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430A -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430A
KR20020013430A KR1020010047657A KR20010047657A KR20020013430A KR 20020013430 A KR20020013430 A KR 20020013430A KR 1020010047657 A KR1020010047657 A KR 1020010047657A KR 20010047657 A KR20010047657 A KR 20010047657A KR 20020013430 A KR20020013430 A KR 20020013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olt
anchor
ro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4807B1 (ko
Inventor
하키루이스
커리어브래드포드
셀비텔리데이비드엠.
레이놀즈마틴에이.
도허티토마스브이.
Original Assignee
추후
디퍼이 아크로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633,057 external-priority patent/US6524315B1/en
Application filed by 추후, 디퍼이 아크로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추후
Publication of KR2002001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44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also having plates, staples or washers bearing on the vertebr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3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with parts attached to bones or to each other by flexible wires, straps, sutur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5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connected to sacrum, pelvis or sku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 또는 정복(整復, reduction)에 사용되는 로드(rod) 또는 케이블과 같은 링크장치(linkage)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조립체 및 정형외과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체는 고정 플레이트와, 용이한 설치를 위해 일체형 조립체로 플레이트를 잡아주는 슬로팅된 앵커 볼트(slotted anchor bolt)를 포함한다. 앵커 볼트의 베이스(base)는 플레이트 아래쪽에 있고, 캡(cap) 또는 너트가 링크 부재 예를 들어 로드 또는 케이블을 슬롯에 고정시키기 위해 죄여짐과 동시에 볼트를 고정(clamping)하여 플레이트 상의 그 위치 및 방향을 고정한다. 하나의 후두부 플레이트(occipital plate)는 앵커 볼트를 유지하는 측방향 아암(arm)을 가지고, 본 발명의 Y형 실시예가 보다 효과적으로 조여져 닫히도록 앵커 볼트를 연부 조직까지 위치시키기 위해 역방향으로 장착된다. 케이블 커넥터가 케이블의 단부를 하나 이상의 척추골(vertebrae)의 레벨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 플레이트, 척추골 앵커 스크류 및 고정 로드와 함께 사용되어, 다용도 및 높은 안정성의 경부(cervical) 및 흉부(thoracic) 척추의 정렬, 고정 및 융화(fusing)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케이블 커넥터는 이미 위치된 고정용 로드에 끼워 맞춰지는 개방측 채널(open-sided channel)을 가지며 이 로드에 고정적으로 클램핑되며, 아일릿(eyelet) 또는 다른 구조로 척추골 주위에 꿰어있는(threaded)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강성 및 고정된 지점을 제공한다. 고정 방법은 하기에 설명된다.

Description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Orthopaedic rod/plate locking mechanisms and surgical methods}
본 발명은 정형외과 수술에 사용되는 고정 장치에 대한 것이며, 특히 한 영역의 뼈 또는 뼈 조각에 부착되며 다른 영역에 체결된 케이블, 와이어, 플레이트, 또는 스크류 등에 부착된 로드에 고정된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골절 정복(fracture reduction) 또는 뼈의 위치결정에 사용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그러므로, 로드는 두 개의 뼈 영역 사이에 부착되어 뼈들을 고정, 위치결정, 안정화 및 골절을 정복시킨다.
다수의 이러한 메커니즘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중에 그 볼트 헤드가 뼈 또는뼈 조각에 부착된 플레이트의 슬롯으로 슬라이딩하는 스플릿 또는 슬로팅된 볼트를 사용하는 함스 T-플레이트(Harms T-plate)가 언급되어야 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슬로팅된 볼트가 아래로부터 들어오게 되며 상이한 채널 중의 임의의 하나를 따라 볼트의 위치결정 및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이트의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몇 개의 채널 또는 홈을 갖는다. 사용시에, 연결 로드는 슬로팅된 볼트를 통해 끼워 맞춰지고, 너트에 의해 고정되며, 이 너트는 조여졌을 때 그 위치로 볼트를 고정시키며 로드를 슬롯에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각각의 채널이 볼트의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의 로드-수용 슬롯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그 베이스에서 사각형 플랜지를 갖는 슬로팅된 볼트를 사용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는 로드 고정 지점에 대해 각각 고정된 각도(angular orientation)로 몇 개의 별개의 라인을 따라 다양한 선형 위치(linear position)를 제공한다.
이러한 플레이트에 부가하여, 목의 뒷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아이 스크류(eye screw)가 존재하며, 각각의 아이 스크류는 단일 고정 위치에서 뼈에 직접 나사로 고정된다. 이러한 스크류에서, 아이(eye)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캡에 의해 닫히기 전에 그 안에 로드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개방된 슬롯(open slot) 또는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다른 개방 형태로 되어 있다. 캡은 종래의 나사체결식 고정 너트일 수 있으며 또는 몇몇 구조에서 슬라이딩하여 들어가 로드를 밀어 고정하면서 그 개방단에서 수용 슬롯을 닫는 더브테일식 캡 부분일 수도 있다. 이러한 아이 스크류는 몇몇 구조에서 고정 로드(stabilization rod)를 잡아주는 것에 부가하여 플레이트를 뼈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할 때, 플레이트는 부착된 것의 결합정도를 강화하고 앵커 스크류에 관련한 응력을 분포시킨다.
로드-수용 고정 스크류의 한 변형예는 미국 특허 제 5,672,176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모스-마이애미 다축 스크류(Moss-Miami polyaxial screw)가 있다. 이 장치에서, 스크류는 구형(spherical) 헤드를 갖는다.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내면을 갖는 슬로팅된 로드 유지용 캡 구조가 볼 및 소켓 조인트 방식으로 구형 헤드의 외측 둘레와 끼워맞춰진다. 로드 유지용 캡 구조는 안쪽에 나사가 형성되고 다수의 형상 패킹(shaped packing) 또는 압력 지지용 삽입물(pressure-bearing insert)을 구비하며 그 전체 구조는 캡이 상향으로 당겨짐에 따라 헤드가 원추 각도를 갖는 아래쪽으로 밀려 구형 스크류 헤드 둘레가 조여진다. 캡은 구형 헤드 상에서 조여지기 전에 회전될 수 있어, 이러한 클램핑 연결이 로드-유지 부재를 볼트체결하고 그 슬롯이 스크류의 축 둘레로 회전하여 임의의 각도로 향해져 고정된다. 로드는 유지용 캡 구조(holding cap structure)의 슬롯을 통해 끼워지고 나사진 캡으로 볼트를 조여 고정된다. 유닛은 스크류의 볼 단부 주위에 내부에 위치되고 압인부(swaging part)에 의해 캡을 위쪽으로 유지하는 압력-지지 부재 또는 패킹을 구비한 사전에 조립된 장치가 된다. 캡을 로드에 대해 조인 다음 원추형 외측 유지체(holding body)를 볼에 대해 위쪽으로 당기고, 슬롯 방향을 로드와 맞게 고정한다.
아래쪽의 뼈가 충분한 강도(integrity)를 갖는다면, 이러한 개개의 아이 스크류는 한 평면에서 로드의 방향에 상당한 융통성을 제공한다. 또한, 여러 개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본 플레이트(bone plate)가 필요할 때, 함스 플레이트(Harms plate)는 케이블, 고정 로드 또는 정복 로드(reduction rod)를 연결하기 위한 상이한 조합의 각도 방향으로 다양한 클램핑 지점 변환 위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각각의 이들 시스템은 그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부하의 정도 또는 위치 또는 방향의 범위에 대해 또는 편의성에 대해 고유의 한계를 갖는다. 또한, 다양한 플레이트 및 스크류 헤드 또는 캡 구조가 몇몇 위치에서 효과적인 고정 또는 외과적으로 폐쇄(surgical closure)하기 위해 장애물을 두는 큰 부피 또는 불규칙한 프로파일(profile)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본 플레이트 및 로드 결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로팅된 플레이트를 따라 자유롭게 위치결정할 수 있는 다축 로드 연결체(multi-axis rod connection)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성요소가 수술중에 하나의 유닛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사전에 조립된 다축 로드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된 앵커 플레이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계적으로 고정해주는 개선된 척추 고정 방법과, 척추를 고정해주는 로드 및 케이블링 유닛(rod and cabling unit)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하나 이상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슬로팅된 볼트, 볼트에 끼워지는 로드 지지용 플랫폼, 로드를 지지용 플랫폼의 슬롯에 고정하기 위해 조이는 너트를 포함하는 로드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이루어진다. 볼트의 베이스는 슬롯 또는, 플레이트 안쪽의 카운터-보어링된 개구 또는 채널 또는, 오프셋 탭에 올라가도록 설정되고 플레이트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둥글며, 지지용 플랫폼은 볼트의 베이스와의 사이에 플레이트가 겹쳐지도록 볼트의 베이스 상에 있고 플레이트를 제 위치에 견고하게 클램핑하는 일반적으로 환형이고 두꺼운 워셔의 형태를 갖는다. 워셔는 그 상부표면 위에 로드가 놓이는 둥근 홈으로 처리된 상부 표면과, 개구 안쪽으로 연장하며 플레이트의 개구의 벽을 보강하는 스텝 칼라(step collar)를 구비한 하부 표면을 갖는다. 플레이트는 볼트의 베이스와 지지용 플랫폼 사이에 끼워져, 넓은 면적에 걸쳐 응력을 분포시키면서 로드를 지지하는 큰 지지력(strong anvil)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용 플랫폼은 플랫폼의 반경방향 내벽면에 가깝지만 관통하지는 않는 깊이로 연장하여 얇아진 벽 부분을 갖는 측방향 개구를 갖는다. 볼트는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위치되고 플랫폼은 상기 얇은 벽 부분에서 볼트에 압인되어 본 플레이트를 그 사이에 잡아주어 취급 및 설치가 간편한 단일 부품(single-piece)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설정에서, 볼트는 본 플레이트 개구 내에서 유지용(captive) 조립체로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화하여 수술중에 설치하기 쉽게 된다. 압인하게 되면 볼트의 슬롯 방향을 따라 지지용 플레이트 형태의 홈이 정렬되도록 교정되며, 두 부품 모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플레이트 개구가 슬롯일 때, 본 플레이트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압인하기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원주방향 홈과 이에 상응하는 볼트 축과 지지용 플랫폼 상의 융기부(ridge)를 제공하여 일체형 부품으로 실시하여, 스냅 링(snap ring)으로서 기능하며 취급 및 사용시에 두 개의 부품을 함께 유지한다.사용시에, 일단 로드가 위쪽으로 연장하는 볼트 슬롯에 위치되면, 종래의 형태일 수 있는 체결용 너트 또는 캡이 볼트에 나사체결된다. 너트가 로드를 지지용 플랫폼에 대해 밀고 결국, 본 플레이트에 대해 하향으로 밀면서 너트는 볼트를 상향으로 당겨 볼트 베이스 플랜지를 플레이트의 하부에 대해 민다. 지지용 플랫폼의 하부면, 볼트 플랜지의 플레이트를 마주하는 면 및/또는 플레이트의 표면은 일단 로드가 위치결정되고 너트가 회전모멘트를 가하여 체결되면 볼트의 회전 또는 측방향 운동에 대한 저항이 커지고 쥐기 편하도록 큰 거칠기를 갖거나 치형으로 처리(toothed)될 수 있다.
후두부 고정용 플레이트는 T자형 또는 Y자 형상을 가지며, 앵커 스크류가 중앙부분을 따라 개구되고 로드-클램핑 앵커 구조물가 플레이트의 각각의 측방향 아암 또는 브랜치의 상에 위치된다. Y자형 플레이트 실시예는 플레이트가 외측 후두부 융기부 아래쪽에서 두개골의 중선(midline)을 따라 부착되고 로드 클램핑 구조물을 연성 조직 하에 보다 효과적으로 위치결정하며, 외과적 창상을 폐쇄(surgical wound closure)하기 위해 반전(inverted)될 수 있다.
척추 고정 시스템 및 방법은 후두부 플레이트의 앵커 및 경부 및/또는 흉부 척추의 하나 이상의 척추골에 고정되는 고정용 로드를 제공하고, 로드에 클램핑되는 케이블 커넥터에 의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어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로드 결합 시스템(rod junction system)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요소들이 플레이트에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오프셋 탭의 실시예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와 지지 워셔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5a는 지지 워셔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와 지지 워셔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7,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지지 워셔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8 및 도 8a는 도 7 내지 도 7b의 지지 워셔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 볼트의 예시도.
도 9,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지지 워셔의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
도 10 및 도 10a는 도 9 내지 도 9b의 워셔 실시예와 함께 사용되는 앵커 볼트 실시예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체에 사용되는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의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다른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의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다른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의 예시도.
도 12d 및 도 12e는 도 11 및 도 12a 내지 도 12c의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 각각의 위치조정 예시도.
도 1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레이아웃의 예시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케이블 커넥터 및 이를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라 척추를 고정하는 방법에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플레이트 3: 로드
5: 개구 10: 로드 결합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로드 결합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볼트(12)에 끼워지며 로드와 접촉하는 지지용 플랫폼(22) 또는 지지용 칼라와, 로드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 단부에 설치되는 너트 또는 캡(32)과 함께 슬로팅된 볼트(12)가 그 플레이트(2)를 통해 끼워지는 플레이트(2)를 포함한다. 로드(3)는 예시를 위해 투영도로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2)의 개구(5; aperture)는 단순한 둥근 구멍, 예시된 바와 같이 기다랗지만 끝이 닫힌 슬롯, 또는 플레이트의 길이를 따라 볼트가 다양한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종래 기술로 공지된 형태의 끝이 개방된 슬롯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정형외과에서 고정에 통상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의 여러 설정 중의 임의의 것을 취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평면형이고 L-, T-, V-, Y- 또는 다른 형상의 스트립(strip)과 같은 형상을 가지거나, 또는 로드(3)를 클램핑하기 위해 볼트를 오프셋되거나 또는 로드의 평면으로부터 벗어나게 위치시키기 위해 뼈의 고정 지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적용되는 짧은 탭(tab)일 수 있다. 플레이트는 만곡되어 있는 뼈 표면에 맞도록 로드의 평면으로부터 벗어나게 구부러지거나 만곡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후두부 뼈 고정 플레이트의외형을 갖는 플레이트(2)와 함께 사용되고, 볼트(12)는 척추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 고정 로드를 고정하기 위해 중앙 선의 양쪽에 위치된다. 예시적인 T-자형, Y-자형, 반전된 Y-자형 플레이트와 설치 방법이 하기에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의 구멍 또는 슬롯인 개구(5)는 대 직경의 개구(5a)로 카운터보어링되거나 또는 밀링가공되어, 슬로팅된 볼트의베이스(13)가 위쪽으로 끼워지고 플레이트(2)의 하부 표면의 레벨로부터 스텝 또는 스러스트 면(5b)에 대해 홈 가공된다(recessed). 그러므로, 개구(5)는 카운터보어링된 구멍 또는 기다란 구멍, 또는 몇 단으로 층진 슬롯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12)는 베이스(13)로부터 연장하는 섕크 부분(14)과, 이 섕크 부분 위로 연장하는 나사진 축 부분(15)을 포함한다. U자형 슬롯(16)은 나사진 축 부분(15)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고 양호하게는 섕크 부분(14)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 연장한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의 베이스(13)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형상이거나 또는 방사방향으로 대칭이어서 볼트(12)가 완전히 1회전되어 플레이트(2)의 구멍 또는 슬롯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13)는 개구(5)보다 상당히 넓어, 볼트(12)가 당겨져 플레이트를 통해 빠질 수 없다.
플레이트(2)의 다른 측면에서, 지지용 플랫폼(22) 또는 스러스트 칼라가 볼트의 나사진 축 둘레에 끼워지고, 플랫폼의 상부면(27)에 형성된 낮은 높이의 요크(yoke) 또는 횡방향 홈(26; 도 3)을 갖는다. 사용시에, 홈(26)은 볼트(12)의 슬롯(16)과 정렬되고, 그 위에 로드(3)가 안착되는 지지면 또는 시트면을 형성한다. 지지용 플랫폼(22)은 로드(3)를 지지하기 위한 앤빌(anvil) 및 볼트(12) 주위의 칼라 또는 슬리브로 기능하는 환형 워셔로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는 볼트와 함께 작용하여 개구된 플레이트(2)를 보강하며 플랫폼(22) 자신과 볼트의 베이스(13) 사이에 플레이트를 효과적으로 기운다.
슬롯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볼트의 직경 평면으로 취해진 도 3의 수직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플랫폼(22)은 플레이트(2)의 상부에 안착하는 밴드(24a; band)의 외측 주변면을 갖는 워셔 형태의 본체 부분과, 플레이트 개구(5)로 연장하며 플레이트(2)의 개구(5) 내에서 칼라 또는 보강 슬리브를 형성하는 내부의 환형 부분(24b)을 포함하는 하부 표면(24)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그 중의 하나를 도 1에서 볼 수 있는 한 쌍의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구멍(25)이 플랫폼(22)의 원주방향 외벽으로부터 그 반경방향 내면(24c)에 가까운 깊이로 내측으로 연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5)은 지지용 플랫폼(22) 부재의 나머지 얇은 벽의 내측 칼라 부분을 볼트(12)에 압인할 수 있는 액세스 구멍(access hole)으로서 작용하며, 플레이트(2)는 볼트 베이스(13)와 플랫폼(22) 사이에 끼워져, 전체 조립체가 설치 전에 취급하다가 부품을 잃어버릴 위험이 없이 헐겁게 함께 유지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일 유닛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구성요소들은 플랫폼(22)이 슬롯(26)의 축에 대해 횡방향인 위치에서, 나사진 축 부분(15) 아래쪽의 볼트의 섕크 부분(14)에 압인되는 치수를 갖는다. 이를 위해, 교차 구멍(cross hole) 또는 리세스(14a)는 양호하게는 내벽의 변형된 압인부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섕크 부분에 드릴 가공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된다. 볼트(12)의 베이스(13)와 같이, 플랫폼(22)은 개구(5) 너머 외측 방사방향으로 연장하여 볼트와 함께 압인되었을 때 플레이트(2)가 그 사이에 끼워지면서 볼트 및 지지용 플랫폼 조립체(12, 22)가 볼트 축을 횡단하는 평면에서 임의의 각도 위치로 하나의 유닛으로서 함께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의 나사가공되지 않은 섕크 부분(14)은 플레이트(2)와 플랫폼(22)의 두께와 거의 같은 길이로 연장하고, 나사진 축 부분(15)은 너트(32)가 로드와 볼트 조립체를 함께 클램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한다.
도 2는 명료성을 위해 볼트(12)가 생략되어 있는 플레이트(2) 상의 제 위치에 안착하고 있는 플랫폼(22)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용 플랫폼(22)의 두께는 플레이트 고정 영역을 상당히 구조적으로 보강한다. 플랫폼 부재 내의 홈은 그 베이스를 향해 약간 내측으로 테이퍼져 로드(3)가 슬롯에 하향으로 삽입되고 클램핑될 때, 지지용 홈의 측면에 대해 밀접하게 끼워져 전체 시스템에 강성도를 더할 수 있다. 볼트(12)의 전체 길이는 양호하게는, 나사진 부분이 너트(32)를 수용하는 플랫폼(22)의 상부 너머로 예를 들어 1cm보다 약간 작게 연장하여, 너트가 일단 설치되면 로드와 플레이트 너머에 낮은 높이를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한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102)의 일례를 도시한다. 플레이트(102)는 두 개의 개구(105)를 포함하며, 이들 개구 각각은 슬로팅된 볼트 조립체를 수용하며, 이 볼트 조립체는 본원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및 이에 상당하는 것 중의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두부 플레이트(102)에 대해, 개구(105)는 측방향으로 길어서, 로드, 케이블 또는 다른 고정 링크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조이기 전에 볼트의 위치를 측방향(side-to-side direction)으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른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의 각각 상부 사시도 및 상부 평면도이다. 플레이트(102)와 유사하게, 플레이트(102a)는 T자형이고 두 개의 개구(105a)를 T자의 아암 각각에 포함하여 개구(105)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로팅된 볼트 앵커 조립체를 수용한다. 개구(105a)는 측방향으로 길어서, 로드, 케이블 또는 다른 고정 링크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볼트를 조이기 전에 볼트의 위치를 측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다. 3개의 모따기된 구멍이 본 스크류를 위해 중선(midline)을 따라 연장하고 하나의 부가적인 본 스크류 개구가 플레이트를 후두부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각각의 측방향 아암에 구비된다. 플레이트의 아암은 두개골의 외형에 따르기 위해 T자형의 중앙 선에 대해 작은 2면각(dihedral angle)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굴곡될 수 있다.
도 12d는 사용시의 T자형 플레이트의 위치결정을 예시한다. 플레이트의 위쪽의 중선 노치 N(midline notch; 도 11b)은 두개골의 외측 후두부 융기부 P 아래쪽에 정렬 및 위치되고 위쪽 목덜미 선(superior nuchal line)을 따라 정렬된다. 이는 후두부의 보다 두꺼운 내측 중앙선을 따라 본 스크류에 대한 개구를 위치시켜 보다 강한 고정력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볼트 및 압인된 지지용 워셔 조립체가 판을 잡아주는 상술한 구조는 고정 로드를 고정하기 위해 다양한 각도로 편리하게 설치되는 일체형 플레이트 및 앵커 조립체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5는 이러한 다른 일 실시예를 예시하며, 앵커 볼트(120)가 단일 조립체(unitary assembly)에서 지지용 워셔(122)를 잡아주기 위해 위치되는 돌출하는 원주방향 융기부(121)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용 워셔(122)는 융기부가 끼워져 워셔를 볼트에 고정하고 플레이트(2)를 잡아주는 상응하는 홈 또는 리세스(123)를 갖는다. 이러한 홈을 갖는 지지용 워셔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다소 낮은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비록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슬리브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이 지지용 워셔(122a)에 대해 도 5a에 도시된 센터링 칼라 또는 슬리브(125)로서 구비될 수 있으나,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슬리브 부분(24b)에 상응하는 구조적인 부분을 가질 필요는 없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 볼트 및 지지용 워셔(130, 13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해, 상기 두 부품이 함께 체결되어 본 플레이트를 잡아주며, 설치 중에 자유롭게 조작될 수 있고 슬로팅된 볼트가 볼트를 로드 또는 케이블 링크장치 조립체에 대해 조여 고정하기 전에 각도 조정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직선 위치(linear position)도 조정할 수 있는, 분리되지 않는 단일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볼트(130)는 오목한 원주방향 홈(131)을 가지고, 지지용 워셔(132)는 이 두 부품을 함께 유지하기 위해 홈(131)에 물리는 돌출하는 융기부(136)에 상응하는 부분을 갖는다. 융기부(136)는 연속적인 융기부일 필요는 없으나, 접촉하는 부품이 전단되거나 또는 균열되지 않고 작은 압력으로 홈(131)으로 이동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갖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작은 범프(bump) 또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융기부가 아니라 범프가 구비될 경우, 홈(131)은 몇 개의 이산된 압입부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 슬롯과 로드 지지용 홈을 정렬하도록 선택된 각도로 위치될 수도 있다. 하향으로 연장하는 칼라 부분(135)은 짝을 이루는 융기부(136) 또는 돌출하는 범프가 볼트 섕크 부분 상에서 매우 낮게 위치되도록 하여 장치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보다 약간 높게 연장하는 전체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7b와, 도 8 및 도 8a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정형외과용 앵커 볼트(140)와 지지용 워셔(14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워셔는 고정 로드 또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횡방향 홈 또는 시트 면을 가지고, 아래쪽 본 플레이트에 대해 안착하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워셔형 본체를 갖는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워셔(142)는 양호하게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치형부(143)가 볼트 내의 상응하는 리세스(140a)와 결합하도록 워셔가 휘어져 개방되어 볼트(140) 상에 위치되도록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갭(142a)을 갖는 분할 워셔(split washer)이다. 도 7은 워셔의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7a는 워셔 갭(142a)을 지나 직경 평면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을 예시한다. 도 7b는 워셔의 편평한 상부 및 하부 표면을 예시하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볼트의 슬롯 너머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취한 볼트(140)의 단부의 도면이며, 선 A-A로 예시된 일점 쇄선은 도 8a의 부분 절단도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1mm 깊이의 리세스(140a)는 지지용 워셔의 돌출하는 치형부를 잡아주는 볼트 섕크 부분에 구비된다.
도 9 내지 도 9b, 도 10 및 도 10a는 본 발명의 앵커 볼트 및 워셔 조립체(150, 15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은 도 7 내지 도 7b와, 도 8 및 도 8a의 도면에 상응하며, 이들 도면 간에 유사한 특징은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볼트(150)는 볼트의 섕크 부분의 상부 근처에서 외측 방사방향으로 연장하는 걸쇠(catch) 또는 방사방향으로 돌출하는 예각의 에지(150a)를 구비한다. 걸쇠(150a)는 지지용 워셔(152)의 상부 표면의 방사방향내측 에지(152a)에 걸린다. 이를 위해, 지지면의 반경방향 내측 영역은 축방향에서 약간 오목하게 되어, 지지용 워셔(152)의 체결용 에지(152a)가 볼트(150)의 섕크 부분의 레벨에서 낮아진다. 그러므로, 전체 조립체는 낮은 높이를 갖는다. 또한, 오목한 내측 스텝은 체결용 에지가 텀블링(tumbling)과 같은 벌크 마무리 공정(bulk finishing process)이 지지용 워셔의 결함을 제거 또는 마무리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흠이 생기거나, 뭉그러지거나(rounded) 또는 달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앵커 조립체는 여러가지 상이한 워셔 또는 칼라형 지지 요소로 실시되어 판을 잡아주고 자유롭게 향해질 수 있는 앵커 볼트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플레이트 자체는 개개의 척추골 플레이트, 후크 또는 오프셋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후두부 T자형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을 가wu 하나 이상의 앵커 볼트를 갖는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척추를 정렬, 고정 및 융합하기 위해 고정 로드를 제공시에, 로드 자체와 로드 고정용 볼트 조립체(12, 22, 32)가 뼈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외과적 창상(surgical wound)을 폐쇄하는 것은 주변의 연성 조직이 이들 돌출하는 조립체 상으로 폐쇄되고 봉합되는 것을 요구함을 주의해야 한다. 조직이 충분한 탄성이 없는 노인 등의 환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폐쇄 및 봉합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은 역전된 방향으로 체결하고 앵커 볼트(12)를 두개골 아래쪽, 예를 들어 목덜미 아래 선(inferior nuchal line) 아래쪽 및 연성 조직이 상당히 보다 두껍고 보다 더 늘려질 수 있고 이식되는 조립체의 기계적 요소를 덮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Y자형 후두부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해 처리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이러한 Y자형 후두부 고정 판(102b)을 예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2b)는 중앙 부분(110)의 양쪽으로 연장하는 Y자형의 제 1 및 제 2 브랜치 아암(112, 114)을 가지며, 각각의 아암은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앵커 볼트를 수용하도록 적용된다. 본 발명의 구조 및 방법의 양호한 일 실시예에서, Y자형 플레이트의 중앙 부분(110)은 짧은 중앙 몸통부분(trunk)을 형성하고, 플레이트는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전된 방향으로 위치 및 고정되며, Y자형 아암은 역전된 Y위치에서 몸통부분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한다. 중앙 몸통 부분은 외측 후두부 돌기부 P를 향해 중선을 따라 상향으로 연장한다. 외측 후두부 돌기부와 큰 후두 구멍의 뒤쪽 마진(posterior margin of foramen magnum)은 후두부의 중선에 대한 안내부로서 사용될 수 있고, 역전된 Y자형 플레이트는 통상 외측 후두부 돌기부의 1 1/2cm 아래쪽에서 이들 두 지표(landmark; 외측 후두부 돌기부와 큰 후두 구멍의 뒤쪽 마진) 사이의 중도(midway)에 위치된다. 이는 로드 앵커 볼트를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T자형 플레이트에서보다 몇 cm이상 낮게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위치에 설치되면, 앵커 볼트는 연성 조직의 보다 두꺼운 층에 늘어질 수 있게 놓여져 외과적 창상, 특히 두개골 상에 매우 적거나 매우 탄성이 적은 피부 및 연성 조직을 가진 야위거나 또는 노인 환자의 외과적 창상을 폐쇄하기 용이하게 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정형외과적인 고정을 위해 다양한 앵커 플레이트와 앵커 볼트 구조의 다수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는 유사한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가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음을 주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V자형-, U자형- 또는 회전된 C자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레이트가 후두부 돌기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오프셋된 적절한 위치에서 로드-고정 볼트에 대한 측방향 오프셋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특별히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플레이트 내의 개구(5)는 원형 구멍, 또는 기다란 구멍 또는 개방-단부(open-ended) 또는 폐쇄-단부(close-ended) 슬롯일 수 있다. 후자의 세 가지 경우에, 그 축 주위로 완전히 회전가능한 것에 부가하여 볼트(12)는 제 위치에서 조여지기 전에 슬롯을 따라 임의의 선형 위치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지지용 플랫폼의 하부 표면(24a; 도3) 및 볼트의 베이스의 상부 표면(13a; 도 1)은 조여졌을 때 이들 표면이 판을 잡아주는 것을 보장하고 볼트가 회전되거나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치형가공, 널링(Knurled), 조면 가공(roughened) 또는 다른 방식의 텍스츄어링(textured)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면, 플레이트의 상응하는 접촉 영역은 이러한 그립핑 텍스츄어(gripping texture) 또는 표면 마무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볼트/칼라 조립체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다수의 개구, 홈 또는 채널을 가질 수 있고, 넓은 범위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이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몇 개의 홈을 가질 수 있다. 볼트 및 지지 플레이트는 멈춤쇠(detent) 또는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해 도면에 예시된 다양한 설정으로 서로 고정될 수 있다.
후두부 플레이트는 고정된 직경을 갖거나 또는 그 길이를 따라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직경을 가질 수 있는 고정 로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흉부 척추골에서 4mm 직경으로부터 경부/두개골 영역에서 3mm직경으로 변이하는 다중 또는 층진 직경을 갖는 변이 로드(transition rod)). 상부 척추를 고정하고 압축력을 경감하거나 또는 융합을 위해 척추골을 안정화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기 변이 로드를 척추에 고정하기 위해 로드 사이에 적용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경부 척추골을 지지하기 위한 하층 케이블(sublaminar cable))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본 출원인은 고정 로드 상으로 클램핑되고 강성이지만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케이블 앵커(cable anchor)를 형성하도록 설정되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커넥터(200) 메커니즘을 갖는 신규한 케이블링 시스템(cabling system)을 제공한다. 케이블 커넥터(200)는 고정 로드(3; 도 1, 도 13b) 상에 끼워지는 사이즈를 갖는 채널(210)과, 로드(3)에 대해 클램핑되고 커넥터(200)를 로드 상의 원하는 고정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조여지는 세트 스크류(205; set screw)를 갖는다. 예시된 바와 같이, 채널(210)은 한 측면이 개방되고, 그 외형이 둥글어 로드가 채널의 바닥의 외형에 대해 낮게 안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세트 스크류(205)가 조여지면, 본체의 솟아있는 벽(rising wall) 또는 스텝 영역(S)이 로드의 모든 측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케이블 커넥터(200)는 채널이 형성된 본체로부터 연장하며 케이블이 고정되는 아일릿 또는 개구 또는 볼트 구멍(206)을 구비하는 측방향 플랜지(208)를 갖는다. 그러므로, 개구(206)는 척추골-대-로드 케이블 연결을 위한 고정된 지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T자형-, Y자형-, 역전된 Y자형-플레이트(102a, 102b)와 같은 후두부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몇 개의 척추골 앵커 스크류가 위치되고, 로드(3)가 후두부 플레이트의 슬로팅된 앵커와, 척추골에 부착된 앵커 스크류 사이의 위치에 따른 외형을 가지며 이 위치로 끼워진다. 또한, 하나 이상의 케이블 커넥터(200)가 로드 상으로 끼워지고 케이블이 하나 이상의 척추골에 대해 묶여지고, 경부 척추에 대해 로드를 확실히 고정하기 위해 커넥터에 장력이 가해지고 체결되며, 특정한 척추골을 묶고 지지한다. 커넥터(200)는 척추골의 레벨에서 케이블에 대해 고정된 앵커 지점을 제공하여 보다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특히, 이들 커넥터는 케이블이 지지되는 척추골이 상당히 이동되지 않게 하고 케이블 자체가 수직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비교적 적은 폭을 갖도록 체결되게 한다. 도 12f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드(3a, 3b)를 설치하기 전에, 지지될 척추골 각각에서 양호하게는 실시되는, 송어 케이블(songer cable)을 하층에 꿰메는 것(sublaminar threading)을 예시한다.
고정 시스템은 하기와 같이 설치된다. 경부 등의 척추골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 설치가 사용되면, 케이블은 먼저 융합될 모든 레벨에 삽입될 수 있다. 유익하게는, 시단부(leader)를 갖는 티타늄 이중 케이블을 사용하여, 두 개의 케이블이 하나의 하층 통로(sublaminar passage)를 사용하여 각각의 척추골 레벨에서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송어 케이블에 대해, 이중 케이블 시단부의 외형을 특정한 인체구조(anatomy)에 따르는 C형상으로 만들어 수술(procedure)이 시작될 수 있다. 뒤끝쪽으로부터 시작하여, 특정 외형을 갖는 시단부가 관련한 층의 주위에서 뒤쪽 및 아래쪽으로 도입된다. 시단부가 위쪽에 나타날 때, 고무를 입힌 겸자(rubber-clad forcep) 또는 블런트 후크(blunt hook)로 잡아 위쪽으로 당겨져 케이블의 장력을 유지한다. 이는 하층의 경질막(underlying dura)과의 접촉을 최소화한다. 그 다음, 시단부가 절단되고 케이블이 고무를 입힌 겸자를 사용하여 창상의 각 측면에서 측방향으로 분리되고 클램핑된다. 이 과정이 융합될 모든 레벨에서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케이블 세그먼트(230)가 된다. 세그먼트는 각각의 케이블의 좌우측을 보다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a) 내지 (h)로 명시되어 있다.
그 다음, 두 개의 로드(3a, 3b)가 필요하다면 인체구조에 정확히 맞음을 보장하기 위해 그에 맞는 외형을 가지게 되며 절단되고, 상기 로드의 상단과 하단은 후두부 플레이트의 앵커 볼트, 척추골 앵커 스크류 각각에 좌우대칭으로 잡혀 있다. 슬로팅된 앵커 볼트의 최종 조임은 케이블이 제위치에 고정된 후에 나중에 수행된다.
일단 로드가 헐겁게 고정되면, 각각의 레벨에서의 아래쪽의 케이블 단부가 각각의 로드의 외측에 위치된다. 최말단 케이블로부터 시작하여, 시단부를 갖는 단부가 케이블 커넥터(200)의 아일릿(206)을 지나고, (케이블의 고리모양으로 감아진 단부 주위의 주름진 페룰(crimping ferrule)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 아일릿을 지나, 최종적으로 측면에 걸쳐 드리워진다. 그 다음, 커넥터(200)가 로드(3a, 3b) 상에 위치되고, 세트 스크류(205)를 조여 헐겁게 고정된다. 이러한 순서가 반복되며,각각의 케이블에 대해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가 제공되고, 이 커넥터는 각각의 레벨에서 로드 중의 하나에 헐겁게 고정된다. 그 다음 케이블은 장력이 가해지고 주름이 잡히고, 케이블 커넥터(200)는 로드 상에 각각 조여져 고정된다. 그 다음에, 상기 앵커 볼트에 고정 로드가 최종적으로 조여진다. 도 13b는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경부 척추골이 케이블 설치된 척추 모델을 예시한다.
도 13c는 케이블 커넥터(200)에 케이블을 부착하는 것에 대한 상세를 예시하는 선화(line drawing)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300)은 케이블 커넥터의 아일릿(206)을 통해 삽입되는 시단부(301)를 갖는다. 시단부(301)가 상이한 케이블(310)의 케이블 아일릿 또는 엔드 루프(311; end-loop)(또는 동일한 방법에 따라 동일한 케이블의 다른 단부)를 지나고 이들 아일릿이 커넥터(200)의 표면에 대해 겹쳐지고, 최상층 주름 종결부(305; top-hat crimp termination)가 시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름 종결부(305)는 케이블 아일릿(311)의 고리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커넥터 아일릿(206)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테두리부(306; brim)를 갖는다. 또한, 주름 종결부는 원통형 본체(307)를 가지며, 이 본체를 통해 시단부가 끼워지고, 이 본체가 주름지거나 또는 헐겁게 설치되며, 일단 두 단부(301, 311)가 커넥터(200)에 위치되면, 두 케이블 단부는 커넥터에 의해 잡혀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커넥터 조립체는 케이블 다음 로드, 그 다음에 케이블 커넥터가 위치되는 여러 단계의 절차 중에, 고정 로드 중의 하나에 체결된다. 그 다음, 인장 공구(tensioning tool; 도시되지 않음)가 시단부(301)를 당겨 각각의 케이블에 장력을 가하면서(예를 들어, 시단부를 잡고 종결부에 대해 당김),일단 케이블 및 다른 구성요소가 정렬되고 부착되고 예비 조임(preliminary tightening)이 수행되면 최종적으로 장력을 가하기 위해 최상층 종결부의 본체 부분(307)을 케이블 시단부(301) 상에서 주름지게 하여 감소시킨다. 루프(311)는 예를 들어,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이 하나는 곧고 하나는 고리형태로 된 단부를 가져 사용할 준비가 된 채로 선적될 수 있도록 실시되거나, 또는 루프는 케이블 아일릿(311)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블(310)과 감겨진 반대쪽 단부(310a) 상에 슬리브 또는 페룰을 주름지게 하여 수술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척추골의 환부에 앵커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부가적인 지지가 필요한 경우 로드를 척추골에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척추골 주위에 하층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것 외에, 고정 로드에 직접적으로 클램핑하기 위해 비교적 작은 앵커 스크류를 경부 척추골에 위치시킬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 표준의 모스-마이애미 스크류에 대해 전체 구조가 유사한, 소위 소형-다축 스크류(mini-polyaxial screw; 디퍼이 아크로메드 부품 번호 1746-07-408호 내지 -450호 또는 1746-07-508호 내지 -550호)가 적절한 고정 로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앵커 플레이트는 후두부 고정 조립체에 특히 유용하며, 플레이트 부분은 후두부에 확실히 안착하는 형상을 갖는다. 슬로팅된 로드 앵커 볼트의 완전한 일 회전을 제공하면서 다소 이동 또는 오프셋될 수 있는 능력은 변이 로드의 오정렬을 최소화하고 앵커 스크류에 원하지 않은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것을 회피하는데 크게 유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는 조립체의 플레이트 부분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프셋 탭 실시예와 같이 다양한 길이 또는 형상, 짧은 척추골 플레이트 및 특정한 응용예에 적용되는 다른 형상으로 설정되는,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도 유용하다.
본원에 설명된 후두부 플레이트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자체는 뼈가 보다 두껍고 고정에 대해 보다 강한 기층(substrate)을 제공하는, 후두부의 중선을 따라 두개골에 대해 고정되도록 설정되며, 앵커 스크류에 인접한 후두부 플레이트의 브랜치 또는 아암을 따라 고정 로드를 고정하도록 설정된다. 유익하게는, 역전된 Y자형 플레이트 실시예가 목덜미 선 아래쪽에 로드를 고정하는 슬로팅된 볼트 또는 캡 조립체를 위치시키며, 충분하거나 또는 보다 두꺼운 연성 조직이 존재하여 과다한 잡아당김이나 압박이 없이 창상이 폐쇄됨이 보장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V자형 또는 다른 형상과 같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러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 본원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 및, 본 발명의 다른 변형 및 수정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며, 이러한 모든 변형 및 수정은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Claims (16)

  1. 외측 후두부 융기부 아래쪽 척추 상에서 중앙에 고정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아암(arm) 및 제 2 아암을 갖는 앵커 플레이트와, 고정 부재를 잡아 고정하는 형상을 갖는 슬롯을 가지는 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는 아암에 부착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설치하기 위해 단일 및 분리되지 않는 조립체를 형성하며 고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해 위치조정을 위한 클램핑을 하기 전에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볼트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는 중앙의 트렁크 부분과 한 쌍의 각진 아암 부분을 포함하는 Y 자형 플레이트이고, 볼트는 상기 아암 중의 하나에 부착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각각의 아암에 부착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기다란 개구(elongate aperture)를 가지며, 이 개구를 통해 볼트가 한 측면으로부터 고정되고 다른 측면을 통해 연장하며, 볼트는 클램핑하기전에 기다란 개구의 길이를 따라 위치조정가능한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아암의 길이방향 축에 따라 기다랗게 형성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이 볼트 둘레에 맞는 형상을 가지며 볼트의 슬롯과 정렬될 수 있는 지지면을 갖는 지지용 플랫폼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에 부착되며, 볼트와 지지용 플랫폼은 함께 그 사이에 플레이트를 잡아서 슬롯의 각도 방향(angular orientation)을 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 내에서 볼트가 움직일 수 있는 단일 조립체를 형성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플랫폼은 플레이트의 개구로 끼워지는 슬리브 부분을 포함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는 상부 표면을 갖는 베이스(base)를 가지고 상기 지지용 플랫폼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중의 적어도 하나는 볼트가 장력을 받고 있을 때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하지 않도록 텍스츄어 처리되는(textured)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플랫폼의 슬리브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를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연장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층진 슬롯(stepped slot)을 가지며 이 슬롯을 따라 볼트가 고정 로드(fixation rod)를 수용하도록 정렬된 위치로 슬라이딩하는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용 플랫폼은 고정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시트면(seating surface)과, 볼트를 잡아주기 위한 걸쇠 또는 멈춤쇠(catch or detent)를 갖는 분할 워셔(split washer)인 척추 고정용 앵커 조립체.
  12. 그 안에 적어도 하나의 앵커 스크류 구멍 및 적어도 하나의 볼트-수용 개구가 배치되는 후두부 플레이트의 형태인 제 1 앵커 요소와,
    제 1 앵커 요소의 볼트-수용 개구에 안착(seat)하도록 적용되며 그 일부분을 통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앵커 볼트와,
    상기 슬롯에 클램핑된 선단 부분과 척추골(vertebra)에 고정된 말단 부분을 갖는 링크 부재와,
    상기 선단 부분과 상기 말단 부분 사이의 선택된 위치에서 링크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선택된 위치에서 척추 고정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연결 지점을 결정하는 아일릿(eyelet)을 포함하는 척추 고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플레이트가 T자형 플레이트인 척추 고정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플레이트가 Y자형 플레이트인 척추 고정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Y자형 플레이트가 역전된 Y자 형태(inverted Y orientation)로 장착되는 척추 고정 시스템.
  16. 고정 로드(fixation rod)를 그 안에 수용하는 사이즈를 가지며 그 본체를 통해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기다란 채널을 가지는 본체와 클램핑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은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본체가 선택된 위치에서 옆쪽으로부터 고정 로드에 위치되면서 로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아일릿 부분을 또한 가지며,
    상기 클램핑 스크류는 상기 채널 근처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고정 로드를 고정하고, 로드 상에서의 케이블 커넥터의 위치를 확실히 고정시키며,
    상기 아일릿은 상기 선택된 위치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010047657A 2000-08-08 2001-08-08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KR100544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33,057 US6524315B1 (en) 2000-08-08 2000-08-08 Orthopaedic rod/plate locking mechanism
US09/633,057 2000-08-08
US09/836,445 US6547790B2 (en) 2000-08-08 2001-04-17 Orthopaedic rod/plate locking mechanisms and surgical methods
US09/836,445 2001-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430A true KR20020013430A (ko) 2002-02-20
KR100544807B1 KR100544807B1 (ko) 2006-01-24

Family

ID=2709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657A KR100544807B1 (ko) 2000-08-08 2001-08-08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80348B1 (ko)
JP (1) JP5025862B2 (ko)
KR (1) KR100544807B1 (ko)
AU (1) AU763284B2 (ko)
CA (1) CA23547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85B1 (ko) * 2004-06-17 2008-04-21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연장 부재 부착용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정형외과용 고정 플레이트 및 그 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5491B1 (en) 2000-09-15 2002-11-26 Sdgi Holdings, Inc. Posterior fixation system
US8512380B2 (en) 2002-08-28 2013-08-20 Warsaw Orthopedic, Inc. Posterior fixation system
US7476228B2 (en) 2002-10-11 2009-01-13 Abdou M Samy Distraction screw for skeletal surgery and method of use
US7306602B2 (en) 2002-10-31 2007-12-11 Depuy Actomed, Inc. Snap-in washers and assemblies thereof
US20040087952A1 (en) * 2002-10-31 2004-05-06 Amie Borgstrom Universal polyaxial washer assemblies
US8167917B2 (en) * 2003-09-24 2012-05-01 Spinefrontier Lls Apparatus and method for spine fixation
BRPI0512056A (pt) 2004-06-14 2008-02-06 M S Abdou sistema de fixação occipital e método de utilização
EP1814474B1 (en) 2004-11-24 2011-09-14 Samy Abdou Devices for inter-vertebral orthopedic device placement
EP1848352A4 (en) 2005-02-18 2011-07-20 M S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FIXING A SKELETAL STRUCTURE
US20060217710A1 (en) * 2005-03-07 2006-09-28 Abdou M S Occipital fix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US7621942B2 (en) 2005-03-21 2009-11-24 Zimmer Spine, Inc. Variable geometry occipital fixation plate
US8394131B2 (en) 2005-09-30 2013-03-12 Aesculap Implant Systems, Llc Occipitocervical fixation system
US7909871B2 (en) 2005-10-03 2011-03-22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vertebral orthopedic device placement
WO2007044705A2 (en) 2005-10-07 2007-04-19 Abdou Samy M Devices and methods for inter-verterbral orthopedic device placement
WO2007044716A1 (en) * 2005-10-07 2007-04-19 Alphatec Spine, Inc. Adjustable occipital plate
US7473255B2 (en) * 2006-02-08 2009-01-06 Synthes (U.S.A.) Transbuccal plate holding cannula
WO2008013960A2 (en) 2006-07-27 2008-01-31 Abdou Samy M Devices and methods for the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US7776070B2 (en) 2006-08-02 2010-08-17 Warsaw Orthopedic, Inc. Occipital plating systems and methods
US8876874B2 (en) 2006-08-21 2014-11-04 M. Samy Abdou Bone screw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7901433B2 (en) 2006-10-04 2011-03-08 Zimmer Spine, Inc. Occipito-cervica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8147527B2 (en) 2006-11-28 2012-04-03 Zimmer Spine, Inc. Adjustable occipital plate
US8246662B2 (en) 2006-12-27 2012-08-21 Zimmer Spine, Inc. Modular occipital plate
US8636737B2 (en) 2006-12-27 2014-01-28 Zimmer Spine, Inc. Modular occipital plate
EP1958575B1 (en) 2007-02-13 2014-08-13 Brainlab AG Device or system for positioning or preparing the positioning of a medical operating instrument, especially an incision block or a cutting block or a ligament balancing device
JP2010035921A (ja) * 2008-08-07 2010-02-18 Piolax Medical Device:Kk 生体骨の補填具
US8348981B2 (en) 2009-06-23 2013-01-08 Aesculap Implany Systems, LLC Minimal access occipital plate
US8764806B2 (en) 2009-12-07 2014-07-01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pinal stabilization and instrumentation
US8845728B1 (en) 2011-09-23 2014-09-30 Samy Abdou Spinal fix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20130226240A1 (en) 2012-02-22 2013-08-29 Samy Abdou Spinous process fixation devices and methods of use
US9198767B2 (en) 2012-08-28 2015-12-01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instrumentation
US9320617B2 (en) 2012-10-22 2016-04-26 Cogent Spine, LLC Devices and methods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instrumentation
US9855078B2 (en) 2015-10-05 2018-01-02 Globus Medical, Inc. Spinal anchoring system
US10857003B1 (en) 2015-10-14 2020-12-08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vertebral stabilization
RU2615901C1 (ru) * 2016-06-08 2017-04-11 Алексей Николаевич Шкаруб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ней стабилизации с1-с3 позвонков
US10973648B1 (en) 2016-10-25 2021-04-13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vertebral bone realignment
US10744000B1 (en) 2016-10-25 2020-08-18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vertebral bone realignment
EP3375394B1 (en) * 2017-03-13 2021-10-13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Cable retaining insert and bone plate assembly with such a cable retaining insert
US11179248B2 (en) 2018-10-02 2021-11-23 Samy Abdou Devices and methods for spinal implantation
CN109199561A (zh) * 2018-11-06 2019-01-15 马远 盆骨骨折手术钢板连锁装置
WO2020123857A1 (en) 2018-12-12 2020-06-18 Orthopediatrics Corp. Bone anchor head extender
CN113082521B (zh) * 2021-04-08 2024-05-28 景昱医疗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医疗器械及其固定装置
DE102021005439A1 (de) 2021-11-03 2023-05-04 Winfried Schütz Kieferorthopädische Verbindungs- und Fixi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5164A (en) * 1992-12-28 1996-08-13 Advanced Spine Fixation Systems, Incorporated Occipital clamp assembly for cervical spine rod fixation
ATE148328T1 (de) * 1993-05-18 1997-02-15 Schaefer Micomed Gmbh Knochenchirurgische haltevorrichtung
US5558674A (en) * 1993-12-17 1996-09-24 Smith & Nephew Richard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osterior spinal fixation
DE19509332C1 (de) 1995-03-15 1996-08-14 Harms Juergen Verankerungselement
WO1997023170A1 (en) * 1995-12-22 1997-07-03 Ohio Medical Instrument Company, Inc. Spinal fixation device with laterally attachable connectors
DE19636309C2 (de) * 1996-07-25 1998-07-02 Plus Endoprothetik Ag Osteosyntheseplatte
US6086590A (en) * 1999-02-02 2000-07-11 Pioneer Laboratories, Inc. Cable connector for orthopaedic r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185B1 (ko) * 2004-06-17 2008-04-21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연장 부재 부착용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정형외과용 고정 플레이트 및 그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80348A2 (en) 2002-02-20
EP1180348B1 (en) 2008-12-03
CA2354747A1 (en) 2002-02-08
AU763284B2 (en) 2003-07-17
JP5025862B2 (ja) 2012-09-12
AU5792401A (en) 2002-03-14
JP2002102241A (ja) 2002-04-09
EP1180348A3 (en) 2004-04-21
KR100544807B1 (ko) 2006-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807B1 (ko) 정형외과용 로드/플레이트 고정 기구 및 수술 방법
EP1862136B1 (en) Orthopaedic rod/plate locking mechanisms
US6146382A (en) Occipito-cervica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RE42867E1 (en) Bone fixation system with low profile fastener
US628730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usionless treatment of spinal deformities
US7674277B2 (en) Side-loading bone anchor
US9504499B2 (en) Spinal fixation system
AU677377B2 (en) Spinal fixation system
CA2382033C (en) Multi-axial bone screw assembly
US8292934B2 (en) Dynamic anchor assembly for connecting elements in spinal surgical procedures
US8016862B2 (en) Spinal stabilizing system
WO2005041821A9 (en) Bone fixation system with low profile fastener
JP2002518084A (ja) 脊柱ロッド固定装置
US20090198290A1 (en) Non-Clamping Fastening Mechanism With Anti-Splay Feature
US11974785B2 (en) Band clamp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