6]
(A)수직굴대가 위로 캠. 아래에 부력회전물체를 장치하여 베아링뭉치에 연결된 지지판으로 정지한 상태의 개념도.
(B)부력판과 꼬리지느러미부분의 사이 사이에 사용되는 관절 모양의 연결기구 개념도.
(C)부력본체의 바로 밑에 장착되어 수류 발생하는 회전추진체 설치 개념도.(공기채운 부력 날개).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직회전굴대. 2.탱크(수조). 3.회전굴대 지지판.
4.캠 5.속력(회전력)증가장치. 6.훌라이 휠
7.부력회전물체. 8.굴대 연결 증설부. 9.비중높은 액체
10.증설된굴대와부력회전물체. 11.굴대 축 운동지지판
12.수평방향증설 13.크럿치장치 14.수평회전굴대
16.홑 설치(1EA.) 17.증설 연결장치 18.관절모양연결부
19.수평지느러미(상하운동) 20.[도4C]의 부착연결부
21.스프링 19-1.수직지느러미(좌우운동) 22.도4-B연결
23.각도조절선 24.원운동개념선. 25.각도조절기지지대
26.각도조절선고정핀자리. 27.윗방향높은각도가된부력판개념도.
28.아래방향각도가된부력판개념도.
29.부력몸체연결구멍. 30.부력몸체증설판
31.베아링 내장의 좌우 구름판.(좌우운동제한장치)
32.좌우 구름판안에서 좌우 운동하는 원형기구.
33.수평지느러미 연결부(상하운동제한장치) 34.스프링고정자리
35.얇은부분. 36.부채의 살과 같은 부분 37.접혔다폈다부분
38.공기층 가진 두꺼운 부분 39.상.하 증설 꼬리지느러미
41.지지대에 부착된 베아링 뭉치.(수직굴대지지)
42.수직굴대에 회전물체를 고정시키는 지지대.
43.관절모양의 연결기구.(일 방향굴신) 44.꼬리부력물체
45.공기층을 가진 부력회전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도2][도3] 팽이돌리기에서의 팽이축이 수직굴개가 되며 그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액체중이니까 고래나 상어지느러미 및 회전기구를 응용하여 수류를 일으키게 하고 일방향으로 가게 한다는 개념입니다. 가볍게 각부를 제작하고 공기층의 량. 부력을 받는 면적의 크기와 방향을 고려하고 관절 모양 연결부를 사용하여 꼬리지느러미 형상물체를 운동시킨다는 개념입니다.
[도4][도5][도6] 꼬리지느러미형상 물체를 부채와 같이 만들어 실제의 꼬리지느러미와 같도록 한것이며 부력과 압력의 소용돌이 속에서 상하작용. 좌우운동이 가능하도록 한방향 굴신의 관절모양연결부를 서로 다르게 장착함으로써 또한 하부에 스프링을 장착함으로써 꼬리부분이 수류를 일으키도록 한다는 개념 입니다.
또한 [도6C]는 부력을 응용한 공기층을 많이 가진 회전날개로 제작된 수류발생기구입니다.
본 발명은 제한된 수조속에서 동력 발생시키고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 또는 지상 또는 폐선박을 이용한 장치에서도 이끌어 낼수 있을 것이므로 자원절약 및 환경, 지역적 자연여건에 관계 없을 것으로 생각되며 저비용 에너지 이용이 될것이다.

Claims (1)

  1. 탱크 내부에 수직굴대를 축으로 공기층이든 부력물체를 회전하고 지느러미형 물체로 상하, 좌우운동을 하게 하여 전진하게 함으로서 동력을 이끌어 내는 부력이용 기동장치의 구성 및 제작방법.
KR1020020001825A 2002-01-09 2002-01-09 부력 기동장치 KR20020023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25A KR20020023291A (ko) 2002-01-09 2002-01-09 부력 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825A KR20020023291A (ko) 2002-01-09 2002-01-09 부력 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291A true KR20020023291A (ko) 2002-03-28

Family

ID=1971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825A KR20020023291A (ko) 2002-01-09 2002-01-09 부력 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29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77A (ja) * 1986-06-23 1988-01-11 Oriental Kiden Kk 流体力を利用した発電機
JPS6429674A (en) * 1987-07-23 1989-01-31 Shinwa Car Kk Wave power generating device
KR19990068894A (ko) * 1998-02-02 1999-09-06 장근석 부력과 편심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010000970A (ko) * 2000-10-31 2001-01-05 천영락 다단 기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177A (ja) * 1986-06-23 1988-01-11 Oriental Kiden Kk 流体力を利用した発電機
JPS6429674A (en) * 1987-07-23 1989-01-31 Shinwa Car Kk Wave power generating device
KR19990068894A (ko) * 1998-02-02 1999-09-06 장근석 부력과 편심을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KR20010000970A (ko) * 2000-10-31 2001-01-05 천영락 다단 기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018B1 (en) Water generator oscillating due to rapid flow of fluid
KR101640386B1 (ko) 부체식 유체력 이용시스템 및 이것을 이용한 풍력추진선
ES2329359T3 (es) Dispositivo para fijar un dispositivo subacuatico a un lecho marino.
CN102146890B (zh) 用于深海的系泊浮式风能波浪能联合发电平台
KR101063288B1 (ko) 유체를 이용한 동력발생장치
US8937395B2 (en) Ocean floor mounting of wave energy converters
NO324756B1 (no) Flytende vindkraftverk med avstivningssystem
US8925312B2 (en) Propulsion or motor device for converting energy into power, using the forces generated by the surface movement of a liquid or fluid or the like
JP2015205632A (ja) 水上太陽光発電装置及び水上太陽光発電システムと水上太陽光集光装置
US9631600B2 (en) Wave energy converter
CA2679888C (en) Wave power plant
EP1382844A2 (en) power generation system
JP2009511783A (ja) 波浪エネルギー変換設備用フロート
SK288982B6 (sk) Zariadenie na získavanie mechanickej práce a/alebo výrobu elektrickej energie z prúdiacich tekutín
JP6266685B2 (ja) 浮体式流体力利用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風力推進船
KR20020023291A (ko) 부력 기동장치
KR101559329B1 (ko) 부력 발전장치
WO2004022968A1 (en) Apparatus with an inclined carrying pillar for anchoring an axial turbine for the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water currents
US20170254324A1 (en) Gravitational inversion pump
WO2021256939A1 (en) Floating windmill construction
WO20131806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renewable energy
KR101280522B1 (ko) 공진을 이용한 양력면형 조류발전기
NO20150785A1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ved bølgekraftverk
US11661921B2 (en) Wind, wave, and water power generation system
JP6382266B2 (ja) 水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