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621A -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621A
KR20020015621A KR1020000052242A KR20000052242A KR20020015621A KR 20020015621 A KR20020015621 A KR 20020015621A KR 1020000052242 A KR1020000052242 A KR 1020000052242A KR 20000052242 A KR20000052242 A KR 20000052242A KR 20020015621 A KR20020015621 A KR 20020015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ata
pharmacist
medic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홍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표 filed Critical 홍영표
Publication of KR20020015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6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가벼운 증상의 환자들이나 장기적인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진료소를 직접 방문함이 없이 저렴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의사에게 접근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을 환자가 원하는 약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약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조제한 후에 환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약을 배달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원격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이 각종 웹문서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며, 이 웹서버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는 각종 컴퓨터나 단말기를 클라이언트로 받아들인다. 또한, 이 컴퓨터시스템은 원격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웹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이 웹서버에 의해 웹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와 약사클라이언트 및 환자클라이언트로 구별된다.

Description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 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Communication system for aiding in conducting a medical service, computer system used therein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it}
이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원격지에 있는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시스템 관한 것이며, 좀더 자세하게는, 환자들이 공중통신망 상에서 의사에게 진료를 요청하고 진단서 및 처방전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 또는 담당의사의 진료소를 방문하는 모든 환자들이 고도로 전문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많은 경우에, 환자는 보편적인 감기나 사소한 발진또는 단순한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단지 일반적인 진찰 또는 의약처방만을 필요로 할뿐이다.
당뇨병 등과 같이 장기적인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약사로부터 약품을 구입하기 위해 의사의 처방전을 받아야 한다. 의사가 이러한 환자들을 진단함에 있어서 초진시에는 환자의 증상을 파악하기 위해 복잡하고 다양한 검사 및 진료를 필요로 하지만, 그 이후의 진료에는 체온, 맥박, 혈압 및 혈당량 등과 같은 건강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처방을 갱신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건강파라미터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매우 정확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는 도구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며, 가정이나 직장에서 비상용으로 비치해 두고 있다. 또한, 이러한 도구들에 대해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그 측정치를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데이터로 출력하게 하는 것은 매우 용이한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가 통신망을 통해 환자에게 특정한 측정도구를 특정한 방식으로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치를 전송할 것을 지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의사의 진료소에 방문해야 한다는 것은 환자에게는 불편한 일이다. 직장인의 경우에는 정상근무시간에 의사와 약속을 정하고 진료소에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편이 가중된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장기치료환자가 처방을 갱신할 때마다 진료소를 방문해야 한다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다. 특히, 환자들이 의사의 진료소들에서 흔히 겪게 되는 장시간의 기다림은 시간이 촉박하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 되기도 한다.
흔히, 이러한 불편으로 인해, 환자들은 사소한 질환에 대한 의료조치를 받는 것을 꺼릴 것이다. 불행하게도, 많은 사소한 질환들은 적절히 처치되지 않으면 긴급하고 값비싼 의료처치를 요구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비화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벼운 증상의 환자들이나 장기적인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진료소를 직접 방문함이 없이 저렴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의사에게 접근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는 의료통신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을 환자가 원하는 약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약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조제한 후에 환자가 원하는 장소로 배달해 줄 수 있게 하는 의료통신시스템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은 인터넷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원격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인터넷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원격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환자가 진료소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기 위해 장시간에 걸쳐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사전에 진료시간을 예약할 수 있도록 의사와 환자간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발명은 환자가 약국에 방문하여 조제를 주문한 후 약사가 조제하는 동안에 기다려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사전에 조제주문을 할 수 있도록 약사와 환자간의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기도 하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른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이 인터넷 상에서 서로 연결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연결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웹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의 웹서버에 게시된 소개페이지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의 웹서버에 로그온하는 것을 안내하는 로그온페이지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통신시스템의 웹서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는 것을 안내하는 환자로그온페이지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로그온페이지에서 의사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했을 때제공되는 의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로그온페이지에서 약사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제공되는 약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로그온페이지에서 환자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제공되는 환자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환자로그온페이지를 통해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했을 때 제공되는 진료요청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진료거절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처방전작성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진료비청구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조제거절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조제내역서작성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조제비청구용 웹문서의 주요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웹서버가 게스트를 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초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8은 웹서버가 게스트를 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중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19는 웹서버가 게스트를 통해 접근한 환자를 회원가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0은 웹서버가 게스트를 통해 접근한 의사를 회원가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1은 웹서버가 게스트를 통해 접근한 약사를 회원가입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2는 웹서버가 게스트를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말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3은 웹서버가 게스트를 비회원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말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4는 웹서버가 게스트를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말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5는 웹서버가 게스트를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말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6은 웹서버가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을 접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7은 웹서버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각종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8은 웹서버가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각종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29는 웹서버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각종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0은 웹서버가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각종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31은 의사클라이언트가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각종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2는 의사클라이언트가 메신저를 통해 수신된 각종 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은 각종 웹문서를 저장하고 있으면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를 포함하며, 이 웹서버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는 각종 컴퓨터나 단말기를 클라이언트로 받아들인다.
이 컴퓨터시스템은 원격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웹서버 또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이 웹서버에 의해 웹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와 약사클라이언트 및 환자클라이언트로 구별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에 연결된 모든 머신(machine)을 의미한다. 이러한 머신의 예로는 각종 컴퓨터 및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각종 단말기 등이 있다.
"의사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웹서버가 관리하는 의사회원군에 가입하여 식별자(ID)를 받은 의사에 의해 그 식별자를 제시하고 접속된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약사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웹서버가 관리하는 약사회원군에 가입하여 식별자(ID)를 받은 약사에 의해 그 식별자를 제시하고 접속된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환자클라이언트"라는 용어는 웹서버가 제공하는 웹서비스의 보조에 의해 원격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환자에 의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접속된 클라이언트를의미하며, 이러한 환자클라이언트는 웹서버가 관리하는 환자회원군에 대한 가입여부에 무관하게 공개적으로 수용된다.
"회원"이라는 용어는 실체가 존재하는 모임의 구성원을 의미하기보다는 이 시스템의 웹서버 또는 그 관리자에 의해 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자를 의미하며, "회원군"이라고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원의 집합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이 웹서버에 접속되어 있지만 의사클라이언트나 약사클라이언트 또는 환자클라이언트의 어느 것도 아닌 클라이언트는 모두 "게스트"라고 지칭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환자라는 용어는 의료조치를 필요로 하는 모든 개개인 및 그를 대신하여 이 의료통신시스템에 접근하여 진료를 요청하고 의사 등에 의해 지시된 행위를 하는 보호자나 간호사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의사라는 용어는 이 의료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훈련되고 자격이 주어진 각종 전문분야의 의사, 한의사 및 그 보조원을 의미하고, 진료소라는 용어는 병원과 한의원 및 각종 의료시설을 포함하여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의사가 존재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약사라는 용어는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에 따라 환자에게 각종 약물이나 식품을 공급할 자격이 주어진 약사, 한약사, 조제사, 치료사 및 식이요법사 등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게스트가 웹서버에 접근하면, 웹서버는 로그온페이지로 연결된 로그온아이콘을 포함하는 웹문서를 제공한다.
게스트에서 로그온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게스트에게 로그온페이지를제공하며, 이 로그온페이지의 상위화면에는 의사회원가입아이콘과 약사회원가입아이콘과 환자회원가입아이콘과 의사로그온아이콘과 약사로그온아이콘 및 환자로그온아이콘이 들어 있다.
게스트에서 의사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의사회원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의사회원가입페이지를 제공한다.
의사회원가입페이지는 의사가 자신의 신원확인사항과 자격사항 및 자신에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수단을 기입할 수 있는 가입신청서의 양식을 제공한다.
의사가 이 가입신청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웹서버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면, 웹서버의 관리자는 정해진 심사절차를 거친 후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의사회원가입을 승낙하는 가입승낙서를 작성하여 의사에게 전달한다. 웹서버의 관리자가 가입승낙서를 작성한 후에, 웹서버는 해당 의사의 회원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한다.
게스트에서 약사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약사회원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약사회원가입페이지를 제공한다.
약사회원가입페이지는 약사가 자신의 신원확인사항과 자격사항 및 자신에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수단을 기입할 수 있는 가입신청서의 양식을 제공한다.
약사가 이 가입신청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웹서버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면, 웹서버의 관리자는 정해진 심사절차를 거친 후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약사회원가입을 승낙하는 가입승낙서를 작성하여 약사에게 전달한다. 웹서버의 관리자가 가입승낙서를 작성한 후에, 웹서버는 해당 약사의 회원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한다.
게스트에서 환자회원가입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환자회원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환자회원가입페이지를 제공한다.
환자회원가입페이지는 환자가 자신의 신원확인사항과 지불수단 및 자신에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수단을 기입할 수 있는 가입신청서의 양식을 제공한다.
환자가 이 가입신청서를 작성하여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웹서버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면, 웹서버의 관리자는 정해진 심사절차를 거친 후에 식별자를 부여하고 환자회원가입을 승낙하는 가입승낙서를 작성하여 환자에게 전달한다. 웹서버의 관리자가 가입승낙서를 작성한 후에, 웹서버는 해당 환자의 회원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한다.
게스트에서 환자로그온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기 위한 환자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다.
환자로그온페이지의 상위화면에는 회원로그온아이콘 및 비회원로그온아이콘이 들어 있다.
게스트에서 환자가 식별자 등을 기입하고 회원로그온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해당 환자의 회원에 관한 사항을 점검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낙하고 웹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한다.
게스트에서 환자가 비회원로그온아이콘을 클릭하면 웹서버는 비회원서비스로 로그온하기 위한 비회원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다.
비회원로그온페이지는 환자가 자신의 신원확인사항과 지불수단 및 자신에게접근하기 위한 접근수단을 기입할 수 있는 웹서비스요청서의 양식을 제공한다.
환자가 게스트에서 이 웹서비스요청서를 작성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면, 웹서버는 일반적인 전자상거래용 웹서버에서 이용되는 통상적인 신원확인 및 지불수단확인을 위한 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낙하고 웹서비스페이지를 제공한다.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한 웹서비스페이지에는 진료요청서의 양식이 들어 있다.
진료요청서에는 희망의사, 희망약사, 진료완료희망기한, 증상, 건강파라미터, 약배달지, 약배달방법, 약배달시간, 기타의 희망사항 등을 기입할 블랭크가 설정되어 있다.
희망의사기입란에는 환자가 진료서비스를 받기를 희망하는 의사의 식별자를 기입한다. 희망의사기입란의 근처에는 의사회원데이터베이스로부터 희망의사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단축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희망약사기입란에는 환자가 진료서비스를 받기를 희망하는 약사의 식별자를 기입한다. 희망약사기입란의 근처에는 약사회원데이터베이스로부터 희망약사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단축아이콘이 배치되어 있다.
진료완료희망기한기입란에는 환자가 진료완료통지서를 받기를 희망하는 시간을 기입하며, 그 시간이 경과하면 진료요청이 취소될 것을 희망하는지의 여부도 기입할 수 있다.
증상 기입란에는 환자가 자신의 증상을 분류하게 하는 증상구분란과 증상을 소상하게 기입하게 하는 상세기입란이 있다.
건강파라미터기입란에는 환자가 진료요청시의 자신의 체온, 맥박, 혈압, 혈당량, 식사량, 체중, 신장 등과 같은 건강파라미터를 기입할 블랭크가 설정되어 있다.
약배달지기입란에는 환자가 약사로부터 약을 배달받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기입한다.
약배달방법기입란에는 환자가 약사로부터 약을 배달받기를 희망하는 방법, 즉, 배송방법을 기입하며, 직접 수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러한 의사를 기입할 수도 있다.
약배달시간기입란에는 환자가 약사로부터 약을 배달받기를 희망하는 시간을 기입한다.
기타희망사항기입란에는 환자가 직접 진단서나 처방전을 배달받기를 희망하는지의 여부 등을 기입할 수 있다.
환자클라이언트에서 진료요청서가 전송되면, 웹서버는 접수된 진료요청서에 환자의 신원확인사항 및 접근수단을 기입하여 희망의사가 회원가입시에 등록한 컴퓨터 또는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웹서버는 접수된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 중에서 의사의 진료에 불필요한 사항을 삭제하고 전송할 수도 있다.
의사는 등록된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서 진료요청서를 수신하고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된 컴퓨터나 단말기를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된 때에는 다른 컴퓨터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고 등록사항을 수정하거나 자신의 회원에 할당된 웹서버의 저장공간에서 자신에게 송달된 진료요청서를 수령하고,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웹서버는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한 진료요청서의 전송시에 수령확인메시지의 회신을 요청하는 신호나 메시지를 함께 보내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서를 접수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희망의사에게 진료요청서를 송달하지 못하거나 수령확인메시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의사는 의사클라이언트에서 진료요청서를 검토하고 보충해야 할 사항이 있으면, 보충요청서를 작성하여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보충요청서가 웹서버로 전달된 경우에는, 웹서버가 이 것을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의사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의 보충이 환자와의 직접 통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의사가 진료요청서와 함께 웹서버에서 전송된 환자의 접근수단에 기재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할 수도 있다.
원래의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의사가 진료행위를 하기에 불충분하고, 그 부족한 부분의 보충이 불가능하거나 적어도 곤란하거나, 또는 의사가 처한 상황 등으로 인해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의사가 의사클라이언트에서 진료거절서를 작성하여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이 진료거절서에는 환자에게 의사의 진료소를 직접 방문할 것을 요청하는 면접진료요구서가 첨부될 수 있다. 이 면접진료요구서에는 방문시간과 방문장소 및 구비사항 등을 기재하는 블랭크가 설정되어 있다.
진료거절서가 웹서버로 전달된 경우에는, 웹서버가 이 것을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원래의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의사가 진료행위를 하기에 충분하거나, 그 부족한 부분의 보충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내용에 기반하여 진료를 하고, 의사클라이언트에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작성한다. 의사는 작성이 완료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의사클라이언트에서 웹서버 및/또는 약사클라이언트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이 웹서버로 전송된 경우에는, 웹서버가 이 것을 약사클라이언트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또한, 의사는 의사클라이언트에서 제공된 진료서비스와 관련된 보수를 상세한 항목별로 기재한 청구서를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약사는 등록된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수신하고 처방에 따라 약을 조제하거나 픽업하여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과 함께 전송된 메시지에 기재된 희망배달수단을 이용하여 희망배달시간에 희망배달지로 배달할 수 있다. 그러나, 등록된 컴퓨터나 단말기를 일시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된 때에는 다른 컴퓨터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고 등록사항을 수정하거나 자신의 회원에 할당된 웹서버의 저장공간에서 자신에게 송달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수령하고, 처방에 따라 환자에게 약을 공급할 수도 있다.
웹서버 및/또는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진단서및/또는 처방전에는 수령확인메시지의 회신을 요청하는 신호나 메시지가 첨부되며, 의사클라이언트 및/또는 웹서버가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작성 및/또는 접수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하기까지 희망약사에게 이 것을 송달하지 못하거나 수령확인메시지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를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의사클라이언트 및/또는 웹서버는 작성 및/또는 접수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에 해당 의사 및/또는 웹서버의 관리자의 전자서명을 첨부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약사클라이언트에 도달된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접한 약사는, 이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을 검토하고, 처방된 약의 미비 등의 이유로 환자에게 약을 공급하지 못할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조제거절서를 작성하여 웹서버 및/또는 의사클라이언트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조제거절서가 의사클라이언트로 전달된 경우에는, 의사클라이언트가 이 것을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하며, 조제거절서가 웹서버로 전달된 경우에는, 웹서버가 이 것을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이 불명료하거나 애매한 경우에는, 약사가 약사클라이언트에서 석명요구서를 작성하여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며, 그 사본을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약사는 약사클라이언트에서 공급된 약의 값을 상세한 항목별로 기재한청구서를 웹서버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약사는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에 첨부된 해당 의사 및/또는 웹서버의 관리자의 전자서명에 의해 해당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웹서버 및/또는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되는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에는 해당 환자의 신원확인사항이 첨부될 수 있으며, 약사는 이 신분확인사항에 의해 환자클라이언트에서 진료서비스를 요청한 환자와 실제로 약을 수령하는 사람의 동일성 또는 적어도 관계를 검증한 후에 약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진단서 및/또는 처방전의 수령시 및/또는 약의 수령시에는 환자클라이언트에서 수령확인서를 작성하여 웹서버로 전송한다. 웹서버는 환자클라이언트에서 전송된 수령확인서 및/또는 기타의 수단을 이용하여 진료서비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의사 및/또는 약사에 의해 작성된 청구서에 기반하여 환자에게 제공된 진료서비스에 대한 보수 및/또는 약값에 대한 청구서를 작성하여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해당 의사 및 약사에게 정해진 방식에 따라 보수 또는 약값을 지불한다.
의사 또는 약사는 이 컴퓨터시스템 내부의 수단 또는 외부의 수단을 이용하여 보수 및/또는 약값을 환자에게 직접 징수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시스템의 웹서버 및/또는 이 웹서버로부터 웹서비스를 제공받는 각종 클라이언트는 각종 문서가 도달했음을 고지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 양호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 발명에 따르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다. 그러한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은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연결되어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웹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수단과,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수단과, 의료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제공수단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수단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 및,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는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의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약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환자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 및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에 해당 사항을 기입한 후에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에 해당 사항을 기입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클라이언트가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전송하면,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약사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약사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것이다.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직접 전송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것이다.
한편, 다른 측면에서 살피면, 이 발명에 따라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컴퓨터시스템이 구축된다. 이 컴퓨터시스템은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수단과,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수단과,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수단과,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어느 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송신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로 분류하고,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약사클라이언트로 분류하며,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되는 클라이언트는 환자클라이언트로 분류하여 승인하는 것이 양호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시스템은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의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약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면, 상기 컴퓨터시스템은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환자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의 신상명세가 기재된 로그온요청서를 전송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이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이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면,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라 제공되는 컴퓨터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과,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수단과,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디지털문서양식의 기입란에 해당 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시스템이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이용되거나,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이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면,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이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면,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는 이 발명에 따라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데이터중계방법은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가입된 전문가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데이터저장단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단계와,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단계와,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단계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게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고,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며,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되는 클라이언트는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킬 수 있다.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전송할 수 있다.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데이터중계방법은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는 의사회원가입단계와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는 약사회원가입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고,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한다.
또한,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는 환자회원가입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의 신상명세가 기재된 로그온요청서를 전송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 또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는, 이 발명에 따라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데이터전송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에 연결을 요청하는 로그온단계와, 다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와, 표시장치에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문서양식의 기입란에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입력단계 및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티터송신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로그온단계에서는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함으로써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온단계에서는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함으로써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 또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는 이 발명에 따라 머신을 이용하여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머신으로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머신으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성질과 양태 및 특징은 아래에 설명한 이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보면 명료해질 것이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이 발명에 따른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보이듯이,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은 인터넷 상에서 서로 연결된 웹서버(10)와 의사클라이언트(20)와 약사클라이언트(30) 및 환자클라이언트(40)를 포함한다.
도 2에 보이듯이, 웹서버(10)는 시스템운영에 요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9B)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베이스(19B)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은, 웹서버(10) 뿐만 아니라, 웹서버(10)에 의해 사용이 승인된 클라이언트(10, 20, 30)에 의해서도 제어될 수 있다.
도 3에 보이듯이, 웹서버(10)는 데이터송신수단(11), 데이터수신수단(12), 게스트수용수단(13), 환자회원가입수단(14), 약사회원가입수단(15), 의사회원가입수단(16), 로그온승인수단(17), 데이터제공수단(18) 및 데이터저장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데이터베이스(19B)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을 포함하며, 게스트(50)와 클라이언트(20, 30, 40)들은 데이터송신수단(21, 31, 41, 51), 데이터수신수단(22, 32, 42, 52), 표시장치(23, 33, 43, 53) 및 입력장치(24, 34, 44, 54)를 포함한다. 데이터송신장치(11, 21, 31, 41, 51)와 데이터수신장치(12, 22, 32, 42, 52)는 통신포트와 통신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인터넷에서 범용되는 통신기술이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게스트수용수단(13)이라고 함은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가 웹서버(10)에 대한 연결을 시도할 때, 이 것을 수용하여 시스템의 최상위화면, 즉 도 4에 도시된 소개페이지를 제공하기 수단을 의미한다. 환자회원가입수단(14)과 약사회원가입수단(15) 및 의사회원가입수단(16)은 이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환자회원과 약사회원 및 의사회원에 가입하기 위한 신청서를 접수하고 검증한 후에 가입을 승인하며 각 회원에 등록하는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는 수단이다.로그온승인수단(17)은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를 이용할 자격이 없는 게스트(50)로서 연결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의 자격을 클라이언트(20, 30, 40)로 승격시키는 수단이다. 데이터제공수단(18)은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20, 30, 40)에 의해 요청된 크기만큼씩 제공하는 수단이다.
입력장치(24, 34, 44, 54)는 키보드 및 마우스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연결되어 건강파라미터의 측정치 등을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정보로 처리하여 입력하는 모든 수단들을 포함하며, 표시장치(23, 33, 43, 53)는 모니터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를 가시적 또는 가청적으로 출력하는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게스트(50)가 로그온승인을 받기 전에는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의 주요내용을 이용하지 못하며,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통신하면서 회원가입신청 또는 로그온요청만 할 수 있다. 로그온된 클라이언트(20, 30, 40)는 웹서버(10)와의 통신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20, 30, 40) 상호간의 직접 통신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직접 통신은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메신저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웹서버(10)의 데이터제공수단(18)을 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식별자를 검색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웹서버(10)는 인터넷을 통해 접근한 컴퓨터 또는 단말기를 일단 게스트(50)로서 받아들이고, 이 게스트(50)에게 도 4에 제공된 소개페이지(110)를 제공한다. 이 소개페이지(110)에는 웹서버(1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소개를 포함한 각종 정보가 게시되어 있으며, 그 중에는 게스트(50)를 도 5에 도시된 로그온페이지(120)로 안내하는 로그온아이콘(111)이 있다.
로그온페이지(120)에는 게스트(50)를 환자로그온페이지(130)로 안내하는 환자로그온아이콘(121)과, 게스트(50)를 의사클라이언트(20)로서 로그온시키는 의사로그온아이콘(122) 및, 게스트(50)를 약사클라이언트(30)로서 로그온시키는 약사로그온아이콘(123)이 있다. 또한, 로그온페이지(120)에는 게스트(50)를 통해 웹서버에 접근한 환자를 이 시스템의 환자회원에 가입시키는 환자회원가입아이콘(124)과, 게스트(50)를 통해 웹서버에 접근한 의사를 이 시스템의 의사회원에 가입시키는 의사회원가입아이콘(125) 및, 게스트(50)를 통해 웹서버에 접근한 약사를 이 시스템의 약사회원에 가입시키는 약사회원가입아이콘(126)이 있다.
환자로그온페이지(130)에는 게스트(50)를 회원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1) 및, 게스트(50)를 비회원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비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2)이 있다. 게스트(50)에서 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1)을 클릭하면, 식별자기입란(133)과 암호기입란(134)이 활성된다.
게스트(50)에서 의사회원가입아이콘(125)을 클릭하면, 웹서버(10)는 도 7에 도시된 의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40)를 게스트(50)에 제공한다.
의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40)에는 게스트(50)를 통해 접근한 의사가 희망하는 식별자와 암호를 기입할 수 있는 식별자기입란(141)과 암호기입란(142)이 있다. 식별자기입란(141)에는 식별자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사가 데이터베이스(19B)로부터 선등록식별자와의 중복여부를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도시 안됨)이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의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40)에는 의사가 신상명세, 자격사항, 소속의료기관, 연락처를 기입할 수 있는 기입란(143, 145, 146, 147)이 있으며, 수진료송금계좌를 등록할 수 있는 기입란(144)이 있다. 웹서버(10)의 관리자는 도 7에 도시된 기입란 이외에도 의사회원가입시에 요구되는 다른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이용될 기입란을 증설할 수 있다.
신상명세기입란(143)에서는 신청인의 성명, 성별, 연령, 학력, 경력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자격사항기입란(145)에서는 자격, 면허기관, 면허번호, 면허취득일, 면허종별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소속의료기관기입란(146)에서는 명칭, 구분, 직책, 주소, 약도, 전화번호, 팩시밀리번호, 전자메일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연락처기입란(147)에서는 자신의 유선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호출기번호, 전자메일주소, 우편주소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송금계좌등록란(144)에서는 수진료 등을 송금할 자신 또는 의료기관 명의의 하나 이상의 은행계좌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도 있다.
게스트(50)에서 약사회원가입아이콘(126)을 클릭하면, 웹서버(10)는 도 8에 도시된 약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50)를 게스트(50)에 제공한다.
약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50)에는 게스트(50)를 통해 접근한 약사가 희망하는 식별자와 암호를 기입할 수 있는 식별자기입란(151)과 암호기입란(152)이 있다. 식별자기입란(151)에는 식별자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사가 데이터베이스(19B)로부터 선등록식별자와의 중복여부를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도시 안됨)이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약사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50)에는 약사가 신상명세, 자격사항, 소속약국, 연락처를 기입할 수 있는 기입란(153, 155, 156, 157)이 있으며, 조제료송금계좌를 등록할 수 있는 기입란(154)이 있다. 웹서버(10)의 관리자는 도 8에 도시된 기입란 이외에도 약사회원가입시에 요구되는 다른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이용될 기입란을 증설할 수 있다.
신상명세기입란(153)에서는 신청인의 성명, 성별, 연령, 학력, 경력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자격사항기입란(155)에서는 자격, 면허기관, 면허번호, 면허취득일, 면허종별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소속약국기입란(156)에서는 명칭, 구분, 직책, 주소, 약도, 전화번호, 팩시밀리번호, 전자메일주소, 사업자등록번호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연락처기입란(157)에서는 자신의 유선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호출기번호, 전자메일주소, 우편주소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송금계좌등록란(154)에서는 조제료 등을 송금할 자신 또는 약국 명의의 하나 이상의 은행계좌 등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도 있다.
게스트(50)에서 환자회원가입아이콘(124)을 클릭하면, 웹서버(10)는 도 9에 도시된 환자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60)를 게스트(50)에 제공한다.
환자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60)에는 게스트(50)를 통해 접근한 환자가 희망하는 식별자와 암호를 기입할 수 있는 식별자기입란(161)과 암호기입란(162)이 있다. 식별자기입란(161)에는 식별자의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자가 데이터베이스(19B)로부터 선등록식별자와의 중복여부를 검색할 수 있는 아이콘(도시 안됨)이 제공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환자회원가입신청용 웹문서(160)에는 환자가 신상명세, 연락처, 건강파라미터 및 병력, 배달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기입란(163, 165, 166, 167)이 있으며, 지불수단을 등록할 수 있는 기입란(164)이 있다. 웹서버(10)의 관리자는 도 9에 도시된 기입란 이외에도 환자회원가입시에 요구되는 다른 정보를 기입하기 위해 이용될 기입란을 증설할 수 있다.
신상명세기입란(163)에서는 신청인의 성명, 성별, 연령, 의료보험조합명, 의료보험카드번호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연락처기입란(165)에서는 자신의 유선전화번호, 이동전화번호, 호출기번호, 전자메일주소, 우편주소 등을 기입할 수 있다. 건강파라미터기입란(166)에서는 자신의 평상시의 신장, 체중, 혈액형, 신체특이사항, 병력, 가족관계 등을 기입할 수 있다. 배달사항기입란(167)에서는 자신이 평상시에 배달받기를 희망하는 주소, 약도, 배달방법, 배달시간 등을 기입할 수 있다. 지불수단등록란(164)에서는 수진료 및 조제료 등을 인출해가기를 희망하는 은행계좌나 신용카드계좌에 관련된 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이 시스템에서 계좌를 개설할 수도 있다.
웹서버(10)는 환자클라이언트(40)에 대해 도 10에 도시된 진료요청용 웹문서(170)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환자클라이언트(40)에서 접수번호와 접수일을 기입할 기입란(171A, 171B)이 불활성상태로 있으며, 추후에 이 웹문서(170)가 웹서버(10)로 전송되면, 웹서버(10)가 접수번호와 접수일을 기입한다.
환자는 진료구분란(172)에서 이 진료요청이 온라인진료요청인지 또는 면접진료요청인지를 표시한다.
희망의사기입란(173)에는 환자가 진료받기를 희망하는 의사의 식별자를 기입한다. 환자는 검색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9B)에 저장된 의사회원에 가입된 의사목록으로부터 희망의사의 식별자를 찾아볼 수 있다.
희망약사기입란(174)에는 환자가 약품조제를 의뢰하고자 하는 약사의 식별자를 기입한다. 환자는 검색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9B)에 저장된 약사회원에 가입된 약사목록으로부터 희망약사의 식별자를 찾아볼 수 있다.
건강파라미터기입란(175A)에는 환자가 진료를 요청할 당시의 혈압, 맥박, 체온, 혈당량, 식사량 등을 기입하며, 증상기입란(175B)에는 환자가 자신이 느끼는 증상, 외관상의 증상, 제3자의 소견 등을 서술식으로 기재하고, 진료자료첨부란(175C)에는 진료에 도움이 될 영상이나 측정치 등을 첨부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및 측정치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어 의사가 열어볼 수 있는 디지털문서로 작성되어야 한다.
지불수단기입란(176)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신이 회원가입시에 등록한 지불수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한다면, 기등록된 지불수단을 새로운 임시지불수단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완료희망기한기입란(177)에는 자신 및/또는 희망약사가 처방전 등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한을 기재하며, 지정기한 내에 처방전 등을 받지 못할 경우에 진료요청이 취소되기를 희망하는지의 여부를 기재할 수도 있다.
배달사항기입란(178)에는 자신이 회원가입시에 기재한 배달사항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원한다면, 그 내용을 임시로 변경할 수 있다.
기타사항기입란(179)은 앞서 언급한 사항 이외의 것을 기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환자클라이언트(40)로부터 이 웹문서(170)를 접수한 웹서버(10)는 위 기재사항과 해당 환자가 회원가입시 또는 로그온시에 기재한 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진료요청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로 전송한다. 웹서버(10)와 환자클라이언트(40)의 사이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크기가 그다지 문제시되지 않는다면, 웹문서(170)로부터 진료요청서를 생성하는 과정은 환자클라이언트(4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웹서버(10)는 의사클라이언트(20)에 대해 도 11에 도시된 진료거절용 웹문서(18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180)는 웹서버(10)로부터 수신한 진료요청서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181)과 환자신상명세기입란(183) 및 완료희망기한기입란(184)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작성일기입란(182)에는 의사가 작성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한다.
거절이유기입란(187)에는 의사가 진료를 거절하는 이유를 서술식으로 기재하고, 추후처리사항기입란(185)에서는 환자가 어떤 사항을 보완하면 해당 진료요청이 수리될 수 있는지, 해당 진료요청은 온라인진료가 불가하고 면접진료만 가능한지, 또는 어떤 방식으로도 해당 의료기관에서 진료가 불가능한지 등을 기재한다.
전자서명첨부란(186)에는 해당 의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의사클라이언트(20)는 위 기재사항과 진료요청서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진료거절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웹서버(10) 및/또는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로 전송하거나, 환자의 연락처로 전달한다.
환자클라이언트(40)에서 진료거절서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앞서 제출된 진료요청용 웹문서(170)가 열린다. 이 때, 접수번호기입란(171A)은 앞서 부여된 접수번호에 확장자를 붙인 새로운 접수번호가 기입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환자는 이 웹문서(170)의 기재사항을 수정하거나 보완하여 다시 제출할 수 있다.
웹서버(10)는 의사클라이언트(20)에 대해 도 12에 도시된 처방전작성용 웹문서(19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190)는 웹서버(10)로부터 수신한 진료요청서나 의사클라이언트(20)의 표시장치의 바탕화면 또는 테스크바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191)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교부일기입란(192)에는 의사가 교부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하며, 교부번호기입란(193)에는 의사가 적절한 교부번호를 기입하거나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번호가 기입된다.
질병분류기호기입란(194)에는 의사가 질병분류기호를 기입하지만, 진료요청서 상에 환자가 질병분류기호를 기입하지 말 것을 희망하는 표시가 있는 경우에는 비워 둔다.
복용제 및 외용제에 관한 기입란(195)에는 약품의 명칭, 1회 투약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일수, 용법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며, 주사제에 관한 기입란(196)에는 약품의 명칭, 원내외구분, 1회 투약량, 1일 투여횟수, 총 투약일수, 조제시 참고사항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한다.
사용기간기입란(197)에는 해당 처방전이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한을 기입한다.
전자서명첨부란(198)에는 해당 의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 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의사클라이언트(20)는 위 기재사항과 진료요청서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처방전을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의사클라이언트(20)가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약사클라이언트(30)로 직접 처방전을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시스템이 의료기관에서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달하는 중개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의료기관은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진료를 요청한 환자에게 교부하는 처방전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여 진료를 받은 환자에게 교부하는 처방전도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가 요구하는 약국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서비스를 원활히 하기 위해 웹서버(10)는 의사클라이언트(20)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으로부터 약사회원군에 가입한 약사를 검색하는 것을 승인한다.
이 때, 의사클라이언트(20)는 처방전을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 이외의 어떤 머신(machine)에서도 수정이 불가능한 상태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 양호하며, 조제용 처방전과, 환자보관용 처방전 및, 웹서버보관용 처방전을 구별하여 생성하고 전송하는 것이 양호하다.
웹서버(10)는 의사클라이언트(20)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진료비청구용 웹문서(20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200)는 처방전을 생성한 후에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201)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되고, 교부번호기입란(202)은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청구일기입란(203)에는 의사가 청구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하며, 청구번호기입란(204)에는 의사가 적절한 청구번호를 기입하거나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번호가 기입된다.
총진료비기입란(205)에는 진찰료, 주사 및 약대, 검사료, 방사선진단치료비, 재활물리치료비, 수술 및 처치료, 영상진단료, 혈액료, 진단서증명료, 지정진료비 등을 항목별로 기입하며, 일부의 항목은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입된다.
청구내역기입란(206)에는 총진료비기입란(205)에 기재된 비용 중에서 보험급여대상이 아닌 금액을 기입하는 보험급여비대상액기입란과, 보험급여대상인 금액을기입하는 보험급여대상액기입란과, 보험급여대상액 중에서 보험사업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보험자부담액기입란과, 보험가입자, 즉 환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본인부담액기입란과, 할인액과 기납입액 등을 기입할 기입란 및, 보험급여비대상액과 본인부담액 등을 합하고 할인액과 기납입액을 뺀 후에 환자가 납부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기입란 등이 있다. 이러한 기입란에 기입되는 금액은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입되며, 의사가 수정할 수도 있다.
전자서명첨부란(207)에는 해당 의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 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의사클라이언트(20)는 위 기재사항과 진료요청서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진료비청구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웹서버(10)는 약사클라이언트(30)에 대해 도 14에 도시된 조제거절용 웹문서(21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210)는 처방전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211)과 환자신상명세기입란(213) 및 배달사항기입란(214)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작성일기입란(212)에는 약사가 작성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한다.
거절이유기입란(217)에는 약사가 조제를 거절하는 이유를 서술식으로 기재하고, 추후처리사항기입란(215)에서는 처방이 변경, 수정 또는 대체되면 해당 조제요청이 수리될 수 있는지, 해당 조제요청에 의해 조제된 약품은 배달이 불가하고 직접수령만 가능한지, 또는 어떤 방식으로도 해당 약국에서 조제가 불가능한지 등을 기재한다.
전자서명첨부란(216)에는 해당 약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 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약사클라이언트(30)는 위 기재사항과 처방전 및 진료요청서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조제거절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웹서버(10),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의사클라이언트(20)로 전송하거나, 해당 환자 및/또는 의사의 연락처로 전달한다.
환자클라이언트(40)에서 조제거절서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배달사항수정용 웹문서(도시 안됨)가 열린다. 이 웹문서에는 해당 진료요청서에 부여된 접수번호에 확장자를 붙인 새로운 접수번호가 기입되어 있다. 환자는 이 웹문서에 의해 배달사항의 수정에 관한 메시지를 웹서버(10), 의사클라이언트(20) 및/또는 약사클라이언트(30)로 전송할 수 있다.
배달사항수정메시지를 수신한 의사클라이언트(20)는 희망약사의 변경여부를 확인하고, 변경이 있으면, 변경된 내용에 따라 새로운 처방전을 생성하여 웹서버(10), 약사클라이언트(30)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40)로 전송할 수 있다.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조제거절서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처방전수정용 웹문서(도시 안됨)가 열린다. 이 웹문서에는 해당 처방전에 부여된 교부번호에 확장자를 붙인 새로운 교부번호가 기입되어 있다. 의사는 이 웹문서에 의해 수정된 처방전, 또는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에 대한 승인의 메시지를 웹서버(10), 약사클라이언트(30) 및/또는 환자클라이언트(40)로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10)는 약사클라이언트(30)에 대해 도 15에 도시된 조제내역서작성용 웹문서(22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220)는 처방전 상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221)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되고, 교부번호기입란(222)은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조제일기입란(223)에는 약사가 조제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하며, 조제번호기입란(224)에는 약사가 적절한 조제번호를 기입하거나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번호가 기입된다.
복용제 및 외용제에 관한 기입란(225)에는 약품의 명칭, 1회 투약량, 1일 투여횟수, 총 조제량, 용법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며, 주사제에 관한 기입란(196)에는 약품의 명칭, 1회 투약량, 1일 투여횟수, 총 조제량 등에 관한 사항을 기재한다.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에 관한 기입란(227)에는 원래의 처방에 대해 변경, 수정 또는 대체되어 조제된 약품의 명칭과 그 사유 및 근거 등을 기입한다.
전자서명첨부란(228)에는 해당 약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 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약사클라이언트(30)는 위 기재사항과 처방전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조제내역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약사클라이언트(30)가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의사클라이언트(20)로 직접 조제내역서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은 앞서 설명한 의료기관과 약국 사이의 처방전전달을 위한 중개시스템을 보완한다. 약국은 조제후의 조제내역서 뿐만 아니라 조제전에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를 요청하는 처방수정요청서를 의료기관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의료기관은 그러한 요청에 대한 승인 또는 거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웹서버(10)는 약사클라이언트(30)에 대해 도 16에 도시된 조제비청구용 웹문서(230)를 제공한다. 이 웹문서(230)는 처방전을 생성한 후에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열린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수번호기입란(231)은 진료요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되고, 교부번호기입란(232)은 처방전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되며, 조제번호기입란(233)에는 조제내역서에 기재된 내용이 전재된 채로 불활성상태로 있다. 청구일기입란(234)에는 약사가 청구일을 기입하거나, 비워둔 채로 웹서버(10)로 전송하면, 웹서버(10)가 기입하며, 청구번호기입란(235)에는 약사가 적절한 청구번호를 기입하거나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자동으로 생성된 번호가 기입된다.
총조제비기입란(236)에는 주사 및 약대, 조제료 등을 항목별로 기입하며, 일부의 항목은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입된다.
청구내역기입란(237)에는 총진료비기입란(236)에 기재된 비용 중에서 보험급여대상이 아닌 금액을 기입하는 보험급여비대상액기입란과, 보험급여대상인 금액을 기입하는 보험급여대상액기입란과, 보험급여대상액 중에서 보험사업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보험자부담액기입란과, 보험가입자, 즉 환자가 지불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본인부담액기입란과, 할인액과 기납입액 등을 기입할 기입란 및, 보험급여비대상액과 본인부담액 등을 합하고 할인액과 기납입액을 뺀 후에 환자가 납부해야 할 금액을 기입하는 기입란 등이 있다. 이러한 기입란에 기입되는 금액은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자동으로 생성되어 기입되며, 약사가 수정할 수도 있다.
전자서명첨부란(238)에는 해당 약사가 웹서버(10)에 제출하여 등록한 자신의 전자서명을 정해진 방식에 따라 첨부한다.
약사클라이언트(30)는 위 기재사항과 진료요청서의 기재사항의 일부를 일목요연하게 관찰할 수 있게 배치한 조제비청구서를 생성한 후에, 메신저를 통해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웹서버(10)로 전송한다.
위에서는 각각의 클라이언트(10, 20, 30)에서 각종 웹문서로부터 해당 서류를 생성하여 웹서버(10) 및 클라이언트(10, 20, 3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통신속도 및 그와 관련된 전송정보의 크기가 문제시되는 경우에는, 송신측에서는 서류가 아니라 각종 웹문서의 각각의 기입란에 기입된 데이터만을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이러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서류를 생성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종 이 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제공에 이용하는 각종 웹문서들에 대해설명하였지만, 웹서버(10)의 관리자는 이러한 웹문서의 일부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웹문서를 생성하여 클라이언트(20, 30, 40)에 제공하거나 웹서버(10)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웹문서의 기입항목을 적절히 삭제하거나 신설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웹페이지 및 웹문서들에 의해 웹서버(10)로 전송된 각종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에 의해 적절하게 편성되어 데이터베이스(19B)에 저장되며, 각각의 정보 및 데이터마다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삭제되고, 어떤 데이터들은 정해진 주기마다 갱신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은 데이터베이스(19B)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목록을 작성하며, 목록은 관련항목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하이퍼텍스트로 작성한다. 이러한 목록은 웹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10, 20, 30)의 요청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전송된다.
아래에서는 도 17 내지 도 32에 도시된 순서도들을 참조하면서, 이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웹서버(10)와 클라이언트(20, 30, 40) 사이에서 행해지는 각종 웹문서와 메시지 및 정보의 전달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7에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웹서버(10)는 컴퓨터 또는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접속해 오면 이러한 컴퓨터 또는 단말기를 게스트(50)로서 받아들이고 서비스를 시작한다. 서비스가 시작되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소개페이지(110)를 제공한다.(S001) 이 소개페이지(110)를 제공한 후에, 웹서버(10)는 게스트(50)의 사용자가 로그온아이콘(111)을 클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002)하기 위한 대기모드에 있다.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게스트(50)에게 로그온페이지(120)를 제공한다.(S010)
도 18에 보이듯이, 로그온페이지(120)를 제공한 후에, 웹서버(10)는 게스트(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에 있다. 게스트(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웹서버(10)는 그 신호가 환자로그온아이콘(121)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환자로그온페이지(130)를 제공하며,(S100) "아니오"이면, 그 신호가 환자회원가입아이콘(124)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를 제공하며,(S110) "아니오"이면, 그 신호가 의사로그온아이콘(122)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의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하며,(S120) "아니오"이면, 그 신호가 의사회원가입아이콘(125)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4)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의사회원가입용 웹문서(140)를 제공하며,(S130) "아니오"이면, 그 신호가 약사로그온아이콘(123)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약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하며,(S140) "아니오"이면, 그 신호가 약사회원가입아이콘(126)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01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약사회원가입용 웹문서(150)를 제공한다.(S150) 도 18에서는 웹서버가 환자로그온아이콘(121), 환자회원가입아이콘(124), 의사로그온아이콘(122), 의사회원가입아이콘(125), 약사로그온아이콘(123), 약사회원가입아이콘(126)의 순서로 신호를식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순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변경이 가능하다.
도 19에 보이듯이, 게스트(50)에게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를 제공한 후에, 그러한 웹문서(160)에 의해 생성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수신(S111)한 웹서버(10)는 웹문서(160)의 식별자기입란(161)에 기입된 희망식별자가 선등록된 다른 가입자의 식별자와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중복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를 다시 제공하며,(S110) "아니오"이면, 웹문서(160)의 필수기재사항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재누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누락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를 다시 제공하며,(S110) "아니오"이면, 웹문서(160)의 지불수단등록란(164)에 기재된 지불수단이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14) 이러한 지불수단검증의 방법은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지불수단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를 다시 제공하며,(S110) "예"이면, 신청인을 환자회원가입자군의 일원으로 데이터베이스(19B)에 등록하고,(S115) 게스트(50)에게 환자로그온페이지(130)를 제공한다.(S100) 이 때,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환자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이 통신시스템의 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들을 다운로드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게스트(50)의 답변내용에 따라 그러한 응용프로그램을 게스트(50)에게 제공한다. 이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메신저프로그램은 일반적인 메신저프로그램에서 불필요한 기능을 삭제하고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만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편집한 것이며, 그러한 기능의 상세한 내용은 통상적인 메신저들이 흔히 구비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 한다. 또한, 통상적인 웹브라우저나 전자메일만으로도 환자클라이언트(40)로서 이 통신시스템에서 통신할 수 있으므로, 게스트(50)가 환자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을 반드시 다운로드할 것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환자클라이언트(40)로서 웹서버(10)에 로그온한 후에는 언제라도 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20에 보이듯이, 게스트(50)에게 의사회원가입용 웹문서(140)를 제공한 후에, 그러한 웹문서(140)에 의해 생성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수신(S131)한 웹서버(10)는 웹문서(140)의 식별자기입란(141)에 기입된 희망식별자가 선등록된 다른 가입자의 식별자와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중복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의사회원가입용 웹문서(140)를 다시 제공하며,(S130) "아니오"이면, 웹문서(140)의 필수기재사항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재누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누락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의사회원가입용 웹문서(140)를 다시 제공하며,(S130) "아니오"이면, 웹문서(140)의 송금계좌기입란(144)에 기재된 송금수단이 웹서버(10)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4)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송금수단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의사회원가입용 웹문서(140)를 다시 제공하며,(S130) "예"이면, 신청인을 의사회원가입자군의 일원으로 데이터베이스(19B)에 등록하며,(S135) 게스트(50)에게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이 통신시스템의 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S136) 의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다.(S120)
도 21에 보이듯이, 게스트(50)에게 약사회원가입용 웹문서(150)를 제공한 후에, 그러한 웹문서(150)에 의해 생성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수신(S151)한 웹서버(10)는 웹문서(150)의 식별자기입란(151)에 기입된 희망식별자가 선등록된 다른 가입자의 식별자와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중복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약사회원가입용 웹문서(150)를 다시 제공하며,(S150) "아니오"이면, 웹문서(150)의 필수기재사항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재누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누락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약사회원가입용 웹문서(150)를 다시 제공하며,(S150) "아니오"이면, 웹문서(150)의 송금계좌기입란(154)에 기재된 송금수단이 웹서버(10)가 접근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4)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등록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송금수단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약사회원가입용 웹문서(150)를 다시 제공하며,(S150) "예"이면, 신청인을 약사회원가입자군의 일원으로 데이터베이스(19B)에등록하며,(S155) 게스트(50)에게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이 통신시스템의 이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S156) 약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다.(S140)
도 22에 보이듯이, 환자로그온페이지(130)를 제공한 후에, 웹서버(10)는 게스트(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에 있다. 게스트(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웹서버(10)는 그 신호가 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1)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환자로그온페이지(130)의 식별자기입란(133)과 암호기입란(134)에 기입된 식별자와 암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진료요청용 웹문서(170)를 제공하며,(S200) "아니오"이면, 불일치를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환자로그온페이지(130)를 제공한다.(S100) 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1)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S101)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비회원환자로그온아이콘(132)을 클릭한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비회원환자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다.(S170) 이 때, 비회원환자로그온페이지에는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기입하는 기입란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환자회원가입용 웹문서(160)와 동일한 웹문서가 첨부되어 있다.
도 23에 보이듯이, 게스트(50)에게 비회원환자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 후에, 그 페이지에 첨부된 웹문서에 의해 생성된 비회원환자로그온요청서를 수신(S171)한 웹서버(10)는 웹문서의 필수기재사항 중의 어느 하나라도 기재누락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7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승인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누락을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그 웹문서를 다시 제공하며,(S170) "아니오"이면, 웹문서의 지불수단기입란에 기재된 지불수단이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73) 이러한 지불수단검증의 방법은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승인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지불수단변경을 요청하는 메시지와 함께 그 웹문서를 다시 제공하며,(S170) "예"이면, 요청인을 게스트환자로서 데이터베이스(19B)에 등록하고,(S115) 게스트(50)에게 진료요청용 웹문서(170)를 제공한다.(S200) 이 때, 게스트환자로서 데이터베이스(19B)에 등록된 요청인의 기록은, 그 등록시에 요청한 서비스의 제공이 완료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19A)에 의해 데이터베이스(19B)로부터 자동으로 삭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4에 보이듯이, 의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 후에, 웹서버(10)는 게스트(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에 있다. 게스트(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웹서버(10)는 의사로그온페이지의 식별자기입란과 암호기입란에 기입된 식별자와 암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1)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불일치를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의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하며,(S120)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간이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내고, 그 답변내용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고,(S122) 게스트(50)에게 의사클라이언트(20)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한다.(S123) 이러한 승인에 의한 로그온상태는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로그오프신호를 보내거나,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가 작동중단상태에 빠지지 않는 한, 계속 유지된다.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기동 또는 작동재개될 때에,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10)에 접근하는 것을 포함해서 웹서버(10)가 의사클라이언트(20)로서의 로그온을 승인(S123)하기까지의 전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10)는 의사클라이언트(20)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한 컴퓨터에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간이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S122)를 생략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5에 보이듯이, 약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한 후에, 웹서버(10)는 게스트(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기다리는 대기모드에 있다. 게스트(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웹서버(10)는 약사로그온페이지의 식별자기입란과 암호기입란에 기입된 식별자와 암호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41)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불일치를 알리는 메시지와 함께 약사로그온페이지를 제공하며,(S140) "예"이면, 웹서버(10)는 게스트(50)에게 간이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보내고, 그 답변내용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을 제공하고,(S142) 게스트(50)에게 약사클라이언트(30)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한다.(S143) 이러한 승인에 의한 로그온상태는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로그오프신호를 보내거나,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가 작동중단상태에 빠지지 않는 한, 계속 유지된다.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가 기동 또는 작동재개될 때에,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10)에 접근하는 것을 포함해서 웹서버(10)가 약사클라이언트(30)로서의 로그온을 승인(S143)하기까지의 전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웹서버(10)는 약사클라이언트(30)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한 컴퓨터에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포함한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간이약사메신저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S142)를 생략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6에 보이듯이, 환자클라이언트(20)에게 진료요청용 웹문서(170)를 제공한 후에, 그러한 웹문서(170)에 의해 생성된 진료요청서를 수신(S201)한 웹서버(10)는 지불수단기입란(176)에 기입된 지불수단이 신뢰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접수절차를 취소하고 게스트(50)에게 지불수단변경을 요청(S208)한 후에, 수정된 진료요청서를 수신하고,(S201) 변경된 지불수단이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20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접수번호를 부여하고 진료요청서를 접수한다. 이 과정에서, 환자클라이언트(40)는 전송정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완성된 형태의 진료요청서가 아니라, 진료요청용 웹문서(170)의 각각의 기입란에 기입된 데이터만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웹서버(10)가 전문을 생성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의도로 웹서버(20)도 각종 클라이언트(20, 30, 40)에게 완성된 서류가 아닌 기입데이터만을 송신할 수 있다. 접수를 완료한 웹서버(10)는 진료요청서를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에게 회송하고 요청내용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을 요청(S204)하고, 수정사항이 있는지를판단한다.(S205)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수정된 진료요청서를 생성(S209)하여 환자클라이언트(40)에게 회송하고 요청내용이 정확한지의 여부를 확인할 것을 다시 요청한다.(S204) 이러한 단계(S204, S205 S209)들은 진료요청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절차는 아니다. 수정사항이 있는지를 판단(S205)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9B)의 환자회원에 진료요청사실을 등록하며,(S206) 웹서버(10)가 처리해야 할 업무를 모아둔 미결목록에 등록하고,(207) 웹서버(10)에 설치된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를 수신처로 하여 등록해 둔다.(S210) 미결목록에 등록된 업무들은 각각의 업무의 진행상황에 즉각적으로 갱신되며, 웹서버(10)는 미결목록에 등록된 모든 업무를 주기적으로 조회하다가 요구되는 조치를 취한다.
도 27에 보이듯이, 진료요청서 등을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등록해 둔 웹서버(10)는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가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진료요청서를 전송하고,(S215)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 또는 의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에게 진료요청서의 전송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217) 진료요청서의 접수 및 전송에 관련된 서비스를 종료한다.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가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1)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의사회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의사의 연락처를이용하여 해당 의사에게 어떤 머신이든 간에 해당 회원의 의사클라이언트(20)로서 로그온시킬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연락을 위해 웹서버(10)는 일반적인 전자메일을 발송하는 기능은 물론이고, 팩시밀리기로 영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각종 전화기나 호출기로 문자메시지나 음성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 등을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연락을 취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웹서버(10)는 의사로부터 연락도달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3)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가 해당 의사회원에 대해 제공하는 사서함에 해당 진료요청서를 로드하고,(S218) 해당 의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S219)한 후에,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 또는 의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 의사로부터 연락도달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3)한 결과가 "예"이면,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4)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해당 의사회원에 대해 제공하는 사서함에 해당 진료요청서를 로드하며,(S218) "예"이면, 진료요청서를 전송한다.(S215) 의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16)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해당 의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한다.(S219)
도 28에 보이듯이, 의사클라이언트(20)에서 웹서버(10)로 어떤 메시지를 보내면, 웹서버(10)는 그 메시지와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해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고,(S220) 그 메시지에 포함된 서류를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그 것이 진료완료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의사회원에 등록하고,(S226) 거기에 첨부된 처방전 등을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를 수신처로 하여 등록(S230)함과 아울러, 환자메신저프로그램이나 기타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하며, "아니오"이면, 그 것이 진료거절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의사회원에 등록하고,(S227)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S228)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40)로부터 요청내용의 수정에 관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29) 판단결과가 "예"이면, 수정된 진료요청서를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를 수신처로 하여 등록해 둔다.(S210) 진료거절서인지의 여부를 판단(S222)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그 것이 면접진료시간지정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의사회원에 등록하고,(S227)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한다.(228) 의사가 의사클라이언트(20)를 통해 면접진료시간지정서를 전송하는 것은, 진료요청서에 표시된 진료구분이 면접진료인 경우, 또는 진료구분이 온라인진료일지라도 의사가 온라인진료는 불가하고 면접진료만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행해지는데, 이 것은 결국 이 통신시스템이 면접진료예약시스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면접진료시간지정서인지의 여부를 판단(S223)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그 것이 진료비청구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24)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청구서를 해당 의사회원에 대한 지불목록에 등록하며,(S250) "아니오"이면, 그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225) 지불목록에 등록된 진료비는 해당 환자회원에 등록된 지불수단으로부터 인출되어 지불되며, 그 절차는 통상적인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의 지불절차에 따른다.
도 29에 보이듯이, 처방전 등을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등록해 둔 웹서버(10)는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가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처방전을 전송하고,(S235)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 또는 약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6)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및/또는 의사클라이언트(20)에게 처방전의 전송을 완료했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237) 처방전의 전송에 관련된 서비스를 종료한다.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가 현재 접속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231)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약사회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해당 약사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해당 약사에게 어떤 머신이든 간에 해당 회원의 약사클라이언트(30)로서 로그온시킬 것을 요청한다. 연락을 취하고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웹서버(10)는 약사로부터 연락도달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3)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가 해당 약사회원에 대해 제공하는 사서함에 해당 처방전을 로드하고,(S238) 해당 약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S239)한 후에,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 또는 약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6) 약사로부터 연락도달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33)한 결과가 "예"이면,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34)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해당 약사회원에 대해제공하는 사서함에 해당 처방전을 로드하며,(S238) "예"이면, 처방전을 전송한다.(S235) 약사로부터 수신확인의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S236)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해당 약사에게 그 사실을 통지한다.(S239)
도 30에 보이듯이, 약사클라이언트(30)에서 웹서버(10)로 어떤 메시지를 보내면, 웹서버(10)는 그 메시지와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해서 해당 메시지를 수신하고,(S240) 그 메시지에 포함된 서류를 개별적으로 검토하여 그 것이 조제완료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1)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약사회원에 등록하고,(S246) 거기에 첨부된 조제내역서 등을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를 수신처로 하여 등록(S210)함과 아울러, 환자메신저프로그램이나 기타의 연락처를 이용하여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하며, "아니오"이면, 그 것이 조제거절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2)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약사회원에 등록하고,(S247)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S248)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내용의 수정에 관한 메시지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249) 판단결과가 "예"이면, 수정된 진료요청서를 약사메신저프로그램의 전송목록에 해당 약사클라이언트(30)를 수신처로 하여 등록해 둔다.(S230) 여기에서, 진료요청서의 수정내용이 희망약사의 변경에 관한 것이면, 수정된 진료요청서를 의사메신저프로그램을 통해 해당 의사클라이언트(2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의사가 새롭게 지정된 약사를 조제약사로 지명한 변경된 처방전을 발행하게 할 수도 있다. 조제거절서인지의 여부를 판단(S242)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그 것이 직접수령요청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3)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사실을 해당 약사회원에 등록하고,(S247) 해당 환자클라이언트(40) 또는 환자에게 통지한다.(248) 직접수령요청서인지의 여부를 판단(S243)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웹서버(10)는 그 것이 조제비청구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44) 판단결과가 "예"이면, 웹서버(10)는 그 청구서를 해당 약사회원에 대한 지불목록에 등록하며,(S250) "아니오"이면, 그 메시지의 내용에 따라 적절한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225) 이 단계(S225)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로는 약사가 의사에게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를 요청하고, 의사가 그 것을 승인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31은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의사클라이언트(20)를 주체로 하여 각종 정보 및 문서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외부로부터 진료요청서나 그 갱신서 등과 같은 서류를 수신(S300)한 의사클라이언트(20)는 그 것이 온라인진료요청에 관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1) 판단결과가 "예"이면, 그 요청서 또는 갱신서를 표시장치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 즉 의사가 온라인진료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의사가 판단결과를 "예"라고 입력하면,(S302) 의사클라이언트(20)는 처방전을 포함한 각종 증명서를 작성할 수 있는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준다.(S303) 의사가 문서작성종료아이콘을 클릭하면, 의사클라이언트(20)는 필수기재사항의 기재누락이 있는지에 관해 검토하여 문서작성의 완료여부를 판단한다.(S304) 판단결과가"아니오"이면, 의사클라이언트(20)는 해당 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다시 표시(S303)함으로써 의사가 작성을 완료하게 하며, "예"이면, 정해진 방식에 따라 산출된 금액을 항목별로 기입한 청구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S305)함으로써, 의사가 그 청구내역을 검토하고 수정하게 한다. 의사에 의한 수정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06) 판단결과가 "예"이면, 수정된 청구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다시 표시(S305)하며, "아니오"이면, 청구서를 포함한 진료완료서를 진료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307) 온라인진료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의사가 판단결과를 "아니오"라고 입력하면,(S302) 의사클라이언트(20)는 진료거절서의 작성을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주고, 의사가 작성을 완료하면, 진료거절서를 진료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308) 온라인진료요청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S301)한 결과가 "아니오"이면, 의사클라이언트(20)는 그 것이 면접진료요청에 관한 것인지를 판단한다.(S310) 판단결과가 "예"이면, 의사클라이언트(20)는 면접진료지정서의 작성을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주고, 의사가 작성을 완료하면, 면접진료지정서를 진료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하며,(S312) "아니오"이면, 기타의 프로세스를 진행한다.(S311) 이 단계(S311)에서 진행되는 프로세스로는 약사가 의사에게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를 요청하고, 의사가 그 것을 승인하는 것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도 32는 이 실시예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약사클라이언트(30)를 주체로 하여 각종 정보 및 문서가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외부로부터 처방전이나 그 갱신서 등과 같은 서류를 수신(S400)한 약사클라이언트(30)는 그 처방전 또는 갱신서를 표시장치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 즉 약사가 그 것이 조제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한다. 약사가 판단결과를 "예"라고 입력하면,(S401) 약사클라이언트(30)는 조제내역서 등을 작성할 수 있는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준다.(S402) 약사가 문서작성종료아이콘을 클릭하면, 약사클라이언트(30)는 필수기재사항의 기재누락이 있는지에 관해 검토하여 문서작성의 완료여부를 판단한다.(S403) 판단결과가 "아니오"이면, 약사클라이언트(30)는 해당 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다시 표시(S402)함으로써 약사가 작성을 완료하게 하며, "예"이면, 정해진 방식에 따라 산출된 금액을 항목별로 기입한 청구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표시(S404)함으로써, 약사가 그 청구내역을 검토하고 수정하게 한다. 약사에 의한 수정요구가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405) 판단결과가 "예"이면, 수정된 청구서를 생성하여 표시장치에 다시 표시(S404)하며, "아니오"이면, 청구서를 포함한 조제내역서를 조제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406) 조제에 적합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 약사가 판단결과를 "아니오"라고 입력하면,(S401) 약사클라이언트(30)는 처방의 변경, 수정 또는 대체가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묻고, 약사가 "예"라고 입력하면,(S410) 약사클라이언트(30)는 수정요청서의 작성을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주고, 약사가 작성을 완료하면, 수정요구서를 조제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414) 약사가 처방수정에 관한 질의에 "아니오"라고 입력하면,(S410) 약사클라이언트(30)는 다시 조제약품의 직접수령이 요청되는지의 여부를 묻고, 약사가 "예"라고 입력하면,(S411) 약사클라이언트(30)는 직접수령요청서의 작성을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주고, 약사가 작성을 완료하면, 직접수령요청서를 조제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413) 약사가 직접수령에 관한 질의에 "아니오"라고 입력하면,(S411) 약사클라이언트(30)는 조제거절서의 작성을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장치에 표시해 주고, 약사가 작성을 완료하면, 조제거절서를 조제요청자 또는 중개자에게 전송한다.(S412)
위에서 설명한 웹서버(10)와 각종 클라이언트(20, 30, 40) 및 게스트(50) 사이의 통신을 함에 있어서, 통신속도의 고속화 및/또는 전송데이터의 크기의 축소 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발명에서는 그러한 기술의 이용에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아니 하며, 어떤 것을 이용하든 간에 그 것은 단지 선택적인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그러한 기술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디지털정보로 출력되거나 또는 변환된 모든 의료관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건강파라미터의 측정을 위한 장치들이 개발됨에 따라 이 시스템의 역할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비록 아직 사용되고 있지 않을지라도, 향후에 의사와 환자가 통신망 상에서 측정데이터를 대화형으로 주고 받으면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측정데이터를 측정하여 전송할 수 있는 대화형 원격측정장치가 개발된다면, 이 시스템은 그러한 측정장치를 이용한 원격진료에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될 것이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통신과정에서의 보안뿐만 아니라, 통신전후에도 허락된 자만이 문서를 열람, 출력 또는 복제할 수 있게 하는 문서보안에 관한 다양한 기술들도 아무런 제한 없이 이용될 수 있다.
위에서는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 및 거기에 이용되는 각종 컴퓨터시스템을 설명하였지만, 그 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도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변경이나 대체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그러한 변경예나 대체예 또는 조절예를 포함할 것을 의도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면, 가벼운 증상의 환자들이나 장기적인 약물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진료소를 직접 방문함이 없이 저렴하고 용이하게 원하는 의사에게 접근하여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이 환자들은 의사가 발행한 처방전을 환자가 원하는 약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약사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을 조제한 후에 환자가 원하는 장소로 배달한 약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들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약국에 처방전을 보내고 조제를 주문함으로써 진료를 받기 위해 진료소에서 장시간에 걸쳐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또한, 환자들은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약국에 처방전을 보내고 조제를 주문함으로써 약사가 조제하는 동안에 약국에서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Claims (102)

  1.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웹서버에 연결되어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웹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수단과,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수단과,
    의료서비스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제공수단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수단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 및,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 및,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고,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하나 이상의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8. 청구항 2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의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9. 청구항 2, 3,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약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0. 청구항 2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1. 청구항 2, 3,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2. 청구항 2 내지 7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환자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에 의해 이용되는 환자클라이언트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웹서버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 및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에 해당 사항을 기입한 후에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에 해당 사항을 기입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2. 청구항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3.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4.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는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5.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29. 청구항 25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
  30.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수단과,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수단과,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수단과,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어느 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송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로 분류하고,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약사클라이언트로 분류하며,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되는 클라이언트는 환자클라이언트로 분류하여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5. 청구항 32 또는 33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의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6. 청구항 32 또는 34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약사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7. 청구항 32 또는 33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8. 청구항 32 또는 34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39. 청구항 32 내지 3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게 구성된 환자회원가입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1.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2.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수단은 상기 게스트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의 신상명세가 기재된 로그온요청서를 전송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3.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4.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5.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6. 청구항 44 또는 45에 있어서,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7.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8.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49.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수단은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0. 청구항 47 내지 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1. 통신망에 연결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컴퓨터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수단과,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송신수단과,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디지털문서양식의 기입란에 해당 사항을 기입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2. 청구항 51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3. 청구항 51에 있어서,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의사클라이언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4. 청구항 52 또는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5. 청구항 52 또는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6.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7.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8.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59. 청구항 52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0. 청구항 58 또는 59에 있어서,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1.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2.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의사가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3.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4.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수단은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게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송신수단은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5. 청구항 63 또는 64에 있어서,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시스템.
  66.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의료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가입된 전문가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회원데이터저장단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을 요청한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를 게스트로 수용하는 게스트수용단계와,
    상기 게스트가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로그온을 승인하는 로그온승인단계와,
    클라이언트가 웹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 및 응용프로그램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데이터제공단계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게와,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데이터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67. 청구항 66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의사의 진료소에 설치되어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고,
    약국에 설치되어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는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며,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용되는 클라이언트는 환자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68.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과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69.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의사들이 가입된 의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의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0.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약사들이 가입된 약사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에 대해 상기 약사회원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 및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환자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1. 청구항 68 또는 69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의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의사회원군에 가입시키는 의사회원가입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2. 청구항 68 또는 69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약사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약사회원군에 가입시키는 약사회원가입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3. 청구항 68 또는 69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의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4. 청구항 68 또는 69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약사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5. 청구항 68 내지 69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회원데이터저장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가 가입된 환자회원군에 관한 데이터를 부가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6.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게스트로부터 전달된 환자회원가입신청서를 검토하고 신청인을 상기 환자회원군에 가입시키는 환자회원가입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7.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환자회원군에 속한 일인의 식별자를 제시하고 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요청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8. 청구항 68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승인단계에서는 상기 게스트가 상기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자의 신상명세가 기재된 로그온요청서를 전송하면 검증절차를 거친 후에 환자클라이언트로서의 로그온을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79.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환자클라이언트에게 진료요청용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요청용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0.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1.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의사클라이언트에게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의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약사클라이언트로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2. 청구항 80 또는 81에 있어서,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3.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환자클라이언트로부터 처방전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처방전을 약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4.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환자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5. 청구항 6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제공단계에서는 약사클라이언트에게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약사클라이언트로부터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의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6. 청구항 83 내지 8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중계방법.
  87. 컴퓨터시스템을 이용하여 의료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다른 컴퓨터 또는 통신단말기에 연결을 요청하는 로그온단계와,
    다른 컴퓨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단계와,
    표시장치에 의료서비스에 관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표시하는 표시단계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문서양식의 기입란에 해당 사항을 기입하는 입력단계 및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티터송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88. 청구항 87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단계에서는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의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며, 그럼으로써 진료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89. 청구항 87에 있어서,
    상기 로그온단계에서는 통신망 상의 호스트사이트에 설치되어 의료서비스를 보조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주관하는 웹서버에 약사클라이언트로서 로그온하며, 그럼으로써 조제와 관련한 문서를 디지털문서로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0. 청구항 88 또는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1. 청구항 88 또는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2.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3.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환자의 진료요청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4.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5. 청구항 88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진료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진료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6. 청구항 94 또는 95에 있어서,
    상기 진료관련문서는 진료거절서, 내용보완요청서, 진료완료서, 면접진료요청서, 진단서, 처방전, 처방수정승인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7.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8.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부터 의사가 교부한 처방전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99.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00. 청구항 89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수신단계에서는 상기 웹서버로부터 조제관련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디지털문서양식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송신단계에서는 상기 조제관련문서의 데이터를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다른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01. 청구항 99 또는 100에 있어서,
    상기 조제관련문서는 조제거절서, 처방수정요청서, 조제완료서, 직접수령요청서, 조제내역서, 청구서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전송방법.
  102. 머신을 이용하여 청구항 66 내지 101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 머신으로 실행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머신으로 판독할 수 있는 매체.
KR1020000052242A 2000-08-22 2000-09-05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KR20020015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8462 2000-08-22
KR1020000048462 2000-08-22
KR20000051433 2000-09-01
KR1020000051433 2000-09-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621A true KR20020015621A (ko) 2002-02-28

Family

ID=2663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242A KR20020015621A (ko) 2000-08-22 2000-09-05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6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0297B2 (en) 2009-12-18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services via an API and an open IPTV platform apparatus
KR20200081520A (ko) 2018-12-14 2020-07-08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보조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5850A (ko) 2021-03-04 2022-09-15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서비스로봇의 인간과 면대면 상호작용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의료서비스 로봇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0297B2 (en) 2009-12-18 2014-09-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medical services via an API and an open IPTV platform apparatus
KR20200081520A (ko) 2018-12-14 2020-07-08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보조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5850A (ko) 2021-03-04 2022-09-15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서비스로봇의 인간과 면대면 상호작용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이 가능한 의료서비스 로봇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6534B2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AU2002211889A1 (en) System for communication of health care data
JP2003323492A (ja) 医療・福祉関係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KR20020015621A (ko) 의료서비스보조용 통신시스템과 그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전송방법
JP4460231B2 (ja) 保険療養支援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保険療養支援方法
JP2001357307A (ja) 診療予約システムおよび診療予約方法、並びに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