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754A - 연료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754A
KR20020020754A KR1020017016677A KR20017016677A KR20020020754A KR 20020020754 A KR20020020754 A KR 20020020754A KR 1020017016677 A KR1020017016677 A KR 1020017016677A KR 20017016677 A KR20017016677 A KR 20017016677A KR 20020020754 A KR20020020754 A KR 20020020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ion
valve
injection valve
coat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7526B1 (ko
Inventor
란데르한스
헤인부흐페트라
슈아츠프랑크
그록크아르민
쉬르마이스테르울리히
필그람구이도
호프만트호마스
크라아츠울르리흐
단테스구엔테르
노바크데트레프
헤이제조에르그
하크켄베르그유에르겐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20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8Injection nozzles, e.g. having valve seats; Details of valve member seated e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06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coking, e.g. of fuel injector discharge orifices or valve nee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9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2M2200/9038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25/00Synthetic polymers, e.g. plastics; Rubber
    • F05C2225/04PTFE [PolyTetraFluor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연료유입구(7), 하나의 가동 밸브폐쇄부재(28), 밸브의 개폐를 위해 밸브폐쇄부재(28)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고정된 밸브시트(27) 및 하류측 밸브단부(8)에 형성된 하나의 연료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배출구가 밸브시트(27)의 하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32, 90)로 형성되는, 연료분사밸브(5), 특히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직접 뻗어있는 연료분사밸브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32)를 포함하는 밸브시트부재(26)는 적어도 하류측 정면(54)의 출구(32)의 개구영역(55)에 상기 영역에서의 코우킹을 방지하는 코팅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밸브{Fuel-injection valve}
엔진 구동 시 일반적으로 내연 기관 연소실로 연료가 직접 분사될 시 특히 가솔린의 직접 분사나 디젤연료의 분사 시 연소실로 뻗어있는 분사 밸브의 하류측 끝이 연료의 침착에 의해 코우킹되거나 플레임 프론트에서 형성된 그을음 입자가 밸브 끝에 쌓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공지된, 연소실로 뻗어 있는 분사 밸브에 있어 그 수명동안 분사 파라미터(예를 들면, 정역학적 유동량, 분사각, 방울크기, 다발성(Straenigkeit))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위험 즉, 내연기관의 작동장애나 분사 밸브의 고장을 초래할 수도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독립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르는 연료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린더 헤드의 수용 홀에 삽입된 연료 분사 밸브.
도 2는 연료 분사 밸브의 종단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코팅된 밸브 단부의 제 1실시예.
도 4는 발명에 따른 코팅된 밸브의 제 2 실시예.
도 5는 분사측 밸브 단부에 있는 대안적인 가이드영역 또는 시트영역의 단면도.
도 6에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을 위한 연료 분사 밸브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연소실측 단부의 단면도.
독립청구항의 특징들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는, 연소실로 뻗어있는 밸브 끝의 코우킹(그을음 침착)의 상기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류측 밸브 단부, 특히 배출구의 개구 영역 둘레에 있는 것들을 코팅함으로써 분사 파라미터와 밸브 기능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밸브 단부에서의 코우킹이나 층형성(그을음)이 감소되거나 중단된다.
종속항에 제시된 조치를 통해 독립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 밸브의 바람직한실시와 개선이 가능한다.
밸브 단부에 침착물의 촉매 변환(연소)을 야기시키거나 코팅될 부품의 표면에너지 그리고/또는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키는, 층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습윤상태가 변화되거나 반응층의 형성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간단히 도시되며 다음의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는 내연 기관, 특히 외부 점화식, 혼합물 압축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1)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실린더 헤드(1)에는 종축(4)을 따라 대칭으로 연소실(3)까지 연장된 계단식 수용 홀(2)이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1)의 수용 홀(2)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 분사 밸브(5)가 삽입된다. 연료 분사 밸브(5)는도 6과 7에 의해 도시되듯이, 연료, 특히 가솔린이나 디젤을 내연기관의 연소실(3)로 직접 분사하는데 사용된다. 연료 분사 밸브(5)가 특히 전기 연결 케이블(6)을 통해 전자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연료는 유입 파이프(7)를 통해 연료 분사 밸브(5)로 유입된다. 도 1에 도시된 연료 분사 밸브(5)는 유입 파이프(7)로 부터 나온 연료를 전체 분사 밸브(5)를 통해 축의 방향으로 보내는 소위 탑-피드(Top-Feed)- 분사 밸브이며, 이 때 연료는 공급측의 단부와 반대 방향에 놓인 분사측 단부(8)에서 연료실(3)로 분사된다.
연소실(3) 가까이의 연료 분사 밸브(5)를 과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분사밸브(5)는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수용 홀(2)에 포함되는 열보호슬리브(9)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져 있지만, 열보호슬리브가 없을 수 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연료 분사 밸브(5)의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상기 연료분사밸브는 부분적으로 자기코일이 감겨있고 자기 회로의 내부 극으로 사용되며 파이프의 형태를 띄는 중공 원통형 코어(11)를 가지는 전자기적 작동이 가능한 밸브이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든 계단식 코일 바디(13)는 자기 코일(10)의 와인딩을 수용하며 코어(11) 및 자기 코일(1)이 부분적으로 감겨있는 비자기적 중간부(14)와 함께 자기 코일(1)의 영역에서 매우 콤팩트하고 짧은 분사밸브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전자기적 작동 요소 대신에 연료분사 밸브(5)가 압전적 또는 자기변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코어(11)에는 수용홀(2)의 종축(4)과 일치하는 밸브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적 종방향 개구(15)가 제공된다. 자기 회로의 코어(11)는 유입관(7)으로서도사용된다. 외부극 또는 외부의 전도소자로서 자기 회로을 폐쇄시키며 자기 코일(1)을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완전히 감싸는 외부 금속(예를 들면 페라이트) 하우징부(16)는 자기 코일(1)의 상부의 코어(11)와 단단히 연결되어 있다. 코어(11)의 종방향 개구(15)에는 공급측에서, 그 크기 때문에 분사 밸브를 막히게 하거나 손상시킬 수 있는 연료 성분을 여과하기 위한 연료 필터(17)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전기자(19)와 하나의 바아형의 밸브니들(20)로 이루어진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부 또는 하나의 길게 뻗은 밸브 시트 지지체(21)를 포함하거나 또는 수용하는 파이프 형태의 하우징하부(18)는 하우징상부(16)에 긴밀하고 단단하게 연결된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16, 18)는 예를 들면 둘러싸는 용접 시임으로 서로 단단히 연결된다. 하우징 하부(18)와 밸브 시트 지지체(21)사이의 밀봉은 예를 들면 밀봉링(22)에 의해 이루어진다. 밸부 시트 지지체(21)는 그 축방향 폭 전체에 걸쳐 밸브 종축과 동심으로 형성된 내부 관통구(24)를 포함한다.
밸브시트지지체(21)는 동시에 전체 연료 분사 밸브(5)의 하류측 단부를 형성하는 그 하단부로 관통구(24)에 삽입된 판형의 밸브 시트 부재(26)및 아래로 갈수록 원뿔대 형으로 가늘어지는 밸브시트 표면(27)을 감싼다. 하류측 단부에 밸브 폐쇄면(28)을 가지고 있는 밸브 니들(20)이 관통구(24)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구형의, 부분적으로 구형이거나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밸브 폐쇄면(28)은 공지된 방법으로 밸브시트 부재(26)에 포함된 상기 밸브시트 표면(27)과 함께 작용한다. 밸브시트 표면(27) 하류에서 적어도 하나의 연료용 출구(32)가 밸브부재(26)에 형성된다.
밸브 종축을 따라 전기자(19)와 더불어 축 운동을 하는 동안 밸브 니들(20)의 가이드를 위해, 한편으로는 밸브시트 지지체에서 전기자(19)를 향한 단부에 제공된 가이드개구(34)와 다른 한편으로는 정확한 치수의 가이드개구(36)를 포함하는, 밸브시트 부재(26)의 상류에 배치된 판형의 가이드 부재(35)가 사용된다.
밸브 니들(20)의 행정은 밸브시트 부재(26)의 조립 위치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밸브 니들(20)의 한 최종 위치는 자기코일(1)이 여기되지 않을 때 밸브시트 부재(26)의 밸브시트 표면(27)에 대한 밸브폐쇄면(28)의 지지에 의해 결정되는 한편, 밸브 니들(2)의 다른 최종위치는 자기 코일(1)이 여기될 때 코어(11)의 하류측 정면에 대한 전기자(19)의 지지에 의해 주어진다. 후자의 정지영역에 있는 부품의 표면은 예를 들면 크롬으로 도금된다.
자기 코일(1)의 전기적 콘택팅과 그것의 여기는 코일 바디(13)의 외부에 플라스틱 압출코팅(44)을 가진 콘택트 부재(43)를 통해 나타난다. 플라스틱 압출코팅(44)은 연료분사 밸브(5)의 다른 부품(예를 들면 하우징부(16)과 (18))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플라스틱 압출코팅(44)으로 부터 전기 연결케이블(6)이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을 통해 자기코일(1)에 전류가 공급된다.
밸브시트 지지체(21)의 분사측 단부에서 관통구(24)에 제공된 가이드영역 및 시트영역은 축방향으로 연속하는 기능 분리된 세개의 판형 부재들로 구성된다. 하류 방향으로 차례로, 가이드 부재(35), 선회 부재(47), 밸브시트 부재(26)가 이어진다. 밸브 니들(20)을 둘러싼 압축스프링(50)은 밸브 시트 지지체(21)에 세 부재(35, 47, 26)를 고정시킨다. 선회부재(47)는 예를 들면 박판의 펀칭, 와이어EDM, 레이저절단, 에칭 또는 다른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또는 갈바니 석출에 의해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선회부재(47)에는 하나의 내부 선회 챔버와 선회챔버로 들어가는 다수의 선회채널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으로 밸브시트(27) 앞에서 분사될 연료에 하나의 선회 성분이 가해짐으로써 흐름이 선회하면서 배출구(32)로 들어가고 미세하게 소용돌이치며 잘 분사되는 스프레이가 연소실(3)에 제공된다.
엔진작동시 일반적으로 연료를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직접 분사할 때, 연소실로 뻗어있는 분사밸브의 하류측 끝이 연료침착물에 의해 코우킹되거나 플레임 프론트에 형성된 그을음입자가 밸브끝에 축적되는 문제가 생긴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공지된 연소실로 뻗어있는 분사밸브에서는 그 수명동안 내연기관의 작동 장애나 분사밸브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는, 분사 파라미터들(예를 들면 정역학적 유동량, 분사각, 방울의 크기, 다발성)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밸브단부(8)의 코팅을 통해 상기 문제가 감소되거나 제거된다. 여러가지 코팅에 의해, 코팅된 부품의 표면(54), 예를 들면 크롬강으로 이루어진 밸브 시트 부재(26)에서 여러가지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모든 조치는 결국 분사 파라미터와 밸브기능에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밸브단부(8)에서의 코우킹이나 층의 형성(그을음)을 감소시키거나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에서 각각의 코팅 가능성이 자세히 설명된다.
촉매작용을 하는 층들이 제 1 코팅 그룹을 형성한다. 전해에 의해 제공되는 층들은 침착된 그을음 입자의 촉매 변환(연소)를 위해 제공되거나 처음부터 탄소입자의 침착을 막는다. 코우킹 방지를 위한 상기 코팅에 적합한 물질은 코발트산화물과 니켈산화물 그리고 상기 금속의 합금의 산화물이다. 귀금속 Ru, Rh, Pd, Os, Ir, Pt 또는 상기 금속 서로간의 혹은 다른 금속들과의 합금도 촉매작용을 한다. 소정의 층들은 예를 들면 전기화학적 혹은 외부 전류가 없는 금속석출을 통해 형성된다. Ni, Co, 또는 그 합금의 경우 공기 중에서 산화물이 형성되거나 또는 부가적 산화단계(습식화학 처리, 플라스마)도 적용될 수 있다.
해당 표면(54)의 습윤특성을 변동시키는 코팅은 큰 제 2 그룹을 형성한다. 이 때 코팅을 통해 밸브단부(8)의 임계 영역의 표면에너지 그리고/또는 표면 거칠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면(54)과 연료 사이의 경계면 에너지가 증가됨으로써, 습윤은 악화된다. 따라서 연료방울들이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영역에서 떨어지고 밸브 단부(8)를 둘러싼 흐름으로 부터 벗어난다. 밸브단부(8)의 영구적 습윤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층으로서 세라믹층, 금속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탄소층 또는 불소 함유 층이 제공된다. 불소함유 층은 예를 들어 열저항 PTFE-유사층이거나 특히 유기 세라믹층, 또는 소위 불소 규산염(FAS)으로 이루어진 OrmocerR-층이다. 상기 불소함유 층들은 예를 들면, 분사나 침지를 통해 제공된다. 사파이어 층도 가능하다.
반응층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이 제 3 그룹을 형성한다. 예들 들면 질화물층(TiN, CrN) 이나 산화물층(산화탄탈, 산화티타늄)이 이에 속한다. 스퍼터링과 유사하게 상기층의 경우 진공로에서 증발된 입자가 코팅될 표면(54)에 침착된다.
밸부단부(8)에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출구(32)를 그 개구영역(55)에서 직접적으로 감싸는 영역이 코팅될 수 있다. 출구(32)나 그 직접적 제한 에지에서의 그을음입자의 침착은 특히 분사파라미터(예를 들면 정역학적 유동량, 분사각, 방울의 크기, 다발성)에 상술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그래서 모든 경우에 코팅은 연료분사 밸브(5)의 어떤 부품에 출구(32)가 형성되어 있는지에 상관없이 각각의 개별 출구(32)의 하류 단부(개구영역(55))에 제공되야한다.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라 코팅된 밸브 단부(8)의 두가지 실시예가 저면도로 도시된다. 상기 두 실시예는 한 경우에는 출구(32)를 가진 부품, 여기서는 밸브시트 부재(26)의 하류 부품표면(54) 전체가 코팅되며(도 3), 다른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32)둘레의 하류 부품표면(54)의 환형 부분만이 코팅된다는(도 4)점이 다르다. 이 때 점 찍힌 표면이 코팅된 영역을 나타낸다. 출구(32)의 개구영역(55)은 도 3과 도 4에서 도면평면에 놓인다. 코팅이 출구(32)에도 미미하게 미칠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밸브부재(26)는 하류측 단부(8)를 형성하고 출구(32)를 포함하는 연료분사 밸브(5)의 부품이므로 밸브시트 부재(26)의 하류측 정면(54)에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의 제공은 밸브 시트 부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류측 밸브 단부(5)를 형성하고 연소실(3)로 뻗어있는 다른 밸브 부품 역시 상기 코팅을 가질 수 있다. 밸브 시트(27)의 하류측에 배치된 부품(도 5의 분사바디 67 참고)들에도 적어도 출구(32)에 직접 인접한 영역이 코팅됨으로써 본래의 분사영역이 코우킹으로부터 보호된다는 것이 적용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에 대한 설명이 구성상 상이한 밸브디자인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분사측 밸브 단부(8)의 대안적 가이드영역과시트영역이 도시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 밸브 부재(26)의 하류측에 또 다른 판형의 분사 바디(67)가 배치된다. 상기 경우 분사바디(67)는 출구(32)를 가진다. 출구(32)는 밸브종축에 비스듬히 형성되며, 볼록하게 부풀어있는 분사영역(66)에서 끝난다. 분사 바디(67)와 밸브시트 부재(26)는 예를 들면 레이저용접에 의해 얻어지는 용접 시임(68)을 통해 서로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용접은 환형으로 둘러싸는 홈(69)에서 이루어진다. 분사바디(67)는 그밖에도 용접시임(61)을 통해 밸브시트지지체(21)와 단단히 연결된다. 코팅은 예를 들면 모든 볼록한 분사 영역(66) 위에서 또는 출구(32)의 개구영역(55) 둘레에 직접 환형으로 이루어지므로, 밸브 종축과 관련해서 볼록한 표면(54)에서 센터를 벗어난 코팅이 제공된다.
도 6에는 자기 점화식 내연기관, 특히 디젤엔진용 연료분사밸브의 종단면이 도시되며 연소실로 향하는 부분만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연료분사밸브(5)의 연소실측 단부의 확대가 도 7에 도시된다. 밸브 바디(72)로 형성된 부품은 너트(75)로 밸브고정바디(73)에 대해 죄어진다. 밸브 바디(72)에, 폐쇄력과 반대로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피스톤 모양의 밸브 니들(20)이 배치되는 하나의 홀(84)이 형성된다. 홀(84)은 긴홀로 형성되며 이 때 연소실로 향하는 폐쇄된 단부가 실질적으로 원뿔대형으로 만들어진 밸브시트표면(27)을 형성한다. 밸브시트표면(27)의 연소실측 단부의 움푹 들어간 곳을 통해 긴홀(92)이 형성되며 그 벽에 긴홀(92)을 연소실(3)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90)가 배치된다.
밸브니들(20)은 연소실(3) 반대쪽에 놓인 직경이 큰 섹션과 직경이 작은 섹션으로 나눠진다. 상기 직경이 작은 섹션과 홀(84) 벽 사이에는 압력실(86)이 형성된다. 상기 압력실은 밸브고정 바디(73)와 밸브바디(72)에 형성된 공급채널(80)을 통해 고압 연료로 채워질 수 있다. 밸브 니들(20)의 외부직경의 계단식 형성으로 인해 밸브니들에 압력숄더(82)가 형성된다. 상기 압력 숄더(82)는 압력실(86) 내부에 배치된다. 압력실(86)의 연료 압력은 압력 숄더(82)에 대한 힘을 발생시킨다.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힘 성분은 밸브니들(20)에 작용하는 폐쇄력과 반대 방향이며 상응하는 연료압력에서 밸브니들(20)을 폐쇄력에 대항하여 이동시킨다.
밸브 니들(20)의 연소실측 단부에 밸브폐쇄면(28)을 형성하는 밸브밀봉표면(88)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밀봉표면은 밸브시트 표면(27)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밸브시트 표면(27)에 대한 밸브밀봉표면(88)의지지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출구(90)가 압력실(86)에 대해 밀봉된다. 연소실(3)로부터 내부로 향하는 개방행정운동을 통해 밸브밀봉표면(88)은 밸브시트표면(27)으로부터 떨어지고 압력실(86)을 출구(90)와 연결시킨다.
촉매작용을 하는 코팅은 예를 들면 연료실(3)을 향하는 밸브바디(72)의 정면전체데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출구(90)가 형성되어 있는, 긴홀(92)을 경계짓는 긴홀벽(93)의 볼록한 외부 표면(96)에만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코팅은 출구(90)안에 까지 연속될 수 있다.

Claims (15)

  1. 하나의 연료유입구(7), 하나의 가동 밸브폐쇄부재(28), 밸브의 개폐를 위해 밸브폐쇄부재(28)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고정된 밸브시트(27) 및 하류측 밸브단부(8)에 형성된 하나의 연료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배출구가 밸브시트(27)의 하류측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32, 90)로 형성되는, 연료분사밸브(5), 특히 내연기관의 연소실로 직접 뻗어있는 연료분사밸브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구(32, 90)를 포함하는 부품(26, 67, 72)은 적어도 출구(32, 90)의 개구영역(55)에서 상기 출구를 둘레로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밸브가 외부점화식 내연기관의 연소실(3)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밸브가 자기점화식 내연기관의 연소실(3)로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부품(26, 67, 72)의 하류측 표면(54, 96)의 출구(32, 90)둘레에 환형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부품(26, 67, 72)의 하류측 표면(54, 96)의 전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부품(26, 67, 72)의 표면(54, 96)의 코팅에 부가해서 출구(32, 90)에도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Co나 Ni나 산화코발트 또는 산화니켈 또는 Co나 Ni 합금의 산화물 또는 Ru나 Rh나 Pd나 Os나 Ir이나 Pt나 이러한 금속끼리의 혹은 또다른 금속과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촉매 작용 층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전기화학적인 또는 외부전류가 없는 금속석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금속을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탄소층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층은 불소함유층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1. 제 10항에 있어서, 불소함유층은 불소규산염(FAS)으로 이루어진 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2. 제 1항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팅은 질화물층(TiN, CrN)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3.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코팅은 산화탄탈층이나 산화티타늄층으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32, 90)를 포함하는 부품은 밸브시트(27)도 포함하는 밸브부재(26, 27)임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밸브.
  15. 제 14항에 있어서, 밸브시트 부재(26)는 밸프시트표면(27)이 형성되어 있는 상류측 정면 및 상기 상류측 정면과 반대편에 놓인, 코팅이 제공되는 하류측 정면을 포함하는 연료분사밸브.
KR1020017016677A 1999-07-02 2000-06-30 연료 분사 밸브 KR100717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30637.0 1999-07-02
DE19930637 1999-07-02
DE19951014.8 1999-10-22
DE19951014A DE19951014A1 (de) 1999-07-02 1999-10-22 Brennstoffeinspritz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754A true KR20020020754A (ko) 2002-03-15
KR100717526B1 KR100717526B1 (ko) 2007-05-14

Family

ID=791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677A KR100717526B1 (ko) 1999-07-02 2000-06-30 연료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17526B1 (ko)
DE (1) DE19951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9622B4 (de) * 2001-03-29 2018-06-14 Robert Bosch Gmbh Einspritzventil
DE10120462A1 (de) 2001-04-26 2002-10-31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DE10124744A1 (de) * 2001-05-21 2003-01-23 Bosch Gmbh Robert Brennstoffeinspritzventil
FR2828528B1 (fr) * 2001-08-11 2006-05-26 Bosch Gmbh Robert Inject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102004063165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ventil für Brennkraftmaschinen
DE102012203802A1 (de) 2012-03-12 2013-09-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emdgezündete Brennkraftmaschine mit katalytisch beschichteter Einspri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Brennkraftmaschine
DE102012206913A1 (de) 2012-04-26 2013-10-3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Einspritzung von Kraftstoff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WO2014018036A2 (en) * 2012-07-26 2014-01-30 Mack Truck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n injector for an exhaust gas aftertreatment apparatus
DE102012214522B3 (de) * 2012-08-15 2014-03-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inspritzventil
DE102013213993A1 (de) 2013-07-17 2015-0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inspritzventi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spritzventils
DE102013213994B4 (de) 2013-07-17 2018-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spritzventils sowie Einspritzventi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4210872A1 (de) 2014-06-06 2015-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inspritzventils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sowie Einspritzventil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4210922A1 (de) 2014-06-06 2015-12-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Zündkerze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sowie Zündkerze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DE102015226769A1 (de) * 2015-12-29 2017-06-29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062A (ja) * 1983-03-31 1984-10-12 Isuzu Motors Ltd デイ−ゼル機関の噴射ノズル
FR2766239B1 (fr) * 1997-07-16 1999-09-17 Sagem Injecteur de carburant dans une chambre de combustion de mo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51014A1 (de) 2001-01-04
KR100717526B1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307B1 (en) Fuel injector with anti-scale ceramic coating for direct injection
US7506826B2 (en) Injection valve with a corrosion-inhibiting, wear-resistant coating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100717526B1 (ko) 연료 분사 밸브
KR100573190B1 (ko) 연료 분사 밸브
US7306173B2 (en) Fuel injection valve
US8313048B2 (en) Fuel injector
US20040129806A1 (en) Fuel injection valve
US7377264B2 (en) Fuel injector
US7014129B2 (en) Fuel-injection valve
US6994281B2 (en) Fuel injector
US20040011894A1 (en) Fuel injecton valve
JP4355286B2 (ja) コーティングを有する燃料噴射装置
US7070128B2 (en) Fuel injection valve
US6921033B2 (en) Fuel injection valve
US6789752B2 (en) Fuel injection
US6698674B2 (en) Fuel injector valve
US20030192965A1 (en) Fuel injection valve
US6938840B1 (en) Fuel injection valve
JP2003503637A (ja) 燃料噴射弁
US7234654B2 (en) Fuel injector
US10519910B2 (en) Valve for metering a fluid, especially a fuel injector
US20040011895A1 (en) Fuel injection valve
US6824085B2 (en) Fuel injector
US6598804B2 (en) Fuel injector
US6598809B1 (en) Fuel-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