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482A - 면역항체증강제 - Google Patents

면역항체증강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482A
KR20020017482A KR1020000050835A KR20000050835A KR20020017482A KR 20020017482 A KR20020017482 A KR 20020017482A KR 1020000050835 A KR1020000050835 A KR 1020000050835A KR 20000050835 A KR20000050835 A KR 20000050835A KR 20020017482 A KR20020017482 A KR 20020017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
day
vitamin
selenium
immu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현
정재준
정진우
육순학
Original Assignee
정병현
정진우
정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정진우, 정재준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102000005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482A/ko
Publication of KR2002001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4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05Aliphatic or ali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7Retinol compounds, e.g. 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61K31/355Tocopherols, e.g.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9Compounds containing 9, 10- seco-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이나 가축의 면역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 것으로 CLA(공역리놀레인산, conjugted linoleic acid)과 셀레늄(Selenium), 지용성 비타민ADE복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CLA, 셀레늄, 비타민 ADE의 용량은 인간, 가축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르나 그 범위는 CLA는 10내지 400mg/kg/day용량으로, 셀레늄은 0.1내지 5㎍/kg/day용량으로, 비타민 ADE복합체에 있어 비타민A는 20내지 1,500IU/kg/day의 용량내에서 사용한다.
비타민 ADE복합체에 있어 비타민 A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비타민 A의 항산화 및 활성 증가를 위해 비타민D와 E의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D는 10내지 300IU/kg/day, 비타민E는 1내지 100mg/kg/day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레늄0.1내지 5㎍/kg/day으로 사용된다.
경구투여용 용액이나 정제 또는 현탁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락토스(lactose)나 전분(starch)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를 1가지 또는 그 이상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경구제의 경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e), 레시틴(lecithin) 등의 유화제로 유화시켜 주사용 멸균증류수나 생리식염수로 희석,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강제는 복합제제 형태로 투여하여 노약자, 신생아, 어린이, 임신산모 및 환자 및 노약가축, 신생가축, 어린가축, 임신가축 및 환축에게 투여하여 면역항체를 증강시키는 수단으로 캡슐, 정제, 과립 및 간유구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거나 주사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동물에게는 면역항체증강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사료와 함께 급여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면역항체증강제{Immunoglobulin Reinforc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인간이나 동물의 면역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 것으로 CLA(공역리놀레인산, conjugted linoleic acid)과 셀레늄(Selenium), 지용성 비타민ADE복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 것이다.
동물의 생체는 건강한 내부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상 외부의 자극이 있는 경우 생리학적으로 내분비가 변화하거나 세균에 대한 면역항체를 생산하거나 심박수 증가하는 등 신체내 내부환경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항상성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일예로서, 건강한 신체라면 일반적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생체에 침범하면 이에 대항할 수 있는 면역항체를 생체내에는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외부자극에 대한 항상성 능력이 떨어지면 질병에 걸리게 되는데 이 것은 외부자극에 대하여 생체가 대항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상태라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자극이 일반적인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었다면 체내에 있는 면역항체 수준이 낮거나 활성이 낮아서 세균에 저항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일반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인 과로, 영양부족, 스트레스, 질병, 노약자, 어린동물 등에서 일어나는 면역성 저하는 그 원인을 임상적으로 확인하여 상기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과 외부에서 만들어진 항체를 직접 주사하는 수혈, 항체의 기능을 돕기 위하여 감마글로불린을 투여하거나 동물에서는 도축장에서 도축의 부산물인 혈액을 건조시켜서 어린돼지에게 항체를 공급하였다. 또한, 비타민 A나 셀레늄을 투여하여 면역항체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나 이들의 단일투여로는 그 효과가 기대치 이하이어서 면역항체의 증강을 목적으로는 보조제로서의 역할을 할 뿐이다.
CLA는 아직 일반질병에 대한 면역증강을 목적으로 동물의 임상에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복합제제나 투여방법 및 효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없고, 주로 배양한 각종 암세포에 대한 연구(Belury et al., 1996, Liew et al., 1995, Ip et al., 1997. Schultz et al., 1992)와 체지방 감소에 대한 연구(West et al., 1997) 및 가축에게 투여하여 CLA가 함유된 계란이나 고기를 생산하는 등 경제성에 대한 연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Kelly et al., 1998.. Staples et al., 1996. Klusmeyer and Clark, 1991)
소량이기는 하지만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CLA는 우유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로서 1987년에 처음으로 이물질이 CLA임을 확인되었다. 그 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생리활성물질로서의 효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되어 항암성, 체지방 감소효과, 콜래스테롤 저하효과, 항산화제로서의 기능 등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미국특허 제 5,504,114호에는 조류 개체수의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CLA를 조류 미끼의 총중량 기준으로 약 0.1% 내지 1%정도를 첨가한 사료를 조류에 급여시켜 알의 부화를 조절하여 조류 게체수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564,646호에는 동물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용량의 CLA를 투여함으로써 동물의 체지방을 감소시키거나 사람의 체단백질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428,072호에는 동물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함량의 CLA를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함으로써 체중증가와 사료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8-26382호(특허등록 제218235호)에는 NRC사료에 옥수수기름 또는 홍화씨 기름으로부터 합성한 CLA를 1~5% 혼합한 사료를 난계에 급여하여 CLA를 함유하고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낮추는 기능성 달걀의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7-237호(특허등록 제166570호)에는 천축황, 그 물추출물 또는 이 물추출물을 분획한 분획물질을 에이즈(AIDS)의 치료 및 면역강화용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32884호(특허등록 제179338호)에는 가축질병의 치료 및 에방을 위한 면역증강을 위해 포도상 구균의 사균체 또는 정제 단백질; 그리고 보데텔라균의 정제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동물용 면역증강제가 게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CLA의 메커니즘 및 동물 체내에서의 면역증강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오랜 기간동안 예의연구한 결과CLA와 셀레늄(Selenium)과 비타민 A는 동물의 체내에서 면역항체의 합성을 자극하는 기전이 서로 다르다는 것에 착안점을 두고 CLA를 이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면역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그 방법으로 CLA와 셀레늄(Selenium)과 비타민 A는 동물의 체내에서 면역항체의 합성을 자극하는 기전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CLA 면역항체 증강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셀레늄(Selenium), 비타민 ADE복합체와의 복합제제로 사용하는 경우 상호간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면역항체를 더욱 증가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셀레늄, 비타민 ADE복합체 및 CLA는 각각 다른 기작(mechanism)에 의해 면역항체를 증강시킨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상호간의 상승작용 및 특이작용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면 유약자, 노인성 질환, 과로, 영양부족, 스트레스, 질병도중 등에 의해 일어나는 인체의 면역성 저하 및 유약동물, 노령동물, 스트레스, 질병으로 인한 동물의 면역항체를 최대한으로 증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고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간이나 동물의 면역항체를 증강시키기 위한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 것으로 CLA(공역리놀레인산, conjugted linoleic acid)과 셀레늄(Selenium), 지용성 비타민ADE 복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면역항체증강제에 관한것이다.
CLA, 셀레늄, 비타민 ADE 복합체의 용량은 인간, 동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그 범위는 CLA는 10내지 400mg/kg/day용량으로, 셀레늄은 0.1내지 5㎍/kg/day용량으로, 비타민 ADE복합체에 있어 비타민A는 20내지 1,500IU/kg/day의 용량내에서 사용한다.
CLA(공역리놀레인산, conjugted linoleic acid ; 이하 CLA라 함)이라는 물질은 1980년에 처음 발견된 신물질로 항암성, 항콜레스테롤성, 항곰팡이성, 동물체지방 감소효과 및 성장촉진, 항산화 기능, 면역성 기능을 가진 지방산의 일종이다.
CLA는 옥수수나 홍화씨 및 콩기름을 원료로 이성질체반응(chiral reaction)으로 합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연식품성분이고, 비교적 무독성이기 때문에 투여하는 용량은 충분한 효과만 있다면 중요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면역항체의 증강을 목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400mg/kg/day 용량이상으로 투여하는 것은 오히려 그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학인하였다.
미네랄인 셀레늄(Selenium, Se)은 생화학적인 역할은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glutathione peroxidase(GSH-PX)]의 구성성분이며, 세포생리에서 세포의 활동으로 생성되는 과산화수소와 과산화지방이 세포를 변성 또는 괴사시키는데 GSH-PX는 이 과산화수소와 과산화지방을 파괴시켜서 세포를 보호하고 비타민 E의 유효도를 강화시킨다. 그리고 비타민 E는 세포막에서 생성되는 과산화지방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서 셀레늄과 협동작용으로 세포의 기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셀레늄과 비타민 E는 면역항체를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셀레늄의 권장투여용량은 일반적으로 그 나라의 토양에 연관되어 식생활과 연장되는 것으로 국가에 따라 성인기준 16~220㎍/day으로 우리나라는 43㎍/day이다.
비타민ADE 복합체에 있어 비타민 A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비타민 A의 항산화 및 활성 증가를 위해 비타민D와 E의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타민 D는 10내지 300IU/kg/day, 비타민E는 1내지 100mg/kg/day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레늄0.1내지 5㎍/kg/day으로 사용된다.
용성인 비타민 A는 체액면역항체(IgA, IgG, IgM, IgE)를 생성하는 T-임파구와 세포면역항체의 생성을 관장하는 B-임파구의 생산과 이를 자극하여 항체생성을 촉진하고, 세균, 세균독소, 이물등을 중화시키거나 식균작용을 호중구(neutrophil), 단구(monocyte), 대식구(macrophage)를 자극하여 활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여 생체내에서 면역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지용성 비타민 E는 셀레늄의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과 비타민 A의 산화를 억제하고 장벽에서 비타민 A의 활성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강제를 경구투여용 용액이나 정제, 캡술, 과립, 분말 또는 현탁액으로 사용하는 경우 락토스(lactose)나 전분(starch)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를 1가지 또는 그 이상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경구제(주사제)의 경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e), 레시틴(lecithin) 등과 같은 통상의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로 유화시켜 주사용 멸균증류수나 생리식염수로 희석,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여방법에서 정제나 캡슐 또는 액상이나 과립 등의 형태로 제조하여 경구투여하는 경우에는 CLA, 셀레늄, 비타민ADE 복합체의 용량은 동물의 종류와 동물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해야하며 그 범위는 CLA는 10내지 400mg/kg/day용량의 범위내에서, 셀레늄은0.1내지 5㎍/kg/day용량의 범위내에서, 비타민ADE 복합체(A 기준)는20내지 1,500IU/kg/day의 용량의 범위내에서 각각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혼합, 사용하여 면역항체의 합성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CLA, 셀레늄, 비타민ADE 복합체를 동물의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할 경우에는 사료에 혼합하는 량은 그동물의 체중을 기준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동물의 1일 사료섭취량은 체중의 2%무게에 해당한다. 그래서 크기가 다른 개체라 할지라도 사료내에 일정수준의 CLA, 셀레늄, 비타민 ADE 복합체가 함유한다면 큰 개체는 많이 먹어서 그 용량을 섭취하게 된다.
CLA와 셀레늄과 비타민ADE 복합체는 동물에게 투여했을 경우에 안전영역의 범위가 넓은 것을 고려하고 경제적인 여건을 참고하여 CLA는 10내지 400mg/kg/day용량과 셀레늄0.1내지 5㎍/kg/day용량과 비타민 ADE 복합체(A 기준)는 20내지 1,500IU/kg/day의 용량내에서 각각 유기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혼합한 사료첨가제로 제조하여 농가에서는 개체동물에게 일정량을 투여하게 된다. 대규모 목장이라면 사료제조공정과정에서 혼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강제는 복합제제 형태로 투여하여 노약자, 신생아, 어린이, 임신산모 및 환자 및 노약가축, 신생가축, 어린가축, 임신가축 및 환축에게 투여하여 면역항체를 증강시키는 수단으로 캡슐, 정제, 과립 및 간유구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거나 주사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동물에게는 면역항체증강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가제의 투여기간에는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신체가 회복되어 면역항체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는 능력을 가질 때까지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생쥐를 이용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CLA와 셀레늄, CLA와 비타민 ADE를 병용투여한 예에서 면역항체의 종류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항체(혈청의 IgA, IgG, IgE와 장간막임파절의 IgA와 장관점막의 분비성 IgA)역가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CL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 보다 셀레늄이나 비타민ADE 복합체를 함께 복합하여 투여한 예에서 면역 항체의 역가가 더욱 높은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강제는 복합제제 형태로 투여하여 노약자, 신생아, 어린이, 임신산모 및 환자 및 노약가축, 신생가축, 어린가축, 임신가축 및 환축에게 투여하여 면역항체를 증강시키는 수단으로 캡슐, 정제, 과립 및 간유구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거나 주사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동물에게는 면역항체증강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면역항체의 증강제인 셀레늄, 비타민ADE복합체 및 CLA는 각각 다른 기작(mechanism)에 의해 면역항체를 증강시킨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상호간의 협동작용 및 특이작용을 최대한으로 이용하여 인간에게는 유약자, 노인성, 과로, 영양부족, 스트레스, 질병도중 등에 의해 일어나는 면역성 저하에 대한 면역항체를 최대한으로 증강시킬 목적으로 동물에게는 유약동물, 노령동물, 스트레스, 질병도중 및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면역증강제로 CLA, CLA+Se, CLA+비타민ADE복합체, CLA+비타민ADE복합체+Se의 방법으로 복합하여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형태(캡슐, 정제, 과립, 간유구와 같은 형태 등)로 제조하기 위한 복합제제의 효능을 실험동물을 통하여 입증하였고, 소나 돼지 및 닭과 같은 경제성동물에 대해서는 사료 섭취량에 대한 CLA, CLA+Se, CLA+비타민ADE복합체, CLA+비타민ADE복합체+Se의 투여용량과 효과를 입증하여 사람과 애완동물에게는 건강보조제로 산업동물에게는 사료첨가제로 사용방법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험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실험방법]
1.처방에 따른 실험군 분류
실험동물은 (주)대한실험동물센터에서 6주령의 수컷 Balb/c Mice(이하 생쥐라 함)를 분양받아 각 실험군에 8마리씩 배치하고 대조군과 CLA를 사료에 0.5%와 1.5%를 혼합한 기초사료로하여 처방에 따라 CLA1군, CLA2군, CVA1군, CVA2군, CS1군 및 CS2군으로 명칭을 부여하고 처방사육이 끝난 다음 혈청면역항체(IgA,G,E)와 분비성점막면역항체(장간막임파절의 IgA, 장관내 IgA)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처방에 의한 군분류]
대조군 :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쥐용 일반 사료를 자유급여
CLA1군 : 일반사료 + CLA0.5%(133mg/kg/day)급여
CLA2군 : 일반사료 + CLA1.5%(400mg/kg/day)급여
CVA1군 : 일반사료 + CLA0.5%(133mg/kg/day)급여 + 비타민 ADE
(비타민: 300 IU/kg/day, D: 100IU/kg/day, E: 5mg/kg/day급여
CVA2군 : 일반사료 + CLA1.5%(400mg/kg/day)급여 + 비타민 ADE
(비타민A: 300 IU/kg/day, D: 100IU/kg/day, E: 5mg/kg/day급여
CS1군 : 일반사료 + CLA0.5%(133mg/kg/day)급여 + 셀레늄(1㎍/kg/day) 급여
CS2군 : 일반사료 + CLA1.5%(400mg/kg/day)급여 + 셀레늄(1㎍/kg/day) 급여
2.사육조건
생쥐를 구입한 후 사육실에서 2주간동안 환경과 파우더형 사료에 적응시키기 위하여 적응사육 후 실험에 공시하였고 사육환경온도는 23±2℃이었고 12시간의 명암주기를 유지하였다. 사육형태는 적응사육시부터 1 cage에 1마리씩 단독 사육하였다. 사료는 생쥐전용사료를 분쇄하여 파우더형태로 공급하였고 물과 사료는 시료채취 12시간 전부터 절식시킨 것 이외에는 자유급식 시켰다.
본 실험에 사용된 CLA는 옥수수 기름으로 실험실에서 직접 합성한 것으로 CLA화합물내에 있는 여러가지 이성체중 생리적 활성에 주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중결합(double bond)의 위치가 9와 11에 위치하는 이성체 즉, cis-9, trans-11 octadecadienoic acid(cis 9, trans 11-CLA)만을 기준으로 CLA 5%는 133mg/kg/day용량이고, CLA 1.5%는 400mg/kg/day용량으로 투여하였다(이하 CLA의 용량에 관한 사항은 여기에 준한 용량이다).
본 실험에 사용하기 위하여 합성된 CLA화합물 1g 중 CLA농도는 76.1445%이었고 주요 이성체의 분포는 c9,t11(206.209mg/g:27%), c10,t12(198.909mg/g:26%), c18,t0(39.326mg/g:5%),c18,t1(217.540mg/g:27%), c18,t2(0.000mg/g:0%), c16,t0 (99.462mg/g:13%) 이었다.
또한 사료에 혼합하여 투여한 CLA와 비타민 ADE 및 셀레늄을 체중 kg당 투여량으로 표기한 것은 생쥐는 사료의 기호성이나 사료의 질 및 환경조건에 따라 1일 사료섭취량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본 실험에 앞서 생쥐 10마리로 실험한 예비실험에서 본 실험의 조건과 동일한 환경과 사료 및 연령에서 1일동안 실질적으로 섭취하는 사료량을 측정한 결과 본 실험에 공시된 생쥐는 1일 체중의 약13%(3.5g/1마리/1일)의 사료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본 실험에서는 사료내에 상기 처방제를 사료내에 혼합하였고, 이를 다시 체중 kg당 섭취량을 환산하여 투여용량을 표기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3주간 사육한 생쥐의 평균체중은 27.4g이었다. 예로서 CLA의 투여량의 환산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예: 합성된 CLA화합물 1g 내의 총 CLA농도는 76.1445%이었고, 그 중 c9,t11-CLA는 206.209mg이 함유되어 있었다. 실험에 필요한 사료첨가농도인 0.5%와 1.5%를 만들기 위하여 파우더형 사료 100g을 기준으로 합성된 CLA화합물 0.5g과 1.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를 생쥐의 체중 kg당 CLA(c9,t11-CLA)의 섭취용량을 g단위로 표기하기 위하여 다시 환산하면 CLA 0.5%는 133.5mg/kg/day이고 1.5%는 400.5mg/kg/day이었다.)
CVA군은 CLA와 비타민 ADE복합제를 혼합처방한 사료를 3주일 동안 급여하였다. CVA군을 더욱 세분하면 마우스 전용사료에 CLA 0.5%와 비타민ADE복합체(A: 300 IU/kg/day, D: 100IU/kg/day, E: 5mg/kg/day)를 함유하도록 처방한 생쥐군을 CVA1군, CLA 1.5%와 비타민ADE복합체(A: 300 IU/kg/day, D: 100IU/kg/day, E: 5mg/kg/day)를 함유하도록 한 생쥐군을 CVA2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CS군은 CLA와 셀레늄을 혼합처방한 사료를 3주일 동안 급여하였다. CLA군을 더욱 세분하면 마우스 전용사료에 CLA 0.5%와 셀레늄 1㎍/kg/day를 함유하도록 처방한 생쥐군을 CS1군, CLA 1.5%와 셀레늄 1㎍/kg/day를 함유하도록 한 생쥐군을 CS2군으로 분류하여 실험하였다.
3.샘플채취
실험기간 경과후 light ether로 마취하여 개복하여 복대동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Ig A,G,E를 측정하기 위하여 4℃, 12,000g, 10분간 원심분리 후 20㎕씩 분주하여 -80℃에 보관하였다.
장간막 임파절의 IgA를 측정하기 위하여 장간막 임파절을 적출하여 RPMI 1640배지에서 진이긴 다음 3회 세척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100㎛의 망사로 여과하고, Histopaque-1077로 부유하여 1,500g/3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임파구(lymphocyte band)를 96-well에서 RPMI 1640 배지(10% fetal bovine serum)로 배양하였다. 12시간동안 회복기를 거친 후 1.0㎍/mL의 lipopolysacaccharide를 첨가하여 -80℃에서 보관 후 측정하였다.
장점막의 분비 IgA를 측정하기 위하여 소장의 양단을 결찰한 후 즉시 2ml의cold PBS를 장관내에 투여하고 10분간 정체시킨 다음 세척하여 4℃, 65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PBS와 1:10의 비율로 혼합하여 4℃, 12,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으로 IgA를 측정하였다.
4.면역항체 측정
혈청 IgA, G, E와 장간막임파절의 IgA 및 장관점막의 분비 IgA의 측정은 Sandwich ELISA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
[실험예 1]
혈청 Immunoglobulin A(혈청 IgA) 함량 측정
IgA는 타액, 눈물, 콧물, 땀, 초유 그리고 간, 비뇨생식기, 위장관 등의 점막으로 분비되는 항체로 노출된 생체의 점막표면(점막상피서포)에서 미생물을 공격하여 방지하고, 미생물이 점막세포에 부착되는 것을 방해하여 생체를 보호한다. 또한 생체내에서 생리적으로 IgA의 기능은 일예로; 설사에서 체액이 신체로부터 빠저나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설사의 극열도를 감소시킨다. 생쥐혈청 중의 혈청 IgA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와 같다.
상기 표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CLA1, CLA2, CVA1, CVA2 및 CS1, CS2군은 IgA역가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CLA1군보다 CVA1군과 CS1군이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CLA 0.5% 투여군들은 1.5%투여군들 보다 IgA치가 조금씩 더 증가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로 보아 CLA와 셀레늄(Se), CLA와 비타민 ADE복합체를 동시에 투여하면 각각의 기능이 협동하거나 특이적으로 면역항체의 합성에 좋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2]
혈청 Immunoglobulin G(혈청 IgG) 함량 측정
IgG는 생체내에서 혈관외공간으로 확산되어 침범한 미생물이 내는 독소를 중화하거나 미생물과 결합하여 식균작용을 하는 백혈구가 탐식작용을 쉽게하도록 하는 작용이 있다.
생쥐혈청 중의 혈청 IgG치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과 같다.
위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CLA1, CVA1, CS1, 군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CLA2군과 CVA2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고 CS2은 조금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이와 같이 셀레늄과 CLA 0.5%를 투여한 군과 비타민ADE 복합체와 CLA 0.5%를 투여한 군에서는 CLA 1.5.%를 단독으로 투여한 군보다 면역항체가가 현저히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CLA를 적정량으로 단독일 경우에는 혈청 IgG의 면역항체를 증가시키는데는 소극적으로 작용하지만 CLA 1.5%이상의 과량일 경우에는 CLA2군과 같이 면역항체 합성을 저해하는 부작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셀레늄이나 비타민ADE 복합체가 추가되면 CLA의 적량일때에는 상호 상승작용이나 특이작용에 의해 면역항체가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CLA가 과량일 경우에도 면역항체의 합성을 저해하는 주작용을 셀레늄이나 비타민ADE 복합체가 해소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CLA의 과량투여에 의한 면역성 기능의 부작용을 비타민 ADE 및 셀레늄이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셀레늄이이러한 기능에 적극 참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위의 실험결과의 모든 군에서 IgG는 CLA를 0.5%혼합한 군이 1.5%혼합한 군보다 IgG의 역가가 더 높은 것을 주목하고 0.5%와 1.5%의 사이에서 즉, 1%정도에서 더욱 효과가 있는 면역항체의 농도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실험예 3]
혈청 Immunoglobulin E(혈청 IgE) 함량 측정
IgE는 급성염증에 대한 신체의 반응으로 작용하여 염증에 저항하는 혈장인자와 백혈구를 염증부위로의 유입을 촉진하여 생체의 외점막 표면을 방어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항체 중 유일하게 혈청 IgE는 과잉생산에 의해 사람이나 개에 아토피성 피부염 등과 같은 항원과 접촉할 경우에 비만세포와 작용하여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데 관여한다.
생쥐혈청 중의 혈청 IgE치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다.
대조군과 비교하면 CVA1군을 제외한 모든 군은 비슷한 수준의 면역항체가를나타내었다. 그러나 CVA1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조금은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혈청 IgE는 침입 미생물에 대한 방어적인 역할도 있지만 다른 면역항체와는 달리 많이 생산되면 생체에 오히려 유해한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러지 반응에 민감한 생체는 혈청IgE의 증가가 오히려 불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조군에 비하여 CVA1군이 유의성이 없는 소량의 증가는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만약 불리하다면 알러지에 민감한 환자에게는 CLA 0.5%와 셀레늄의 복합체를 처방하면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장간막 임파절 Immunoglobulin A(IgA) 함량 측정
생쥐혈청 중의 장간막 임파절 IgA치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장간막 임파절 Immunoglobulin A(IgA)는 분비성IgA(secretory IgA(SIgA))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주로 장점막으로 분비되어 장관내의 면역항체를 증가시켜서 장상피로 세균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으로 표 4에서 보는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처방군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고(P<0.01), 셀레늄 투여군과 비타민 ADE투여군은 CLA단독 투여군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CLA 0.5%와 셀레늄 또는 비타민ADE 복합체를 복합처방한 군에서 현저한 증가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소화기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장관내 IgA(Gut Lumen immunoglobulin A ) 함량 측정
Gut Lumen Immunoglobulin A는 장관강내로 분비된 IgA로서 소화기의 모든 장관의 점막으로 분비되어 장관내와 장점막에서 여러 가지 미생물과 저항하고 침범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실험예1의 실험결과로 얻은 생쥐혈청 중의 장관내 IgA치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장관내 Immunoglobulin A(IgA)는 면역항체가 장관점막으로 분비되어 장관내의 면역을 증가시켜서 장세상피로 세균의 침입을 억제하거나 파괴시키는 것으로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군에서 CLA 0.5%를 투여한 것이 1.5%투여하는 것보다 유의성은 없으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타민 ADE를 투여한 CVA1군은 CLA를 단독으로 투여한 CLA1군보다도 현저히 높은 수준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A의 다른 생리적 기능인 점막상피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역할과 체액면역항체(IgA, IgG, IgM, IgE)를 생성하는 T-임파구와 세포면역항체의 생성을 관장하는 B-임파구의 생산과 이를 자극하여 항체생성을 촉진하고, 세균, 세균독소, 이물등을 중화시키거나 식균작용을 호중구(neutrophil), 단구(monocyte), 대식구(macrophage)를 자극하여 활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CLA와 협동작용으로 면역항체가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1 내지 5를 종합한 결과는 하기 표6과 같다.
상기 실험예 1내지 5에서 확인한 것을 상기 표 6을 토대로 종합, 고찰하여볼 때 CLA(0.5%, 1.5%)를 단독으로 첨가한 사료를 투여한 군에서는 CLA를첨가하지 않은 군보다, 그리고 CLA 0.5%투여군은 CLA 1.5%투여군 보다, 그리고 CLA(0.5%) 투여군보다 CLA + 셀레늄 투여군과 비타민ADE 복합체 투여군에서 혈청면역항체(IgA,G)와 분비성점막면역항체(장간막임파절의 IgA, 장관내 분비 IgA )의 역가가 높았다. 그러나 혈청면역항체인 혈청 IgE는 비슷한 수준으로 CLA와 셀레늄 및 비타민ADE 복합체의 합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L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는 셀레늄이나 비타민 ADE 복합체를 복합하여 투여하게 되면 CLA와 셀레늄과 비타민ADE 복합체는 각각 다른 기작에 의해 면역항체의 합성을 촉진하게 되므로 CLA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는 셀레늄이나 비타민ADE 복합체를 복합하여 투여하면 면역항체의 합성에 있어서 협동작용으로 상가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LA가 면역항체의 합성을 촉진하는데는 CLA의 투여량이 관여하는 것으로 실험군 모두에서 CLA를 0.5%투여군이 1.5%투여군보다 면역항체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으로 볼 때 "CLA를 동물에게 투여하는 양은 동물의 종과 크기에 따라 다양하고, CLA는 자연식품성분이고, 비교적 무독성이기 때문에 투여하는 용량은 충분한 효과만 있다면 중요하지 않다"라고한 (Cook et al. 1995. US Patent No. 5,428,072)의 주장은 최소한 면역항체의 합성에 관한 한 옳지 못하다는 것을 본 실험에서 입증하였다.
즉, 본 실험결과로부터 CLA 1.5%(400mg/kg/day)를 급여한 모든 군에서는 CLA 0.5%(133mg/kg/day)를 급여한 모든 군에서 보다 면역항체가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면역항체증강제는 복합제제 형태로 투여하여 노약자, 신생아, 어린이, 산모 및 환자 및 노약가축, 신생가축, 어린가축, 임신가축 및 환축에게 투여하여 면역항체를 증강시키는 수단으로 캡슐, 정제, 과립 및 간유구와 같은 형태로 사용하거나 주사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동물에게는 면역항체증강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사람 또는 가축동물의 면역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식물성 유지로부터 합성한 CLA와 셀레늄, 비타민ADE 복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소정의 유효성분으로 복합하여서 제조된 면역항체증강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항체증강제는 전분이나 락토스 등과 같은 통상의 약학적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부형제와 혼합하여 정제, 캡슐, 과립, 액상 또는 분말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항체증강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e), 레시틴(lecithin) 등과 같은 통상의 약학적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유화제로 유화시켜 주사용 멸균증류수나 생리식염수에 희석, 용해하여 비경구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LA는 10내지 400mg/kg/day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레늄은 0.1내지 5㎍/kg/day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ADE 복합체중의 비타민A는 20내지 1,500IU/kg/day의 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ADE 복합체중의 비타민D는 10내지 300IU/kg/day의 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ADE 복합체중의 비타민E는 1내지 100mg/kg/day의 용량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항체증강제.
KR1020000050835A 2000-08-30 2000-08-30 면역항체증강제 KR20020017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835A KR20020017482A (ko) 2000-08-30 2000-08-30 면역항체증강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835A KR20020017482A (ko) 2000-08-30 2000-08-30 면역항체증강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482A true KR20020017482A (ko) 2002-03-07

Family

ID=1968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835A KR20020017482A (ko) 2000-08-30 2000-08-30 면역항체증강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48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072A (en) * 1992-04-29 1995-06-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eed conversion in animals
US5430066A (en) * 1992-04-29 1995-07-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preventing weight loss, reduction in weight gain, and anorexia due to immune stimulation
KR20000022882A (ko) * 1998-09-02 2000-04-25 하영래 공역리놀레인산 유도체 및 그의 합성방법
JP2001029010A (ja) * 1999-07-26 2001-02-0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栄養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072A (en) * 1992-04-29 1995-06-2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feed conversion in animals
US5430066A (en) * 1992-04-29 1995-07-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Methods for preventing weight loss, reduction in weight gain, and anorexia due to immune stimulation
KR20000022882A (ko) * 1998-09-02 2000-04-25 하영래 공역리놀레인산 유도체 및 그의 합성방법
JP2001029010A (ja) * 1999-07-26 2001-02-06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栄養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6413B1 (en) Compositions for treating animal diseases and syndromes
Pavel et al. Biological activities of royal jelly-review
EP1635810B1 (en) Inflammatory disease treatment
Ghaeni et al. Review for application and medicine effects of Spirulina, microalgae
KR101075816B1 (ko) 종합 경장 영양 조성물
JP5191955B2 (ja) 粘膜免疫調節剤並びにその用途
US2020039079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oleuropein or curcumin for muscle quality and/or muscle mass
Emara Comparative Effects of Nano-Selenium and Sodium Selenite Supplementation on Blood Biochemical Changes in Relation to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New Zealand White Rabbits.
Boudry et al. Effect of a bovine colostrum whey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faecal Escherichia coli population and systemic immune response of piglets at weaning
Joshi et al. Indian cow and A2 beta-casein–A scientific perspective on health benefits
Wu et al. Effects of glutamine on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intestinal mucosal immune response in heat-stressed broilers
EP0914831B1 (en) Biological product for preventive or therapeutic oral administration against canine parvovirosis
CN105558435A (zh) 一种用于防治鲢鱼出血病的饲料添加剂
KR20070016311A (ko) 가금류의 면역사료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20020017482A (ko) 면역항체증강제
CN105454695A (zh) 一种用于防治猪腹泻的饲料添加剂
KR100369706B1 (ko)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의한 의원성 질병 예방용 복합제제
JP2005255574A (ja) IgA産生恒常化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ストレス性疾患予防用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athuria et al. Animal based bioactives for health and wellness
JP6071988B2 (ja) 身体活動促進剤
JP2583382B2 (ja) スベリヒユを含有する家畜、家禽用の飼料
RU2774770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привесов при одновременной профилактике оксидативного стресса у цыплят-бройлеров
KR102367604B1 (ko) 항산화, 염증개선 및 면역증진 효과가 우수한 반려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JP2011063552A (ja) 身体活動促進剤
CN105707509B (zh) 一种用于防治草鱼烂腮病的饲料添加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