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1446A - 치아 미백용 코팅제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용 코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1446A
KR20020021446A KR1020000054148A KR20000054148A KR20020021446A KR 20020021446 A KR20020021446 A KR 20020021446A KR 1020000054148 A KR1020000054148 A KR 1020000054148A KR 20000054148 A KR20000054148 A KR 20000054148A KR 20020021446 A KR20020021446 A KR 2002002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tooth whitening
peroxide
tooth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3918B1 (ko
Inventor
김지영
김종호
장석윤
윤세영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5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9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2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8Percompounds, e.g. per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61Q11/02Preparations for deodorising, bleaching or disinfecting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필름 형성제로서 PVP(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고, 점도가 3,000 내지 50,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점도가 높아서 치아에 잘 도포되며 건조시간이 빠르고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치아 미백 효과가 뛰어나다.

Description

치아 미백용 코팅제{COATING LIQUID FOR TEETH ENAMEL}
본 발명은 치아 미백용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점도가 높아서 치아에 도포시 발림성이 좋고 건조시간이 빨라서 사용감이 우수하고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치아 미백 효과가 뛰어난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종류의 미백 치약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치약으로 칫솔질하는 것에 의해서는 단기간에 유의차 있는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치아 코팅제와 같은 다양한 제형의 미백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치아 코팅제는 일상 생활에서 구강 청결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치약만큼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치아와의 접촉 시간을 사용하는 코팅제의 필름 형성제의 선택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치아의 사이사이나 굴곡이 심한 치아에도 브러쉬로 쉽게 발라 줄 수 있어서 원하는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그러나, 치아 코팅제는 구강 내의 습한 환경에서 건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빠른 건조 속도가 가장 중요하게 요구된다. 또한, 코팅제의 점도가 너무 낮을 경우 너무 얇게 발려서 약효 성분의 중량이 너무 낮게 되어 빠른 시간에 원하는 효과를 얻기 힘들고, 반대로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브러쉬로 바르기 힘들 뿐 아니라 너무 두껍게 필름이 형성되면 이물감이 있어서 사용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치아 미백에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과산화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높아서 기타 치약에 사용되는 원료들과 상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셀룰로오스계의 고분자들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액상이나 치아에 도포시 치아 표면에 필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코팅제 있어 필름 형성제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치아 코팅제는 구강 내에 직접 치아 위에 도포되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용매도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제한되며 필름 형성제로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도 극히 제한적이다.
일본에서는 치아에 발랐을 때 반짝거리고 하얗게 보이게 하는 치아 화장품 코팅제가 판매되고 있다. 이 코팅제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고 셀락(shellac)을 주요 필름 형성제로 사용하며 치아에 도포시 하얗게 보이게 하기 위해 안료로서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한다. Mitsubishi와 Hanix는 미국 특허 제 5,693,313 호에서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 안정화제로 Yukaformer를 첨가함을 개시하였고, 일본 특허 제 10203942 호에서 분산 안정화제로 에틸 셀룰로오스를 사용함을 개시하였다. 이러한 치아 화장품 코팅제는 미백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물리 화학적으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치아에 하얗게 페인트하는것이어서 근본적인 치아 미백이라고 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코팅제의 제거를 위해서는 별도의 용제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 제 5,425,953 호 및 유럽 특허 제 511782 호에서는 필름 형성제로 수용성 셀룰로오스인 HPC(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사용하고 물과 에탄올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치아 코팅제를 개시한다. 이들 특허에 의하면 HPC는 다른 셀룰로오스와는 달리 과산화물 안정화 효과가 있다고 하나, 실온에서의 5달 정도의 과산화물 안정성만을 실험하고 있을 뿐 고온에서의 과산화물 안정성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 5,130,124 호에서는 구강 내에서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in situ) 필름을 형성함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PVP를 적용했을 때 과산화수소를 안정화하기 위하여 수성 폴리올 시스템을 사용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즉, 물만을 사용했을 때보다 다량의 폴리올을 첨가해주었을 때 고온에서의 과산화물 안정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량의 폴리올을 사용할 경우 과산화물의 수용액 내 경시 안정성은 다소 향상시킬 수 있을 지 모르나, 다습한 구강 내에서 in situ 필름 형성에 있어서는 건조 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의 필름 조성은 최종 물품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구강 세정제, 치약, 항 치질제, 렌즈 소독제 등의 다른 제형으로 만들어져서 효과를 낸다.
한국 특허 제 2000-13636 호는 필름 형성제로 셀락(shellac)을 사용하고 미백제로 과산화물과 킬레이팅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함을 개시한다. 상기 코팅제는 시험관 내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물에 대한 용해도가 다소 떨어져 구강 내 잔류 시간 확보 등에 있어 장점이 있으나, 셀락의 함량을 최대한으로 올려도 원하는 점도를 얻을 수 없어서 브러쉬로 치아에 적용시 너무 적은 양이 도포되고 물을 주요 용매로 사용하여 다습한 구강 내에 건조 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시험관 내 미백 효과는 40 ℃ 경시 조건에서도 일정하게 우수하나, 실제 용액 내 잔존 과산화물 함량을 평가했을 대 경시 기간에 따라 과산화물의 손실이 관찰된다.
따라서,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건조시간이 빠르며 과산화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치아 미백 효과가 뛰어난 코팅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을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물이나 에탄올에 용해도가 높으며 농도에 따른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과산화물과의 상용성이 좋으며 필름 형성력이 우수하고 치아에 도포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탐색하던 중 폴리비닐피롤리돈(PVP)이 이러한 성질을 만족시킴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건조 시간이 빠르며 과산화물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치아 미백용 코팅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필름 형성제로서 PVP(폴리비닐피롤리돈)를 포함하고 점도가 3,000 내지 50,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주성분으로서 필름 형성제 이외에 용매, 치아 미백제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5 내지 50 중량%의 PVP, 0.05 내지 10 중량%의 치아 미백제 및 적당량의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히드록시아파티트 또는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치아 미백제를 대신하여 또는 치아 미백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VP를 필름 형성제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필름 형성제로서 사용되는 PVP는 폴리아미드로 물,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뿐 아니라 다양한 유기 용매에 용해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는 필름 형성력과 접착력이 우수하여 에어로졸 헤어 스프레이, 접착제 및 리소그래픽(lithographic) 용액에 사용된다. PVP는 용액 상태나 필름 상태 모두 대부분의 무기 염 용액이나 천연 수지 및 합성 수지 및 기타 화합물질들과도 높은 상용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매우 소수성이어서 금속, 유리, 세라믹 등 소수성 표면을 갖는 물질에 대해 접착력이 우수하다.
PVP는 매우 낮은 동물 구강내 독성과 매우 높은 반 치사량 (LD50)을 갖고 있으므로 의약품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PVP는 맥주, 포도주, 식초, 과일, 야채 음료에 들어 있는 탄닌과 같은 형태의 폴리페놀 구조와 불용성 착물을 형성하므로 맥주의 콜로이드 안정화나 화이트 와인, 레드 와인, 식초의 색상 안정화에 사용되고 있는 등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에 골고루 사용되고 있는 안정한 고분자이다. 치아 오염의 주요 원도 차나 커피 또는 음식에 들어 있는 폴리올 성분이므로 PVP에 의한 오염 제거 또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반적으로 용매가 알코올일 때 점증제로 사용할 수 있는 고분자는 제한적이며 특히 유효 성분으로 과산화물을 사용했을 때 과산화물과의 반응에 의해 점도를 잃게 된다. 그러나, PVP를 사용하는 경우 그 등급에 따라 함량을 조절함에 의해 원하는 점도를 쉽게 얻을 수 있으며, 경시 기간에 따른 점도의 감소도 관찰되지 않는다. 다양한 분자량의 PVP가 사용될 수 있으나, 분자량 360,000 이상인 PVP (K-90 및 K-120)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360,000 이상인 PVP (K-90 및 K-120)는 그 함량 범위가 5 내지 30 중량% 이내이면 원하는 점도인 3,000 내지 50,000 cps를 얻을 수 있으며, 분자량 10,000 내지 160,000의 PVP (K-15 ∼ K-60)의 경우 보다 다량 사용함에 의해 위 수준의 점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PVP는 분산력이 우수하여 염료나 안료를 분산시켜 화장품 수준의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산화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므로(PVP는 용액 내에서 in situ PVP-H202착물을 형성하여 오랜 시간 방치하여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성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치아의 오염을 제거하는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매는 바람직하게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다량의 폴리올을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에탄올만을 단독으로 사용시 건조 속도면에서는 좋으나 치아에 도포시 일부 잇몸에 닿았을 때 자극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물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건조 시간이 느린 단점이 있다. 에탄올과 물의 비율을 3:1 내지 4:1 정도로 사용하는 경우 에탄올에 의한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건조 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백제는 바람직하게 과산화물, 폴리인산염, 이들의 혼합물, 또는 과산화물과 폴리인산염의 부가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다.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과산화요소, 과산화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인산염은 피로인산사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산성 폴리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용매로서 에탄올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미백제로서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용매로서 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미백제로는 폴리인산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과산화물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인산염과 과산화물의 부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산화물과 폴리인산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산화물과 폴리인산염의 부가 화합물로서는 피로인산나트륨과 과산화수소의부가 혼합물(adduct product)인 TSPP-H2O2가 바람직하다. TSPP-H2O2는 수용액이나 결정 상태에서 과산화수소의 성질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피로인산나트륨 자체의 특성을 발휘해 주는 특성이 있다. 피로인산나트륨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과산화수소가 원래 가지고 있는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안정화시킨다. 또한, 과산화수소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나타나는 결점을 방지해준다. 즉, 과산화수소는 금속 촉매, 자외선, 산화제, 가열 처리 등에 의해 분해가 촉진되지만, TSPP-H2O2는 이런 것들에 대하여 안전하며 과산화수소의 원래의 성질과 특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하얀색 안료인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상기 미백제에 대신하여 또는 상기 미백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티타늄 디옥사이드는 PVP의 우수한 분산력을 이용하여 PVP에 분산시킬 수 있으며, 외관상 치아를 하얗게 보이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치아의 에나멜 층의 주요 성분인 HAP(히드록시아파티트)를 상기 미백제에 대신하여 또는 상기 미백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아파티트 또한 PVP에 분산될 수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코팅제를 치아에 도포시 치아를 하얗게 보이게 함과 동시에 치아와 충분한 접촉 시간을 가지므로 재광화(remineralization)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상기 미백제에 대신하여 또는 상기 미백제와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 또한 PVP에 분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니큐어처럼 사용자의 개성에 따라 치아의 색상을 바꾸어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구강 질환 치료성 약용 성분인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로헥시딘(chlorohexidin), 비타민 E 또는 이의 유도체, 특히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또는 구취 제거에 효과적인 산화제나 클로로필 또는 그 유도체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린 이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인 질산 칼륨, 또는 치주, 치은염에 효과적인 약물인 클로로헥시딘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코팅제를 브러쉬로 치아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치아 부근의 잇몸과도 일부 접촉하게 되므로 치아 미백 효과뿐 아니라 잇몸 건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의 pH는 바람직하게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6 내지 8 이다. 적당한 pH 유지를 위해 완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아 미백용 코팅제는 과산화물 안정화를 위한 첨가제를 소량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PVP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높으므로 이는 양치질이나 구강 세정 또는 손가락으로 가볍게 문지름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PVP (K-120) 10 중량%, 과산화수소 4.3 중량% 및 주정용 에탄올 85.7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VP (K-120) 10 중량%, 과산화요소 3 중량% 및 물 87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PVP (K-120) 10 중량%, TSPP-H2O25 중량% 및 물 85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PVP (K-90) 15 중량%, 과산화수소 1.5 중량%, 주정용 에탄올 83.4 중량% 및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1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PVP (K-90) 15 중량%, 과산화요소 3 중량%, HAP 1 중량% 및 주정용 에탄올 81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HPC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12.5 중량%, 과산화 요소 3 중량%, EDTA 0.15 중량%, 물 24.35 중량% 및 주정용 에탄올 60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shellac (표백되고 탈왁스된 shellac) 8 중량%, PVP(K-90) 2.1 중량%, 티타늄 디옥사이드(MT600B) 2.1 중량%, 과산화수소 1.5 중량%, 비타민 C 1 중량% 및 주정용 에탄올 86.4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HPC 10 중량%, 과산화수소 1.5 중량%, TSPP 3.4 중량% 및 물 85.1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Carbopol 934F 10 중량%, 과산화수소 1.5 중량% 및 물 88.5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Poloxamer 20 중량%, 과산화수소 1.5 중량% 및 물 78.5 중량%를 혼합하여 치아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치아 코팅제의 미백 효과 및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 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오염시킨 HAP tablet 제조
HAP(히드록시아파티트) 분말을 IR 프레스로 태블릿으로 만든 후 1000 ℃에서 소결 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강산으로 HAP 태블릿 시편 표면을 에칭시킨 후 차, 커피, 철, 뮤신을 녹인 TSB(trypticase soybroth) 용액에 시편을 넣었다가 꺼내어 건조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였고, 이 조작을 1 주일 계속하여 오염시켰다. 오염시킨 후에 시편을 흐르는 물에 칫솔로 가볍게 씻어 주어 물에 의해 녹거나 쉽게 제거되는 오염을 제거해 준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실험예 1]
미백 효과 평가
상기 오염시킨 HAP 태블릿 시편의 초기 L 값 (L은 명도를 나타내며 100일 때는 흰색, 0일 때는 검정색)을 색차계로 측정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치아 코팅제를 오염된 HAP 태블릿 시편에 발라준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필름이 형성되면 실제 구강 조건과 비슷하게 해주기 위해 온도 37℃, 습도 95%로 세팅시킨 항온 항습기에 방치한 다음, 일정 시간 후에 꺼내었다. 습도가 매우 놓은 조건이었지만 필름이 시편 위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 흐르는 물에서 가볍게 손가락으로 문질러주었더니 필름이 쉽게 제거되었다. 건조시킨 후에 색차계로 L 값을 측정하였고, 치아 코팅제를 바르기 전후의 L 값의 차이인 △L 값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보인다.
[표 1]
미백 효과 (부착 시간)
△L (1 시간) △L (3 시간)
실시예 1 30.25 ±0.25 32.45 ±0.35
실시예 2 34.5 ±0.5 39.75 ±0.05
실시예 3 (10.35 ±1.55)* 9.56 ±2.73
( )*는 HAP 태블릿 시편에 치아 코팅제를 바르고 건조시킨 후에 필름이 도포된 상태에서 △L 값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치아 코팅제는 미백 효과 면에서 매우 우수하다.
[실험예 2]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 평가
실시예 1의 치아 코팅제를 병에 담은 후 닫은 상태에서 40 ℃ 항온기에 방치하였다. 초기에 코팅제에 함유된 과산화물 함량을 소디움 티오설페이트 용액으로 적정하여 정량하고, 일정 시간 항온기에 방치해두었던 코팅제를 꺼내어 동일한 방법으로 과산화 수소 함량을 정량하여 코팅제 내의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보인다.
[표 2]
잔존 과산화물 비 (%)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초기 100% 100% 100%
1 주 100% 80% 50%
2 주 100% 78% 40%
4 주 100% 75% 28%
8 주 98% 60% -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아 코팅제는 미백 효과면에서 우수할 뿐 아니라 과산화물로서 과산화수소 1.5 중량%를 함유한 액상 처방에서도 경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PVP와 과산화물의 상용성이 좋음을 보이는 것이다.
[실험예 3]
치아 코팅제에 의하여 제조된 in situ 필름 내 과산화물 함량 평가
동일한 필름 위에 치아 코팅액을 일정 두께로 바르고 용매를 건조시켜 얻은 필름의 과산화물 함량을 평가하여 보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실제 코팅액을 치아에 적용하여 구강 내에서 필름이 만들어졌을 때, 초기 과산화물 함량이 동일할 경우, 제조된 필름 내 과산화물 함량이 필름 형성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시험관 내 방법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필름은 필름 어플리케이터를 사용하여 동일한 두께로 제조하였고, 얻어진 필름을 동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적당한 용매들로 필름을 충분히 녹인 후에 용액 내에 들어 있는 과산화물의 함량을 요오드화 칼륨을 이용한 간접 적정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보인다.
[표 3]
필름 내 과산화물 비(%)
실시예 1 3.35 ±0.25
실시예 2 2.335 ±0.105
비교예 3 0.53 ±0.15
비교예 4 0.15 ±0.03
비교예 5 0.075 ±0.005
상기 표 3으로 부터, 같은 함량의 미백제를 사용하더라도 필름 형성제의 종류에 따라 치아에 형성된 필름의 과산화물 함량의 차이가 있음을 보이며, 본 발명에서 필름 형성제로 사용된 PVP의 경우 in situ 필름 내 과산화물 함량이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과는 코팅제 내 동일한 함량의 미백제를 첨가한 경우에도 PVP를 필름 형성제로서 사용한 경우 보다 빠른 치아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도 조절이 용이하고 건조시간이 빠르며 과산화물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치아 미백 효과가 뛰어난 코팅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필름 형성제로서 PVP(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고, 점도가 3,000 내지 50,000 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에탄올,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과산화수소, 과산화 요소, 과산화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과산화물, 피로인산사나트륨, 피로인산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나트륨, 헥사메타포스페이트 나트륨, 산성 폴리포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폴리인산염, 및 상기 과산화물과 폴리 인산염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치아 미백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치아 미백제로서 과산화수소와 피로인산나트륨의 부가 화합물인 과산화피로인산나트륨(TSPP-H2O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히드록시아파티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 미백용 코팅제가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용 코팅제.
KR10-2000-0054148A 2000-09-15 2000-09-15 치아 미백용 코팅제 KR100383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48A KR100383918B1 (ko) 2000-09-15 2000-09-15 치아 미백용 코팅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4148A KR100383918B1 (ko) 2000-09-15 2000-09-15 치아 미백용 코팅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446A true KR20020021446A (ko) 2002-03-21
KR100383918B1 KR100383918B1 (ko) 2003-05-14

Family

ID=1968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4148A KR100383918B1 (ko) 2000-09-15 2000-09-15 치아 미백용 코팅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9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1910A1 (en) * 2003-10-31 2005-05-12 Jae Ick Lee The oral product of the solidity which is stabilized a whitening ingredient
WO2005016298A3 (en) * 2003-08-15 2005-06-02 Colgate Palmolive Co Rapid temporary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O2005110343A1 (en) * 2004-05-10 2005-11-24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whi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 polymer and methods therefor
KR100973148B1 (ko) *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7887A2 (en) 2012-08-13 2014-02-20 Matthew Scott Spaid Teeth whitening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0124A (en) * 1991-05-01 1992-07-14 Isp Investments Inc. Stabilized, aqueous, film-forming antimicrobial compositions of hydrogen peroxide
AU9300998A (en) * 1997-09-09 1999-03-29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Tooth whitening preparations
JP3030380B2 (ja) * 1997-09-19 2000-04-10 卓郎 石橋 二酸化チタン光触媒による変色歯牙漂白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6298A3 (en) * 2003-08-15 2005-06-02 Colgate Palmolive Co Rapid temporary tooth whitening composition
WO2005041910A1 (en) * 2003-10-31 2005-05-12 Jae Ick Lee The oral product of the solidity which is stabilized a whitening ingredient
WO2005110343A1 (en) * 2004-05-10 2005-11-24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whi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 polymer and methods therefor
US7118732B2 (en) 2004-05-10 2006-10-10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whitening compositions comprising silicone polymer and methods therefor
KR100973148B1 (ko) * 2010-04-14 2010-08-04 이용석 1회용 방충 손목띠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7887A2 (en) 2012-08-13 2014-02-20 Matthew Scott Spaid Teeth whiten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3918B1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81693B1 (en) Non-aqueous liqu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KR970004033B1 (ko) 치아 미백제
US5401495A (en) Teeth whitener
AU611142B2 (en) Stable hydrogen peroxide dental gel
US6669930B1 (en) Liquid tooth whitening gel
US20050038181A1 (en) Silicone polymer based liquid tooth whitening composition
JP2007518733A (ja) 歯を白化する組成物
CN105828885B (zh) 口腔护理组合物和方法
TW201534339A (zh) 美白口腔保健組成物
JP2002187809A (ja) 歯牙コーティング剤
EP3177264B1 (en) Dental stain removal and prevention
KR100383918B1 (ko) 치아 미백용 코팅제
KR20060021967A (ko)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KR100593038B1 (ko) 치아 코팅제
CN106236607A (zh) 一种用于植牙后期牙齿维护的非水液体组合药剂
RU2524631C2 (ru) Изменение цвета содеращих халкон препаративных форм по уходу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CN110623867A (zh) 一种具有美白去渍效果的牙齿美白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90061919A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EP3035911B1 (en) Or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bleaching agent
KR840001946B1 (ko) 비-착색 항치은염 조성물
EP4255374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n iodide or thiocyanate, and methods for treating teeth
KR20040021954A (ko) 미백치약 조성물
CA2029820A1 (en) System for whitening teeth
CN109890464A (zh) 美白功效增加的口腔护理组合物
KR19990027730A (ko) 안정한 미백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