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7114A -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7114A
KR20020017114A KR1020000050217A KR20000050217A KR20020017114A KR 20020017114 A KR20020017114 A KR 20020017114A KR 1020000050217 A KR1020000050217 A KR 1020000050217A KR 20000050217 A KR20000050217 A KR 20000050217A KR 20020017114 A KR20020017114 A KR 2002001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temperature gradient
concrete
steel beam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효
Original Assignee
김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효 filed Critical 김상효
Priority to KR102000005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7114A/ko
Publication of KR2002001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711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 그의 시공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요지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판 타설 전·후에 가지점과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추가사하중과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반대되는 응력을 강재보 및 바닥판 콘크리트가 미리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지간내 최대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지점을 설치하는 단계; 연속된 강재보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강재보 상하부에 걸쳐 온도구배를 가지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열원에 의해 온도구배를 갖는 강재보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가지점으로 온도구배에 의한 변형을 구속하는 단계;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를 양생하고 합성하는 단계; 상기 인위적 온도구배를 제거하여 합성보의 정(+)모멘트부 및 부(-)모멘트부에 추가사하중과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반대되는 응력을 미리 갖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추가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킬수 있도록 하는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을 개발하는 것임.

Description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 그의 시공방법{CON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COMPOSITE STEEL GIRDER BRIDGES USING TEMPERATURE GRADIENT AND TEMPORARY SUPPORTS}
본 발명은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에 가지점을 이용하여 강합성형 연속교에 작용하는 부(-)의 휨모멘트 및 정(+)의 휨모멘트를 개선한 가지점을 이용한 강합성형 연속교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재보의 일부 구간에 시공단계에서 한시적으로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이때 발생하는 변형을 가지점을 이용하여 한시적으로 구속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의 양생후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작용이 발생하면 온도구배를 제거하여 이때 발생하는 단면력으로 활하중 및 사하중에 의한 단면력의 일부를 상쇄하여 구조물의 전체 거동을 개선하는 인위적 온도응력과 가지점을 이용하여 제작된 강합성형 연속교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합성형 연속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유효폭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바닥판(1)과, 상기 바닥판(1)을 지지하는 강재보(2) 및 상기 강재보(2)의 전장에 걸쳐서 그와 상기 바닥판(1)을 결합하기 위한 전단연결재(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강합성형 연속교에서는 정해진 하중 상태하에서 강재보 및 바닥판 콘크리트에 생기는 응력이 반드시 허용응력 이하이어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이러한 강합성형 연속교에서는 사하중(dead load) 및 활하중(live load)으로 인해 지점부에는 부(-)의 휨모멘트가, 그리고 지간중앙부에는 정(+)의 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도2는 일반적인 경우의 강합성형 연속교에 발생하는 휨모멘트를 나타낸 것이며, 기존의 설계방법에 의해 강합성형 구조형식을 설계할 때에는 (+)의 휨모멘트 범위에서는 바닥판 콘크리트를 유효단면으로 간주하고, (-)의 휨모멘트 범위에서는 바닥판 콘크리트를 제외한 보강철근만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강합성형 연속교에서 정모멘트부 및 부모멘트부의 거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지간내 최대 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지점을 설치하고 강재보를 거치한 후, 강재보의 일부 구간에 한시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여 강재보에 변형을 일으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바닥판을 타설하고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강재보에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상기의 가지점을 이용하여 구속하고, 콘크리트 바닥판을 양생하여 강재보와 바닥판의 합성작용이 이루어졌을 때 온도구배를 제거하면, 지간중앙부와 내부지점부에서 사하중(dead load)이나 활하중(live load)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반대되는 응력이 발생하게 되어 강재보 단면을 절감하고 부모멘트부 바닥판의 휨균열을 방지하는 가지점과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장비구성으로 온도 프리스트레싱 공법에 가지점을 병용하여 제작된 강합성형 연속교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1a 및 도1b는 일반적인 합성형 교량의 형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상도.
도2a 및 도2b는 일반적인 연속교의 휨모멘트도.
도3은 본 발명의 연속 강합성형교의 합성전 단면에 인위적으로 도입한 온도구배 및 그에 따른 온도응력을 나타낸 모식도.
도4는 본 발명의 연속 강합성형교의 합성후에 인위적으로 도입한 온도구배를 제거함으로써 발생하는 단면의 온도구배 및 그에 따른 온도응력을 나타낸 모식도.
도5는 본 발명의 연속 강합성형교의 합성전과 합성후의 단계별 응력분포를 나타낸 모식도.
도6a 내지 도6e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강합성형교의 적용이 가능한 합성형 교량단면을 나타낸 모식도.
도7a 내지 도7d는 도6a 내지 도6e에 도시된 합성형 교량단면에 온도구배의 적용에 따른 형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 강합성형교의 온도구배 발생장치의 실시예시도
도9는 본 발명의 가지점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바닥판 2 : 강재보
3 : 전단연결재 4 : 강재보
5 : 콘크리트 바닥판 6 : 히터
7 : 온도측정센서 8 : 차양막
9 : 강재보 10 : 임시 교각
11 : 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재보의 경간내 최대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지점을 설치하는 제 1 단계; 각 구간마다 온도구배를 가하지 않는 강재보를 설치하는 제 2 단계; 상기 상기 강재보에 온도구배를 가지도록 열원을 제공하여 강재보에 하향의 변형을 발생시키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제공된 열원에 의해 온도구배를 가지는 연속한 강재보상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제 1단계의 가지점으로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구속하는 제 4 단계; 상기 제 4단계 수행후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작용이 일어난 후 인위적 온도구배를 제거하여 강재보에 상향의 변형을 발생시키고 가지점을 제거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 수행후 강재보에 발생하는 응력이 추가 사하중 및 활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키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에서의 강재보에 온도응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는, 상기 강재보에 설치되며 상기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전부터 합성될 때까지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강재보에 장착되며 상기 열원제공 수단으로부터 설정된 온도구배가 유지되도록 제공되는 열원에 의해 변화되는 온도를 감지하여 출력하는 온도감지수단; 및 상기 온도감지수단의 신호를 인가받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전부터 합성될 때까지 상기 강재보의 소정 크기의 인위적 온도구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에서의 가지점은, 상기 강재보의 경간내 최대 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작용이 발생하여 인위적 온도구배를 제거할 때까지 방지하는 수단; 상기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전부터 합성될 때까지 인위적인 온도구배가 작용할 때 작용하는 반력이 허용치 이내로 유지하는 수단; 및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후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제거할 때 발생하는 상향의 변형을 구속하지 않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하부를 소정 경간마다 연속시켜 지지하는 강재보를 합성하여 이루어진 연속 강합성형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전에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으로 한시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한 후 이때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을 이용하여 한시적으로 구속하고, 합성후에 제거하여 상기 온도구배와 가지점에 의해 지간중앙부와 내부지점부에서 사하중(dead load)이나 활하중(love load)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3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 그의 시공방법은 시공단계에서 강재보에 가지점을 설치하고 인위적인 한시적 온도구배를 부여하였다가 제거함으로써 발생하는 응력이 지간중앙부와 내부지점부에서 사하중(dead load)이나 활하중(love load)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하기 위해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부모멘트 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에 인위적인 방법을 통하여 압축응력(또는 허용인장응력 이내의 인장응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교축방향 보강철근을 추가 사용하지 않고서도 연속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휨균열을 방지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위한 인위적인 방법으로 한시적인 온도구배(Temperature Gradient)를 이용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개념에 의한 본 발명의 연속 강합성형교는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하부를 소정 경간마다 연속시켜 지지하는 강재보를 결합한 연속 강합성형 교량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의 합성전에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이때 발생하는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한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으로 구속하였다가 합성후에 인위적인 온도구배와 가지점을 제거함으로써 발생하는 응력이 지간중앙부와 내부지점부에서 사하중(dead load)이나 활하중(love load)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상쇄시키며, 추가적으로 상기 공법에 의해 합성후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되는 압축응력으로 추가사하중이나 활하중 등에 의해 부모멘트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연속 강합성형교에서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전에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가지점을 이용하여 이때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구속하였다가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후에 온도구배를 제거하면 합성된 강재보에는 온도구배와 가지점의 구속효과에 의해 응력이 도입된다. 이때 도입된 응력이 추가 사하중 및 활하중 등에 의한 응력을 상쇄시키도록 하고 부모멘트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도 압축응력(또는 허용인장응력 이내의 인장응력)하에 있도록 함으로써 부모멘트 지점부의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도 합성형 단면의 일부로 유효하게 되어 합성형 단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의 합성전에 강재보에 도입되는 온도구배는 강재보 상단부가 상온을 가지며,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높은 온도를 가지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온도구배와 그에 의해 발생하는 온도응력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데, 도3에 도시된 온도구배는 강재보 상단부의 상온을 기준으로 하여 온도차 만을 나타낸 그림이다.
또한,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할 때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구속하기 위한 가지점은 각 경간내에서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한 최대 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하며, 온도구배에 의한 변형만을 구속하여야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강재보가 10℃∼100℃의 온도구배를 가지도록 조절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강재보의 상단부가 가지는 상온은 대기온도에 의해 강재보의 상부플랜지가 유지하는 온도를 의미하며, 도3에 예시된 상기 강재보의온도구배는 상기 강재보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온도차이만을 나타내는 온도구배이다.
또, 상기 강재보에 온도구배가 주어진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합성된 후의 단면에서 인위적으로 도입하였던 온도구배를 제거하게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에 도시된 온도구배와 반대의 온도구배를 주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고, 이때는 합성형에서의 응력분포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따라, 도5에 도시된 합성형 단면의 단계별 응력분포를 나타낸 모식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상기 강재보의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분포하게 되고 상부 콘크리트 바닥판에는 반대응력인 압축응력이 분포되어 부모멘트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판의 균열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는 온도응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되므로 작용하중에 의한 압축응력을 부분적으로 상쇄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고, 상기 강재보의 상부플랜지에는 온도응력에 의해 압축응력이 발생되므로 작용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강재보 단면을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속 강합성형 단면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 강판형교로 한정한 예를 제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고, 도 6b 내지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박스교, U-형 강박스교, 제형 강박스교, 제형 U-타입 강박스교 등의 합성형 단면에 적용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이러한 단면들은 실제 교량에서 단일 주형으로 교량의 단면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여러개가 병렬로 배치되어 교량의 단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식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6a 내지 도6e에 도시된 각각의 합성형 단면은 필요에 따라 도7a 내지 도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도구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강재보에 온도구배를 부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도구배 발생장치 및 가지점의 설치예는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8는 전열선에 의한 히터를 이용하여 강재보에 온도구배를 부여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재보(4)에 부착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5)과의 합성전부터 합성될 때까지 온도구배를 부여하도록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6)와, 상기 강재보(4)에 장착되며 히터(6)로부터 제공되는 열원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구배가 되도록 조절하는 온도측정센서(7)와, 상기 온도측정센서(7)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으며 상기 강재보가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소정 온도구배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6)는 하부플랜지와 복부판중 적어도 한 부위를 가열점으로 하여 배치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강재보(4)에 제공되는 온도가 외부 대기온도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강재보(4)의 둘레에 보온단열재를 설치하고, 교량의 외측거더에는 필요에 따라 차양막(8)을 설치하여 태양복사열에 의해 외측강재보와 내측강재보가 다른 온도분포를 갖지 않도록 한다. 도9는 상기 온도구배가 부여될 때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구속하기 위해 설치된 가지점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재보(9) 각 경간의 중앙부 하단에 설치되는 임시 교각(10)과 상기 임시 교각과 강재보 사이를 연결하여 하향의 변형을 직접적으로 구속하는 잭(11)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가열장치와 가지점을 이용하여 강재보에 온도구배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유리한 단면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또한 부모멘트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압축응력을 발생하게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정된 위치에 가지점을 가설한 후 소정 경간으로 연속되게 강재보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연속하는 강재보(4)에 가열장치인 히터(6)를 필요한 온도구배에 따라 설치한 후 열원을 제공하되, 도3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필요한 온도분포를 가지도록 온도조절센서(7) 및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열원온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강재보(4)에 온도구배를 부여한다. 여기서, 상기 강재보(4)에 설치되는 히터의 위치에 따라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온도구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구배는 소요되는 온도응력에 따라 강재보(4)의 하부와 상부의 온도차가 10℃∼100℃ 정도가 되도록 열원을 제공하며, 이때 현장의 자연대기상태를 고려하여 열원온도를 결정한다. 예를들어 강재보(4) 상단의 온도가 20℃일 경우에 온도구배를 50℃로 설정하였다면, 강재보 하단의 온도는 70℃가 되는 것이며, 가설 기간동안 강재보(4) 상단부의 온도변화에 따라 하단부의 온도가 적절히 변화되도록 온도측정센서(7) 및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온도구배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연속한 강재보 상에 상하편차를 가지는 온도구배를 부여한 후에 콘크리트 바닥판을 타설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을 이용하여 구속하고, 콘크리트 바닥판을 양생하면, 전단연결재에 의해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이 합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보에 콘크리트 바닥판이 합성되고 난 후에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으로 제공하였던 열원을 제거하면, 합성단면에서 온도구배가 역으로 형성되는 효과에 의해 강재보에 상향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각 경간의 중앙부에서는 합성전 단면의 온도응력과 가지점의 구속에 의한 응력이 합성후 단면에 대한 온도응력과 중첩되어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정(+)의 휨모멘트를 감쇄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부모멘트부인 내부지점부에서는 합성전 단면에서 가열구간의 변형에 따른 응력과 합성후 단면에서 가지점부의 상향 변형에 따른 응력이 중첩되어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부(-)의 휨모멘트를 감쇄시켜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의해 부모멘트 지점부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 합성후의 열원제거시기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후 시행하되, 소요되는 콘크리트 강도가 발현되는 시점으로 정하여 행한다. 통상 콘크리트 타설후 설계강도의 70∼80% 이상의 강도를 가지면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작용을 줄 수 있으므로, 이때를 기준으로 열원의 제거시기를 결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을 완료함으로써 연속 강합성형교의 정모멘트부 및 부모멘트부에는 추가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과 반대되는 응력을 미리 갖게 되며, 이는 교량이 수명을 다하거나 합성형으로써 기능을 하지 않게 되는 시점까지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강합성형교에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을 합성하기 전에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이때 발생하는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한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을 이용하여 구속하였다가, 강재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의 합성작용이 이루어진 후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제거하면 합성단면에서 온도구배가 역으로 형성되는 효과에 의해 합성된 강재보에 상향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각 경간의 중앙부에서는 합성전 단면의 온도응력과 가지점의 구속에 의한 응력이 합성후 단면에 대한 온도응력과 중첩되어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정(+)의 휨모멘트를 감쇄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부모멘트부인 내부지점부에서는 합성전 단면에서 가열구간의 변형에 따른 응력과 합성후 단면에서 가지점부의 상향 변형에 따른 응력이 중첩되어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부(-)의 휨모멘트를 감쇄시켜, 결과적으로 강재보의 단면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부모멘트 지점부의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으로 부모멘트 지점부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바닥판의 인장응력을 상쇄시킬수 있게 되어 상기 지점부에 추가적인 교축방향 보강철근을 배근시킬 필요없이 일반적인 배력근만 설치하면 되므로 배근되는 철근량을 감소시키고, 그 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각 경간에서 최대 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지점을 설치하는 제1 단계;
    상기 소정 경간마다 연속된 강재보를 설치하는 제2 단계;
    상기 연속하는 강재보 상하부에 걸쳐 온도구배를 가지도록 열원을 제공하고 연속한 상기 강재보상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을 이용하여 구속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제공된 열원에 의해 온도구배를 가지는 연속한 상기 강재보에서 타설된 바닥판 콘크리트를 양생하여 합성하는 제4 단계;
    상기 제4 단계 수행 후 상기 강재보에 형성된 인위적 온도구배를 제거함으로써 가지점이 설치된 지점과 부모멘트 구간인 내부지점부에서 사하중과 활하중에 의해 강재보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쇄시키는 단면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내부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으로 추가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단계에서의 강재보 단면이
    I-형 강판형교, 강박스교, U-형 강박스교, 제형 강박스교, 제형 U-타입 강박스교 중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강재보의 경간내 최대변형이 발생하는 위치에 가지점을 설치하고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상기 가지점으로 구속하도록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강재보의 하단부에 설정온도를 유지시키고, 상단부로 갈수록 상기 설정온도보다 작은 온도로 분포되도록 하여 소정크기의 온도구배를 형성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보 상단부의 온도는 자연대기 상태하의 강재보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강재보에 형성되는 온도구배는 10℃∼100℃중 어느 한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열원제거 시기는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 후 소요되는 콘크리트 강도가 발현되는 시점으로 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타설후 소요되는 콘크리트 강도가 발현되는 시점은 콘크리트 설계강도가 70%이상 발현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의 시공방법.
  9.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하부를 소정 경간마다 연속시켜 지지하는 강재보를 합성하여 이루어진 연속 강합성형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전에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이때 인위적인 온도구베에 의해 발생하는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으로 구속하고, 합성후에 온도구배와 가지점을 제거하여 이때 강재보에 발생된 응력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응력을 상쇄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
  10. 콘크리트 바닥판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의 하부를 소정 경간마다 연속시켜 지지하는 강재보를 합성하여 이루어진 연속 강합성형교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바닥판과 강재보의 합성전에 상기 강재보에 인위적인 온도구배를 부여하고 이때 발생하는 인위적인 온도구배에 의한 하향의 변형을 가지점으로 구속하고, 합성후에 온도구배와 가지점을 제거하여 이때 발생된 내부지점부 콘크리트 바닥판의 압축응력으로 추가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판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강합성형교.
KR1020000050217A 2000-08-28 2000-08-28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KR20020017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217A KR20020017114A (ko) 2000-08-28 2000-08-28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0217A KR20020017114A (ko) 2000-08-28 2000-08-28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7114A true KR20020017114A (ko) 2002-03-07

Family

ID=19685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0217A KR20020017114A (ko) 2000-08-28 2000-08-28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71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21B1 (ko) * 2001-08-10 2004-07-15 박재만 교량 부모멘트 발생부분의 보강공법 및 그 구조
CN107391823A (zh) * 2017-07-10 2017-11-24 长安大学 公路钢箱梁桥温度梯度模式的评价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21B1 (ko) * 2001-08-10 2004-07-15 박재만 교량 부모멘트 발생부분의 보강공법 및 그 구조
CN107391823A (zh) * 2017-07-10 2017-11-24 长安大学 公路钢箱梁桥温度梯度模式的评价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870A (ko) 프리스트레스트 복합 트러스 보의 개발 및 제작공법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10123700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시공방법
KR20130036890A (ko) 교량용 타이드 아치형 p.s.c 거더와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120018565A (ko)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68526A (ko)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KR20100085509A (ko) 연속 피에스씨 거더 교량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334237B1 (ko) 온도응력을이용하여제작된연속강합성형교및그의시공방법
KR101527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020017114A (ko) 가지점과 온도응력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속 강합성형교 및그의 시공방법
JP2004324164A (ja) 波形鋼板ウエブpc橋閉合部の施工方法
KR20080111973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0396715B1 (ko) 단계적 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그 제작방법
KR100440802B1 (ko) 온도프리스트레싱 보강재 접합방식을 이용한 교량의보강공법
KR20110019623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395993B1 (ko)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교량의 보강공법
KR100761732B1 (ko)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0516135B1 (ko)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 공법을 이용한 psc빔교의 연속화공법
KR20110093158A (ko) 콘크리트 타설하중을 활용한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74627B1 (ko) 프리캐스트 합성보의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작방법
KR101912422B1 (ko) 선행하중이 도입되도록 제작된 합성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빔
KR20020067078A (ko) 추가 프리스트레싱 도입용 헌치를 이용한 프리플렉스합성보 및 그 제작공법
KR100377535B1 (ko)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연속 강거더의 시공방법
JP2004137723A (ja) 橋梁桁の構造及び橋梁桁の構築方法
KR100944005B1 (ko) 강 거더에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의해 제작된 강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