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700A -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700A
KR20020019700A KR1020000052700A KR20000052700A KR20020019700A KR 20020019700 A KR20020019700 A KR 20020019700A KR 1020000052700 A KR1020000052700 A KR 1020000052700A KR 20000052700 A KR20000052700 A KR 20000052700A KR 20020019700 A KR20020019700 A KR 20020019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data rate
average value
received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432B1 (ko
Inventor
이영환
김병조
김민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2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3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2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 H04L1/0053Realisations of complexity reduction techniques, e.g. pipelining or use of look-up table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3Formatting with frames or packets; Protocol or part of protocol for 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신장치가,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수신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인접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복호이전의 데이터의 특성을 보고 데이터율을 검출하기 때문에, 기존의 사후검출(post detection)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났던 불필요한 복호과정들을 제거할수 있고, 전력소모를 최소화할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METHOD FOR DETECTING DATA R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들어, 위성시스템, ISDN,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유럽형), IMT-2000(CDMA-2000, IS-2000, 북미형)시스템 등이 될 수 있다.
기존의 IS-95A, 95B 시스템에서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8kbps, 4.8kbps, 2.4kbps, 1.2kbps 전송데이터 중에 하나가 길쌈부호기(Convolutional Encoder)를 통해 부호화되고 심볼반복에 의해 19.2kbps에 정합되어 전송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테일비트 생성기(Add CRC&Tail bit) 101은 전송데이터에 CRC비트와 테일(Tail)비트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전송 데이터의 데이터율은 9.6kbps, 4.8kbps, 2.4kbps 및 1.2kbps 중 하나이다. 길쌈부호기(Covolutional code Encoder) 102는 상기 테일비트 생성기 101로부터의 출력을 부호화하여 심볼데이터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길쌈부호기 102는 구속장(K)가 9이고, 부호화율(R)이 1/2인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길쌈부호기 102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율은 19.2ksps, 9.6ksps, 4.8ksps 및 2.4ksps 중 하나이다. 심볼반복기(Symbol Repetition) 103은 전송데이터의 데이터율을 19.2 ksps로 맞추기 위해 입력되는 심볼을 주어진 반복횟수에 의해 반복하여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심볼반복기103에 입력되는 데이터의 데이터율이 19.2ksps이면 한번 반복(x1)하고, 9.6ksps이면 두 번 반복(x2)하며, 4.8kbps이면 4번 반복(x4)하고, 2..4kbps이면 8번 반복(x8)하여 출력한다. 이후, 블록 인터리버(Block Interleaver) 104는 상기 심볼반복기103의 출력을 블록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결국, 최종적으로 인터리버 1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율은 19.2 ksps가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IS-2000 시스템의 순방향 트래픽채널(Forward traffic hannel)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FQI생성기(Add Frame Quality Indicator) 201은 전송데이터에 프레임품질 지시자(Frame Quality Indicator)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품질 지시자는, 예를들어, 전송데이터가 24bits/5ms인 경우 16비트가 부가되고, 80bits/20ms인 경우 8비트가 부가된다. 테일비트 생성기(Add 8 Reserved/Encoder Tail bits)는 상기 FQI생성기 20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에 8비트 테일비트를 부가하여 출력한다. 부호기(Encoder) 203은 상기 테일비트 생성기 202의 출력을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부호기 203은 길쌈부호기(Convolutional coder) 혹은 터보부호기(Turbo coder)를 사용한다. 그리고, 부호화율(R)은 1/4인 것을 사용한다.
심볼반복기 204는 상기 부호기 203의 출력을 상기 전송데이터에 따라 한번반복(X1), 2번반복(X2), 4번반복(X4) 혹은 8번반복(X8)하여 출력한다. 심볼천공기(symbol puncture) 205는 상기 심볼반복기204의 출력을, 주어진 규칙에 의해 천공하지 않거나(None), 5개당 1개를 천공하거나(1 of 5), 9개당 1개를 천공(1 of 9)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심볼천공기 205에서 출력되는 심볼데이터의 크기는 전송데이타가 24bits/5ms인 경우 192비트이고, 19bits/20ms, 40bits/20ms, 80bits/20ms, 172bits/20ms인 경우 768비트이며, 360bits/2ms인 경우 1536 비트이고, 744bits/20ms인 경우 3072비트이며, 1,512bits/20ms인 경우 6144비트이고, 2048bits/20ms인겨우 12288비트가 된다.
여기서, 부호화 이전의 데이터율이 9.6kbps 이하인 것은 기본채널(Fundamental channel)들을 나타내고, 19.2 kbps 이상인 것은 부가채널(Supplemental channel)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본채널인 경우, 전송데이터들은 모두 38.4ksps 데이터율에 정합되고, 부가채널인 경우 각각 76.8ksps, 153.6ksps, 307.2ksps, 614.4ksps에 정합되어 전송된다. 블록 인터리버 206은 상기 심볼천공기 205의 출력을 블록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IS-2000 시스템도 전송데이터에 따라 심볼데이터를 1번반복(x1), 2번반복(x2), 4번반복(x4), 혹은 8복반복(x8)하여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IS-2000 시스템은 기능적인 채널들이 다수개 존재한다. 그중 기존 IS-95A/B에서 사용되었던 트랙픽 채널이 IS-2000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율에 따라 기본채널과 부가채널로 구분되었다. 기본채널은 매 20ms 마다 변화하는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부가채널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기존 IS-95A/B는 트랙픽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음성데이터의 정보량에 따라 9.6kbps, 4.8kbps, 2.4kbps, 1.2kbps의 데이터율중 하나를 선택하여 매 20ms 마다 가변적으로 전송하였다. 이때 송신기는 데이터율에 관한 정보를 수신기로 전송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율을 알수 없다. 따라서, 수신기는 데이터 수신시 상기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율을 검출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송신기에서 전송한 데이터의 데이터율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디코딩을 통해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방식을 블라인드 레이트 검출(Blind rate detection : 이하 "BRD"라 칭함)이라 한다.
한편, 현재 IS-2000 시스템도 채널 상태라든가, 기지국의 처리량에 따라 데이터의 양을 가변적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데이터 양을 가변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가변데이터율전송(Variable Date Rate Transmission : 이하 VDRT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VDRT에 대한 알고리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IS-2000 시스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이 순방향 부가채널의 전송을 관리하고, 고정된 데이터율(Fixed data rate)이 일정 시간동안 이동국(MS, Mobile Station)에 할당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기지국은 채널상태 혹은 시스템의 부하에 따라서 기존에 할당된 데이터율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할 수도 있고, 순방향 부가채널에 할당된 이전 전송 전력레벨(Power level)을 유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은 잠시 전송을 중단하고 상황이 좋아지면 다시 스케쥴링(rescheduling)하여 기존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는 전송 지연(transmission delay)을 초래하기도 하고, 여분의 전송 전력을 사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차후에 데이터 전송에 관한 내용을 시그널링(signaling)을 통해 다시 스케쥴링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송 데이터율을 가변적으로 전송하는 가변데이터율전송(VDRT) 개념이 나오게 되었다.
도 3은 상기 VDRT에 관한 기본적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3a는 VDRT를 지원하지 않는 모드를 설명하고, 도 3b는 VDRT를 지원하는 모드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도 3a에서, 인터리버( Interleaver) 301은 채널부호기(channel encoder)로부터의 N개의 부호심볼들(coded symbol, c[n])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인터리버 301의 크기는 상기 채널부호기로부터 출력되는 부호심볼들의 개수(N)와 동일하다. 한편, 도 3b를 참조하면, 반복기(Repetition Block) 300은 채널부호기로부터의 L개의 부호심볼들을 주어진 반복횟수(x1,x2,x4) 만큼 반복하여 N개의 부호심볼들(Repeated coded symbols, r[n])을 출력한다. 인터리버 301은 상기 반복기 300으로부터의 N개의 부호심볼들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VDRT 모드는 채널상황 등이 좋지 않을 경우, 낮은 데이터율의 채널부호화된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인터리버는 초기 호 셋업시에 정해진 사이즈의 인터리버를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초기 기지국(Base Station)과 이동국(Mobile Station)간의 호 셋업(Call Setup)시에 데이터율이 76.8kbps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면, 블록 인터리버의 사이즈는 3074가 된다. 만일, VDRT가 지원된다면 채널 상황이 나빠지거나 기지국의 전력 부하게 좋지 않을 경우, 기 설정된 데이터율(= 76.8kbps) 보다 낮은 데이터율로 전송하여 부족하지만 여분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VDRT 수행시 사용할수 있는 데이터율은 같은 RC(Radio Configuration)에서 38.4kbps, 19.2kbps정도이다. VDRT를 지원할 경우 전송 가능한 데이터율의 개수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기준 최대지정 데이터율(Maximum Assigned data rate)의 하위 2개의 데이터율 까지를 전송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38.4 kbps로 전송한다면 VDRT를 위한 반복기(repetition block) 300는 채널 부호화된(channel encoding)된 신호를 2번 반복하고, 19.2kbps 인 경우에는 4번 반복하여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블록 인터리버 301은 초기 호 셋업시에 정해진 76.8kbps용 3072 사이즈의 인터리버이다.
하기 <표 1>은 호 셋업시 결정된 데이터율에 따른 전송가능한 데이터율을 보여준다.
호셋업시에 결정된 데이타율 전송가능한 데이터율 사용될 블록인터리버 사이즈
F-SCH RC3(1/4) F-SCH RC4 (1/2) F-SCH RC5(3/8)
19.2kbps 19.2kbps 1536
38.4kbps 38.4kbps19.2kbps 38.4kbps19.2kbps 3072
76.8kbps 76.8kbps38.4kbps19.2kbps 76.8kbps38.4kbps19.2kbps 6144
153.6kbps 153.6kbps76.8kbps38.4kbps 153.6kbps76.8kbps38.4kbps 12288
28.8kbps 28.8kbps 1536
57.6kbps 57.6kbps28.8kbps 3072
115.2kbps 115.2kbps57.6kbps28.8kbps 6144
상기 표 1은 순방향 부가채널(F-SCH)에서의 VDRT 모드이므로, 가변적인 데이터율은 순방향 부가채널을 위해 지원되는 데이터율 집합내에서 매 20msec 프레임마다 유동적으로 변한다. 따라서, 부가채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상기 BRD(Blind Rate Detection)을 통해 데이터율을 검출해야 한다. 한편, 상기 표 1에서 VDRT를 지원하고 호 셋업시 결정된 데이터율이 19.2kbps라고 할 때 전송가능한 데이터율은 19.2kbps이다. 이는 순방향 기본채널(F-FCH) 영역인 9.6kbps, 4.8kbps가 19.2kbps 데이터율에 맞춰지기 때문에, 순방향 부가채널의 19.2kbps는 반복전송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포스트(post) BRD 방식을 첨부된 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순방향 기본채널에서 사용하는 길쌈 부호(Convolutional codes)를 이용한 사후 데이터율 결정(Post decision) 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도 2(RC3, R=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방향 기본채널의 경우 각각의 RC(Radio Configuration, RC1, RC2, RC3, RC5)는 채널 인터리버가 데이터율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채널 인터리버의 사이즈에 맞추기 위해, 9.6kbps인 경우는 x1(한번 반복), 4.8kbps인 경우는 x2(두 번 반복), 2.7kbps인 경우는 x4(4번 반복), 1.5kbps인 경우는 x8(8번 반복) 만큼 반복되어 전송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수신기는 401단계에서 결합기(Combiner)로 부터 4bit (터보 코드의 경우는 6bit)의 데이터를 디인터리버(deinterleaver)의 입력하여 디인터리빙을 수행한다. 그리고, 403단계에서 상기 4bit 데이터는 상기 디인터리버의 랩(RAM)에 저장되고, 천공(Puncturing)을 수행한 데이터율의 경우(예를들어, RC3의 1.5kbps, 2.7kbps의 1/5, 1/9 puncturing 등)에는 그에 상응하는 제로삽입(zero insertion)을 수행한다. 이후, 405단계에서 상기 제로삽입된 데이터를 SMT(Symbol Metric Table : 반복되어진 symbol값을 보정하는 block) 블록으로 전송하고, 407단계에서 상기 보정을 거친 데이터를 입력버퍼(input buffer)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423단계에서 상기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터비 디코더(Viterbi decoder)를 통해 CRC 검사와 디코딩하고, 425단계에서 디코딩 결과를 출력버퍼(output buffer)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419단계에서 심볼에러(symbol error)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입력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하드 디시젼(hard decision)을 하고,필요하면(각 RC에 천공블럭(puncturing block)이 있으면) 421단계에서 천공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비터비 디코딩한 데이터는 409단계에서 다시 코딩(re-encoding)을 수행한다. 이렇게 다시 코딩된 데이터는 411단계에서다시 천공을 수행한후, 413단계에서 상기 하드 디시젼한 데이터와 심볼대심볼(symbol by symbol)로 비교하게 된다. 여기서 천공된 데이터는 비교를 하지 않는다. 그리고, 415단계에서 각 레이트 셋(rate set)마다 심볼 에러를 카운트하여 심볼 에러의 개수를 레이트 셋 별로 정규화(normalization) 한다. 이렇게 정규화된 값을 SER(SYMBOL ERROR RATE)이라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417단계에서 각 레이트 셋 별로 구해진 CRC 값과 SER 값을 가지고 데이터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데이터율 결정을 위한 판단 우선순위는 먼저 CRC이고, 그 다음에 SER 이다. 다시말해, 4개의 레이트 셋 중 CRC가 정상(good)이라고 판단되면, 그 레이트 셋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두개의 CRC가 동시에 정상이라고 판단되면 SER 값으로 데이터율을 결정한다. 즉, 두 개의 데이터율의 SER 값을 비교하고 각각 SER 기준값(Threshold)과 비교한다. 만일, 비교상대의 SER 보다 작고, 상기 SER 기준값보다 작으면 그 데이터율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SER 기준값은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 얻는 것으로, 소정 전송데이타를 가지고 각각 다른 데이터율이라 가정하고 디코딩했을 때 나타나는 SER 값의 분포를 보고 기준값을 결정하게 된다. 이는, RC4, 9.6kbps로 전송하였다고 가정하면, 디코더 단에서 9.6kbps라고 가정하고 디코딩했을 때의 SER값이 다른 데이터율이라 가정하고 디코딩했을때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는 원리이다. 즉, 제대로 디코딩되었을때의 SER 분포를 통해 상기 SER기준값을 결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 프레임의 디코딩을 위해서는 수신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전송율 정보가 필요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기술에 따른 데이터율 결정방식(Post-BRD)은 가능한 4가지 전송률(rate set)에 관해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가지고 전송률을 판단한다. 따라서 복호 시간 지연, 전력 소모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종래 기술은 디코딩을 위해 전송률의 모든 경우에 대해서 디코딩을 반복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 전송한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작업 이외의 불필요한 디코딩이 더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디코딩을 수행하지 않고도, 실제 수신된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정확한 전송률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코딩 전에 전송률을 검출하고, 상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실제 필요한 디코딩만을 수행하는 사전 데이터율 결정(pre-decision)방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데이터의 반복전송 특성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데이터 간의 각기 다른 상관관계를 가지고 데이터율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후 데이터율 결정방식에 나타났던 불필요한 복호과정을 제거하고, 복호시간 및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데이터율 검출장치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수신장치가,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수신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이웃(인접)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출기는, 상기 심볼열에서 홀수번째 심볼과 짝수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구하는 제1상관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4개의 심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각 그룹당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4n+1번째 심볼과 4n+3번째, 4n+1번째 심볼과 4n+4번째 심볼, 4n+2번째 심볼과 4n+3번째 심볼간의 상관값을 구해도 가능함. 여기서 n = 0,1,2,3,...)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2평균값을 구하는 제2상관기와,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을 상관여부를 알수 있는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반복특성과 상기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데이터율 검출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전송환경 열하시 초기 결정된 데이터율보다 낮은 소정의 데이터율로 통신하는 가변데이터율전송 모드에서의 수신기의 데이터율 검출 방법이,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2n+1(n=0,1,2,3,...)번째심볼과 2n+2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1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4n+2번째 심볼과 4n+3번째 심볼(4n+1번째심볼과 4n+3번째, 4n+1번째 심볼과 4n+4번째 심볼, 4n+2번째 심볼과 와 4n+3번째 심볼간의 상관값을 구해도 가능함. 여기서 n = 0, 1, 2, 3..)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2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을 상관여부를 알수 있는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IS-95A/95B 순방향 트래픽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IS-2000 순방향 기본채널(fundamental channel) 및 부가채널(supplemental channel)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가변데이터율전송(VDRT)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스트 데이터율 결정(post BRD)방식에 따른 처리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자기상관함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율 검출을 위해, x1 신호를 상관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율 검출을 위해, x2 신호를 상관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율 검출을 위해, x4 신호를 상관하는 두 가지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시뮬레이션을 위해 사용된 채널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라, x1 신호를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나타내는 확률분포함수(pdf)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x2 신호를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나타나는 확률분포함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라, x4 신호를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나타나는 확률분포함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제 링크 시뮬레이터에서 추출한 하나의 프레임의 자기상관함수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데이터의 자기상관에 의해 데이터율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b는 상기 도 14a의 구성들에 대한 제어클럭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데이터의 자기상관관계에 의해 데이터율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전 데이터율 결정 방식은 수신신호의 상관(Correlation) 값을 측정하여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값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기상관(Autocorrelation function, Rxx(τ))함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상기 자기상관함수 Rxx(τ)은 "Rxx(τ) = E[X(t)*X(t+τ)]"로 정의된다. 이 함수는 그 신호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X(t)라는 신호와 X(t+τ)라는 신호가 서로 상관관계가 없으면 Rxx(τ)는 "0"에 가까운 값을 나타내고, 상기 두 신호가 상관관계가 있으면 정규화되어 있는 경우 "1"에 가까운 값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면 도 5는 상기 자기상관함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바와 같이 X(t)라는 신호를 자기상관하였을때(즉, 소정시간(τ) 지연시킨 신호 X(t+τ)와 상관하였을 때) T점에서 가장 큰 상관성을 가지고 0시점과 2T시점에서 가장 작은 상관성을 가지는 삼각함수가 나타남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자기상관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x1(1번 반복 전송), x2(2 번 반복 전송), x4(4번 반복 전송) 신호를 구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방식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자기상관함수는 아니지만 상기 자기상관함수를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구분한다. 즉, 이웃하는(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심볼들을 상관하여 상관값을 구해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현재 수신된 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결정한다.
이하 설명되는 방법1(method 1)은 인접한 홀수번째 심볼과 짝수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평균을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방법2(method 2)는 4개의 심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생각할 때 각 그룹 당 2번째, 3번째(또는 1번째와 3번째, 1번째와 4번째, 2번째와 4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두가지 방법들은 수신데이터의 반복특성을 구별하기 위한 방법이다.
예를들어, 수신신호가 x1(1번 반복 전송) 신호인 경우, 상기 방법1과 방법2에 의한 상관값은 심볼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0" 에 가까운 값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x2(두번 반복 전송) 신호인 경우 방법1에 대해서는 두 심볼이 서로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1"에 가까운 값이 나오고, 방법2에 대해서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0" 에 가까운 값이 나올 것이다. 이렇게 4X(4번 반복) 신호에도 적용시키면 방법1과 방법2 모두 "1"에 가까운 값이 나올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x1, x2, x4 신호들은 방법1, 방법2에 의해 각기 다른 상관값을 가진다. 좀더 상세히, 첨부된 도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6은 x1(1번 반복) 신호에 대해서 방법1과 방법2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x1 신호는 심볼이 한번 반복되어 전송(혹은 반복되지 않고 전송)된 경우로, 방법1에 의해 1번째 심볼과 2번째 심볼, 3번째 심볼과 4번째 심볼,...을 상관하여도 인접한 두 심볼이 상관관계(또는 유사성)가 없으므로 상관값이 "0"에 가깝다. 한편, 방법2에 의해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 6번째 심볼과 7번째 심볼,..을 상관해도 인접한 두 심볼이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상관값이 거의 "0"에 가깝다.
상기 도 7은 x2(2번 반복) 신호에 대해서 방법1과 방법2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x2 신호는 심볼이 두 번 반복되어 전송된 경우로, 방법1에 의해 1번째 심볼과 2번째 심볼, 3번째 심볼과 4번째 심볼,...을 상관할 경우 인접한 두 심볼이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상관값이 "1"에 가깝다. 한편, 방법2에 의해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 6번째 심볼과 7번째 심볼,...을 상관하여도 두 심볼이 상관관계가 없으므로 상관값이 "0"에 가깝다.
상기 도 8은 x4(4번 반복) 신호에 대해서 방법1과 방법2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x4 신호는 심볼이 네 번 반복되어 전송된 경우로, 방법1에 의해 1번째 심볼과 2번째 심볼, 3번째 심볼과 4번째 심볼,...을 상관할 경우 인접한 두 심볼이 상관관계에 있으므로 상관값이 "1"에 가깝다. 한편, 방법2에 의해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 6번째 심볼과 7번째 심볼,...을 상관해도 두 심볼이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상관값이 "1"에 가깝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방법1과 방법2에 얻어진 두 개의 상관값을 가지고 수신데이터의 반복특성을 결정할수 있다. 하기 <표 2>는 방법1과 방법2에 의해 얻어지는 결과값을 대응하는 수신데이터의 반복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들어, 방법1과 방법2의 결과값이 모두 "0"인 경우 전송데이터는 1번 반복되어 전송되어진 것이고, 방법1과 방법2의 결과값이 모두 "1" 인 경우 전송데이터는 4번 반복되어 전송되어진 것을 의미한다.
번호 신호형태 상관값
방법1 방법2
1 x1 0 0
2 x2 1 0
3 x4 1 1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12는 화이트 가우시안 잡음(AWGN) 채널 환경하에서 반복 전송(x1,x2,x4) 된 신호를 방법1과 방법2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얻어지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준다. 여기서, 시뮬레이션 환경은 하기 <표 3>과 같다.
- Rayleigh Fading Channel- Fixed Point- Eb/No :0 (dB) (Worst Case)- Simulation Frame : 2000 frame- Code Rate : 1/2- Channel Interleaver Size : 1536 ( 76.8 ksps)
그리고, 사용된 채널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채널구조는 RC4에 해당하는 경우이고, 부호화율(R)이 1/2이며, 반복특성(repetition factor)가 전송데이터에 따라 x1,x2,x4,x8인 것을 보여준다.
도 10a 및 도 10b는 x1 신호를 방법1과 방법2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구해지는 확률분포함수(pdf :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를 보여준다. 도 10a(방법1)의 경우 상관값이 "0" 근처에 분포하고 있고, 도 10b(방법2)의 경우도 상관값이 "0" 근처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x2 신호를 방법1과 방법2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구해지는 확률분포함수(pdf :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를 보여준다. 도 11a(방법1)의 경우 상관값이 "50" 근처에 분포하고 있고, 도 11b(방법2)의 경우 상관값이 "0" 근처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x4 신호를 방법1과 방법2에 의해 상관하였을 때 구해지는 확률분포함수(pdf :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를 보여준다. 도 12a(방법1)의 경우 상관값이 "50" 근처에 분포하고 있고, 도 11b(방법2)의 경우도 상관값이 "50" 근처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x1, x2, x4)에 대해 방법1과 방법2에 대한 PDF가 뚜렷하게 구분이 되고 있다. 상관성이 있는 경우에는 "50" 근처에서 상관값이 분포하고 있고, 상관성이 없는 경우에는 "0"근처에서 분포하고 있다. 즉, 하나의 프레임에 대해 방법1과 방법2의 상관값의 차이는 뚜렷하게 구분이 된다. 따라서, 20에서 30사이의 값을 기준값으로 정하여 상관여부를 판단한다.
도 13은 IS-2000 시스템의 수신기 상황을 모두 고려한 링크 시뮬레이터(Link Simulator)에서의 상기와 같은 상관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환경은 하기 <표 4>와 같다.
- RC4 (1/2), 6 path, 4 finger, 30km/h, 10 frame- 기준 전송 레이트 : 76.8kbps- 766.8k(Ec/Ior=-9dB), 38.4k(-12dB), 19.2k(-15dB) => FER 1% target
도 13a는 76.8kbs(d786) 데이터를 1번 반복(x1)하여 전송한 신호의 상관값을 보여주고, 도 13b는 38.4kbps(d384) 데이터를 2번 반복(x2)하여 전송한 신호의 상관값을 보여주며, 도 13c는 19.2kbps(d192) 데이터를 4번 반복(x4)하여 전송한 신호의 상관값을 보여준다. 상기 d768인 경우는 자기 신호의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이므로 같은 신호가 겹쳐질 때에 가장 큰 값을 가진다. 예를들어, 전송하는 신호가 x1인 경우 임펄스(impulse)신호는 1개이고, x2인 경우 임펄스 신호가 2개이며, x4의 경우 임펄스 신호가 4개라 하면, 이것에 대한 컨볼루션(Convolution) 연산은 도시된 바와 같이, x1신호는 도 13a와 같이, x2신호는 도 13b와 같이, x4신호는 도 13c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이 실제 물리채널(Physical channel) 상에서도 통용됨을 알수 있다. 즉, 실제 시스템의 물리채널(Physical channel)과 수신모델(receiver model)에서도 반복전송에 의한 상관값(correlation factor)을 정확히 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식의 실시 예들을 살펴본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상관(autocorrelation)에 의한 데이터율(data rate) 검출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b는 상기 데이터율 검출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클럭들을 시간축을 기준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SYM_CLK"는 심볼클럭이고, "ACC1"은 방법1에 따른 제1누적기 144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클럭으로 두 개의 심볼클럭마다 인에이블(enable)되고, "DIV1"은 제1평균기 1452를 동작시키는 제어클럭으로 하나의 프레임 주기마다 인에이블되며, "ACC2"은 방법2에 따른 제2누적기 1453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클럭으로 두 개의 심볼클럭마다 인에이블되고, "DIV2"은 제2평균기 1463를 동작시키는 제어클럭으로 하나의 프레임 주기마다 인에이블된다.
상기 도 14a를 참조하면, 수신신호를 역확산하는 수신기1401, 방법1에 의한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제1상관기 1402, 방법2에 의한 자기상관을 수행하는 제2상관기 1403 및 상기 제1,2 상관기로부터의 상관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비교기 140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상관기 1402는 상기한 방법1에서와 같이 1번째 심볼과 2번째 심볼, 3번째 심볼과 4번째 심볼,...을 상관하고, 그에 따른 상관값들을 누적하여 평균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2상관기 1403은 상기한 방법2에서와 같이 1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 5번째 심볼과 7번째 심볼,...을 상관하고, 그에 따른 상관값들을 누적하여 평균하여 출력한다.
상세히, 상기 수신기 1401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radio frequency) 신호를 주파수 하향 조정하여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역확산(deapreading)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symbol data)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제1스위치 1412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기 1401로부터의 홀수번째(1,3,5,7...) 심볼들을 제1곱셈기1432로 전달하고, 짝수번째(2,4,6,8...) 심볼들을 지연기 1422로 전달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상기 지연기 1422는 상기 스위치 1412로부터의 심볼을 하나의 심볼클럭 동안 보유했다가 출력한다. 상기 곱셈기 1432는 상기 스위치1412로부터의 심볼과 상기 지연기 1422로부터의 심볼을 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곱셈기 1432는 1번째와 3번째 심볼, 3번째와 4번째 심볼...을 곱하여 상관값들을 출력하게 된다. 제1누적기 1442는 상기 ACC1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곱셈기 1432에서 출력되는 상관값들을 누적하여 출력한다. 제1평균기 1452는 상기 DIV1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1누적기 1442로부터의 누적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1평균값을 산출하여 출력한다.
제2스위치 1413은 상기 제어기의 제어하에 상기 수신기 1401로부터의 3번째, 7번째, 11번째, 15번째 심볼,...즉, 4n+3 번째 심볼들은(n=0,1,2,3...) 제2곱셈기1443으로 전달하고, 나머지 심볼들(1번째, 2번째, 4번째, 5번째, 6번째, 8번째, 9번째, 10번째 등,...)은 지연기 1423으로 전달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상기 지연기 1423은 상기 스위치 1413으로부터의 심볼을 하나의 심볼클럭동안 보유했다가 출력한다. 지연기 1433은 상기 지연기 1423으로부터의 심볼을 하나의 심볼클럭동안 보유했다가 출력한다. 상기 제2곱셈기 1443은 상기 스위치1413로부터의 심볼과 상기 지연기 1433으로 부터의 심볼을 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곱셈기 1443은 1번째심볼과 3번째 심볼, 5번째 심볼과 7번째 심볼,...을 곱하여 상관값들을 출력하게 된다. 제2누적기 1453은 상기 ACC2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곱셈기 1443에서 출력되는 상관값들을 누적하여 출력한다. 제2평균기 1463은 상기 DIV1 클럭에 응답하여 상기 제2누적기 1453으로부터의 누적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2평균값을 구해 출력한다.
데이터율 검출기1404는 상기 제1평균기 1452 및 상기 제2평균기 1463으로부터의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을 상관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수신데이터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결정한다. 즉, 상기 데이터율 검출기 1404는 상기 표 2와 같은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1평균값과 제2평균값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x1(1번 반복 전송) 신호라 판단하고, 상기 제1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작으면 x2 신호라 판단하며,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크면 x4 신호라 판단한다. 그러면, 상위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결정된 데이터율에 근거하여 복호기(decoder)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복호이전의 데이터의 특성으로부터 데이터율을 판단하고, 이를 바로 복호에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에 데이터율을 결정하기 위해 행하였던 불필요한 복호과정들을 제거할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 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1501단계에서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한다. 1503단계에서 변수(n)를 "0"으로 초기화한다. 이후, 1507단계에서 2n+1번째 심볼(S2n+1)과 2n+2번째 심볼(S2n+2)을 상관하여 제1상관값을 구하고, 1509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제1상관값을 누적한다. 그리고, 1511단계에서 프레임 구간에 대해서 제1상관값을 모두 구했는지 검사한다. 만일, 모두 구하지 않았으면 1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n)을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1507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과정을 재수행한다. 반면, 프레임 구간에 대해서 제1상관값을 모두 구했다면 1513단계로 진행하여 제1상관값들을 누적한 제1누적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1평균값을 구한다. 상기 1507단계에서 상기 1513단계까지는 1번째 심볼과 2번째 심볼, 3번째 심볼과 4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제1상관값들을 구하고, 상기 구해진 제1상관값들을 누적하고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한편,1515단계에서 4n+2번째 심볼(S4n+2)과 4n+3번째 심볼(S4n+3)을 상관하여 제2상관값을 구하고, 1517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제2상관값을 누적한다. 여기서, 4n+1번째 심볼(S4n+1)과 4n+3번째 심볼(S4n+3),4n+1번째 심볼(S4n+1)과 4n+4번째 심볼(S4n+4) 4n+2번째 심볼(S4n+2)과 4n+4번째 심볼(S4n+4)간 상관값을 구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여기서 n = 0,1,2,3...이다. 그리고, 1519단계에서 프레임 구간에 대해서 제2상관값을 모두 구했는지 검사한다. 만일, 모두 구하지 않았으면 상기 15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수(N)을 "1"만큼 증가시킨후 상기 151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과정을 재수행한다. 반면, 프레임 구간에 대해서 제2상관값을 모두 구했다면 1521단계로 진행하여 제2상관값들을 모두 누적한 제1누적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1평균값을 구한다.
그리고, 1523단계에서 상기 구해진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을 상관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수신데이터의 반복특성(x1,x2,x4)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결정한다.
가변데이터율전송(VDRT) 모드는 채널상황 등이 좋지 않을 경우, 낮은 데이터율의 전송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인터리버는 초기 호 셋업시에 정해진 사이즈를 사용하게 되므로, 채널부호화된 데이터를 반복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은 수신측에서 상기와 같은 반복특성을 이용하여 수신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검출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호(decoding)과정 이전에 데이터율(혹은 데이터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가지고 필요한 복호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포스트 결정방식에서 나타났던 불필요한 복호과정을 제거할수 있다. 즉, 복호시간 및 전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수신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인접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는,
    상기 심볼열에서 홀수번째 심볼과 짝수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구하는 제1상관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4n+2(n=0,1,2,3,...)번째 심볼과 4n+3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2평균값을 구하는 제2상관기와,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1평균값을 각각 상관여부를 알수 있는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반복특성과 상기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데이터율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한번반복(x1)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두 번반복(x2)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클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네번반복(x4)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6.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수신기와,
    상기 심볼열에서 이웃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상기 검출된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심볼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장치.
  7. 전송환경 열하시 초기 결정된 데이터율보다 낮은 소정의 데이터율로 전송되는 전송데이터를 상기 초기 결정된 데이터율에 대응하는 인터리버 사이즈에 부합하도록 소정횟수 반복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의 상기 전송데이터를 수신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고, 상기 심볼열에서 인접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전송데이터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수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송환경 열하시 초기 결정된 데이터율보다 낮은 소정의 데이터율로 통신하는 가변데이터율전송 모드에서의 수신기의 데이터율 검출 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2n+1(n=0,1,2,3,...)번째 심볼과 2n+2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1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4n+2번째 심볼과 4n+3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상관횟수로 나누어 제2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을 각각 상관여부를 알수 있는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한번반복(x1)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두 번반복(x2)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네 번반복(x4)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인접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과정은,
    상기 심볼열에서 홀수번째 심볼과 짝수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1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4개의 심볼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묶고, 각 그룹당 2번째 심볼과 3번째 심볼을 상관하여 프레임 구간동안 누적하고, 상기 누적한 값을 평균하여 제2평균값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을 각각 상관여부를 알수 있는 소정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반복특성과 상기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한번반복(x1)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크고, 상기 제2평균값은 상기 기준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두 번반복(x2)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평균값과 상기 제2평균값이 모두 상기 기준값보다 클경우 상기 반복특성이 네번반복(x4)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17. 수신신호를 역확산하여 심볼열을 가지는 심볼데이터로 복조하는 과정과,
    상기 심볼열에서 이웃하는 두 심볼의 상관성에 따라 상기 수신신호의 반복특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반복특성과 호셋업시 결정된 초기 데이터율을 가지고상기 수신신호의 데이터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데이터율을 가지고 상기 심볼데이터를 복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방법.
KR1020000052700A 2000-09-06 2000-09-06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70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700A KR100703432B1 (ko) 2000-09-06 2000-09-06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700A KR100703432B1 (ko) 2000-09-06 2000-09-06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700A true KR20020019700A (ko) 2002-03-13
KR100703432B1 KR100703432B1 (ko) 2007-04-03

Family

ID=1968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700A KR100703432B1 (ko) 2000-09-06 2000-09-06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834B2 (en) 2014-07-25 2016-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PSK de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6392B2 (ja) * 1994-11-16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レート検出器
KR100242431B1 (ko) * 1997-10-15 2000-02-01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율 판정장치 및방법
KR100444980B1 (ko) * 1998-08-31 200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율로전송된데이터의데이터율결정방법및장치
US6377618B1 (en) * 1998-12-30 2002-04-23 Agere Systems Guardian Corp. Auto-correlation system and method for rate detection of a data communication chann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19834B2 (en) 2014-07-25 2016-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 MPSK demod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432B1 (ko) 200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15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in the transport format indicators (TFI) of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AU20032146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917629B1 (en) Rate detection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KR20010022343A (ko) 가변속도 통신시스템에서 수신데이터 속도를 결정하는방법 및 장치
AU20043060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 forward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packet data service
MXPA04007173A (es) Combinacion selectiva de multiples transmisiones no sincronas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inalambrica.
KR100342281B1 (ko) 송신 전력 제어 장치
KR100262934B1 (ko) 전파환경의 변화에 따른 전송율 가변 방법
KR100487221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EP1501208B1 (en) Power control method (outer-loop) in 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using pilot bits
JP2002528958A (ja) 直接シーケンス符号分割多重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転送速度検出
EP1506634B1 (en) Blind transport format detection for transmission link
KR100703432B1 (ko) 무선 통신시스템의 데이터율 검출장치 및 방법
EP1142238B1 (en) Method for determining frame rate of a data fram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44298B1 (ko) 포맷 검출 방법
KR100416987B1 (ko) 통신시스템의부가정보삽입장치및방법
GB2389021A (en) Blind transport format detection with preselection of candidate transport formats
KR100450952B1 (ko) 다중화된 패킷데이터제어 채널의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69501B1 (ko) 물리채널 전송 포맷 검출 방법
CN100431287C (zh) 可变速率通信系统中的速率检测方法
US71303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me rate determination without decoding in a spread spectrum receiver
KR10055072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 채널의 레이트지시방법 및 그 레이트 결정방법
MXPA990040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rate determination
MXPA990039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ariable rate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