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739A -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 Google Patents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739A
KR20020014739A KR1020010049335A KR20010049335A KR20020014739A KR 20020014739 A KR20020014739 A KR 20020014739A KR 1020010049335 A KR1020010049335 A KR 1020010049335A KR 20010049335 A KR20010049335 A KR 20010049335A KR 20020014739 A KR20020014739 A KR 20020014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uction
collector
ventilato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3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디디에쟝마뉘엘
Original Assignee
라쿠르와 브뤼노
알드 애롤리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쿠르와 브뤼노, 알드 애롤리끄 filed Critical 라쿠르와 브뤼노
Publication of KR20020014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73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PURPOSE: A centralized suc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is centralized to be suitable for two users and has a superior property at the two concave parts which is parallel or piled up. CONSTITUTION: A centralized suction source(2) for vacuum cleaning has two blowers and several suction ports(6,7). The ports(6,7) are in two distinct groups for connection to a common manifold(3) on the suction source. Two valves(17,18) in the central source connect one or other of the groups to a reservoir(4,5) and isolate the non-operational blower circuit. Thereby, the centralized suction device is suitable for two users.

Description

중앙으로 집중된 흡인 장치{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Centralized suction unit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본 발명은 중앙으로 집중 된 흡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alized suction device.

중앙으로 집중 된 흡인장치는 모터 환기장치가 장착된 모터 및 필터를 포함하고 있다. 흡인이 실행되어져야 하는 곳에는 흡인구가 장착되어 있는 바, 그 흡인구는 예를 들어 각각의 부분에 위치되어 질 수 있다. 각각의 흡인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청소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장착되어 질 수 있다. 다양한 흡인구들은 한 쌍의 파이프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어 있고, 모터 환기 장치는 작동 중에 설치가 가능하고 각각의 흡인구로부터 정지될 수 있다.The centralized suction system includes a motor and filter with motor ventilation. Where suction is to be carried out, a suction port is mounted, which suction port can for example be located in each part. Each suction port can be equipped with a flexible material to allow the user to connect to the vacuum cleaner. The various suction ports are connected to the motor by a pair of pipes, and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can be installed during operation and can be stopped from each suction port.

단 한명의 사용자에 의한 흡인 장치 이용의 경우, 모터는 오직 모터 환기 장치만을 포함한다.In the case of using the suction device by only one user, the motor includes only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청소 효율을 증대 시키고자 할 때, 매우 중요한 배출 및 진공의 혜택을 얻기 위해 모터에 제 2의 모터 환기 장치를 장착 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it is known to equip the motor with a second motor ventilator in order to obtain very important drain and vacuum benefits.

첨부 된 간략한 도 1은 배출에 관한 진공의 변화를 나타낸 도표로서, 진공 D는 세로 좌표에 나타나 있고 배출 Q는 가로 좌표에 나타나 있다.The accompanying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hange in vacuum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where the vacuum D is shown in the ordinate and the discharge Q in the abscissa.

곡선 A는 배출 Q1의 획득을 허용하면서 단독으로 작동하는 모터 환기 장치의 특징적인 곡선이다.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가 모터 안에서 동일한 공기 입구와 함께 사용 될 때, 특징적인 곡선은 곡선 B이다. 만일 진공이 증가하면,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로 얻어진 배출 Q2는 오직 Q1보다 조금 우세함을 알 수 있다.Curve A is a characteristic curve of a motor ventilator that operates alone while allowing the acquisition of emissions Q1. When two motor vents are used with the same air inlet inside the motor, the characteristic curve is curve B. If the vacuum is increased, it can be seen that the discharge Q2 obtained with the two motor vents is only slightly superior to Q1.

단 한명의 사용자, 둘 또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위해 동일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때때로, 다양한 사용자들은 동일한 구조에 속하는 흡인구들을 소유하고 있다. 그 장치의 한계는 너무 빨리 고장 난다는 것이다.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motor for only one user, two or multiple users. Occasionally, various users possess suction ports belonging to the same structure. The limitation of the device is that it fails too soon.

본 발명의 목적은 두 사용자에게 알맞은 중앙으로 집중 된 흡인 장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병렬되거나 또는 겹쳐진 두 개의 오목한 부분에 대해 우수한 성능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suitable for two users. For example, there is good performance for two concave portions that are parallel or overlapping.

상기를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흡인 장치는,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가 장착 된 모터 및 한 쌍의 파이프로 모터에 연결 된 다수의 흡인구들을 포함하면서 다음과 같은 점들로 특징 지워져 있다:For this purpose, the s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points, including a motor with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connected to the motor by a pair of pipes:

- 흡인구들은 모터의 동일한 콜렉터 안에서 각각의 흡인구를 돌출 시키는 두 개의 별개 구조에 속한다.The suction ports belong to two separate structures which project each suction port in the same collector of the motor.

-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는 하나는 구조의 흡인구들로부터 또 다른 하나는 다른 구조의 흡인구들로부터 조작된다.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are operated, one from the intakes of the structure and the other from the intakes of the other structure.

- 모터 안에서 모터 환기 장치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또 모터 환기 장치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밸브는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각각의 모터 환기 장치를 흡인 회로로부터 절연 시킨다.Two valves located above the motor vents in the motor and each connected to the motor vents isolate the motor vents from the suction circuit when the motor vents are not in operation.

오직 한명의 사용자가 본 장치를 사용할 때에, 단 하나의 모터 환기 장치만이 작동하고, 본 장치는 전통적인 중앙의 단일 사용자에 의한 동일한 성능을 가지고 있다. 제 2의 사용자가 본 장치를 최초 같은 시기에 사용하기를 바랄 때, 두 번째 모터 환기 장치는 작동하게 되고 빨아 올려진 공기로부터 두 개의 별개 구조에 의해 중앙 콜렉터에 이르게 된다. 두 개의 별개 구조에 의한 끌어옴은 두 사용자들로 하여금 탁월한 공기의 동력을 이용하도록 허용하고 있는데, 이는 만일 사용자들이 분리 된 두 개의 장치를 갖을 경우 혜택을 보게 될 공기의 동력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When only one user uses this device, only one motor ventilator operates and the device has the same performance by a traditional central single user. When a second user wishes to use the device at the same time for the first time, the second motor ventilator is activated and reaches the central collector by two separate structures from the sucked air. Pulling by two separate structures allows two users to use the superior air power, which is about the same as the air power that would benefit if users had two separate devices.

이러한 해결책이 특히 편리하다는 점을 인지 해야만 하는 바, 그 이유는 두 사용자들을 위해 단 하나의 모터만을 이용하도록 하면서, 그러한 모터의 가치는 단일 사용자에 의한 모터의 두 배가 아니라는 사실과 함께 많은 수의 요소들은 단일 사용자에 의한 모터들 안에서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안에서 마찬가지라는 사실로부터 얻어진 보고 때문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olution is particularly convenient because it allows the use of only one motor for two users, with the fact that the value of such a motor is not twice that of a single user. Are due to the reports obtained from the fact that they are the same in motors by a single user and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그렇게 해서, 독특한 필터는,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흡인 회로로부터 모터 환기 장치를 절연 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면서 콜렉터와 간막이 사이에 배치되어 진다.Thus, the unique filter is arranged between the collector and the diaphragm, including a valve that insulates the motor vent from the suction circuit when the motor vent is not in operation.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모터 환기 장치에 연결된 두 개의 밸브는 각각 공기 흡인 파이프에 연결된 모터 환기 장치의 공기 흡인 파이프가 닫혀있을 때 유연한 수단의 작용 하에서 고정된 연결 겉창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을 하고 또 진공을 실행할 때 열려 있는 상태에서 공기 흡인 파이프를 돌출 시킨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two valves connected to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each consist of a fixed outsole under the action of flexible means when the air suction pipe of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pipe is closed. The air suction pipe is projected while it is open and the vacuum is open.

모터가 멈추었을 때, 두 개의 밸브는 닫혀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만일 오로지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 중의 하나 만이 사용된다면 두 개의 밸브 중 오직 하나만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되고, 만일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가 동시에 작동된다면 두 개의 밸브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When the motor stops, both valves are in the closed position. If only one of the two motor vents is used, only one of the two valves rotates open, and if two motor vents operate simultaneously, the two valves rotate open. .

바람직하게, 두 개의 구조에 연결된 콜렉터는 대체로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또 대체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중앙 칸막이의 한쪽 면 및 다른 한 쪽면으로부터 돌출 하고 있는 두 개의 중계관을 포함하고 있다. 콜렉터의 다른 한 쪽 끝은 모터 환기 장치 쪽으로 출구가 난 중계관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모터 속으로 들어가는 공기의 두 흐름의 충돌을 피한다. 이는 그러한 모터 기능의 조건 및 고도의 유용한 동력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된다.Preferably, the collectors connected to the two structures are arranged generally facing each other and comprise two transit tubes projecting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artition which intersect generally at right angles. The other end of the collector is fitted with an outlet relay exiting the motor vent. This feature avoids the collision of two streams of air into the motor. This helps to obtain conditions of such motor function and a high degree of useful power.

본 장치의 실시 형태에 따라, 두 개의 구조을 위한 두 개의 중계관은 수평적이고 중계관의 출구는 수직적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the two relays for the two structures are horizontal and the outlet of the relay is vertical.

각 구조 안으로 흡인된 공기의 유출 조건을 돕기 위해 콜렉터의 입구 및 출구 사이에서 두 개의 중계관을 돌출 시키는 중앙 칸막이는 콜렉터 출구의 반대 쪽에 위치된 칸막이에 연결된 두 개의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곡면은, 콜렉터 안에서 그의 입구로 흡인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 해당 중계관의 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휘어져 있다.The central partition, which projects two relays between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ollector to aid the outflow conditions of air drawn into each structure, includes two curved surfaces connected to the partition located opposite the collector outlet. Each curved surface is curved inward from the face of the relay in order to direct air drawn into its inlet in the collector.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적이지 않은 실례로서 본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첨부된 간략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에 뒤따르는 기술(記述)의 도움으로 잘 이해될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with the aid of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brief drawings which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device by way of non-limiting illust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인 장치의 경우 배출의 변화에 따른 진공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표이고,1 is a diagram showing a change in vacuum according to a change in discharge in the s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흡인 장치의 간략한 형태이고,2 is a simplified form of a suction device,

도 3은 부분적으로 분리된 흡인 콜렉터의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separated suction collector,

도 4 및 도 5는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에 대한 흡인 칸막이를 보여주는 두 개의 부분적인 종단면도이다.4 and 5 are two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suction partitions for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콜렉터(3)를 포함하고 있는 모터(2)를 포함하고 있는데, 콜렉터(3)에 각각 두 개의 구조(4 및 5)가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구조(4 및 5) 각각에 대해서는 역시 각각의 흡인구가 나타나 있다. 각각의 구조(4 및 5)는 수평적이고 또 같은 축을 가진 각각 8 및 9의 두 중계관에 의해 콜렉터에 연결되어 있는데, 콜랙터는 그의 중앙 칸막이(10)와 관련하여 볼 때 각각의 중계관을 콜렉터의 끝부분 근처에서 돌출 시키고 있다. 중앙 칸막이(10)는 각각 12 및 13의 두 개의 곡면에 의해 콜렉터 측면에 위치된 끝 칸막이에 연결되어 있는데, 두 곡면은 콜렉터 안에서 그의 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 각각 8 및 9에 해당하는 각각의 중계관 측면의 각각 안쪽으로 휘어져있다. 콜렉터는 그의 다른 쪽 끝에 수직적이고 또 아래를 향한 공기 출구의 중계관(14)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한 중계관 (14)위에 필터(15)가 나타나 있다. 필터(15)의 아래에 두 개의 밸브(17 및 18)을포함하고 있는 칸막이(16)가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16)의 아래에는 각각 19 및 20의 두 모터 환기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motor 2 comprising a collector 3, in which two structures 4 and 5 are connected to the collector 3, respectively and two structures 4 and 5 respectively. As for each suction port is also shown. Each structure 4 and 5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by two relays, 8 and 9, which are horizontal and have the same axis, respectively, which collects the respective relays when viewed in relation to their central partition 10. Protrude near the end of the. The central partition 10 is connected to the end parti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llector by two curved surfaces 12 and 13, respectively, the two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8 and 9, respectively, to direct the air sucked into its inlet in the collector. Each inward side of each relay is bent inward. The collector includes a relay tube 14 at the other end of the air outlet that is vertical and downward. A filter 15 is shown above such a relay tube 14. Underneath the filter 15 is a partition 16 comprising two valves 17 and 18. Under the partition 16,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19 and 20 are disposed, respectively.

두 모터 환기 장치(19 및 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되도록 되어 있는 바, 모터 환기 장치(19)는 제 1 구조(4)의 흡인구(6)에 의해 움직여 지고, 모터 환기 장치(20)는 제 2 구조(5)의 흡인구(7)에 의해 움직여 진다. 밸브(17 및 18)은 보통, 모터 환기 장치(19 및 20)이 작동 중이지 않을 때 도 2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4에서 제시되어져 있는 것과 같이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중일 때, 진공의 영향 하에 두 개의 밸브(17 및 18)은 아래쪽으로 회전하고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 쪽으로 공기 순환을 허용한다. 도 5에서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는 오직 모터 환기 장치(19)만이 작동 중에 있고, 모터 환기 장치(20는) 정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모터 환기 장치(19)에 연결된 밸브(17)는 열려 있는 상태가 되고, 모터 환기 장치(20)에 연결된 밸브(18)는 닫혀 있는 상태가 된다.The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19 and 20 are adapted to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19 is moved by the suction port 6 of the first structure 4, and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20 is It is moved by the suction port 7 of the second structure 5. The valves 17 and 18 are usually kept closed as shown in FIG. 2 when the motor ventilators 19 and 20 are not in operation. When two motor vents are in operation, as shown in FIG. 4, under the influence of vacuum, the two valves 17 and 18 rotate downward and allow air circulation towards the two motor vent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only the motor ventilator 19 is in operation and the motor ventilator 20 is stationary. In this case, the valve 17 connected to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19 is in an open state, and the valve 18 connected to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20 is in a closed state.

만일 도 1의 곡선들, 특히 본 발명의 본문에서 작동 중에 있는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19 및 20)에 의해 얻어진 곡선에 해당 하는 곡선 C를 고려한다면, 다시 말해,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구조에 의해 또 콜렉터 위의 두 구조의 분리된 두 중계관에 의해 획득된 배출 Q3이 단일 사용자 시설로부터 얻어진 배출 Q1의 거의 두배에 해당되고 또 진공에 대해서는 모터 환기 장치에 대한 단일 사용자 시설의 경우 마찬가지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If one considers the curves of Fig. 1, in particular the curve C corresponding to the curve obtained by the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19 and 20 in 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o say by means of two separate structures. We also note that the emissions Q3 obtained by two separate relays of two structures on the collector correspond to almost twice the emissions Q1 obtained from a single user facility, and for vacuum the same is true for a single user facility for motor ventilation. Able to know.

실제로, 각각의 구조은 그의 모터 환기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제1구조(4)의 사용자는 흡인구(6)에 관해서 모터 환기 장치(19)의 작동만을 조작하게 되는 반면 제 2 구조(5)의 사용자는 제 2 모터 환기 장치(20)의 작동만을 조작한다.In fact, each structure includes its motor ventilation device. As a result, the user of the first structure 4 operates only the operation of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19 with respect to the suction port 6, while the user of the second structure 5 has the Only operate the operation.

상술한 사실로부터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의 흡인 장치를 제공하면서, 즉 다시 말해, 두 명의 사용자를 위해, 즉 다시 말해, 예를 들어 두 개의 오목한 부분을 위해 한 단 하나의 모터만을 사용하도록 허용하면서 현재의 기술에 개선을 가져온다. 이는 경제적인 해결책을 이루는 것으로서 만일 두 개의 오목한 부분의 각각이 그 자신에게 적합했던 흡인 장치에 장착되었다면 얻어진 성능과 유사한 성능을 얻는 것이다.From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ction device of simple construction, that is to say that only one motor is allowed to be used, ie for two users, ie for example two recesses. Brings improvement to the technology. This constitutes an economical solution, in which each of the two recesses is fitted with a suction device that has been fitted to itself and obtains performance similar to that obtained.

따라서, 본 발명은 예로서 여기에 기술된 이 장치의 단 하나의 실시 형태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모든 실행의 이형(異形)을 포함한다. 특히, 다수의 흡입구들이 달라지게 되거나 또는 콜렉터의 기하학적 구조가 달라지게 되거나 또는 흡인 장치가 필터 없이 사용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넘지 않고 집진 장치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only one embodiment of this apparatus described herein by way of example, but on the contrary encompasses all implementation variants. In particular, a number of inlets may be different or the collector geometry may be different or a suction device may be used without a filter. However, it would be possible to use a dust collector without exceed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으로 집중된 흡인 장치는 병렬되거나 또는 겹쳐진 두 개의 오목한 부분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갖춘다.As mentioned above, the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erformance for two concave portions that are parallel or overlapping.

Claims (6)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19, 20)가 장착된 모터 및 한 쌍의 파이프에 의해 모터에 연결된 다수의 흡인구(6, 7)를 구성하고,Constitute a motor equipped with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19, 20 and a plurality of suction ports 6, 7 connected to the motor by a pair of pipes, - 흡인구(6, 7)는 모터(2)의 동일한 콜렉터(3) 안에서 각각의 흡인구를 돌출 시키는 두 개의 별개 구조에 속하고,The suction ports 6, 7 belong to two separate structures which project each suction port in the same collector 3 of the motor 2, - 두 개의 모터 환기 장치(19, 20)중 하나(19)는 구조(4)의 흡인구(6)로부터 또 다른 하나(20)는 다른 구조(5)의 흡인구(7)로부터 조작되고,One of the two motor ventilation devices 19, 20 is operated from the suction port 6 of the structure 4 and the other 20 from the suction port 7 of the other structure 5, - 모터 안에서 모터 환기 장치(19, 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고 모터 환기 장치에 각각 연결된 두 개의 밸브 (17, 18)는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각각의 모터 환기 장치 (19, 20)를 흡인 회로로부터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인 장치.Two valves (17, 18) located in the motor at the top of the motor ventilator (19, 20) and connected to the motor ventilator respectively, each motor ventilator (19, 20) when the motor ventilator is not in operation. A centrally focused su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insulating a) from a suction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 중이지 않을 때 흡인 회로로부터 모터 환기 장치 (19, 20)를 절연시키는 두 개의 밸브(17, 18)를 포함하는 칸막이(16)와 콜렉터(3) 사이에 배치된 특별한 필터(15)를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인 장치.A special filter disposed between the collector 16 and the partition 16 comprising two valves 17, 18 which insulates the motor ventilators 19, 20 from the suction circuit when the motor ventilator is not in operation ( 15)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모터 환기 장치(19, 20)에 결된 두 개의 밸브(17, 18)는 각각 공기 흡인 파이프에 연결된 모터 환기 장치의 공기 흡인 파이프가 닫혀있을 때 유연한 수단의 작용하에서 고정된 연결 겉창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터 환기 장치가 작동 중에 있고 진공을 실행할 때 열려 있는 상태에서 공기 흡입 파이프를 돌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입 장치.The two valves 17, 18 connected to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19, 20 each consist of a fixed outsole under the action of flexible means when the air suction pipe of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pipe is closed, A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characterized by projecting the air intake pipe while the motor ventilation device is in operation and open when performing a vacuum. 제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두 개의 구조에 연결된 콜렉터(3)는 거의 마주보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콜렉터의 한쪽 끝의 근처에서 거의 수직적인 중앙 칸막이(10)의 양 면으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중계관(8, 9)을 포함하고,The collectors 3, which are connected to the two structures, are arranged almost facing each other and protrude two relay tubes 8, 9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central partition 10 which are almost vertical near one end of the collector. Including, 콜렉터의 다른 한쪽 끝은 모터 환기 장치(19, 20) 쪽으로 향한 배출 중계관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입 장치.The other end of the collector is equipped with a discharge relay directed towards the motor ventilator (19, 20).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두 개의 구조(4, 5)를 위한 두 개의 중계관 (8, 9)은 수평이고 배출 중계관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인 장치.A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relays (8, 9) for the two structures (4, 5) are horizontal and the discharge relay is vertical.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두 개의 중계관(8, 9)을 돌출 시키는 중앙 칸막이와 관련하여 콜렉터의 출구 (14)와 반대 측면에 위치된 칸막이에 대한 중계관의 두 곡면(12, 13)을 포함하고, 각각의 곡면(12, 13)은 콜렉터 안에서 그의 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기 위해해당 중계관(8, 9)의 측면으로부터 안으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으로 집중된 흡입 장치.It comprises two curved surfaces 12, 13 of the relay tube for the partition locat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utlet 14 of the collector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artition which projects the two relay tubes 8, 9, each curved surface ( 12, 13 is a centrally concentrated su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ward from the side of the relay tube (8, 9) to direct air sucked into its inlet in the collector.
KR1020010049335A 2000-08-16 2001-08-16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KR2002001473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0664 2000-08-16
FR0010664A FR2813028B1 (en) 2000-08-16 2000-08-16 CENTRALIZED SU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739A true KR20020014739A (en) 2002-02-25

Family

ID=885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335A KR20020014739A (en) 2000-08-16 2001-08-16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14739A (en)
FR (1) FR28130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4551A (en) * 2018-11-29 2019-03-08 威尔登环保设备(长沙)有限公司 A kind of slidably smoking trapping blow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9145A (en) * 1970-06-22 1972-06-13 Fasco Industries Central vacuum cleaner control system
FR2741425B1 (en) * 1995-11-20 1997-12-12 Tuffigo Alain VENTILATION DEVICE FOR LIVING ROOMS WITH AIR FILTRATION AND COOLING
DE19616879C1 (en) * 1996-04-27 1997-06-05 Wolfgang Dipl Ing Adamski Method of removing dust from several small and at least one large dust source
AT405252B (en) * 1996-12-18 1999-06-25 Scheuch Alois Gmbh FAN UNIT FOR EXTRACTION SYSTEMS
DE19922163C2 (en) * 1999-04-15 2002-03-07 Jens Riedel Extraction and filter system with a large number of consumers that can be connected to a central filter / separator housing via individual lines or a common exhaust manifo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3028A1 (en) 2002-02-22
FR2813028B1 (en) 200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7036B1 (en) Means for cleaning filters in wet and dry vacuum cleaners
CN1333205C (en) Air purifier
CN106642639A (en) Central air conditioner
CN113188220A (en) Fresh air system and air conditioner
CN109267722A (en) A kind of dust-collecting indoor humidification floor
KR20020014739A (en) Device of aspiration centralized
GB2378643A (en) Vacuum cleaner with edge suction
US6349690B2 (en) Suction apparatus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20516839A (en) Floor-mounted air conditioner
CN210128435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US7168126B2 (en) Central vacuum cleaner having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system
CN101317005B (en) Air induction device for automobile
KR20120008468U (en) Ventilating apparatus including heat exchanger
JP2014119180A (en) Humidity controller
CN215336866U (en) Fresh air system and air conditioner
CN210425412U (en) Air purifier
KR200211988Y1 (en) Maintenance apparatus for humidity and temperature
CN215738683U (en) Change-over valve and dust catcher
CN219814024U (en) Dirt treatment module, base station and cleaning system
CN219300888U (en) Fresh air module and air conditioner
KR100827953B1 (en) Inspiration Device used Atuomobile
KR200148065Y1 (en) Vacuum cleaner
KR20010077508A (en) A blower for suction-exhaust air
JPS5829784Y2 (en) ultrasonic humidifier
JP3026837U (en) Internal pressure type du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