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6934A - 2중 대역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2중 대역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6934A
KR20020016934A KR1020027001389A KR20027001389A KR20020016934A KR 20020016934 A KR20020016934 A KR 20020016934A KR 1020027001389 A KR1020027001389 A KR 1020027001389A KR 20027001389 A KR20027001389 A KR 20027001389A KR 20020016934 A KR20020016934 A KR 2002001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vice
radiating
radiating element
elements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나스가마리엘슨
애니카이동후
이레느라손
올로브에드바르드슨
Original Assignee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filed Critical 펄 위 제이케
Publication of KR2002001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93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0Radiating elements coated with or embedded in prote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42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 H01Q5/35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for different propagation modes using a single feed point
    • H01Q5/364Creating multiple current paths
    • H01Q5/371Branching current p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40Imbricated or interleaved structures; Combined or electromagnetically coupled arrangements, e.g. comprising two or more non-connected fe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32Vertical arrangement of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와 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 장치(3)는 공급 수단(42,71,72,53,54)과 수축 및 연장 위치로 전화기의 내부 및 외부로 미끄러지게 배열된 안테나 휩(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안테나 휩은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동조되는 제1방사 소자(45) 및 제2방사 소자(46,46',46'')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방사 구조(41)를 포함한다. 제1방사 소자(45) 및 제2방사 소자(46,46',46'')는 제1방사 소자(45)와 제2방사 소자(46,46',46'') 모두가 방사되도록 배열되는 제2방사 소자(46,46',46'')의 중요 부분을 따라서 공동으로 연장된다.

Description

2중 대역 안테나 장치{DUAL BAND ANTENNA DEVICE}
종래 기술에 있어서, 연장할 수 있는 휩 안테나와 조합되는 나선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수단은 통화 모드에서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콤팩트한 크기와 내구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휴대용 셀룰러 전화기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공진 안테나 중 하나의 형태는 하나의 기본 주파수 대역 및 이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지만, 기본 주파수 대역에 대해 고정되고 설정된 관계를 갖는다.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범위는, 특히 안테나 형상에 의존한다. 방사기의 주어진 형상이 요구되는 곳에서 고유의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개인 전화기와 같은 무선 장치에 있어서는, 효과적인 방사 분포와 고성능을 갖는 안테나 수단을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화기는 다른 동작 모드에서 기능할 수 있다. 2개의 다른 동작 모드는 대기 모드와 통화(대화) 모드이다. 이들 2개의 동작 모드에서는 안테나 수단에 대한 다른 요구가 있다. 예컨대, 대기 모드의 전화기를 휴대할 때는, 휴대자(개인)는 작은 크기 및 콤팩트한 구성의 전화기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기로부터 너무 멀리 연장되는 안테나 수단은 불편할 수 있다.
안테나 수단의 수신 및 송신 성능은 안테나 수단 자체뿐 아니라 전화기와 기지국 사이의 방사 경로에 의존한다. 방사 경로상의 장해물은 안테나의 통신 성능을 저하시킨다. 개인 전화기에서는, 사용자의 몸이 방사 경로를 과도하게 막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을 때는, 통화 모드에서 전화기 하우징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연장되는 안테나 수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화기로부터 적어도 대략 1/4파장 연장되는 안테나가 일반적으로 보다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자체 내에 로드 안테나가 미끄럼 가능하게 배열되는 2개의 방사 소자와 함께나선 또는 민더 대기 안테나를 갖는 2중 대역 안테나가 제공된다. 로드 안테나는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1/2파장 안테나로서, 그리고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1/4파장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곧은 방사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 사이의 관계가 대략 1:2인 것이 요구된다. 더욱이, 2개의 대역을 위한 로드 안테나의 동조는 복잡한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대화 위치/자유 공간에서 수축/연장의 조합으로 다른 안테나 타입이 매치되므로, 로드 안테나의 매칭은 다소 복잡해 질 수 있다. WO-A1-97/49141호 및 WO-A1-97/30489호는 이러한 안테나 적용이 포함되는 본 발명의 적용 예이다.
WO-A1-99/26314호 및 WO-A1-99/26315호는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에서 각각 동작하는 2개의 안테나 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로드 안테나를 포함하는 2중 안테나를 각각 개시한다. 각 안테나 소자의 방사부와 결합 영역은 서로가 로드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며 위치되므로, 이들 로드 안테나는 비교적 길게 된다. 또한, 다른 층과 공간의 사용에 기인하여 안테나의 제작은 복잡해진다.
다중 대역 로드 안테나가 널리 공지되어 있는데, 이 안테나에서 2개의 곧은 방사기는 서로가 로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여 위치되고, 공진 회로를 매개로 연결되어, 하나의 방사기는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고 모든 방사기는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이러한 안테나는 EP-A2-0 896 384호 및 EP-A2-0814 536호에 개시된다. 2개의 곧은 방사기와 공진회로는 서로가 로드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여 위치되므로, 이들 로드 안테나는 비교적 길게 된다.
서로가 일렬로 연장하여 위치되는 방사 소자와, 가능하게는 구성요소를 갖는상기 로드 안테나에서는, 로드의 길이를 따른 휨 성질에 큰 차이가 있게 된다. 모먼트 암이 최대인 중심부에서 휨이 일어나면, 이러한 차이는 특정한 문제로 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해 로드가 부서질 수 있다. 직렬로 결합된 2개의 방사 소자가 2개의 주파수에 대해 동조하게 될 때, 이러한 안테나의 동조는 매우 복잡하게 나타난다.
하나 이상의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로드 안테나가 US-A-3 550 145호, US-A-3 541 567호 및 WO-A1-97/12417호로부터 공지된다. 모든 이러한 안테나는 광대역 안테나로서 설계된다. 더욱이, 이들은 연장/수축할 수 없고, 또 다른 방사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에서 사용되도록 배열되지 않는다.
하나 이상의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또 다른 타입의 로드 안테나가, 예컨대 US-A-4 138 681호 및 US-A-5 907 307호로부터 공지된다. 이들 안테나는 단일 대역 안테나로서 설계된다. 더욱이, 이들 중 어느 것도 연장/수축할 수 있게 만들어지지 않았고, 또 다른 방사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에서 사용되도록 배열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장 및 수축 할 수 있고, 양호한 안테나 특성을 제공하고 공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방사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RF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RF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신축가능한 방사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분리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 및 수신 모두를 할 수 있는 이동 무선 통신장치, 예컨대 휴대용 전화기용의 2중 대역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안테나 장치는, 하나 이상의 대역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서, 통신을 위해 전화기가 동작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전화기는, 예컨대 부가적인 페이저 기능을 갖는 GSM이나, PCN, DECT, AMPS, PCS, W-CDMA, Korean PCS 또는 PDC 셀룰러 전화기 시스템 또는 그 밖의 무선 설비의 단말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용어 "2중 대역"은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2개의 주파수 대역을 언급할 때, 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2중 또는 다중 대역에 포함되는 주파수는 서로 소정의 고정 관계를 가질 필요는 없고, 따라서 임의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하나의 가능한 적용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안테나 장치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제1방사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길이방향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제1방사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길이방향 단면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 및 도 2의 제1방사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 및 도 2의 제1방사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대안적인 공급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안테나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해, 상기 안테나 수단은 연장 및 수축할 수 있는 방사구조의 방사 소자가 종래 기술에 의한 안테나 보다 자유롭게 동조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 사이의 임의의 분리를 갖는 안테나 수단이 달성될 수 있다. 동조에 있어서의 추가의 자유도에 기인하여, 단순하게 매치되는 안테나 장치가 달성된다.
동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 소자의 배열에 의해, 파열이 일어나는 최소 위험과 함께, 양호한 기계적인 안정성을 갖는 튼튼한 방사 구조가 달성된다. 특히, 하나의 방사 소자가 방사 구조의 길이의 중요 부분을 따라 연장될 때, 바람직하다.
방사 구조의 상부에 제2방사 소자를 배열함으로써, 하부에 제2방사 소자를 갖는 안테나 장치 보다 전화기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방사기로부터 방사되는 안테나 장치가 달성된다.
2개의 방사 소자를 분리하여 에워싸는 하나의 유전체를 배열함으로써, 제조가 단순하게 될 수 있고 기계적으로 안정한 안테나장치가 달성된다.
제2방사 구조의 배열에 의해서, 다른 모드에서의 바람직한 안테나 동작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형태를 갖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하나의 가능한 적용을 나타낸다. 휴대용 이동 전화기(1)는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3)를 구비한다. 안테나 장치는 연장된 위치와 수축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안테나 휩(4)을 포함하고, 이 안테나 휩은 제1방사 구조(41)를 포함한다. 도면은 연장된 위치의 휩(4)을 갖는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다. 수축된 위치에서, 휩은 전화기의 하우징(2) 내에서, 유전성인 기본적으로 원통형 캐리어(6) 내에 담겨진다. 휩(4)이 수축 위치에 있을 때는, 수축 운동에 대한 스톱퍼인 꼭지(44)만이 외측에서 보여진다. 캐리어(6)에는 휩이 미끄러질 수 있는 구멍이 제공된다. 더욱이, 캐리어(6)는 휩이 수축 위치일 때, 안테나의 중요 기능을 수행하는 제2방사 구조(5)를 구비한다. 도시된 제2방사 구조는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위치, 예컨대 전화기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안테나 장치(3)를 개략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휩(4)은 로드 형상을 갖는 제1방사 구조(41)를 포함하는데, 이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더욱이, 휩은 바람직하게는 제2방사 구조(5)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절연재료 부분(43)을 포함하므로, 휩이 수축 위치일 때, 제1방사 구조(41)가 방사 구조(5)에 의해 에워싸이지 않게 된다. 제2방사 구조(5)가 수축 위치의 휩(4)을 에워싸지 않는 다른 형상 또는 위치를 가지면, 부분(43)은 생략될 수 있다. 휩(4)의 상부에는 상기 꼭지(44)가 구비되고, 바닥에는 스톱퍼(42)가 구비된다. 스톱퍼(42)는 휩 보다 큰 단면을 갖는다. 연장 위치로의 휩의 운동은, 휩(4)의 부분(41)은 미끄러져서 통과하지만 스톱퍼(42)는 통과하지 못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캐리어(6) 또는 하우징(2) 내 또는 상에 배열되는 장치(도시생략)와 스톱퍼(42)가 접촉할 때 정지된다. 스톱퍼(42)는 도전 재료로 만들어지고, 휩 안테나(4)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될 때, 접촉 부재(72)를 매개로 공급점(71)과 접촉한다. 공급점(71)은 무선 통신장치의 송수신회로에 연결된다. 제2방사 구조(5)는 민더 방사 소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공급점(71)으로부터 2개의 민더 소자가 공급된다. 이 민더 소자는 2개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배열되는데,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는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그리고 하나는, 바람직하게는 제1방사 구조(4)와 같이 낮은 대역에서 동작된다. 한편, 하나의 민더 소자만이, 예컨대 하나의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2방사구조(5)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하나 또는 2개의 나선 방사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방사 구조(41,5)의 매치를 위해서, 매칭 수단이 캐리어(6) 상에 제공되어, 공급점(71)과 각각의 방사 구조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는 스톱퍼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사 구조(41)의 제1실시예가 길이방향 단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로 보여진다. 방사 소자(41)의 하단부에서, 제1방사 소자(45) 및 제2방사 소자(46)의 하단부는 스톱퍼(42)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2개의 방사 소자(45,46)는 스톱퍼(42)를 매개로 하단부에 공급되고, 하단부로부터 평행하게 방사 구조(41)의 상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제1주파수에 대한 제1방사 소자(45)의 동조를 위해서, 제1방사 구조(41)의 길이로 방사 소자(45)의 길이가 주어진다. 제2방사 소자(46)는 제2주파수로 동조하는데, 제1방사 소자(45)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2개의 방사 소자는 그들 각각의 주파수로 쉽게 동조될 수 있다. 제1소자(45)는, 예컨대 900MHz GSM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동조될 수 있고, 제2소자는 1800MHz GSM 대역에서 동작하기 위해 동조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의 비율은 2:1로 될 수 있다.
제1방사 소자(45)와 제2방사 소자(46)는 유전체(47)에 의해 소정 간격, 예컨대 대략 0.5mm 분리된다. 더욱이, 방사 소자(45,46)는 대략, 예컨대 0.5mm인 가장 작은 두께를 갖는 유전체(47)에 의해 둘러싸인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연속 유전체(47)가 2개의 방사 소자(45,46)를 분리하여 에워싼다. 하나의 방사 소자(45)가 안테나 휩(4)의 중요 부분의 길이인 방사 구조(41)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이러한 배열에 의해, 기계적으로 바람직한 안테나 장치가 달성된다.
도 4에는 스톱퍼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사 구조(41)의 제2실시예가 길이방향 단면의 개략적인 측면도로 보여진다. 이는 제2방사 소자(46)가 방사 구조(4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예와 구별된다. 제1방사 소자(45)만이 하단부에서 스톱퍼(42)를 매개로 공급된다. 제2방사 소자(46)는 자체의 하단부에서 제2방사 구조(5)를 매개로 용량적으로/유도적으로 공급된다. 민더 구조 또는 나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제2방사 구조(5)는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서 결합 영역에서 하나의 방사 소자의 확대된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제2방사 소자(46)는 제1방사 소자(45)를 매개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2개의 방사 소자(45)는 제1방사 소자(45)의 길이를 따라 용량적으로/유도적으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연속적인 유전체(47)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방사 소자(45,46)를 분리하여 에워싼다.
또한, 이 실시예의 방사 구조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내구성 및 동조 특성에 대해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사 구조(41)의 제3실시예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방사 구조(41)의 유전재료는 점선으로 명확하게 가리켜진다. 방사 구조(41)는 스톱퍼(42)에 부착되어 스톱퍼를 매개로 공급되는 중앙의 제1방사 소자(45)를 포함한다. 도전성의 원통 형상을 갖는 제2방사 소자(46')는 제1방사 소자(45) 주위에 동심으로 배열된다. 2개의 방사 소자(45,46') 모두는 방사 구조(4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2방사 소자(46')는 제1방사 소자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제2방사 소자(46')는 자체의 하단부에서 제2방사 구조(5)를 매개로 용량적으로/유도적으로 공급된다. 그 다음, 민더 구조 또는 나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제2방사 구조(5)는 결합을 개선하기 위해서 결합 영역에서 하나의 방사 소자의 확대된 부분을 나타낸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실린더 형상을 갖는 제2방사 소자(46')는 스톱퍼(42)에 부착되어 스톱퍼를 매개로 공급된다. 따라서, 하단부로부터 제1방사 소자(45)와 동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들 실시예의 방사 구조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내구성 및 동조 성질에 관한 장점을 갖는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방사 구조(41)의 제4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방사 구조(41)의 유전재료가 점선으로 명확하게 가리켜진다. 방사 구조(41)는 스톱퍼(42)에 부착되어 스톱퍼를 매개로 공급되는 중앙의 제1방사 소자(45)를 포함한다. 나선 형상을 갖는 제2방사 소자(46'')가 제1방사 소자(45) 주위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방사 소자(46'')가 스톱퍼(42)에 부착되어 스톱퍼를 매개로 공급된다. 2개의 방사 소자(45,46'') 모두는 방사 구조(4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동일한 축 길이를 갖도록 나타낸다. 그런데, 이들 길이는 다를 수 있다. 한편, 나선으로 구성된 제2방사 소자(46'')는 민더 소자로 교체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방사 소자(45)는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에 적합한 반면, 제2방사 소자(46,46')는 보다 높은 대역에서의 동작에 적합하다. 그런데, (대안적으로) 도 6의 실시예의 경우는 반대로, 제1방사 소자(45)는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적합하게 된다. 이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 내로 수축될 때, 보다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매우 짧은 방사 구조(41)가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스톱퍼(42)를 매개로 한 공급의 대안적인 공급 배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제2방사 구조(5)의 방사 소자(51,52)는 접촉 부재(53,54)를 구비한다. 이들 접촉 부재는 방사 소자(51,52) 및 공급점(71)의 부분을 매개로 공급하기 위해서, 각각 제1 및 제2방사 소자(45,46)의 공급부와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서, 제1 및 제2방사 소자(45,46)는 바람직한 주파수와 동조할 때, 보다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 구조(41)의 단면은, 특히 방사 구조(41)가 대칭일 때,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될 수 있다. 방사 구조(41)가 대칭이 아닐 때는 휩을 안내하고 길이방향 축 주위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단면이 원형이 아닌 것이 선호된다. 그 다음, 대응하는 단면의 안내 부재는 캐리어(6) 또는 하우징(2) 내 또는 상에 존재한다. 이러한 단면은 타원이나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몇몇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비대칭 방사 구조(41)에 기인하는 휩(4)의 휨 특성이 조정될 수 있다. 휩은 연장 위치에서 섀시(2)에 대해 항상 몇몇 위치를 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방사 소자는 항상 서로에 대해 그리고 섀시(2)에 대해 소정 위치를 취하게 되고, 방사 패턴이 제어될 수 있다. 방사 소자(45,46,46',46'')가 분리된 공급부를 가지면, 각 공급부는 대응하는 접촉 부재 또는 결합부와 접촉하도록 안내된다.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의 단면도로, 제2방사 구조의 가능한 단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6)에는 대응하는 단면이 주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방사 소자(45) 및 제2방사 소자(46) 모두는 그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방사한다.
다수의 실시예와 연관하여 본 발명이 기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첨부된 청구항에 따른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변형 중 하나는 제1방사 소자(45)의 상단을 넘어서 소정 거리 연장하는 제2방사 소자(46)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구조는 제1방사 소자(45)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방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사 소자는 곧은 방사 소자나 나선 방사 소자, 관형상 방사 소자 또는 민더 방사 소자일 수 있다. 공급은, 또 다른 방사 소자의 하나의 단부에서 갈바니 전기에 의한 유도 또는 용량 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7)

  1. 안테나 장치(3)와 무선 통신 장치의 회로 사이에서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장치의 회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수단(42,71,72,53,54)과,
    로드 형상을 갖고, 제1길이방향 축과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한편, 제3 및 제4단부를 갖는 제1방사 소자(45)와 제5 및 제6단부를 갖는 제2방사 소자(46,46',46'')을 포함하며 신축 가능한 기다란 제1방사 구조(41),
    제1구조(41)상에 제공되어, 연장 및 수축 위치 각각에서 제1구조(41)의 길이방향 운동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 스톱퍼(44,42),
    제1구조(41)를 무선 통신 장치의 송수신회로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연장된 위치의 제1구조(41)가 상기 공급 수단(42,71,72,53,54)을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주파수 대역 각각에서 RF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작되는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제1방사 소자(45)는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제1방사 소자(45) 및 제2방사 소자(46,46',46'')는 제1부분을 정의하는 제1길이방향 축을 따라 공동으로 연장되고, 이 제1부분에서 제1 및 제2방사 소자(45;46,46',46'')가 제1길이방향 축을 따라 겹치며, 제1방사 소자 및 제2방사소자(45;46,46',46'') 모두가 방사되게 배열되고,
    제1부분은 제1길이방향 축을 따른 제2방사 소자(46,46', 46'')의 적어도 중요 연장부와 동일한 제1길이방향 축을 따른 길이를 갖고,
    상기 공동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방사 소자(45;46,46',46'')는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방사 소자(46,46',46'')는 제1단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수단(42,71,72,53,54)이 상기 제1단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자(45;46,46',46'')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수단(42)과 병렬로 도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수단(42,71,72,53,54)이 상기 제2단부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방사 소자(46,46',46'')는 상기 제1 및 제2단부 사이에위치된 제2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방사 소자 및 제2방사 소자(45;46,46',46'')는 하나의 연속적인 유전체(47)에 의해 분리되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자(45)는 곧은 방사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소자(46,46',46'')는 곧은 방사 소자와, 나선 방사 소자, 관형상 방사 소자 및 민더 방사 소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사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자(45;46,46',46'')가 축 길이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사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자(45;46,46',46'')의 방사 부분의 축 길이 사이의 비율이 기본적으로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리고 기본적으로 원통 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제2방사 구조(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선 형상을 포함하는 방사기와 민더 형상을 포함하는 방사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제2방사 구조(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구조(5)는 제1구조(41)가 미끄러질 수 있게 배열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방사 구조(41)는 타원, 삼각형, 사각형,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외측 형상의 단면을 갖고, 무선 통신 장치 내/상에 구비된 대응하는 단면부의 안내 수단에 의해 안내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6.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구조는 또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해서, 제1방사 소자(45)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방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7. 하우징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안테나 장치에 연결된 수신 및/또는 송신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
KR1020027001389A 1999-08-11 2000-08-04 2중 대역 안테나 장치 KR200200169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2877A SE9902877L (sv) 1999-08-11 1999-08-11 Antennenhet för två band
SE9902877-1 1999-08-11
PCT/SE2000/001542 WO2001011899A1 (en) 1999-08-11 2000-08-04 Dual band antenna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934A true KR20020016934A (ko) 2002-03-06

Family

ID=20416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389A KR20020016934A (ko) 1999-08-11 2000-08-04 2중 대역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03495A1 (ko)
KR (1) KR20020016934A (ko)
CN (1) CN1369176A (ko)
AU (1) AU6486500A (ko)
SE (1) SE9902877L (ko)
WO (1) WO20010118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81A (ko) * 2002-08-29 2004-03-06 (주) 코산아이엔티 다중대역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929A (ja) * 2001-07-04 2003-01-17 Maspro Denkoh Corp 広帯域スリーブアンテナ
WO2005076409A1 (en) 2004-01-30 2005-08-18 Fractus S.A. Multi-band monopole antennas for mobile network communications devices
GB2410837B (en) * 2004-02-06 2007-05-23 Harada Ind Co Ltd Multi-band antenna using parasitic element
CN101465465B (zh) * 2007-12-20 2013-04-03 智易科技股份有限公司 双频天线
CN102832443A (zh) * 2011-06-17 2012-12-19 云南银河之星科技有限公司 一种宽频电小天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567A (en) * 1967-09-25 1970-11-17 Richard J Francis Multielement radio-frequency antenna structure having linearly arranged elements
US4138681A (en) * 1977-08-29 1979-02-06 Motorola, Inc. Portable radio antenna
CA2139682A1 (en) * 1995-01-05 1996-07-06 Paul Francis Bickert Radiation reduction apparatus for a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SE509638C2 (sv) * 1996-06-15 1999-02-15 Allgon Ab Meanderantennanord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781A (ko) * 2002-08-29 2004-03-06 (주) 코산아이엔티 다중대역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03495A1 (en) 2002-05-08
WO2001011899A1 (en) 2001-02-15
CN1369176A (zh) 2002-09-11
SE9902877L (sv) 2001-02-12
AU6486500A (en) 2001-03-05
SE9902877D0 (sv) 199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097B1 (ko) 안테나시스템 및 이 안테나시스템을 갖춘 무선통신장치
KR100602539B1 (ko) 이동 전화용 멀티플 밴드, 멀티플 브랜치 안테나
KR100384656B1 (ko) 기생 소자를 구비한 이중-대역 나선형 안테나
US6611691B1 (en) Antenna adapted to operate i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US6329962B2 (en) Multiple band, multiple branch antenna for mobile phone
EP0747989B1 (en) Double-action antenna
US6057807A (en) Dual band antenna means incorporating helical and elongated radiating structures
KR100601231B1 (ko) 이동 전화기용의 다중 대역 망원경형 안테나
KR100299298B1 (ko) 휴대용 통신장비의 안테나 장치
JP2764348B2 (ja) 携帯装置用アンテナ装置
KR20010043889A (ko) 무선 통신 디바이스용 고효율 다중대역 안테나
KR19980065565A (ko) 듀얼밴드 안테나
US6064346A (en) Antenna assembly
US6288681B1 (en) Dual-band antenna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KR20020016934A (ko) 2중 대역 안테나 장치
KR100326224B1 (ko) 다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되도록 적용되는 안테나
US9590303B2 (en) Antenna
US6336036B1 (en) Retractable dual-band tapped helical radiotelephone antennas
JPH08316716A (ja) アンテナ装置
WO2001020716A1 (en) Antenna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reducing size of a whip element in an antenna arrangement
JPH11177332A (ja) 伸縮式マルチバンドホイップアンテナ
KR100813136B1 (ko) 다중/광대역 이동통신기기 안테나
WO2001011717A1 (en) Antenna arrangement
SE514804C2 (sv) Dubbelbandig antennanordning som innefattar helixformade och långsträckta strålande struktur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