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574A -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 Google Patents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574A
KR20020021574A KR1020000054360A KR20000054360A KR20020021574A KR 20020021574 A KR20020021574 A KR 20020021574A KR 1020000054360 A KR1020000054360 A KR 1020000054360A KR 20000054360 A KR20000054360 A KR 20000054360A KR 20020021574 A KR20020021574 A KR 20020021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rmature
generator
repeater
gea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성
Original Assignee
송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성 filed Critical 송기성
Priority to KR1020000054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1574A/ko
Publication of KR2002002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7/00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Asynchronous induction generators
    • H02K17/0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 H02K17/22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having rotors with windings connected to sli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력을 새 에너지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주행 목적상 차량 구동을 위한 기존의 에너지원을 함께 이용하는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차량등이 주행이라는 자기 목표를 달성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tire generator}
본 발명은 중력을 새로운 에너지원(동력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주행목적상 본래 사용하고 있는 연료 등 차량 구동을 위한 기존의 에너지원을 함께 이용하는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히는 타이어의 내부 좌우측지지 휠 사이에 발전장치인 전기자, 계자 등을 내장하여 발전가능토록 한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모든 발전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바, 첫째 자장이 있어야 하고, 둘째 자장 내 도체가 있어야 하며, 셋째 자장과 도체 사이에 상대적인 속도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발전기는 여러 가지 문제를 갖고 있다.
우선 여러 가지 제약으로 인해 수력·조력·풍력·태양력 등을 이용하는 자연력 발전기 대신 화력 발전기 및 원자력 발전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었다. 그러나 화력 발전기와 원자력 발전기는 두말할 것도 없고 대부분의 자연력 발전기 역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공해를 유발하고 자연을 훼손하는 등 환경 문제를 심각하게 유발하고 있다. 또 천연 자원이 고갈되는 등 차세대 후손들의 풍요로운 삶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잠재적이지만 보다 심각할 수 있는 문제마저 야기하고 있다.
물론 자연력을 이용하되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발전기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그 시간 및 비용 등을 많이 소모하면서도 현재까지 커다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등 종래의 차량 역시 발전기와 거의 동일한 문제를 대부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 극복하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그 시간 및 비용 등을 많이 소모하면서도 현재까지 커다란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를 구성하는 주요부품들 중의 하나인 타이어를 발전기로 활용하려는 시도는 처녀림과 다름없이 미개척의 분야였다.
본 발명 발전기는 자동차 등 차량이 본래의 목적에 따라 주행하는 과정에서 차량에 지속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중력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주행 목적상 본래 사용하고 있는 연료 등 차량 구동을 위한 기존의 에너지원을 함께 이용하며 전기자와 계자가 타이어와 휠 사이에 배치되며 종래의 타이어와 휠 등과는 전혀 다른 구조와 형태를 갖추고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종래 1개로 구성되어 있던 플라이 휠이 좌우 대칭형 2개의 반제품으로 제작되고, 다시 1쌍으로 조립되어 종래 휠의 기능을 완벽하게 수행하면서도 2개의 좌우측 지지 휠 사이에 전기자를 설치하고 볼트 조임함으로써 크랭크 축·전기자·휠이 일체로 결합되어 진다. 따라서 전기자는 늘 타이어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와 동일한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기록하게 된다.
이 때 도체인 전기자 뿐만 아니라 자장이 있어야 기전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영구 자석을 계자로 사용하는 계자 군을 발전 타이어와 1쌍의 좌우측지지 휠 사이에 설치한다. 특히 계자와 전기자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 속도가 존재해야만 발전이 가능하므로 전기자와 계자의 상호 상대적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이 강구된다.
한편 자동차의 경우 주행중인 타이어의 인벨로핑 현상의 배후에는 늘 차량에 가해지는 중력이 숨어 끊임없이 형태변화를 유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행중인 타이어에 늘 작용하고 있는 차량에 가해지는 중력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 휠과 타이어가 결합되고, 휠 내부에는 전기자와 계자가 구성되어 있는 조건 속에서도 계자의 전기자에 대한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회전 운동이 보장될수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타이어의 구조와 형태에 큰 변경이 가해지고, 중계기 등의 매개물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유에서 발전 타이어는 종래의 타이어와 현저하게 다른 구조와 형태를 갖게 된다. 우선 발전 타이어의 크라운부 내피 중앙에 일정한 크기의 기어가 벨트 형태로 제조되며, 이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의 좌우로 각각 중계기의 레일 지지대가 형성된다. 이 중계기 좌우측 레일 지지대의 구조는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를 기준으로 각각 좌우로 분할되어 처음에는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다가 크라운부 중앙을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는 형태를 갖게 된다. 즉 1쌍의 중계기 좌우측 레일 지지대가 발전 타이어의 숄더부와 사이드부의 내면을 가로지르게 됨으로써 단일 공간이었던 종래의 타이어 공간이 3개의 공간으로 분할된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3개의 공간 중 1쌍의 중계기 좌우측 레일 지지대에 의하여 가로막혀 지는 공간의 내부에 중계기 좌우측 레일 지지대의 직각 중앙부근의 적절한 위치에 원형의 중계기 좌우측 레일이 고정된다. 즉 크라운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원형의 중계기 좌우측 레일이 고정되며, 이 중계기 레일 위에 전후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직각을 이루도록 로라형 중계기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 중계기는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와 당연히 직각으로 접촉하여 상호 연동됨과 동시에 그 반대 쪽 끝 역시 로라형 계자의 기어 벨트와 직각으로 접촉하여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이 때 로라형 계자의 전기자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발전 타이어의 비드부와 림의 아래쪽에 좌우 1쌍의 계자 레일을 설치한다. 이 좌우 1쌍의 계자 레일 역시 원형으로써 이 위에서 계자의 전후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발전 타이어 외피에, 차량에 작용하고 있는 중력에 의한 압력이 작용하면,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와 중계기 기어 벨트가 직각으로 접촉 연동되고, 중계기 기어 벨트와 계자 기어 벨트가 직각으로 접촉되어있는 상태에서 중력에 의한 압력이 전달되어, 이들은 상호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자와 계자는 중계기 기어 벨트에 의해서 상호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타이어 회전이 이루어지고 타이어에 압력이 집중 되면 상호 연동되도록 되어있다.
물론 발전 타이어 외피에 압력이 가해지지 아니하거나 또는 압력이 가해져도 타이어가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와 접촉하고 있는 중계기 기어 벨트에 힘이 전달되지 아니하며, 이들은 상호 연동되지 않는다. 예컨데, 허공 중에서 발전 타이어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오직 엔진에 의해 구동력만 주어질 뿐 기전력은 얻어질 수 없다. 때문에 압력만으로는 연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발전 타이어가 장착된 차량이 노면과 접촉하면서 실제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중량과 적재 하중 등 총 중량이 타이어와 노면의 작은 접지면적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이 때 종래의 타이어와 마찬가지로 발전타이어 역시 고압의 공기압에 의해 지면의 반발 등을 수용하며 지탱하거나 타이어 내압에 의한 외형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탄력을 갖고 있다. 때문에 지면과 접촉하는 발전 타이어의 부위인 크라운부는 차량의 주행으로 그 접촉면이 끊임없이 바뀔 뿐만 아니라 그 국부에 늘 순간적인 변형이 발생하고 이 변형이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노면과 접촉하는 엽서 1장 크기의 면적에서 발전 타이어 내피의 기어 벨트가 안으로 구부러지는 이른 바 인벨로핑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 발전기는 발전 타이어 내피 기어 벨트, 중계기 기어 벨트, 계자 기어 벨트 등을 매개로 하여 인벨로핑 현상의 배후에 숨어 있는 중력을 기계적인 에너지로 바꾸고 다시 이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이 인벨로핑 현상을 적극 활용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것 이외에도 3가지의 조치를 더 취하고 있다. 우선 발전 타이어 크라운부의 외피 중앙에 돌출접지부를 두고 있다. 또 중계기 좌우 레일 지지대에 의해 폐쇄된 공간은 고압의 공기압이 아닌 자연 대기압 상태로 만들고 있다. 또한 타이어의 비드부와 휠의 림에 결합력을 높이고 공기압 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타이어 이탈을 막기 위하여 비드부 조임쇠와 조임볼트를 둔다.
이러한 3가지 조치로 비틀림 방지 등 타이어의 안정성을 증대하고, 인벨로핑 현상에 숨어있는 중력을 최대로 활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발전 타이어·휠·크랭크 축·중계기·전기자·계자 등이 본 발명 발전기를 구성하면서도 전기자와 계자가 정반대로 회전하는 등 각각 상대적인 회전속도를 갖게 됨으로써 타이어 발전기에 의한 발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 발전기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 본 발명 작동 상태를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3-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 지지휠의 단면도
도 4-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의 단면도
도 5-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계기의 단면도와 입면도
도 6- 본 발명에 있어서 계자의 단면도
도 7-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자의 단면도
도 8-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자의 입면도
도 9-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어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 2 : 크라운부 2a : 돌출접지부 2b : 트레드부
3 : 타이어 기어 벨트 5a : 좌측 숄더부 5b : 우측 숄더부
6a : 중계기 좌측 레일 지지대 6b : 중계기 우측 레일 지지대
7a : 좌측 사이드부 7b : 우측 사이드부 10 : 계자
11 : 계자 피복 12 : 영구자석 13 : 계자 축
14 : 스냅링 15a : 계자 좌측 레일 15b : 계자 우측 레일
17 : 계자 베어링 18 : 계자 기어 벨트 20 : 중계기
21 : 중계기의 축 22 : 중계기 베아링 23 : 중계기 기어 벨트
24 : 중계기 베어링 피복 25a : 중계기 좌측 레일
25b : 중계기 우측 레일 50a : 좌측지지 휠 50b : 우측지지 휠
52 : 비드부 53 : 비드부 조임쇠 54 : 비드부 조임볼트
56 : 플렌지 57 : 림 100 : 전기자
101 : 코일 102 : 절연지 103 : 전기자 지지대
104 : 전기자 보호대 104a : 절연판 105a : 출력 리드선 A
105b : 출력 리드선 B 105c : 슬립링
200 : 전기자·휠 동시 조임 볼트
250 : 크랭크 축·전기자·휠 동시 조임 볼트
300a : 좌측 고압 공기압 300b : 우측 고압 공기압
350 : 고무밸브 400 : 자연 대기압 500 : 크랭크 축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발전기는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크게 발전 타이어(1), 중계기(20), 계자(10), 전기자(100) 등을 주요 부분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 중 발전 타이어(1)는 도1, 도2, 도4 및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의 무게와 적재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정지·방향 전환·충격 흡수 등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새로운 에너지원(동력원)인 중력을 활용하기 위하여 중계기 좌측 레일 지지대(6a)와 중계기 우측 레일 지지대(6b)에 의해 2개의 상호 독립적인 고압 공기압(300a, 300b) 상태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한편 발전 타이어(1)를 좌우 대칭의 중계기 레일 지지대(6a, 6b)가 분할하여 새롭게 형성하는 자연 대기압(400) 상태의 공간에 중계기(20)가 설치된다. 이 중계기(20)를 설치하는 자연 대기압(400) 상태의 발전 타이어(1) 크라운부(2) 외피의 중앙에 돌출 접지부(2a)가 있고, 나머지 돌출되지 아니한 부분을 트레드부(2b)라고 하며, 그 내부에는 발전 타이어 내피 기어 벨트(3)가 있다.
고압 공기압(300a, 300b)에 의해 팽창된 발전 타이어(1)가 노면에 접촉하면 차량의 전체 무게를 수용하고, 쿠션 작용을 통해 좌측 숄더부(5a)와 좌측 사이드부(7a) 및 우측 숄더부(5b)와 우측 사이드부(7b)에서 발생하는 심한 변형을 보호함과 동시에 돌출접지부(2a)의 면이 노면에서 차량의 무게에 의해 트레드부(2b)의 면까지 압축되는 한편 그 내부에서는 발전 타이어 내피 기어벨트(3)가 안으로 구부러지는 인벨로핑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1, 도2 및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발전 타이어(1)의 좌우측 숄더부(5a, 5b)와 좌우측 사이드부(7a, 7b)에 중계기 좌우측 레일 지지대(6a, 6b)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레일 지지대(6a, 6b)가 크라운부(2)와 직각을 이루는 부분의 정중앙을 이루는 지점 위에 크라운부(2)와 평행하게 중계기 좌우측 레일(25a, 25b)이 설치된다. 이 중계기 좌우측 레일(25a, 25b) 위에 로라형 중계기(20)가 설치된다.
로라형 중계기 기어벨트(23), 중계기의 축(21), 중계기 베아링(22) 등은 모두 중계기(20)의 원활한 작동을 보장한다. 이 때 로라형 중계기(20)의 기어벨트(23)는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3)와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그 반대 쪽은 계자 기어 벨트(18)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주행중인 차량에 인벨로핑 현상이 발생하면, 그 속에 숨어있던 중력에 의한 압력과 중력 안에서 이루어지는 회전력에 의한 회전운동이 발전 타이어 기어 벨트(3)에 직각으로 방향전환되어 전달되고, 다시 이 힘이 중계기(20)를 매개로 계자 기어 벨트(18)에 직각으로 방향 전환되어 전달되는 등 상호 긴밀하게 연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1, 도2,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로라형 계자(10)는 발전 타이어 좌우 지지 휠(50a, 50b) 상부에 있는 림(57) 하단에 형성된 계자 좌우 레일(15a, 15b) 위에 설치되어 전기자(100)와 상호 독립된 회전 운동을 보장받게 된다. 이 로라형 계자(10)는 평등 자계로서 다수의 영구자석(12)의 군을 계자피복(11)에 의해 감싸고 있는 것으로서 계자 축(13)에 의해 계자 좌우 레일(15a, 15b)와 결합하는데 그 원활한 회전을 위해 계자 베아링(17)과 스냅링(14)이 함께 설치된다.
로라형 계자(10)와 항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대적 회전 속도와 회전수를 갖게 되는 전기자(100)는 도1, 도2, 도7 및 도8에서 알 수 있듯이 코일(101)과 절연지(102)를 사용하여 권선을 완료한 뒤, 출력 리드선(105a, 105b)을 밖으로 꺼내고, 전기자·휠 동시 조임 볼트(200)를 사용하여 발전타이어 좌우측지지 휠(50a, 50b)과 결합한다.이 때 전기자 지지대(103)를 사용하여 그 결합력을 높여 준 뒤, 다시 전기자(100)와 발전 타이어 좌우측지지 휠(50a, 50b) 전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전기자 보호대(104)를 사용하고 동시에 보호대(104) 밖으로 절연판(104a)이 접착된곳에 슬립링(105c)이 형성되어 출력 리드선(105a, 105b)과 연결되어 크랭크 축(500)과 크랭크 축·전기자·휠 동시 조임볼트(250)에 의해 최종 결합됨으로써 항상 타이어와 동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1, 도2, 도4 및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발전 타이어(1)는 발전 타이어 좌우지지 휠(50a, 50b)과 결합하는데 비드부(52)와 림(57) 및 플렌지(56)에 비드부 조임쇠(53)을 맞대고 비드부 조임 볼트(54)를 사용하여 최종 결합한 후 고무 밸브(350)를 사용하여 발전 타이어(1)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는데 고압의 공기압(200a, 300b) 상태는 타이어 기어벨트(3)와 타이어 외피돌출부(2a)의 사이에 좌우를 관통하는 수개의 구멍을 통하여 동일한 공기압에 의한 동일한 환경이 조성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 발전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주행 중인 차량의 발전 타이어 크라운부 중앙의 돌출접지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발생하는 인벨로핑 현상을 적극 활용하면, 발전 타이어 내피의 기어 벨트가 중계기 기어 벨트를 직각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하며, 중계기 기어 벨트는 다시 이 힘을 직각으로 놓인 계자의 기어 벨트에 전달하게 된다. 결국 주행중인 차량에 작용하는 중력을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하여 차량이 전진하건 후진하건 그 어떤 경우에도 계자는 전기자의 회전 방향 및 발전타이어의 회전방향과는 원칙적으로 정반대가 된다.
한편 2개의 원형 물체가 서로 정반대로 회전하고 각각의 원주 거리가 같다면, 각각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 및 회전수는 1개의 물체만 회전하는 경우에 비하여정확하게 2배가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발전기의 구조상 결코 계자의 기어 벨트 원주 거리와 전기자의 원주 거리가 동일할 수는 없다. 따라서 타이어 발전기에 내장된 전기자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와 상대적인 회전수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어있는 종래의 발전기에 비해 항상 2배를 초과하게 될 것이다.
종래의 모든 발전기의 기전력은 도체와 자장의 상대 속도에 비례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 발전기의 기전력 역시 종래 발전기의 기전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원칙적으로 2배를 초과하게 될 것이다.
한편 자계 내에서 회전하는 도체가 유도 전압을 생산할 때 출력 리드선에 부하를 연결하면, 도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며 반드시 부하에 비례하여 도체의 회전을 방해하는 역기전력, 즉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 발전기 역시 그러하다. 그러나 종래의 발전기와 다른 점이 있다. 즉 부하를 일정한 정도까지 높여 나가면 역기전력, 즉 전기자 반작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계자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의 증가로 나타나며 이에따라 적재 하중을 높여줌과 동시에 타이어의 공기압을 함께 높여 줌으로써 공기압의 밀도와 팽창 면적에 비례하는 중력이 인벨로핑 현상을 통해 발현되며, 중계기 기어벨트를 매개로 하여 계자의 강제적이고도 기계적인 회전력이 강화된다. 또한 계자의 강화된 회전력에 비례해서 부하를 증가시키면 계자의 회전을 방해하는 역기전력이 증가하는 등 연쇄반응이 생겨나게 된다. 이는 발전장치의 무리를 초래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 발전력과 발전효율을 보다 증대시켜 나갈 수가 있게 된다.
물론 부하의 증가에 지속적으로 단위 면적당 중력의 집중을 무한하게 높여나갈 수는 없다. 따라서 일정한 한계를 초과하여 부하가 계속 증대하면, 계자의 반대 방향의 회전은 멈추어지고 결국 전기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전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때문에 본 발명 발전기에 있어서 전기자의 회전은 반드시 요구되지만 그러나 자동차 본래의 주행목적이 있으며 이에 의하면 전력을 얻기위한 주행은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연료의 소비는 없다고 해야 할것이다. 또한 계자의 회전과는 무관하며 부하를 증가시킴으로써 초래되는 전기자 반작용에의한 속도가 감소되는 쪽은 계자가 되는 것이다, 때문에 전기자는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 발전기는 구동력에 의한 자동차 주행과정중 타이어가 회전하면서 중력을 활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고 다시 이를 전기적 에너지로 바꾸게 되어 차량의 운행과 동시에 발전이 가능하므로 무공해 전기자동차등에 널리 활용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화석 에너지 등 연료의 소비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면에 3분할된 타이어(1)가 비드부 조임쇠(53)와 조임볼트(54)에 의해 좌우측지지휠(50a50b)에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 지지휠(50a50b) 중앙에 공지의 발전기 전기자(100)가 권선되어서 내장,크랭크축(500)과 결합되어 회전하면 타이어(1) 트래드(2b)의 중앙 돌출접지부(2a) 안쪽에 형성된 타이어 기어 벨트(3)에 발생하는 인벨로핑 현상에 의한 중력의 방향이 중계기(20)를 매개로 전환, 상기 중계기(20,21,22,23,24)는 로라형으로 고압 공기압(300a,300b)여건과 달리 자연조건(400)으로서 타이어 기어벨트를 중심으로 좌우에서 시작된 1쌍의 중계기 레일지지대(6a,6b)에 설치된 레일 위에서 상기 타이어 기어벨트(3)로부터 직각으로 전달받은 동력을 다시 계자(10)에 직각으로 전달하며 상기계자(10,11,12,13,14,18)는 상기 전기자(100) 밖의 좌우측 지지휠(50a,50b)의 림(57) 아래쪽에 설치된 계자레일(15a,15b) 위에서 전기자(100) 회전방향과 정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전기자(100)에서 외부로 연결된 출력리드선(105a,105b)이 전기자 보호대(104)의 절연판(104a) 위에 형성된 슬립링(105c)에 연결되면 발전기 외부에서 부하를 걸고 브러쉬를 통해 출력을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에 의한 타이어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2. 제1항에있어서
    내면에 3분할된 타이어(1)의 트래드부(2b) 중앙에 형성된 돌출 접지부(2a)와그 안쪽에 형성된 타이어 기어벨트(3)와 타이어 기어벨트(3)의 좌우에서 시작된 중계기 레일지지대(6a,6b)에 의해 양분된 고압공기압(300a,300b)조건과 다른 자연대기압(400)상태에서 인벨로핑 현상을 강화함으로서 발전기 출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중력에 의한 타이어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KR1020000054360A 2000-09-15 2000-09-15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KR200200215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360A KR20020021574A (ko) 2000-09-15 2000-09-15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360A KR20020021574A (ko) 2000-09-15 2000-09-15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574A true KR20020021574A (ko) 2002-03-21

Family

ID=1968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360A KR20020021574A (ko) 2000-09-15 2000-09-15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15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76B1 (ko) * 2006-06-16 2008-02-04 김문수 차량용 발전기
CN111629915A (zh) * 2018-12-26 2020-09-04 太平洋工业株式会社 发送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76B1 (ko) * 2006-06-16 2008-02-04 김문수 차량용 발전기
CN111629915A (zh) * 2018-12-26 2020-09-04 太平洋工业株式会社 发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7675B (zh) 磁悬浮飞轮储能装置
US20150188400A1 (en) Magnetic Flywheel Induction Engine-Motor-Generator
US7552787B1 (en) Energy recoverable wheel motor
US20070018524A1 (en) Electric machine and method of using electric machine
CN203157696U (zh) 一种利用轮胎转动自发电机构
US20010008191A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CN103178677A (zh) 用于风能设备的电机
KR20020021574A (ko) 중력에 의한 타이어의 구동을 이용한 차량용 발전기
CN107370291B (zh) 一种基于电磁推进系统的磁控车轮
KR20100085647A (ko) 전기 자동차용 인휠모터 구조
US5762161A (en) Motor vehicle
US20170338719A1 (e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 using tire deformation
KR20130046480A (ko) 인휠시스템용 차륜구동장치
CN210074945U (zh) 一种电动机主轴保护装置
KR102451266B1 (ko) 전기 차량용 인휠모터
KR20000072658A (ko) 공기압 발전기
CN205544789U (zh) 一种汽车飞轮发电装置
CN216751431U (zh) 一种传动半轴发电机构
US20220393549A1 (en) Energy conversion device,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2082482B (zh) 飞轮储能器本体结构
KR200223298Y1 (ko) 발전기겸 휠모터 응용 플라이휘일
RU96705U1 (ru) Плоски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CN215267845U (zh) 混动摩托用磁电机
CN210212023U (zh) 车轮轮毂内置电机的电动驱动结构及其应用的电动汽车
CN202019269U (zh) 杯型外转子稀土永磁发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