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239A -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239A
KR20020013239A KR1020000046823A KR20000046823A KR20020013239A KR 20020013239 A KR20020013239 A KR 20020013239A KR 1020000046823 A KR1020000046823 A KR 1020000046823A KR 20000046823 A KR20000046823 A KR 20000046823A KR 20020013239 A KR20020013239 A KR 20020013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internet access
public network
subscriber line
access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최원석
김요한
정창범
김현석
Original Assignee
김재환
최원석
김요한
김현석
정창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환, 최원석, 김요한, 김현석, 정창범 filed Critical 김재환
Priority to KR102000004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3239A/ko
Publication of KR20020013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2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8Mobile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장소에 제한이 없으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시로 촬영 장소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스튜디오를 구현하고,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해 촬영된 방송 정보를 웹 캐스팅 서버로 송출하여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하여 이동한 촬영 장소에서, 기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과,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되는 방송 정보를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방송 정보 송출 과정;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가입된 상태로 있으며, 약정에 따라 특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미리 지정한 후, 상기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에 상기 지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 제어하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과정;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결과에 따라 상기 실시간 전송 처리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방송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장치들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A MOBILE STUDIO TYPE INTERNET WEB CASTING SYSTEM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 장소에 제한이 없으며, 동시에 필요에 따라 수시로 촬영 장소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스튜디오를 구현하고,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해 촬영된 방송 정보를 웹 캐스팅 서버로 송출하여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방송이라 함은 인터넷 및 컴퓨터 네트워크를 방송 정보의 전달 매개로 하여 미리 지정된 스튜디오 상에서 촬영 및 녹음되는 영상과 음성을 상기 인터넷 상에 구현된 웹 캐스팅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된 영상과 음성을 방송 정보로서 하여 상기 웹 캐스팅 서버로 접속한 시청자들의 컴퓨터 단말에 제공하는 방송 방식을 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터넷 방송은, 사업자 측면에 있어 그 설비를 구축하는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아울러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상호 인터랙션(Interaction) 방송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시청자 입장에서는 인터넷 접속 환경이 구축된 곳에서는 시간 및 장소와 상관없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급속하게 보급 및 실시되고 있다. 또한, 시청자의 필요에 따라 시청한 방송의 가공 및 재처리 과정 또한 보다 용이할 수 있기도 하다.
기술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영상과 음성 신호인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디지털 변환 기술과, 변환된 데이터를 실시간 연속하여 시청자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Streaming) 기술이 제안되어 이를 통해 인터넷 방송, 그리고 실시간 인터넷 방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및 통상 실시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경우 영상과 음성의 촬영 및 녹음이 실제 이루어지는 스튜디오를 구축시 LAN 및 그에 상응하는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초고속 통신 망 등 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고정된 장소로서의 물리적 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즉, 인터넷 방송을 위한 방송 스튜디오는 필히 인터넷 접속 환경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촬영된 영상과 녹음된 음성이 실린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그 즉시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로서 변환하고 이를 웹 캐스팅 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송출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통상의 인터넷 방송 시스템 또한,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여러 특정 및 이점에도 불구하고, 고정된 장소의 스튜디오 환경에서 방송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촬영 공간의 한계를 가지고 있음의 사실이다.
즉, 통상의 인터넷 방송 시스템은 시청하고자 하는 가입자들이 컴퓨터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인터넷 상의 웹 캐스팅 서버로 접속하고, 방송 정보의 전송 매체를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측면 말고는 기존 스튜디오 시스템을 도입하여 방송을 실시하는 공중파 방송 시스템과 동일한 상태로서 방송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시청자의 요구가 다양화되면서 다양한 상황의 방송 정보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사업자가 유리한 입장에 있을 수 있는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의 인터넷 방송은 단지 스튜디오 내에서 촬영되어 송출되는 방송 정보 만을 방송할 수 있었다. 간혹 야외나 외부 공간에서 촬영된 방송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미리 외부에서 촬영 및 녹음된 정보를 추후 가공하여 이를 녹화 방송하는 형태로서 실시되는 경우이다. 다시 말하면 스튜디오를 벗어난 공간에서 생방송으로 방송 정보를 송출하고 이를 시청하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은 현재에 있어 구현되지 않고 있었다.
참고로, 기존 공중파 방송에서는 스튜디오 외에서 생방송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송출 장비 혹은 송출 장비가 구비된 이동 차량 등을 방송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이의 대표적 예로 스포츠 및 긴급한 상황을 생방송 할 시 SNG를 통한 방송 정보의 송출, 그리고 중계 차량을 통해 무선으로 방송 정보를 송출하는 방식이 있다.
만일 통상의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스튜디오 외부 공간에서 생방송 진행이 실시될 경우, 상기 공중파 방송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송출 장비 및 방송 중계 차량을 통한 방송이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나, 저예산으로 방송이 실시 될 수 있는 인터넷 방송에 있어 상대적으로 고가가 되는 별도의 방송 송출 장비를 이용하는 것은 그 실시를 매우 곤란하게 하는 문제를 낳는다. 즉, 상대적으로 그 장비 구매 비용 및 사용 비용이 높은 외부 방송 송출 장비를 통해 인터넷 방송을 행하게 되면, 방송 사업자에게 있어서는 그 비용의 증가를 감당하지 못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시청자들로 그 비용을 전가하게 되는 문제를 낳는다. 혹 그 실시를 가능하도록 하더라도 몇몇 대자본을 가진 방송 사업자에 한해서 실시될 수 있는 문제를 낳게 된다.
결국, 통상의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은 스튜디오 외에, 외부 및 다양한 공간과 상황에서도 생방송을 실시하려 하면 그에 다른 비용 증가 문제를 접할 수밖에 없었고, 이를 회피하고자 기존의 인터넷 방송 사업자들은 고정된 스튜디오 내에서만 방송을 실시하고 있었다.
결국, 인터넷 방송은 가지고있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스튜디오를 벗어난 곳에서 생방송을 실시함에 여러 제약 요건이 있을 수밖에 없었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지적된 기존 인터넷 방송 시스템이 채택하고 있는 고정식 스튜디오 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방송 정보 송출 공간의 한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과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정보의 송출 공간이 지속하여 이동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있어서도 인터넷 방송이 실시 가능하면,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절감될 수 있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과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내 혹은 지정된 장소에 한해서 그 방송 정보의 송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튜디오 방식의 인터넷 방송 시스템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 외부 공간 및 임의의 장소, 그러함에도 별도의 방송 정보 송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과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본 발명은,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하여 이동한 촬영 장소에서, 기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과,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되는 방송 정보를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방송 정보 송출 과정;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가입된 상태로 있으며, 약정에 따라 특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미리 지정한 후, 상기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에 상기 지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 제어하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과정;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결과에 따라 상기 실시간 전송 처리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방송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저장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 결과로서 방송 정보 송출 공간을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공간의 적절한 위치로 미리 할당되어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 인터넷 접속을 행하며,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촬영 및 녹음되는 방송 정보를 일정 형태의 데이터로서 변환하여 처리 한 후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사용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이동식 스튜디오와; 약정에 따라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에 해당하여 특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미리 할당하고, 상기 촬영 스케쥴의 참조 결과로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서 상기 할당된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을 제어하며, 생성된 상기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전송 처리하고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와;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처리하며, 상기 스케쥴의 분석 결과를 통해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웹캐스팅 서버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촬영 가능 지역의 셀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 적용되는 공중망 교환기 내에 구비되는 인터넷 접속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식 스튜디오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터넷 접속 공중망 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웹 캐스팅 서버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설계 구조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동 스튜디오로 구성되는 방송 카메라이다. 이는 휴대가 가능한 일반의 캠코더 또는 디지털 카메라로서 선택되어 구현된다. 상기 방송 카메라는 방송 실시시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대상을 비디오 신호로서 변환하여 출력한다. 내부로는 촬영된 대상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필요에 의해 재생될 수 있다.
참조부호 20은 상기 이동 스튜디오로 구성되는 마이크이며, 이는 대상 및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음향을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통상은 상기 방송 카메라와 상기 마이크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3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시, 상기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소정 변환 및 압축 처리한 후, 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방송용 컴퓨터 단말 장치이다. 이는 내부로 별도 구성된 인코더(Encoder)의 동작을 통해 실시된다. 상기 인코더는 아날로그 상태의 방송 신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 형태로서 변환 처리하며, 그에 적절하여 압축한다. 그 결과로서의 데이터는 통상 지정된 규격(MPEG, ASF, ASX, RM 등)에 맞추어 변환되며, 이는 실시간 압축되어 인터넷을 통해 방송 정보로서 스트리밍 서버로 전달된다.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 장치는 통상 개인용 컴퓨터, 그리고 노트북용 컴퓨터 등을 사용한다. 이를 통상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인코딩 스테이션(Portable Encoding Station)이라 칭하기도 한다.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 장치는 그 내부로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의 실행을 행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 있어 공중망 가입자 회선을 통한 인터넷 접속 실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 장치는 그 내부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을 통한 방송 정보-즉, 촬영된 영상과 음성이 전송 형태로서 변환된 데이터- 전송을 위한 모뎀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뎀기기는 통상의 컴퓨터로 구비되는 공중망 가입자 회전 접속용 모뎀과 동일하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특성에 따라 그 변조 동작 및 데이터 전송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xDSL' 방식의 모뎀기기 사용이 적절할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실시시 인터넷 접속을 'xDSL' 방식을 통해 방송 정보를 전송하도록 함에 그러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xDSL 방식 중 HDSL방식이 통상 적용될 수 있다. HDSL의 경우 상하향(UP/DOWN) 동일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어, 방송 정보를 인터넷 방송 서버로 송출함에 무리가 없으며,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웹 캐스팅 서버로부터 필요 정보를 수신 받기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통상 상하향 각각 2Mbps의 속도를 가진다. 최근 사용되는 ADSL 방식은 상하향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호 비대칭으로, 상향이 특히 전송 속도가 느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곤란할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VDSL, 케이블 모뎀, LAN 방식 등 이 적용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 장치는 상기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과 상기 모뎀기기의 구동을 통해 상기 컴퓨터 단말장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을 통한 인터넷 상으로의 접속을 행한다. 상기 인터넷 접속과 동시에 미리 지정된 특정 IP의 할당이 이루어질 것이며, 동시에 인터넷 상으로의 방송 정보 송출을 위한 포트 생성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촬영되는 방송 정보의 전송이 행해진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방송 카메라, 마이크, 그리고 상기 컴퓨터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인터넷 방송용 이동식 스튜디오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촬영 장소에 제한을 두지 않고 언제나 필요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된다.
참조부호 40은 컴퓨터 네트워크로서의 인터넷이며, 이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TCP/IP 프로토콜을 만족하는 네트워크를 칭한다. 상기 인터넷을 전달 매개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촬영된 방송 정보가 전송되며, 그리고 일반의 시청자는 본 발명에 따른 웹 캐스팅 서버 접속을 행한 후 방송을 시청할 수 있게된다. 상기 인터넷은 별도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드웨어 장치로서 공중망 교환기 및 인터넷 접속 장치, 전용 랜 등을 통해 생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방송 정보의 송출은 상기 공중망 교환기를 통해 생성된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진다.
참조부호 5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 캐스팅 서버에 있어 편집 시스템 서버이다. 이는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에서 촬영된 후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방송 정보를 캡쳐(Capture)한 후 이를 편집 처리하는 인터넷 방송용 서버이다. 상기 전송된 방송 정보는 상기 편집 시스템 서버의 동작을 통해 실제 인터넷 상에서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 정보로서 가공 처리된다. 상기 가공 처리된 방송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생방송 이외의 방송시 필요하게 된다.
참조부호 60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 캐스팅 서버에 있어 스트리밍 서버이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편집 시스템 서버로부터 편집 처리된 방송 정보, 그리고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로서 변환 처리한다. 이는 실시간 방송에 필요하며, 아울러 동영상을 끊김 없는 상태로서 시청자의 컴퓨터 단말로 제공함에 필요하게 된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내부 및 외부로 참조부호 85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방송정보 저장 장치로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인터넷 방송에 있어 전송 및 송출, 편집 처리된 방송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저장된 방송 정보는 필요에 의해 억세스되어 언제나 시청자의 컴퓨터 단말 상에서 재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된 각각의 방송 정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 그 외 별도의 효과 및 기타 기능 등을 지시하는 정보 등이 저장된다.
한편,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방송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상기 스트리밍 서버의 역할에 의한 것이다.
참조부호 70은 시청자로부터 요구되는 방송 정보를 제공함에 이를 미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인터넷 방송 수행시 촬영 및 녹음된 후 저장된 방송 정보의 메타 데이터(Meta data)를 저장한다. 인터넷 방송에 있어 실제 방송물이 되는 방송 정보는 상기 스토리지 장치로서의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참조부호 80은 인터넷 방송을 위한 웹서버로서, 인터넷을 통해 시청자의 컴퓨터 단말과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상기 스트리밍 서버 60을 상호 접속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웹 상에서 그 동작을 수행한다. 시청자는 인터넷 방송을 시청함에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직접 접속하지 않고, 상기 웹서버의 접속을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 후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다. 즉 시청자는 상기 웹 서버에 먼저 접속하고 이를 통해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링크하여 접속을 하게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웹서버와 별도로 상기 접속한 시청자의 컴퓨터 단말로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로서 전송하며, 이로서 시청자는 방송을 시청한다.
한편, 상기 웹서버는 고유의 IP 어드레스와 DNS를 가지고 있으며, 시청자가 접속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편집 시스템 서버, 스트리밍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웹 서버를 통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웹 캐스팅 서버로 칭한다.
참조부호 90 및 90-n은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웹 캐스팅 서버로 접속하여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시청자의 컴퓨터 단말들이다. 이 또한 인터넷 접속을 행하며, 이는 TCP/IP 프로토콜을 만족을 행하여 필요한 데이터 전송 및 수신을 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통해 인터넷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시청자들은 상기 컴퓨터 단말의 조작과 그의 구동 요구를 통해 인터넷의 접속, 그리고 인터넷 방송을 위한 상기 웹 캐스팅 서버로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단말로는 인터넷 방송 시청을 위해 상기 웹 캐스팅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의 방송 정보를 실시간 재생할 수 있는 별도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포함하여야 한다. 최근 상기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리얼플레이어 등이 널리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촬영 가능 지역의 셀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20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제안된 방식의 가입자 회선 스위칭, IP어드레스 할당,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포트 생성을 행하는 공중망 교환기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는 항상 이동 가능하며, 이동하면서 생방송으로 인터넷 방송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가 이동하여 방송을 실시하고자 하는 곳으로 인터넷 연결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입자 회선을 스위칭 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입자 회선으로 포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포트를 통해 인터넷 접속이 행해지며, 인터넷 방송 실행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의 방송 정보가 웹 캐스팅 서버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스위칭 되어 할당되는 가입자 회선은 방송 촬영시 상기 이동 스튜디오가 위치하는 곳에서 가능하면 최단거리에 존재하는 가입자 회선이 된다. 상기 가입자 회선은 통상 일반 전화선과 같은 공중망 가입자 회선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회선으로 인터넷 접속에 따른 포트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포트 생성의 의미는, 인터넷 방송 실시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가 위치한 곳의 가입자 회선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입자 회선으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포트 생성은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의 IP어드레스 할당을 통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을 수행하는 사업자는 공중망 교환기의 운영 사업자, 또는 그에 상응하는 ISP사업자로 특정 포트를 항시 이용 할 수 있도록 미리 계약한다. 그리고,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외부로의 생방송 수행시, 미리 계획된 일정, 혹은 요구에 의해 상기 공중망 교환기는 이동식 스튜디오가 위치하는 장소로 가장 근접한 위치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에 상기 특정 포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촬영 장소가 변경되어 이동될 시 마찬가지로 이동되는 곳에서 가장 근접한 가입자 회선으로 상기 특정 포트 생성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그에 따른 포트 생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포트 생성 방식은 두가지 형태로서 실시될 수 있는데, 이의 첫 번째 방식은 미리 계획된 방송 스케줄에 따라 적절히 가입자 회선 스위칭과 포트 생성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이 경우 인터넷 방송 사업자는 웹캐스팅 서버 300에 미리 방송 스케줄, 즉 이동 예상되는 곳의 위치 정보와 일정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한다. 그러면 상기 웹 캐스팅 서버 300은 상기 스케줄의 내용을 소정 형태의 제어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은 상기 제어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통해 적절히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행하고, 스위칭과 동시에 해당 가입자 회선으로 미리 계약된, 혹은 미리 지정된 특정 포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포트는 스케쥴에 따라 방송 예정되는 장소의 가입자 회선으로 방송 시간에 맞추어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방식으로 이동식 스튜디오와 웹 캐스팅 서버 300간의 미리 정해진 특정 신호의 시그널링 과정을 통해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포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기 스케쥴 방식과 달리 이동식 스튜디오가 임의의 위치로 이동되어 촬영을 하게 될 경우에 보다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이의 구체적 동작은 먼저 이동식 스튜디오에서 이동 예상되는 장소의 정보를 상기 웹 캐스팅 서버 300으로 전송 처리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웹캐스팅 서버 300은 전송된 장소 정보를 참조로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으로 해당 장소에 있어 가장 근접한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요구와 그에 따른 특정 포트 생성을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은 적절한 시간 내로 상기 요구된 장소의 가쟝 근접한 가입자 회선으로 포트 생성을 위한 스위칭을 행한다. 그리고 해당 가입자 회선으로 IP어드레스 할당에 따른 포트 생성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앞서 설명한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촬영 장소, 방송이 이루어지는 장소, 즉 이동식 스튜디오가 위치 및 이동되는 장소를 크게 AREA 1 100-1, AREA 2 100-2, AREA 3 100-3, AREA 4...n 100-4...n 로 구분된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AREA 1, 2, 3은 고정적인 거점으로 안정적인 유선망으로서 가입자 회선을 미리 확보한 장소로 정한다. 즉, 전화선 접속이 가능한 곳으로 전화가 설치된 모든 곳이 그 대상이 된다.
상황에 따라 AREA 4...n은 그 이동상태가 무작위 적이어서 고정적인 유선망확보가 어려운 장소라 가정한다. 이 경우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한 인터넷 방송의 경우이다.
실 예로,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촬영이 1시간 간격으로 상기 AREA 1, AREA 2, AREA 3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실시될 것이라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웹캐스팅 서버 300으로 상기 장소 정보와 이동 순서, 그리고 촬영 시간이 스케쥴로서 미리 정해져서 저장된다. 상기 AREA 1에서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촬영과 방송 시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웹캐스팅 서버 300은 상기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제어 데이터 형태로서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은 상기 스케쥴에 따라 상기 AREA 1에 근접한 가입자 회선을 인터넷 방송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 생을 위해 할당한다. 그리고 상기 할당된 가입자 회선으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미리 지정된 IP 어드레스를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 할당함으로서 포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는 상기 생성된 포트를 통해 촬영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웹 캐스팅 서버 300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시청자는 인터넷 400과 그를 통한 상기 웹 캐스팅 서버 접속을 통해 상기 촬영되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시청하게 된다. 상기 AREA 1에서의 생방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AREA 1에서 생방송 수행 중, 해당 장소에서 촬영이 끝나고 다음 예정된 장소, 실 예로, AREA 2로 이동식 스튜디오 이동이 이루어지면, 해당 시간에 맞추어 상기 공중망 교환기는 상기 생성된 측정 포트를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AREA 2에 있어 가장 근접한 가입자 회선을 할당하고 새로이 할당된 가입자 회선으로 상기 특정 포트 생성을 제어한다. 이는 AREA 3 장소로 이동될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가 된다. AREA 4로 이동할 경우는 별도의 조작을 통해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한 포트 생성을 제어하게 될 것이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각 AREA로의 가입자 회선은 공중망 가입자회선을 적용하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설치된 곳은 어디에서든 본 발명에 따른 포트 생성과 그에 따른 인터넷 방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방송 정보의 송출은 초고속 인터넷 망으로 불리는 xDSL, Cable, LAN 방식이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의해 각 방식이 복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앞서 언급한 두 번째 방식의 적용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는 이동 예상되는 장소 정보를 이동 전에 미리 상기 웹캐스팅 서버 300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서 실시된다. 이 경우 상기 AREA 1에서 AREA 2로 이동시 이동전에 AREA 1에서 접속된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된 포트를 이용 장소 변경에 따른, 즉 AREA 2로의 이동에 따른 정보를 미리 전송 한 후 상기 접속을 해제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웹캐스팅 서버 300은 상기 전송된 정보를 참조로 AREA 2로의 가입자 회선 할당과 그에 따른 포트 생성을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으로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공중망 교환기 200은 상기 요구에 따라 AREA 2로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행한 후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서 AREA 2에서의 이동식 스튜디오를 통한 생방송 또한 실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 적용되는 인터넷 접속 공중망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시스템은 상기 도 3에 따른 내부 구성을갖는 공중망 장치의 가입자 회선 스위칭과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으로의 IP어드레스 할당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동작을 통해 그 동작이 실시된다. 참고로,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 장치의 개략적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공중망 사업자 소유의 전화선과 가입자 소유의 전화선 간에 별도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장치들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그 내부는 크게 MDF, 주파수 필터장치, 광단국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 설치된 전화선을 통해 인터넷 방송을 위한 이동식 스튜디오 접속이 행해지며, 접속과 동시에 미리 계약 및 지정된 IP어드레스 할당에 따른 특정 포트 생성이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식 스튜디오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410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를 초기화 한다. 이 경우, 이동식 스튜디오를 구성하는 방송용 컴퓨터 단말장치 및 구비되는 모뎀, 촬영용 카메라, 마이크 등의 초기화, 그리고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장치 내로 구성되는 방송 실시 프로그램 및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의 구동실시가 이루어진다.
412단계에서 초기화 과정 상에서 에러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413단계에서 관리자 호출을 행한다. 415단계에서 에러 해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결된 경우 414단계를 수행한다. 에러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는 417단계에서 별도의 지원 요청 및 시스템 종료를 행한다.
상기 412단계에서 에러 발생이 없는 경우, 414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포트는 인터넷 접속과 방송 정보 전송을 위해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되는 포트이다. 상기 414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419단계에서 관리자 호출 및 그를 통한 문제 해결을 행하고, 상기 41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적절히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416단계에서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접속을 행한다. 특히 스트리밍 서버로 접속한다. 418단계에서는 촬영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하고 이를 스트리밍 형태 데이터로 변환 처리 한 후 상기 접속된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 처리한다. 이 동작은 방송 실행시 지속하여 수행된다.
420단계에서 촬영 종료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없는 경우 상기 418단계를 지속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20단계에서 촬영 종료 명령이 있는 경우, 422단계에서 촬영 스케쥴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미리 계획된 일정 및 장소가 아니라 그 상황에 따라 변경된 촬영 스케쥴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422단계에서 촬영 스케쥴 변경 요구가 있는 경우, 423단계에서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스케쥴 변경 내역을 전송 처리한다. 그리고 424단계에서 촬영 및 전송 장비 각각 등 이동식 스튜디오의 시스템 종료를 행한다. 상기 422단계에서 스케쥴 변경 요구가 별도로 없는 경우는 상기 424단계를 그대로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는 또 다른 촬영 장소로 이동되거나, 혹은 방송 종료에 따른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의 제어 흐름도로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 및 웹캐스팅 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동작 실시를 이루게 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10단계에서 상기 공중망 교환기를 초기화한다. 이 경우, 그 내에 초고속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접속 장치의 초기화 또한 이루어진다.
512단계에서 상기 초기화 과정 상에서 에러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513단계에서 관리자 호출을 행한다. 515단계에서 에러 해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결된 경우 514단계를 수행한다. 만일, 에러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는 517단계에서 별도의 지원 요청 및 시스템 종료를 행한다.
상기 512단계에서 에러 발생이 없는 경우, 514단계에서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그에 따른 포트 생성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요구는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부터의 요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상세 내역은 어느 지역으로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이 요구되고 포트 생성이 요구됨의 사실이다.
상기 514단계에서 가입자 회선 및 포트 생성 요구가 없는 경우, 이는 아직 촬영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가 되므로 519단계에서 포트 생성 요구의 대기 상태를 수행한다.
상기 514단계에서 가입자 회선 및 포트 생성 요구가 있는 경우, 516단계에서 해당되는 가입자 회선으로의 회선 스위칭, 그리고 스위칭 된 회선으로 포트를 생성한다. 이때 미리 지정 및 계약된 특정 IP할당을 이룬다.
518단계에서는 포트 생성이 적절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경우 520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전송 및 송출되는 방송정보를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전송처리한다. 이 또한 실시간으로 처리되며 그 전송 형태는 스트리ald 데이터 형태가 된다.
상기 518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521단계에서 해당 관리지 호출과 그를 통한 문제 해결을 요청한다. 상기 관리자는 별도의 운영자일 수도 있으나 미리 정해진 진단 및 문제 복원 알고리즘을 갖춘 시스템 프로그램이 될 수도 있다.
522단계에서는 상기 생성된 포트의 해제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524단계에서 상기 생성된 포트를 해제한다. 그런 후 상기 51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기 522단계에서 포트 해제 요구가 없는 경우, 523단계에 포트 해제 요구를 대기하고, 상기 522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상기 포트의 해제 요구는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 혹은 웹캐스팅 서버로부터 발생된다.
한편, 상기 포트 해제 요구는 별도의 명령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외 도면상에는 개시되지 않았지만, 방송 정보 및 기타 방송 관련 데이터의 전송 없이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포트 해제 요구가 있는 것으로 취급할 수 있다. 실 예로, 미리 정해놓은 시간 동안 방송 정보가 지속하여 전송처리 되지 않는 경우 이는 포트 해제 요구로 취급한 후 상기 524단계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웹 캐스팅 서버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단계에서 상기 웹캐스팅 서버의 방송에 따른 초기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612단계에서 상기 초기화 과정 상에서 에러 발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613단계에서 관리자 호출을 행한다. 615단계에서 에러 해결 여부를 판단하고, 해결된 경우 614단계를 수행한다. 만일, 에러 해결이 되지 않는 경우는 617단계에서 별도의 지원 요청 및 시스템 종료를 행한다.
상기 612단계에서 에러 발생이 없는 경우, 614단계에서 촬영 스케쥴의 로딩과 로딩된 내용의 분석 동작을 행한다. 616단계에서는 상기 스케쥴의 분석 결과를 통해 현 상태에서 생성할 포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618단계에서 상기 공중망 교환기가 정상적인 구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620단계에서 상기 공중망 교환기로 상기 촬영 스케쥴 분석 결과에 따른 해당 장소의 가입자 회선 스위칭과,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 상으로 포트 생성을 요구한다. 만일 상기 618단계에서 정상적인 구동 상태에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619단계에서 교환기 구동 대기와 관리 호출을 행한다.
622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러한 경우 624단계에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일정 형태로서 가공 및 편집한 후 해당되는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전송 처리한다. 즉, 실시간 방송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622단계에서 포트 생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623단계에서 관리자 호출과 그에 따른 문제 해결을 요구하여 실시한다.
626단계에서는 방송 종료 요구가 있는지 여부, 즉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해당 장소에서의 촬영이 완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완료되는 경우에는 628단계에서 촬영 스케쥴의 변경 요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미리 계획된 스케쥴에 있어서 변경된 사항이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러한 경우 630단계에서 촬영 스케쥴을 변경하고 상기 614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628단계에서 촬영 스케쥴의 변경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614단계를 그대로 반복하여 수행한다 .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언제나 어디에서든 이동 상태에서 인터넷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상태에서 생방송을 행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존 고가의 방송 정보 송출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그에 따른 인터넷 방송 시스템 구축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인터넷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미리 저장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 결과로서 방송 정보 송출 공간을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공간의 적절한 위치로 미리 할당되어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 인터넷 접속을 행하며,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촬영 및 녹음되는 방송 정보를 일정 형태의 데이터로서 변환하여 처리 한 후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사용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이동식 스튜디오와,
    약정에 따라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에 해당하여 특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미리 할당하고, 상기 촬영 스케쥴의 참조 결과로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서 상기 할당된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을 제어하며, 생성된 상기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전송 처리하고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와,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처리하며, 상기 스케쥴의 분석 결과를 통해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웹캐스팅 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되는 인터넷접속 포트는,
    고속 인터넷 통신로 형성을 이루는 xDSL 방식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상에서 생성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DSL방식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은,
    상하향 대칭되는 방송 정보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HDSL 방식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는,
    대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결과를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방송 카메라와,
    음성 및 음향을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마이크와,
    상기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과 그에 해당하여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 인터넷 접속을 행하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구동과 상기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하여 실시간 전송하는 모뎀을 포함하는 방송용 컴퓨터 단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
  5. 이동 가능하며 이동된 상태에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으로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방송 정보로서 인코딩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이동식 스튜디오와,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제어하는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와,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상기 수신된 방송 정보를 실시간 전송하는 웹캐스팅 서버로 이루어진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캐스팅 서버에 있어, 미리 저장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 결과를 통해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상기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 상으로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에 있어, 상기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요구가 있으면, 상기 촬영 스케쥴의 결과에 따른 촬영 장소로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과 상기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 상에 미리 약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는 제2과정과,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에 있어,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에 따라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의 촬영 공간이 이동된 상태에서 기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방송 정보 송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된 미리 약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되어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된 방송 정보를 실시간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에 있어, 상기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4과정과,
    상기 웹캐스팅 서버에 있어, 상기 전송되는 방송 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에 있어, 촬영의 종료와 더불어 촬영 스케쥴의 변경이 있으면, 상기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변경된 촬영 스케쥴 정보를 상기 웹 캐스팅 서버로 전송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웹캐스팅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전송된 변경된 촬영 스케쥴 정보의 참조 결과를 통해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로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상기 스위칭 된 가입자 회선 상으로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의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은,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고속 인터넷 통신로를 형성하는 xDSL 방식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xDSL 방식은,
    상하향 방송 정보의 전송 속도가 대칭되는 HDSL 방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공중망 가입자 회선과 그에 해당하여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방송 정보를 송출하고, 송출된 방송 정보를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들로 전송함으로서 인터넷 방송을 행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인터넷 방송 방법에 있어서,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하여 이동한 촬영 장소에서, 기 설치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과,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되는 방송 정보를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방송 정보 송출 과정과,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가입된 상태로 있으며, 약정에 따라 특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미리 지정한 후, 상기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참조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을 제어하고,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에 상기 지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 제어하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과정과,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결과에 따라 상기 실시간 전송 처리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방송 수행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과정은,
    상기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변경 요구가 있으면, 상기 변경 요구된 스케쥴을 참조로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의 제어와 상기 스위칭 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상기 지정된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 제어를 더 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이동 가능하며 이동된 상태에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으로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방송 정보로서 인코딩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에 있어서,
    이동된 상태에서, 촬영된 대상을 비디오 신호로서 변환 출력하는 방송용 카메라와,
    대상 및 주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음향을 입력받아 오디오 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마이크와,
    내부로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로서 촬영 장소 이동의 결정과 상기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의 실행을 통해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 그리고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의 접속을 행하고, 상기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방송 정보로서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한 후, 이를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고, 소정 촬영 종료 요구에 따라 상기 방송 정보의 전송 동작을 종료 하는 방송용 컴퓨터 단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은,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변경이 있으면, 변경된 스케쥴을 참조로서 촬영 장소 이동의 변경 결정과, 변경된 스케쥴에 따른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요구하며, 요구 결과에 따라 생성된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의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상기 방송 정보를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동작을 더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용 컴퓨터 단말은,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과,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한 방송 정보 전송을 xDSL 방식으로 처리하는 모뎀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14. 이동 가능하며 이동된 상태에서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촬영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방송 정보로서 인코딩하여 실시간 송출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를 통해 내부의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제1과정과,
    상기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의 구동 결과에 따라 공중망 가입자 회선상에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로의 접속, 그리고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의 접속을 행하는 제2과정과,
    방송 카메라 및 마이크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방송 정보로서 소정 인코딩 변환 처리한 후, 이를 상기 접속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하는 제3과정과,
    소정 촬영 종료 요구에 따라 상기 방송 정보의 전송 동작을 종료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촬영 스케쥴의 변경 요구가 발생하면, 변경된 스케쥴을 참조로서 촬영 장소 이동의 변경 결정과, 변경된 스케쥴에 따른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요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이동식 스튜디오 제어 방법.
  16. xDSL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 방식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을 가입하고 있으며,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에 있어서,
    공중망 사업자 소유의 가입자 회선과 가입자 소유의 가입자 회선 간에 별도의 인터넷 접속을 행하며, 그 내부로 MDF, 주파수 필터장치, 광단국 등을 포함하고, 기 설치된 가입자 회선 상에 미리 정해진 측정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는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 장치와,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에 따른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부터의 공중망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요구에 따라, 해당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을 상기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 장치를 통해 제어하며, 상기 생성된 포트를 통해 소정 스튜디오로부터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교환기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
  17.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이 가능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을 가입하고 있으며,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미리 지정된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의 참조에 따라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부터의 공중망 가입자 회선 스위칭 및 인터넷 접속 포트 생성 요구가 있으면, 상기 요구에 해당되는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를 생성하는 제1과정과,
    상기 생성된 포트를 통해 소정 스튜디오로부터 실시간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상기 웹캐스팅 서버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제2과정과,
    소정 인터넷 접속 포트 해제 요구에 따라 상기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해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위한 인터넷 접속 공중망 교환기의 제어방법.
  18.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상으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캐스팅 서버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캡쳐(Capture)한 후 이를 편집 처리하는 편집 시스템 서버와,
    상기 편집 시스템 서버로부터 편집 처리된 방송 정보,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스트리밍 데이터 형태로서 변환 처리하여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스트리밍 서버와,
    상기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정보 및 상기 편집 처리된 방송 정보를 저장하는 방송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부터 요구되고 상기 방송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 저장되는 방송 정보 제공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로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참조로 해당 시점에서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 결과를 통해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가입된 소정 공중망 교환기로 요구하며, 상기 요구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스트리밍 편집 시스템 서버 및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웹서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캐스팅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상기 이동 스튜디오로부터 변경된 촬영 스케쥴의 송출이 이루어지면, 변경된 스케쥴을 별도로 로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참조로 해당 시점에서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 여부를 결정, 상기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상기 공중망 교환기로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캐스팅 서버.
  20. 공중망 가입자 회선 상으로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이동식 스튜디오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상으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웹캐스팅 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미리 계획된 촬영 스케쥴을 로딩하여 분석하는 제1과정과,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참조로 해당 시점에서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결과를 통해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과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공중망 가입자 회선이 가입된 소정 공중망 교환기로 요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요구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터넷 접속 포트를 통해 송출되는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인터넷 상에서 접속한 시청자 컴퓨터 단말로 실시간 전송 처리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 웹캐스팅 서버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스튜디오로부터 변경된 촬영 스케쥴의 송출이 이루어지면, 상기 변경된 스케쥴을 별도로 로딩하여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참조로 해당 시점에서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 여부를 결정, 상기 결정 결과에 따른 상기 공중망 가입자 회선의 스위칭 및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포트의 생성을 상기 공중망 교환기로 요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방송 시스템 웹캐스팅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000046823A 2000-08-12 2000-08-12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132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823A KR20020013239A (ko) 2000-08-12 2000-08-12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823A KR20020013239A (ko) 2000-08-12 2000-08-12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239A true KR20020013239A (ko) 2002-02-20

Family

ID=19683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823A KR20020013239A (ko) 2000-08-12 2000-08-12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32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246B2 (en) Method of providing an IPTV service
US9661209B2 (en) Remote controlled studio camera system
CN102469295B (zh) 会议控制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US20030122924A1 (en) Remote server switching of video streams
EP1909458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adaptive broadcast signal and method thereof
CN110324580B (zh) 一种基于视联网的监控视频播放方法及装置
KR101647938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기종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미디어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2752115B (zh) 直播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介质
CA2827505A1 (en) Cloud based location shifting service
CN109660816B (zh) 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20080086262A (ko) 디지털 콘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CN113194278A (zh) 一种会议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A2674203C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ignal delivery
CN107547517B (zh) 音视频节目录制方法和网络设备及计算机装置
JPH09186970A (ja) ビデオデータ記憶装置
CN110149305B (zh) 一种基于视联网的多方播放音视频的方法和中转服务器
KR20010073814A (ko) 공연 실황을 중계하는 인터넷 방송 방법 및 그 장치
CN110392275B (zh) 一种文稿演示的共享方法、装置及视联网软终端
CN109120881B (zh) 一种多方会议控制方法、系统及终端
KR20020013239A (ko) 이동식 스튜디오 방식 인터넷 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719435B (zh) 一种进行终端会议的方法和系统
CN113315940A (zh) 一种视频通话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07141241A1 (en) Method for sharing control and device as well as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KR20030013012A (ko) 인터넷 생방송용 무인 리모트모듈 및 그 원격제어장치
KR100729628B1 (ko) 통합 홈게이트웨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