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454A - Mini keyboard - Google Patents
Mini key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8454A KR20020018454A KR1020000051757A KR20000051757A KR20020018454A KR 20020018454 A KR20020018454 A KR 20020018454A KR 1020000051757 A KR1020000051757 A KR 1020000051757A KR 20000051757 A KR20000051757 A KR 20000051757A KR 20020018454 A KR20020018454 A KR 20020018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keyboard
- key
- keys
- speci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입력시 기존의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모든 입력키를 사용할 수 있고 입력키의 수를 40개 이하로 줄인 미니 키보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input device, and to a mini keyboard input device capable of using all input keys as used in a conventional keyboard and reducing the number of input keys to 40 or less when inputting characters.
키보드의 크기가 TV 리모콘 정도이며 무게도 가벼워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노트북 컴퓨터 및 셋톱박스 또는 컴퓨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마우스를 키보드 자체에 내장할 수 있어 별도의 마우스가 필요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간편하다.The size of the keyboard is about the size of a TV remote control, and it is light, so it is convenient to use as a handheld computer. It can be used in a notebook computer, set-top box, or a computer.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키보드는 문자입력부분과 특수키 입력부분으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고, 문자 입력부분은 12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및 숫자 등 모든 문자를 입력하고, 특수키 입력부분은 19-28개의 입력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기존 키보드의 모든 특수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In order to realize this, the keyboard is divided into a character input part and a special key input part, and the character input part is composed of 12 input keys. By using this, all characters such as Korean alphabet special characters and numbers are inputted, and special key input is performed. The part consists of 19-28 input keys, which are us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all the special keys of the existing keyboard.
Description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키보드는 입력키의 수가 적어도 100 개 이상으로 부피가 크고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이동시 크고 무거워 불편하다. 또한 현재는 각종 입력장치의 발달로 예전과 달리 입력키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특수키의 경우 마우스로 대체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문자 입력의 경우 스캐너 또는 음성으로 문자를 인식하고 있고 그 기술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입력장치로는 아직도 기존의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다.The keyboard we use today is not only bulky and space-intensive with at least 100 input keys, but also large and heavy when moving. Also, nowadays,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put devices, unlike the past, the input keys are not used much, and the special keys are mainly replaced by the mouse. In addition, text input is recognized by a scanner or a voice, and the technology is developing day by day. However, it still uses an existing keyboard as its input device.
특히 노트북의 경우 키보드가 노트북 크기의 약 1/2 을 차지하고 있고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서 이동시 불편함이 있고 셋톱박스의 경우 특히 키보드의 사용의 불편함이 많다.In particular, laptops take up about 1/2 of the size of a laptop, and the bulkiness and weight of the laptop are inconvenient for moving, and in the case of a set-top box, the keyboard is inconvenient.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키보드의 입력키 수를 40개 이하로 줄이고 크기도 TV 리모콘 정도로 하여 휴대가 편리하며 키보드를 기능은 기존의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presented in the related art, the number of input keys of the keyboard is reduced to 40 or less, and the size of the TV remote control is also convenient to carry, and the keyboard functions like all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keyboard. It can be used.
아울러 키보드 자체에 마우스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마우스를 필요하지 않게 하였다.In addition, the keyboard itself can be embedded to eliminate the need for a separate mouse.
도 1 미니 키보드의 입력키 40개의 입력키 부분 배열 상태도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ial arrangement of 40 input keys of a mini keyboard.
도 2 미니 키보드의 입력키 31개의 입력키 부분 배열 상태도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31 input keys of a mini keyboard
도 3 미니 키보드의 외형도Fig. 3 outline of the mini keyboard
이하,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미니 키보드의 입력키 40개의 입력부분 배열 상태도이고 도 2는 미니 키보드의 입력키 31개의 입력부분 배열 상태도이고 도 3은 미니 키보드의 외형 도를 각각 나타낸다.1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40 input keys of a mini keyboard, FIG. 2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31 input keys of a mini keyboard, and FIG. 3 shows an external view of the mini keyboard.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키보드는 특수키를 모아놓은 특수키 입력부와 각종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부로 구성되어 있다.First, the key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 special key input unit collecting special keys and a character input unit for inputting various characters.
<<실시 예1>><Example 1 >>
우선 먼저 문자 입력 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First, let's look at the character input unit.
문자 입력 부는 도 1 도 2에 나타낸바와 같이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숫자를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12개의 입력키로 구성되어 있다. 단 각 문자를 입력하면서 특수키의 일부(문자전환 입력키와 Shift 키)를 함께 사용한다.As shown in FIG. 1, the character input unit is a part for inputting Korean alphabetic special character numerals, and is composed of 12 input keys. However, while entering each character, use a part of special key (character change input key and shift key) together.
한글의 입력은 다음의 [표 1] 과 같이 문자를 조합하여 모든 한글을 표현한다.Hangul input represents all Korean characters by combining characters as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상기의 입력방법의 특징은 자음의 경우 기본자음 7자(ㄱ ㄴ ㄹ ㅁ ㅅ ㅇ -)를 7개의 입력키에 대응하여 이들을 획순에 의해 조합하여 자음 14자를 표기하고 쌍자음 5자(ㄲ ㄸ ㅃ ㅆ ㅉ)는 기본자음과 함께 배열하여 Shift 키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표기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input method is that in the case of consonants, the seven basic consonants (a b ㄹ ㅁ ㅅ ㅇ -) correspond to the seven input keys, combining them by stroke order, and writing 14 consonants, and 5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is arranged with basic consonants and marked by using Shift key.
모음의 경우 기본모음 10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5개의 입력키에 2개씩 할당하여 반복 누름으로 모음 10자를 선택한 후 이들을 획순에 의해 조합함으로서 쌍모음 11자를 표기함을 특징으로 한다.In case of vowel, assign 10 vowels (ㅑ ㅑ ㅓ ㅕ ㅛ ㅜ ㅠ ㅡ ㅣ) to 5 input keys, and select 10 vowels by pressing repeatedly, and combine them by stroke order to display 11 double vowels. It features.
예를 들면For example
ㅎ자의 경우 -+-+ㅇ과 같이 획순에 의해 조합하여 ㅎ을 표기하고In the case of ㅎ, ㅎ is written in combination by stroke order as - + - + ㅇ.
ㄲ자의 경우 Shift + ㄲ 키를 눌러 ㄲ을 표기한다.In the case of the letter Shift, press Shift + ㄲ to indicate ㄲ.
한글의 또 다른 입력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문자를 조합하여 모든 한글을 표현한다.Another input of Hangul expresses all Hangul by combining characters as shown in [Table 2].
[표 2]TABLE 2
상기의 입력방법의 특징은 기본자음 14자를 7개의 입력키에 2개씩 할당하고 기본모음 10자(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를 5개의 입력키에 2개씩 할당하며 쌍자음 5자(ㄲ ㄸ ㅃ ㅆ ㅉ)는 모음과 함께 배열하여 자음 쌍자음의 경우 Shift 키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모든 자음을 표기하고 모음의 경우 반복 누름으로 기본자음 10자를 선택한 후 이들을 획순에 의해 조합함으로서 쌍모음 11자를 표기한다.The above input method is characterized by assigning 14 basic consonants to 2 input keys and 10 basic vowels (2 to 5 input keys) and 5 consonants. (ㄲ ㄸ ㅃ ㅆ ㅉ) is arranged together with vowels to display all consonants by using the Shift key in the case of consonant twin consonants and to select 10 basic consonants by repeated pressing in case of vowels, and then combines them by stroke order. Write a letter.
예를 들면For example
ㅇㅎ 입력키의 경우 ㅇㅎ 입력키를 1번 누르면 ㅇ자가 표기되고ㅇㅎ Input Key ㅇㅎ Press once to display ㅇ
Shift + ㅇㅎ 입력키를 누르면 ㅎ자가 표기된다.If you press Shift + ㅇ input key, ㅎ will be displayed.
ㅏㅑㄲ 입력키의 경우 ㅏㅑㄲ 입력키를 1번 누르면 ㅏ 자가 표기되고ㅏ ㅑㄲ In case of input key, press ㅏ ㅑㄲ input key once to display ㅏ character.
ㅏㅑㄲ 입력키를 2번 누르면 ㅑ 자가 표기되고누르면 Press the Enter key twice. ㅑ is displayed.
Shift + ㅏㅑㄲ 입력키를 누르면 ㄲ 자가 표기된다.Pressing Shift + ㅏ ㅑㄲ enter key displays ㄲ.
다음 영문자 입력방법은 하기의 [표 3]과 같이 알파벳을 조합하여 모든 영문자를 표기한다.The following English letter input method displays all English letters by combining alphabets as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상기의 입력방법의 특징은 [표 3]과 같이 알파벳 26자를 12개의 입력키에 2-3개씩 할당하여 Shift 키를 누른 후 입력키를 눌러 알파벳을 선택할 수 있다.Characteristic of the above input method, as shown in Table 3, 26 letters of the alphabet can be assigned to 12 input keys 2-3 each time to press the Shift key and then press the input key to select the alphabet.
예를 들면For example
VWX 입력키의 경우 VWX 입력키를 1번 누르면 V 자가 표기되고VWX In case of input key, press VWX input key once to display V character.
Shift + VWX 누르면 W 자가 표기되고Press Shift + VWX to display the letter 되고
Shift + Shift + VWX 누르면 X 자가 표기된다.Pressing Shift + Shift + 된다 displays the letter X.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알파벳 26자를 12개의 입력키에 2-3개씩 할당하여 반복 누름으로 선택하고 문자 입력시 문자 입력 후 3초가 지나면 커서가 자동으로 다음 칸으로 자동 이동한다.Alternatively, the 26 letters of the alphabet are assigned to 12 input keys, each of 2-3 letters, to be pressed repeatedly. When the character is input, 3 seconds after the character is entered, the cursor automatically moves to the next cell.
다음은 영문자 또 다른 입력은 다음의 [표 4]와 같이 알파벳을 조합하여 모든 영문자를 표기한다.Next, the English letter inputs all alphabetic characters by combining alphabets as shown in [Table 4].
[표 4]TABLE 4
상기의 입력방법의 특징은 [표 4]와 같이 알파벳 26자를 12개의 입력키에 획순이 같은 것을 2-3개씩 할당하여 Shift 키를 누른 후 입력키를 눌러 알파벳을 선택할 수 있다.Characteristic of the above input method, as shown in [Table 4], 26 letters of the alphabet can be assigned to 12 input keys of the same stroke order 2-3 each by pressing the Shift key and then press the input key to select the alphabet.
예를 들면For example
VWY 입력키의 경우 VWY 입력키를 1번 누르면 V 자가 표기되고VWY In case of input key, press VWY input key once to display V character.
Shift + VWY 누르면 W 자가 표기되고Press Shift + VWY to display the letter 되고
Shift + Shift + VWY 누르면 Y 자가 표기된다.Pressing Shift + Shift + 된다 displays the letter Y.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알파벳 26자를 12개의 입력키에 획순이 같은 것을 2-3개씩 할당하여 반복 누름으로 선택하고 문자 입력시 문자 입력 후 3초가 지나면 커서가 자동으로 다음 칸으로 자동 이동한다.Alternatively, the 26 letters of the alphabet are assigned to 12 input keys with the same stroke order 2-3 times each time, and the cursor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next space after 3 seconds of character input.
다음은 특수문자 입력은 [표 5]와 같이 입력하여 모든 특수문자를 표기한다.The following shows special characters by entering them as shown in [Table 5].
[표 5]TABLE 5
상기의 입력방법의 특징은 [표 5]와 같이 12개의 입력키에 특수문자를 2-3개씩 할당하여 Shift 키를 누른 후 입력키를 눌러 알파벳을 선택할 수 있다.Characteristic of the above input method, as shown in Table 5, by assigning 2-3 special characters to 12 input keys by pressing the Shift key, you can select the alphabet by pressing the input key.
@$₩ 입력키의 경우 @$₩ 입력키를 1번 누르면 @ 자가 표기되고In the case of @ $ ₩ input key, press @ $ \\ input key once to display @ character.
Shift + @$₩ 누르면 $ 자가 표기되고When you press Shift +
Shift + Shift + @$₩ 누르면 ₩ 자가 표기된다.Press Shift + Shift + @ $ \\ to display the \ character.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12개의 입력키에 특수문자를 2-3개씩 할당하여 반복 누름으로 특수문자 선택하여 입력하며 입력 후 3초가 지나면 자동으로 다음 칸으로 커서가 자동 이동한다.Alternatively, assign two or three special characters to 12 input keys and select them by pressing repeatedly. After 3 seconds, the cursor automatically moves to the next column.
단 Shift 키를 사용할 때 1번 누르면과 같이 표기되고But if you use the Shift key once Is written as
2번 누르면과 같이 표기된다.Twice Is written as:
상기의 입력방법에서 한글 영문자 특수문자 숫자의 입력모드전환은 입력모드 전환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In the above input method, the input mode switching of the special characters of Korean alphabet letters is switched by using the input mode switching input key.
<<실시 예2>><Example 2 >>
다음은 특수키 입력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자.Next, the special key input unit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도 1 도 2와 같이 특수키 입력부는 19-28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키보드의 모든 기능을 이용한다.1, the special key input unit uses all 19-28 input keys as shown in FIG. 2.
또한 특수키 입력부의 모드 전환은 특수키 모드 전환 입력키(Fun Edit)를 사용하여 특수키 입력부의 입력 모드를 전환한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ing of the special key input unit uses the special key mode switching input key (Fun Edit) to switch the input mode of the special key input unit.
특수키의 입력 모드가 Fun 모드 일 경우 도 1은 아래의 [표 6]과 같이 도 2는 아래의 [표 7]과 같이 특수키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input mode of the special key is a fun mode, FIG. 1 may use a special key as shown in Table 6 below and FIG. 2 as shown in Table 7 below.
[표 6]TABLE 6
[표 7]TABLE 7
특수키의 입력 모드가 Edit 모드 일 경우 도 1은 아래의 [표 8]과 같이 도 2는 [표 9]와 같이 특수키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input mode of the special key is the edit mode, FIG. 1 may use a special key as shown in [Table 8] and FIG. 2 as shown in [Table 9].
[표 8]TABLE 8
[표 9]TABLE 9
하기의 도 2의 경우 상기의 [표 7]의 Fun 모드와 [표 9]의 Edit 모드에서 Shift 키를 같이 사용하는데 이때는 기존의 키보드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해당 입력키를 사용한다.In the case of FIG. 2 below, the Shift key is used in the Fun mode of the [Table 7] and the Edit mode of the [Table 9].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input key is used while the Shift key is pressed as in the existing keyboard. do.
예를 들면For example
End Home 키의 경우 End Home 키를 누르면 End 기능이 되고In case of End Home key, if you press End Home key, it becomes End function.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End Home 키를Holding the Shift key and pressing the End Home key
누르면 Home 기능이 된다.Press to become the Home function.
다음의 [표 10]은 특수키의 입력 모드와 관계없이 항상 사용할 수 있는 특수키이다.[Table 10] below shows special keys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input mode of special keys.
[표 10]TABLE 10
상기의 입력 방법 중 Shift 키를 사용하는데I use the Shift key in the above input method
문자 입력할 경우 Shift + 문자 입력부 입력키(12개)는 Shift 키를 누른 후 문자 입력부 입력키(12개)를 누르며For character input, press Shift + character input key (12) and then press the character input key (12).
특수키 입력할 경우 Shift + 특수키 입력부 입력키(19-28개)는 Shift 키를누른 상태에서 특수키 입력부 입력키(19-28개)를 누른다.In case of special key input, Shift + special key input part (19-28) press the special key input part (19-28) while pressing the Shift key.
Ctrl Alt 키와 함께 사용할 경우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것과 같이 Ctrl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입력키를 누른다.When used with the Ctrl Alt key, hold down the Ctrl Alt key as you would with a computer.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입력방법에 대한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 및 특수키 입력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In addition,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hat the character input method and the special key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특히 상기의 문자입력방법은 12개의 입력키를 사용하므로 전화나 휴대폰등 통신기기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입력키의 수를 10개 또는 11개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es 12 input keys, it can be used as it is for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telephone or a mobile phone, and the number of input keys can be changed to 10 or 11.
상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 특수키 입력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기술적 사상으로 미루어 같은 맥락에 있으면 본 특허의 청구범위에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Since the character input method and the special key input method may be modified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patent in the same context.
키보드 자체에 도 3과 같이 마우스를 내장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별도의 마우스가 필요 없이도 사용할 수 있다.The keyboard itself may be used as shown in FIG. 3, and thus may be used without a separate mouse.
또한 키보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작할 수 있어 사용 용도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을 사용할 수 있다You can also make your keyboard wired or wireless, so you can use either wired or wireless, depending on your intended use.
본 발명은 기존 키보드를 입력키의 수를 40개 이하로 줄임으로서 크기를 TV 리모콘 정도로 소형화함은 물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노트북 셋톱박스 컴퓨터 등에 사용될 수 있고 아울러 마우스를 자체 내장할 수 있어 별도의 마우스가 필요없으며 기능 면에서도 소형이면서도 기존의 키보드의 모든 기능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이 없고 또한 기존의 키보드와 사용방법이 동일하여 보다 편리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ize of the existing keyboard to less than 40 input keys to reduce the size of the TV remote control, as well as light and easy to carry, can be used in notebook set-top box computer, etc. In addition, a separate mouse can be built in itself There is no need for it, and it is small in terms of function and has all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keyboard, so there is no inconvenience for the user, and the same method as the existing keyboard can be used to input characters more conveniently.
아울러 노트북 컴퓨터에 이 키보드를 사용하면 노트북의 키보드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고 셋톱박스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keyboard can be used on a notebook computer to eliminate the notebook's keyboard, which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in size and used in set-top boxes.
또한 한글부분을 제거하고 키보드를 제작할 경우 수출도 가능하리라 생각된다.Also, if you remove the Hangul part and make a keyboard, you can export i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757A KR20020018454A (en) | 2000-09-01 | 2000-09-01 | Mini key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757A KR20020018454A (en) | 2000-09-01 | 2000-09-01 | Mini keyboar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8454A true KR20020018454A (en) | 2002-03-08 |
Family
ID=1968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1757A KR20020018454A (en) | 2000-09-01 | 2000-09-01 | Mini key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8454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3718B1 (en) * | 2002-05-27 | 2004-10-26 | 주식회사 아이템모아 | A portable keyboard |
KR100765873B1 (en) * | 2002-07-19 | 2007-10-11 |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 Grouped Serial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Block Transmission with Receive Diversity |
-
2000
- 2000-09-01 KR KR1020000051757A patent/KR2002001845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3718B1 (en) * | 2002-05-27 | 2004-10-26 | 주식회사 아이템모아 | A portable keyboard |
KR100765873B1 (en) * | 2002-07-19 | 2007-10-11 |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 Grouped Serial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Block Transmission with Receive Divers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56258B1 (en) | Keypad | |
US6947771B2 (en) |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JPH1115584A (en) | Character input system b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H06102979A (en) | One handed keyboard | |
KR20060101367A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number keys | |
KR20020018454A (en) | Mini keyboard | |
KR100340789B1 (en) | keypad arrangement structure for a letter input | |
KR19990009719U (en) | Hangul virtual keyboard | |
KR100415728B1 (en) |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using specific key-buttons and mobile phone implementing the same | |
JP4150987B2 (en) | Portable information equipment | |
KR20060026830A (en) | Portable keypad system | |
KR100373330B1 (en) |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0276288A (en) | Portable terminal | |
JP5522425B1 (en) | Japanese input metho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446552B1 (en) | A display methode of text for basic form character | |
KR20010073483A (en) | Easy korean keyboard | |
KR20020012823A (en) |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 |
KR20030060607A (en) | The Method of Character Arrangement in The Keyboard for PDA | |
KR100709309B1 (en) | Hangul consonant input device | |
KR100451191B1 (en) | Arrangement of hangle inputting key for key-pad of mobile phone | |
JP3109642U (en) |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 |
JP3072312U (en) | One-handed operation keyboard for information equipment | |
JP3108799U (en) | Key input device that enables input of romaji kana and English letters, numbers, and symbols in small terminal devices with character input functions such as cellular phones | |
KR200377783Y1 (en) | By function button Device about Sentence Mark arrangement on button for Mobile phone | |
KR20040022319A (en) | Method for a letter input of pd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