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699A -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699A
KR20020019699A KR1020000052699A KR20000052699A KR20020019699A KR 20020019699 A KR20020019699 A KR 20020019699A KR 1020000052699 A KR1020000052699 A KR 1020000052699A KR 20000052699 A KR20000052699 A KR 20000052699A KR 20020019699 A KR20020019699 A KR 20020019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additional information
editing
input device
exter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853B1 (ko
Inventor
양재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5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7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infrared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과 외부 입력장치간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가 편집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편집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으로 인식하여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를 변경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METHOD FOR EDI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EXTER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메뉴 편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과 같이 사용자의 휴대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기 또는 소형을 요구하는 기기 등에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사이즈 및 구성이 소형, 단순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 휴대폰에는 기본적으로 10개의 숫자키 및 몇 개의 기능키가 구비되는 것이 고작이다.
그런데 이에 반해 휴대폰의 각종 부가기능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어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제한 적인 휴대폰의 키를 이용하여 각종 부가기능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많았다.
즉, 예를 들어 휴대폰에서 무선 인터넷을 위한 왑 서비스 수행시 사용자는 왑 서비스를 위한 해당 인터넷 URL의 주소를 상기 휴대폰의 구비된 키들을 여러 번 조작하여 일일이 입력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개인 전화번호부에 다수의 전화번호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함께 입력시키는 경우에도 숫자 키와 문자 키를 혼용하여 복잡한 조작을 수행하는 등 부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입력시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에서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을 위한 데이터 입력을 용이하도록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과 외부 입력장치간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가 편집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편집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으로 인식하여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를 변경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외선 통신 설정된 휴대폰과 외부 PC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PC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부 PC에서의 휴대폰 부가기능 메뉴 화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외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정된 PC와 휴대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휴대폰(100)의 블록 구성도를 살펴보면, 제어부(108)는 메모리(106)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외부 PC(112)와의 접속 요구가 있는 경우 적외선(Infrared: IR) 송/수신부(110)를 통해 외부 PC와 의 적외선 통신 경로를 설정한다. 메모리(106)는제어부(108)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8)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키입력부(102)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를 가지는 키패널(Key Panel) 또는 터치패널(Touch Panel) 등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제어부(108)에 인가한다. 표시부(104)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의해 휴대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IR 송/수신부(110)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휴대폰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외부 PC로 적외선 송신하며, 외부 PC로부터 적외선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08)로 인가한다.
다음으로 PC(112)의 블록 구성도를 살펴보면, 중앙처리장치(116)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PC 각부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폰(100)과 적외선 통신 경로로 접속되는 경우 하이퍼 터미널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송되는 휴대폰 부가기능 메뉴 화면을 모니터(118)에 디스플레이시킨다. 메모리(120)는 중앙처리장치(116)의 동작 프로그램 및 각종 참조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16)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키보드(122)는 다수의 숫자, 문자키와 기능키를 구비하며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16)에 인가한다. 모니터(118)는 중앙처리장치(116)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PC의 각종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IR 송/수신부(114)는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적외선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로 인가하며, PC로부터 편집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휴대폰으로 적외선 송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을 위한 휴대폰 및 PC에서의 동작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서는 외부 입력장치로 PC를 연결하여 휴대폰의 각종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과정을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외부 PC장치를 휴대폰의 키입력 장치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폰과 PC간의 적외선 통신 연결을 설정하도록 구비된 외부 입력장치 접속 요구 키를 입력시키게 된다. 상기 외부 입력장치 접속 요구 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폰과 PC를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키로써, 휴대폰상에 별도의 기능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종래 휴대폰상의 키를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휴대폰의 제어부(108)는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장치 접속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도 2의 (2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02)단계로 진행해서 IR 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외부 PC(112)와의 IR 통신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어 제어부(108)는 (204)단계에서 휴대폰의 각종 부가정보를 편집할 수 있는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상기 IR통신 경로로 연결된 PC(112)로 전송하여 주고, (206)단계에서 상기 PC(112)로부터의 부가정보 편집 내용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PC의 중앙처리장치(116)는 (220)단계에서 상기 휴대폰 IR송/수신부(110)로부터의 적외선 통신 요구에 응답하여 (222)단계로 진행해서 외부 장치와의 통신 수행을 위한 하이퍼 터미널 통신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이어 중앙처리장치(116)는 (224)단계에서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전송되는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PC모니터(118)에 상기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시키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PC 모니터(11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폰 메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PC모니터(118)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폰 메뉴 화면은 휴대폰에서의 메뉴 화면 구성과 동일하며, PC(112)에서는 키보드(122)에 의해 메뉴 선택시 해당 메뉴의 세부 편집 화면으로 이동되어 편집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PC 모니터(118)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화면 중 원하는 메뉴를 키보드(122)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변경이 필요한 각종 부가정보를 키보드(122)를 이용하여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PC 중앙처리장치(116)는 (226)단계에서 키보드(122)를 통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휴대폰 부가정보 변경 입력을 인식하고, (228)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대응되게 휴대폰의 해당 부가정보를 편집한다. 이어 제어부(108)는 사용자로부터의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이 종료되는 경우 (23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32)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휴대폰의 각종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IR송/수신부(114)를 통해 휴대폰(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폰 제어부(108)는 (208)단계에서 상기 PC(112)로부터 전송되는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수신하는 경우 (210)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수신된 휴대폰의 각종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휴대폰 부가정보로 인식하여 메모리(106)에 저장시킨다. 이어 휴대폰 제어부(108)는 (212)단계로 진행해서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PC(112)와의 접속 종료를 요구하는 키의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상기PC(112)와의 접속 종료 요구가 있는 경우 (214)단계로 진행하여 IR송/수신부(110)를 제어하여 PC(112)와의 적외선 통신 접속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의 각종 부가기능 수행을 위한 부가정보의 입력, 변경, 저장을 PC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쉽게 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의 각종 부가기능 메뉴의 편집을 PC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가기능 메뉴의 편집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가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과 외부 입력장치간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가 편집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입력장치로부터 편집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으로 인식하여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를 변경 저장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경로 설정과정은,
    상기 휴대폰 사용자로부터의 외부 입력장치 접속 요구에 따라 상기 휴대폰과 외부 입력장치간에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 설정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에서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과정은,
    상기 휴대폰과 적외선 통신 경로가 설정되는 경우 하이퍼 터미널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휴대폰 부가기능 프로그램의 메뉴 화면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메뉴 화면에 응답한 사용자로부터의 부가정보 편집을 위한 키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키입력에 대응되게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편집을 위한 키입력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로부터 발생되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6. 외부 PC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과 PC간에 적외선 통신 경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부가기능 메뉴 프로그램을 상기 PC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휴대폰 부가기능 프로그램의 메뉴 화면을 PC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과,
    상기 메뉴 화면에 응답한 사용자로부터의 부가정보 편집을 위한 키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키입력에 대응되게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과정과,
    상기 편집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 편집내용을 상기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PC에서 편집된 부가정보 편집내용으로 상기 휴대폰 부가정보를 변경 저장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KR1020000052699A 2000-09-06 2000-09-06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KR100365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699A KR100365853B1 (ko) 2000-09-06 2000-09-06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699A KR100365853B1 (ko) 2000-09-06 2000-09-06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699A true KR20020019699A (ko) 2002-03-13
KR100365853B1 KR100365853B1 (ko) 2002-12-26

Family

ID=1968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699A KR100365853B1 (ko) 2000-09-06 2000-09-06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986A (ko) * 1997-08-12 1999-03-05 유기범 이동단말기에 내장된 사용 매뉴얼 검색시스템
KR19990016061A (ko) * 1997-08-12 1999-03-05 김용환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호출정보 표시 방법 및 문자정보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853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198B1 (e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7274927B2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data service
JP5143851B2 (ja) 無線通信端末
US7653411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infrared communication function
JP2002051140A (ja) セルラフォン及び該セルラフォンの駆動方法
KR20010111166A (ko) 휴대폰의 메뉴 아이콘 변경 방법 및 메뉴 구성 편집 방법
JP4678950B2 (ja) 携帯制御装置
US20030211865A1 (en) Controlling mobile telephone by operat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28355B1 (ko)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20040006855A (ko) 다기능 통합형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2006067620A (ja) 携帯電話機および端末装置
JP3600844B2 (ja) 入力文字の制限方法、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移動情報端末
KR100365853B1 (ko) 외부 입력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부가정보 편집방법
KR100677377B1 (ko) 휴대단말기의 다중 윈도우 운용장치 및 방법
KR1006907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28271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2058073A (ja) 携帯式無線情報送受信システム及び多国言語支援方法
JP469325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30052613A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인터넷 주소 저장 및 접속 방법
KR2003003799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인터넷 데이터 저장방법
KR2004008861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제공 방법
KR20030017594A (ko) 휴대폰의 메뉴 구성 편집방법
KR1004370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뉴 드라이브인 방법
KR100650691B1 (ko) 디스플레이화면 조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50068693A (ko) 다중 키입력기능이 구비된 무선 키보드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