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615A -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615A
KR20020011615A KR1020000045015A KR20000045015A KR20020011615A KR 20020011615 A KR20020011615 A KR 20020011615A KR 1020000045015 A KR1020000045015 A KR 1020000045015A KR 20000045015 A KR20000045015 A KR 20000045015A KR 20020011615 A KR20020011615 A KR 2002001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or
unit
display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398B1 (ko
Inventor
강병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2000-0045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3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과정보와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게임컬러 프로파일 및 인터넷정보를 기초로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이를 기초로 변형된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전자총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시각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A DISPLAY CONVERSION APPARATUS OF AUTOMATICAL ADJUSTMENT TYPE FOR PREVENTING EYE STRAIN}
본 발명은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안과정보와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게임컬러 프로파일 및 인터넷정보를 기초로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전자총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사람의 시각의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에 진입하는 현재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 처리하여야 하는 정보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정보의 인지를 오감각 중 대부분 청각과 시각에 의존하고 있으며, 또한 그 중 절대적 영역을 시각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컴퓨터의 사용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인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은 시각과 주로 관련된 질병으로서, 이는 안과 관련 증상, 근골격계 증상, 신경계 증상을 총괄하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VDT증후군 환자가 약 23만명에 이르고 있으며 그 치료비로 매년 8억 달러 정도가 소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조사에 의하면 컴퓨터 사용자의 약 19.9%가 장시간 컴퓨터 사용에 있어 안구피로, 가려움, 충혈 등 안과적 문제를 호소하고 있으며 이는 VDT증후군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안과적 VDT 증후군을 치료하려는 시도는 의학, 인간공학, 산업공학 등에서 다양한 양태로 나타나고 있으나, 약물주입, 특수안경 개발, 의학상담 등에 그치고 있고, 고가 의료장비를 구입하거나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는 등 현실적으로 광범위하게 일반화 시키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이러한 VDT증후군을 근복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비에 제공될 내용(컨텐트)과 함수관계에 있는 안구피로의 역동적 신체현상을 컬러 과학적, 통계학적, 컴퓨터 과학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에 적용해야만 하지만, 현재 이러한 시도는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운영체제, 게임, 인터넷 정보를 이용시 사용자 시각자극을 최소화하여 작업생산성 향상, 건강증진 및 의료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는 사용자의 안과관련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환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기초로 독립적인 운영체제 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변환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게임컬러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게임 주요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게임컬러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게임변환부와, 웹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질 인터넷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안과정보와 디스플레이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한 후 상기 안구피로도를 이용하여 인터넷정보를 역변환하는 인터넷변환부와, 상기 운영체제 변환부, 게임변환부 및 인터넷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자총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안과적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흑색레벨, 외부조명종류 및 외부조명밝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입력부와, 사용자의 안과적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진화일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영체제 변환부는 운영체제 레지스트리와 운영체체 디스플레이 프로파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운영체제의 객체의 컬러와는 독립적인 관찰자 시각의 컬러를 분석하여 휘도, 채도 및 색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휘도, 채도 및 색상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객체간 컬러대비도, 명도폭 및 색상혼잡도를 계산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하는 안구피로도 분석부와, 상기 안구피로도 분석부에서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과 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적색 전자총 감마함수, 녹색 전자총 감마함수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와 상기 전자총에 최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내는 백색조건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의 프로파일을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게임변환부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과 게임컬러 프로파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컬러와는 독립적인 관찰자 시각의 컬러를 분석하여 휘도, 채도 및 색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휘도, 채도 및 색상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게임내 객체간 컬러대비도, 명도폭 및 색상혼잡도를 계산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하는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와, 상기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에서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과 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적색 전자총 감마함수, 녹색 전자총 감마함수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와 상기 전자총에 최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내는 백색조건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의 프로파일을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로 구성된다.
상기 인터넷변환부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넷정보로부터 운영체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인터넷정보로부터 다시 백그라운드정보, 문자정보, 이미지정보 및 프레임정보를 추출하여 백그라운드 컬러, 백그라운드 대비도, 문자컬러크기, 밀집도, 이미지컬러정보, 보색정보, 각 객체의 위치 및 전환속도등을 분류하고 계산하는 인터넷정보 추출부와, 상기 인터넷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안구피도로 및 상기 안구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변수를 산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와,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를 상기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변수에 의해 역변환하여 다시 웹브라우저에 상기 역변환된 인터넷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인터넷정보 역변환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는 운영체제, 게임, 인터넷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일반적인 운영체제, 게임 또는 인터넷접속시 화면을 변화하여 안구피로도를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용 화면변환장치의 운영체제 변환부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용 화면변환장치에서의 운영체제 안구피로분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게임변환부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에서의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인터넷변환부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인터넷 정보추출부의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의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의 인터넷정보 역변환부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사용자 인터페이스부 7:운영체제 변환부
9:게임변환부 13:인터넷변환부
18:전자총 전압제어부 19:디스플레이
31:사용자 안과관련 정보입력부 33:디스플레이 환경관련 정보입력부
43:운영체제 안구피로도 분석부 45:운영체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
53: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 55:게임컬러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
61:인터넷정보 추출부 63:인터넷안구피로도 분석부
65:인터넷정보 역변환부
본 발명은 안구피로를 사전에 예방키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제공될 운영체제나 게임의 바탕컬러, 윈도우컬러, 아이콘컬러나, 정지영상컬러, 동영상컬러를 사용자 시력 상태와 주변광 환경을 감안 안구 피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정보로 변환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의 변형을 통해 디스플레이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을 통한 웹서버로의 접속시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해 제공되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문서를 사전에 획득 받아 사용자 개인별 특성 (연령, 성별, 시력, 병력 등)을 기반으로 인간의 안구피로도를 최소화시키도록 HTML 문서상의 이미지 및 문자 컬러, 프레임, 동영상 회전주기 등을 자동적으로 보정한다. 정확한 안구피로도 계산을 위해 관찰자를 대상으로 한 과학적이며 다양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실험에서는 관찰자가 직접 운영체제, 게임, HTML문서의 다양한 패턴, 컬러 샘플, 문자 밀집도(Text Density) 및 회전주기 등을 대상으로 안구피로도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안구피로도 계산을 위한 지식기반 시스템은 이러한 실험결과에 기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떠한 사용자가 본 발명을 사용하던지 그 안구피로도 계산에 있어 예측 정확성을 제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는 사용자가 개인 안과관련정보(연령, 시력, 안과적 병력 등) 및 디스플레이 환경정보 (디스플레이 종류, 디스플레이 흑색레벨, 외부 조명종류, 외부조명밝기 등)를 입력하며 이를 운영체제 변환부(7), 게임변환부(9), 인터넷변환부(13)로 전달함과 동시에, 추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이진파일(Binary File) 형태로 사용자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1)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와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전반을 사용자 안구피로를 최소화하도록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변형시켜 디스플레이의 화면전체 컬러를 수정하는 운영체제 변환부(7)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와 기 분석되어 저장된 게임컬러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게임의 전체컬러나 게임내의 특정 물체의 컬러를 변형시켜 사용자의 안구피로를 최소화하는 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게임이 사용자에게제공되는 화면전체의 컬러를 변형시키는 게임변환부(9)와, 컬러 디스플레이에서 인터넷 익스플로어(InterNet Explorer)나 넷스케이프(NetScape) 등과 같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질 텍스트, 이미지, 아이콘, 프레임 등의 인터넷정보를 주기억장치에서 획득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정보와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정보를 기초로 해당 인터넷정보를 보는 시각피로도를 인공지능기법으로 계산하고 안구피로를 감소시키는 변수를 도출하며 최종적으로 최초 입력받은 인터넷 정보를 피로도 개선 변수를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다시 웹브라우저에 안구피로를 최소화하는 인터넷 정보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역변환하는 인터넷변환부(13)와, 상기 운영체제 변환부(7)와 게임변환부(9) 및 인터넷변환부(13)로부터 입력되는 변형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15) 및 웹브라우저(17)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9)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안구피로를 예방하도록 디스플레이의 표시화면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18)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31)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환경 관련정보 입력부(33)와,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35)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31)는 사용자의 안과적 정보를 입력하여 입력된 정보를 운영체제 변환부(7), 게임변환부(9) 및 인터넷변환부(13)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연령(정수치), 사용자 시력(부동 소수점치), 사용자 안과적 병력(정수치로서 예를 들면, 안건조증:0, 당뇨병:1, 노안:2, 결막성 질환:3, 신경적 질환:4, 약시:5, 기타질환:6 등)을 입력받아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35)에 이진파일(Binary File)의 형태로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환경관련정보 입력부(33)는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정보, 즉 디스플레이의 종류(예를 들면, CRT모니터, LCD패널, 혹은 기타 디스플레이 등), 디스플레이의 밝기 및 디스플레이의 무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흑색레벨, 외부 조명종류 (자연광, 텅스텐광, 삼파장, 형광 등), 외부조명밝기 등의 정보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입력받아 전달하거나 이진파일형태로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35)에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35)는 현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를 추후 재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진파일의 형태로 하드디스크 등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수단이다.
운영체제 변환부(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 레지스트리(41) 정보가 입력되어 운영체제의 안구피로도를 분석하는 운영체제 안구피로도 분석부(43)와 운영체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45)로 구성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여 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 안구피로도 분석부(43)에서는 첫째 운영체제에서 표시되는 각 객체가 현재 사용자가 보고 있는 디스플레이의 컬러 재현 특성과는 무관하게 사용자의 시각에 어떤 컬러로 보여지는지를 계산한다. 다시 말해서, 컬러디스플레이에서 사용하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의 색체계에서는 같은 값이라도 디스플레이의 모델별, 제품별로 실제 사용자들에게 보여지는 시각적 자극은 서로 다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디스플레이의 컬러체계와는 독립적인 색체계로 전환시켜야 한다. 따라서, 운영체제 안구피로도 분석부(43)에서는 운영체제 객체컬러를 디스플레이와는 독립적인 컬러좌표로 변환한다(S101). 이를 위해서, 각 객체 색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영체제 레지스트리로 입력받은 정보와 디스플레이의 컬러재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운영체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로부터 입력받은 두 가지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체제의 객체 즉, 삼차원 객체, 도구설명, 메뉴, 메시지 상자, 바탕화면, 비활성 제목표시줄, 비활성 창틀, 색상표제목, 선택한 항목, 스크롤 막대, 아이콘, 창, 켑션단추, 활성제목 표시줄, 활성창틀 등의 컬러가 장비의 컬러재현특성과는 독립적인 실제 관찰자의 시각에 보여지는 컬러를 분석한다.
이러한 컬러분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레지스트리에 저장되어 있는 객체들의 컬러의 적색, 녹색, 청색의 색정보를 다음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컬러체계와는 독립적인 CIE(Commission de l’Cleriage) XYZ 컬러좌표로 변환한다.
여기서, Tr, Tg, Tb는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며, 이때, Dr=R/255, Dg=G/255,Db=B/255이다.
상기한 수학식 1에서 xr, yr, zr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 전자총에 255, 녹색 전자총에 0, 청색 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의 측정값 (chromaticity)이고 xg, yg, zg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255, 청색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 측정값이며, xb, yb, zb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0, 청색전자총에 255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 컬러측정값이다. 또한 c1r, c2r, c1g, c2g, c1b, c2b는 해당되는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에 적용되는 최적계수 (Optimization Coefficients)이다.
이어서, 상기 산출된 좌표를 기초로 휘도(L * ), 채도(C * ) 및 색상(h)을 다음의 수학식 3과 같이 산출한다.
여기서,이고이다. 또한, Xn, Yn및 Zn은 백색 샘플의 기준 측정값이다.
이러한 각종 값들은 모두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로부터 그 정보를 입력받는다.
운영체제 안구피로도 분석부(43)에서는 상기에서 도출된 변수값들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객체간 컬러대비도, 운영체제 객체간 명도폭 계산 및 운영체제 객체간 색상혼잡도를 계산한다(S102,S103,S104). 운영체제 객체간 컬러대비도 계산은 각 객체간의 채도차이를 계산하며, 운영체제 객체간 명도폭 계산은 객체중 최대의 명도값과 최소의 명도값의 차이를 계산한다. 운영체제 객체간 색상혼잡도 계산은 색상간의 분산도를 계산하게 된다.
상기 3개의 계산에 의해 도출된 값을 기반으로 운영체제 안구피로도 지식기반시스템(Knowledge Base System)으로 컬러전환 및 안구피로도 표현을 통해 각 객체가 전환해야 할 컬러를 추론하게 된다(S105). 상기 안구피로도 지식기반 시스템은 if-then-else 규칙을 이용, 관찰자를 이용한 실험에 의하여 구축된다. 이 지식기반 시스템은 입력된 3개의 변수와 피로도를 감소시키는 운영체제 객체 컬러와 조합이 어떻게 매핑되는가를 인공지능적으로 추론할 수 있도록 하며 사전에 관찰자 실험을 통해 구축하여 놓는다.
또한, 이 단계에서 현재의 운영시스템이 얼마나 사용자의 안구를 피로하게 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를 운영체제 하단에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결과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가해지는 전압이 조정될 수 있도록 운영체제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를 계산하며(S106), 운영체제 최적백색 조건이 다시 계산된다(S107). 이 네가지 정보는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가 어떤 컬러로 보여지는가를 결정하는 변수들이며,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에 저장되는 필요충분 정보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감마함수란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청색 전자총에 가해지는 전압과 그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 (Luminance)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함수이며, 백색조건이란 상기 전자총에 최대한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두 단계의 계산과정(S106,S107)을 거친 4개 주요 정보들은 최종적으로 운영체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45)를 통해 운영체제에서 규정한 문법 (Syntax)에 의하여 새로운 디스플레이 프로파일로 저장된다. 또한 이 변형된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통해 전체 디스플레이의 컬러가 운영체제 사용자의 안구 피로도를 최소화 하도록 전환되게 된다.
전압제어부(18)에서는 운영체제 변환부(7)에서 변환된 변형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기초로, 운영체제와 디스플레이 장비간의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변형시켜 최종적으로 각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한다. 이때,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은 디스플레이 장비의 시스템 드라이버내의 표준화된 기능인 GammaRamp함수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상기 GammaRamp함수는 비디오 룩엎 테이불 (Video Look Up Table), DAC의 비트수, CRT의 Gain, Offset의 수치를 매개변수로 하여 작동된다.
각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의 제어는 게임변환부(9)나 인터넷변환부(13)에서 변환된 변형프로파일 의한 경우도 운영체제와 디스플레이 장비간의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변형시켜 최종적으로 각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실행된다.
게임변환부(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53)와 게임컬러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55)로 구성된 것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그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53)는 게임의 각 객체의 컬러(예를 들면, 게임내의 물체, 주인공, 배경 등)가 디스플레이의 컬러 재현특성과는 독립적으로 사용자 시각에 어떤 컬러로 보여지는지를 계산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비에서 규정하는 적, 녹, 청의 색체계에서는 같은 값이라도 모델별, 제품별로 사용자들에게 보여지는 컬러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종속되는 컬러체계와는 다른 독립적인 컬러좌표로 변환하여야 한다(S201). 이를 위해 게임객체컬러 디스플레이에 독립적인 컬러좌표로의 변환은 각 게임컬러가 사전적으로 분석, 저장되어 있는 게임컬러 프로파일정보(11)와 상기 디스플레이 프로파일(5)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게임 주요객체 컬러가 실제로 관찰자의 시각에 보여지는 컬러를 분석한다.
게임컬러 프로파일(11)은 게임내의 각 객체의 컬러를 미리 분석하여 어떤 컬러가 많이 포함되어 있는가 또는 구성컬러의 컬러공간내 기하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여 이진파일형태로 저장해 놓은 파일이다.
상기 게임 객체 컬러 장비 독립적 컬러 좌표로 변환의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게임컬러 프로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게임객체의 컬러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체계를 다음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장비의 색체계와 독립적(Device Independent)인 CIE (Commission de l’Cleriage) XYZ좌표로 변환하고 이를 휘도(L * ), 채도(C * ) 및 색상(h) 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Tr, Tg, Tb는 수학식 5에 의해 산출되며, 이때, Dr=R/255, Dg=G/255,Db=B/255이다.
상기한 수학식 1에서 xr, yr, zr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 전자총에 255, 녹색 전자총에 0, 청색 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의 측정값 (chromaticity)이고 xg, yg, zg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255, 청색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 측정값이며, xb, yb, zb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0, 청색전자총에 255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 컬러측정값이다. 또한 c1r, c2r, c1g, c2g, c1b, c2b는 해당되는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에 적용되는 최적계수 (Optimization Coefficients)이다.
이어서, 상기 산출된 좌표를 기초로 휘도(L * ), 채도(C * ) 및 색상(h)을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산출한다.
여기서,이고이다. 또한, Xn, Yn및 Zn은 백색 샘플의 기준 측정값이다.
상기 단계에서 도출된 변수값 들을 이용, 게임내 객체간 컬러 대비도, 게임내 객체간 명도폭 및 게임내 객체간 색상 혼잡도를 계산한다(S202,S203,S204). 게임 객체간 컬러 대비도 계산은 게임내 각 객체간의 채도차이를 계산하며, 게임 객체간 명도폭 계산은 게임객체중 최대의 명도치와 최소의 명도치의 차이를 계산한다. 또한, 게임 객체간 색상 혼잡도 계산은 게임내 객체간 색상 분산도를 계산하게 된다. 이 과정이 도 3에 도시된 운영체제 객체간 컬러 대비도 계산, 운영체제 객체간 명도 폭 계산 및 운영체제 객체간 색상 혼잡도 계산과 다른 점은 게임에서 제시되는 컬러는 운영체제 보다 복잡하며, 일반적으로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강렬한 시각자극을 주기 때문에, 이를 완화 시켜 주기 위하여 운영체제에 비하여 보정요소 (Scaling Factor)가 더 첨가되어야 한다.
상기 3개의 계산에 의해 도출된 값을 기초로 게임 안구피로도 지식기반 시스템으로 컬러전환 및 안구피로도 표현을 통해 각 게임객체가 안구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환해야 할 컬러를 추론하게 된다. 상기 안구피로도 지식기반 시스템은 if-then-else 규칙을 이용, 관찰자를 이용한 실험에 의하여 구축된다. 이 지식기반 시스템은 입력된 3개의 변수와 안구피로가 가장 최소화된 이상적인 컬러조합이 어떻게 매핑되어야 하는가를 인공지능적으로 추론, 연결되게 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현재 표시되는 게임이 얼마나 사용자의 안구를 피로하게 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를 게임 하단에 숫자로 표시하게 된다. 다음 단계에서 상기 단계에서 계산된 결과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가해지는 전압이 조정할 수 있도록 운영체제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 감마 함수와 게임 최적백색 조건이 다시 계산된다(S206,S207). 이 네 가지 정보는 디스플레이에서 게임객체가 어떤 컬러로 보여지는가를 결정하는 변수들이며,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에 저장되는 필요충분 정보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감마함수란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에 가해지는 전압과 그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와의 관계를 규정하는 함수이며, 백색조건이란 상기 전자총에 최대한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두 단계의 계산과정을 거친 4개 주요 정보들(게임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 게임 최적백색조건)은 최종적으로 게임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55)를 통해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변형하게 된다. 또한 이 변형된 프로파일을 통해서 전체 디스플레이의 컬러가 사용자의 게임 안구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전환된다.
인터넷 변환부(13)는 컬러 디스플레이에서 인터넷 익스플로어나 넷스케이프 등과 같은 상용 웹 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모든 정보를 미리 운영체제로부터 추출하여 다른 주기억장치 영역으로 할당하고, 이를 다시 백 그라운드(Background) 정보, 문자(Text)정보, 이미지정보, 프레임(Frame)정보를 추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백그라운의 컬러, 백그라운드 대비도(백그라운드 정보), 문자컬러, 크기, 밀집도 (문자정보), 이미지컬러 CIEL * a * b * 정보 및 보색정보(이미지정보), 각 객체의 위치 및 전환속도(프레임정보)로 분류 및 계산하는 인터넷 정보추출부(61), 상기 인터넷추출부(61)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화면의 정보 및 사용자 개인별 정보(연령, 성별, 시력, 병력)를 기반으로 인간 시각피로도를 인공지능기법으로 계산하여 안구피로를 감소시키는 변수를 도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63), 최초 입력된 인터넷 정보를 피로도 개선변수를 이용, 조정하여 다시 웹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역변환하는 정보 역변환부(65)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정보 추출부(61)는 운영체제 내부정보 추출부(71), 주기억장치 할당부(73), 문법부(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영체제 내부정보 추출부(71)는 원격지의 서버가 제공한 인터넷 HTML 문서가 컴퓨터 주기억장치에 로딩(Loading) 되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웹 브라우저 (Web Browser) 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기 직전 문서의 모든 내용을 윈도우(Windows)나 리눅스(Linux) 등과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s)에서 추출(Hooking)하는 수단이다. 상기 주기억장치 할당부(73)는 운영체제 정보추출부(71)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원활한 정보처리 및 주기억장치(Main Memory)의 여타 정보들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주기억장치의 다른 번지(Address)에 포인터(Pointer)를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문법분석부(80)는 인터넷 HTML문서 문법규칙에 의거하여 주기억장치 할당부(73)에 할당된 정보를 분석하는 수단으로서, 백그라운드 정보추출부(81), 이미지정보 추출부(82), 문자정보 추출부(83), 프레임정보 추출부(84)로 구성된다. 백그라운정보 추출부(81)는 HTML문서에서 백그라운컬러, 백그라운드컬러 대비도를 추출하여 이를 안구피로도 분석부(63)에 전달한다. 이중 백그라운드컬러는 인터넷 HTML문서의 예약어(Reserved Word)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출이 가능하나 백그라운드컬러 대비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백그라운드 컬러가 여러가지 컬러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인터넷 백 그라운 컬러의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좌표계를 다음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컬러좌표계와 독립적인 CIE XYZ좌표로 변환하고 이를 다시 휘도(L * ), 채도(C * ), 색상 (h) 정보로 변환시킨다. 이 계산의 목적은 인터넷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따라 다른 컬러로 사용자들에게 보여지는 것을 예방하여, 사용자들에게 실제로 보여지는 컬러좌표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운영체제 변환부와 게임변환부에서 사용하던 방법과 유사하다.
여기서, Tr, Tg, Tb는 수학식 8에 의해 산출되며, 이때, Dr=R/255, Dg=G/255, Db=B/255이다.
상기한 수학식 1에서 xr, yr, zr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 전자총에 255, 녹색 전자총에 0, 청색 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의 측정값 (chromaticity)이고 xg, yg, zg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255, 청색전자총에 0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컬러 측정값이며, xb, yb, zb는 디스플레이에서 적색전자총에 0, 녹색전자총에 0, 청색전자총에 255의 신호가 주어졌을 때 컬러측정값이다. 또한 c1r, c2r, c1g, c2g, c1b, c2b는 해당되는 적색 전자총, 녹색 전자총 및 청색 전자총에 적용되는 최적계수 (Optimization Coefficients)이다.
이어서, 상기 산출된 좌표를 기초로 휘도(L * ), 채도(C * ) 및 색상(h)을 다음의수학식 9과 같이 산출한다.
여기서,이고이다. 또한, Xn, Yn및 Zn은 백색 샘플의 기준 측정값이다. 이렇게 도출된 두 개의 백그라운드컬러의 기하학적 거리, 즉가 컬러 대비도로 계산된다.
이미지정보 추출부(82)는 HTML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갯수, 이미지컬러, 이미지 전환도를 추출하여 이를 안구피로도 분석부(63)에 전달한다. 이중 이미지 갯수는 파일 확장자를 이용 JPEG, GIF, 쟈바스크립트 파일의 수가 얼마인가를 계산한다. 이미지컬러는 이미지파일의 첫번째 10개 화소(Pixel)의 컬러, 즉 적색과 녹색 및 청색값을 추출하여 계산한다. 이미지전환도는 HTML문서에서 배너광고(Banner Advertisement) 등에 흔히 이용되는데, 쟈바스크립트 예약어(Reserved Word)에 의해 1분당 몇번의 이미지가 전환되는지를 계산된다.
문자정보 추출부(83)는 인터넷 HTML문서에 포함된 문자수, 문자컬러, 문자 밀집도를 추출하여 이를 안구피로도 분석부(63)에 전달한다. 이중 문자수는 주기억장치에 추출한 정보중 문자수가 얼마인가를 계산한다. 문자컬러는 인터넷HTML 예약어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문자밀집도는 전체 문자의 수를 HTML문서의 크기로 나누어서, 문자가 정해진 영역에서 얼마나 밀집했는가를 계산한다.
프레임정보 추출부(84)는 인터넷HTML문서의 이미지와 문자가 프레임상 위치하고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63)에 전달한다. 이미지위치정보는 문서상에 존재하는 이미지들의 가로위치정보와 세로위치정보를, 문자열위치정보는 문서상에 존재하는 각각의 문자열의 가로위치정보와 세로위치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계산에 의해 도출된 10개의 정보, 즉 백그라운드컬러, 백그라운드컬러 대비도, 이미지수, 이미지컬러, 이미지전환도, 문자크기, 문자색, 문자밀집도, 이미지위치, 문자열위치 등을 기반으로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63)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넷 문서를 보는 도중 느끼는 안구의 피로도와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변수를 도출하게 된다. 이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안과관련정보를 기반으로 지식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계산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63)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91), 인터넷 안구피로도 표현부(93), 인터넷 안구피로도분석 지식기반시스템(94)로 구성되어 있다.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91)는 상기 인터넷정보 추출부(61)로부터 입력되는 4종류 10가지의 정보(백그라운드정보:백그라운드컬러, 백그라운드 컬러대비도; 이미지정보: 이미지의 개수, 이미지컬러, 이미지전환도; 문자정보: 문자크기, 문자색, 문자밀집도; 프레임정보:이미지위치, 문자열위치)를 이용하여 안구피로도를 계산하고 전체적인 인터넷 정보를 구별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얼마나 그 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를 계산한다. 예를 들어, 전체적인 명도를 낮추어서 안구피로도를 감소시키는 경우, 과도하게 명도범위를 낮추면 기존의 어두운 색의 객체들은 변환후 보이지 않게 되고, 피로도는 감소하였으나 정보의 유용성은 크게 저하된다.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방법은 10개의 입력변수를 각각을 지수함수로 계산, 계산결과치에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계산한다.
이러한 계산은 수학식 10에 의해 수행된다.
여기에서, xn은 10개의 입력변수를 나타내고 x0는 해당 입력변수가 인간시각을 자극하는 정규분포중 평균값을 나타내며, σ는 그 분산도를 나타내고 λ는 그 자극이 10개 자극중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가중치를 의미한다.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91)에서 계산된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목표감소지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표현부(93)에 의해 사용자들에게 현재 주시하고 있는 인터넷정보가 얼마나 자신의 안구를 피로하게 하는지 보여준다. 또한,이러한 안구피로도는 다음 단계의 배너광고 제거부로 전달된다.
또한,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91)에서 계산된 안구피로도는 인터넷 안구피로도분석 지식기반시스템(94)으로 입력되어 인터넷 HTML정보의 각 객체 (Object)의 컬러 등과 같은 속성이 얼마나 변동해야 적절히 안구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추론하게 되며, 현재 객체들이 가지고 있는 속성과의 차이값을 도출하게 된다. 이러한 객체당 차이값의 도출을 위하여 관찰자를 이용하여 구축된 if-then-else의 형태로 된 지식기반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이 지식기반 시스템은 현재상태의 인터넷 정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으면서 최대한 각 객체의 안구자극을 감소시키는 변수를 추론하게 된다.
인터넷정보 역변환부(65)는 백그라운드 변환부(101), 이미지정보 변환부(102), 문자정보 변환부(103), 프레임정보 변환부(104), 배너광고 제거부(105)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에 의해 도출된 해당 객체의 차이값을 각 인터넷 HTML객체, 즉 백그라운드, 이미지, 문자, 프레임에 적용시켜 웹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여지게 한다. 또한, 배너광고 제거부(105)는 인터넷문서상에 첨부에 있는 각종 베너광고들이 안구피로도에 사전에 정해놓은 임계치 이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그 광고를 인터넷 HTML 문서에서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응형 화면변환장치는 운영체제, 게임, 인터넷 정보를 이용시 사용자 시각자극을 최소화하여 작업생산성 향상, 건강증진및 의료비용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이 빈번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안과적 VDT증후군을 사전 예방하여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사용자의 안과관련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환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기초로 독립적인 운영체제 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변환부; 및
    상기 안구피로도 및 컬러변환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자총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로 구성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안과적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흑색레벨, 외부조명종류 및 외부조명밝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입력부; 및
    사용자의 안과적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진화일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 변환부는,
    운영체제 레지스트리와 운영체체 디스플레이 프로파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운영체제의 객체의 컬러와는 독립적인 관찰자 시각의 컬러를 분석하여 휘도, 채도 및 색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휘도, 채도 및 색상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객체간 컬러대비도, 명도폭 및 색상혼잡도를 계산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하는 안구피로도 분석부; 및
    상기 안구피로도 분석부에서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과 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적색 전자총 감마함수, 녹색 전자총 감마함수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와 상기 전자총에 최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내는 백색조건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의 프로파일을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사용자의 안과관련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환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게임컬러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게임 주요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게임컬러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게임변환부; 및
    상기 안구피로도 및 컬러변환값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자총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로 구성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안과적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흑색레벨, 외부조명종류 및 외부조명밝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입력부; 및
    사용자의 안과적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진화일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변환부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과 게임컬러 프로파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컬러와는 독립적인 관찰자 시각의 컬러를 분석하여 휘도, 채도 및 색상을 분석하고 분석된 휘도, 채도 및 색상의 변수값을 이용하여 게임내 객체간 컬러대비도, 명도폭 및 색상혼잡도를 계산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하는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 및
    상기 게임컬러 안구피로도 분석부에서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적색, 녹색 및 청색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압과 이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적색 전자총 감마함수, 녹색 전자총 감마함수 및 청색 전자총 감마함수와 상기 전자총에 최대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의 휘도 및 색온도를 나타내는 백색조건을 산출하여 디스플레이의 프로파일을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 변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사용자의 안과관련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환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웹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질 인터넷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안과정보와 디스플레이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한 후 상기 안구피로도를 이용하여 인터넷정보를 역변환하는 인터넷변환부; 및
    상기 인터넷변환부에 의해 역변환되는 인터넷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자총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로 구성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의 안과적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안과관련정보 입력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현재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 디스플레이의 흑색레벨, 외부조명종류 및 외부조명밝기 등의 정보를 입력하는 디스플레이정보 입력부; 및
    사용자의 안과적정보 및 디스플레이 정보를 이진화일로 저장하는 저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변환부는,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넷정보로부터 운영체제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인터넷정보로부터 다시 백그라운드정보, 문자정보, 이미지정보 및 프레임정보를 추출하여 백그라운드 컬러, 백그라운드 대비도, 문자컬러크기, 밀집도, 이미지컬러정보, 보색정보, 각 객체의 위치 및 전환속도등을 분류하고 계산하는 인터넷정보 추출부;
    상기 인터넷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안구피도로 및 상기 안구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변수를 산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 및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를 상기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에 의해 산출된 안구피로도를 감소시키는 변수에 의해 역변환하여 다시 웹브라우저에 상기 역변환된 인터넷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인터넷정보 역변환부로 구성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정보 추출부는,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서 제공되어 웹브라우저를 통해 표시되는 HTML문서의 정보를 웹브라우저에 의해 표시되기 직전에 운용체제로부터 추출하는 운영체제 내부정보 추출부;
    상기 운영체제 내부정보 추출부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주기억장치의 다른 번지에 이동시켜 정보를 원활하게 처리하고 주기억장치에서 다른 정보와 충돌을 방지하는 주기억장치 할당부; 및
    인터넷 HTML문서 문법에 기초하여 주기억장치 할당부에 할당된 정보를 분석하는 문법분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석분석부는,
    HTML문서로부터 백그라운드컬러 및 백그라운드 컬러대비도를 추출하여 안구피로도 분석부로 전달하는 백그라운드정보 추출부;
    HTML문서에 포함된 이미지 개수, 이미지컬러, 이미지전환도를 추출하여 안구피로도 분석부로 전달하는 이미지정보 추출부;
    HTML문서에 포함된 문자의 수, 문자컬러, 문자밀집도를 추출하여 안구피로도분석부에 전달하는 문자정보 추출부; 및
    HTML문서의 이미지와 무서가 프레임상에 위치하고 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안구피로도 분석부로 전달하는 프레임정보 추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부는,
    인터넷정보 추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안구피로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안구피로도의 감소정도를 산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
    현재 표시되고 있는 인터넷정보가 안구를 얼마나 피로하게 하는지를 표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표현부; 및
    상기 인터넷 안구피로도 및 감소지수 계산부로부터 입력되는 HTML정보의 각객체의 속성이 얼마나 변동해야 안구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추론하여 현재 객체들이 갖고 있는 속성과의 차이값을 도출하는 인터넷 안구피로도 분석 지식기반시스템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정보 역변환부는,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의 백그라운드를 안구피도로 감소변수에 의해 변환시키는 백그라운드 변환부;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의 이미지정보를 안구피도로 감소변수에 의해 변환시키는 이미지정보 변환부;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의 문자정보를 안구피도로 감소변수에 의해 변환시키는 문자정보 변환부;
    최초 입력된 인터넷정보의 프레임정보를 안구피도로 감소변수에 의해 변환시키는 프레임정보 변환부; 및
    인터넷문자상에 첨부되는 배너광고가 사전에 설정된 안구피로도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광고를 제거하는 배너광고 제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사용자의 안과관련정보 및 디스플레이의 환경정보가 입력되고 입력된 정보를 사용자 프로파일로 저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는 디스플레이 프로파일을 기초로 독립적인 운영체제 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운영체제변환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된 정보와 게임컬러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게임 주요객체의 컬러를 분석하여 안구피로도를 검출한 후 게임컬러 프로파일을 변형하여 컬러변환값을 산출하는 게임변환부;
    웹브라우저를 통해 보여질 인터넷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안과정보와 디스플레이 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안구피로도를 산출한 후 상기 안구피로도를 이용하여 인터넷정보를 역변환하는 인터넷변환부; 및
    상기 운영체제 변환부, 게임변환부 및 인터넷변환부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의 전자총에 인가되는 전자총의 전압을 조정하는 전자총 전압제어부로 구성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KR10-2000-0045015A 2000-08-03 2000-08-03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KR10037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015A KR100372398B1 (ko) 2000-08-03 2000-08-03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015A KR100372398B1 (ko) 2000-08-03 2000-08-03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615A true KR20020011615A (ko) 2002-02-09
KR100372398B1 KR100372398B1 (ko) 2003-02-17

Family

ID=1968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15A KR100372398B1 (ko) 2000-08-03 2000-08-03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3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3067B2 (en) 2006-10-17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image
KR2016013001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콘텐트 화면 변경방법
CN109701272A (zh) * 2018-12-26 2019-05-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游戏画面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3655877A (zh) * 2020-05-12 2021-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调整方法和设备
KR102555739B1 (ko) * 2023-03-02 2023-07-14 (주)누리봄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에너지 절감 전자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573B1 (ko) 2014-10-24 2016-03-16 박형배 사용자 맞춤형 색상 결정 장치 및 방법, 조명기기 및 조명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3067B2 (en) 2006-10-17 2013-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bility of image
KR20160130015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콘텐트 화면 변경방법
US10561334B2 (en) 2015-04-30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of content thereof
US10791954B2 (en) 2015-04-30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creen of content thereof
CN109701272A (zh) * 2018-12-26 2019-05-0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游戏画面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701272B (zh) * 2018-12-26 2023-05-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游戏画面的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3655877A (zh) * 2020-05-12 2021-1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调整方法和设备
KR102555739B1 (ko) * 2023-03-02 2023-07-14 (주)누리봄 사용자의 시력보호 및 에너지 절감 전자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398B1 (ko) 200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398B2 (en) Evaluating and reducing myopiagenic effects of electronic displays
US7480405B2 (en) Methods for selecting high visual contrast colors in user-interface design
Jefferson et al. Accommodating color blind computer users
US7667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utilizing multi-blending
Snyder Image quality
KR100712644B1 (ko) 비주얼 컨텐츠를 터미널 사용자의 색각 특성에 적합하도록적응 변환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70301310A1 (en) Displays with Improved Color Accessibility
Zuffi et al. Human computer interaction: Legibility and contrast
Ichikawa et al. Preliminary study on color modification for still images to realize barrier-free color vision
Krantz Stimulus delivery on the Web: What can be presented when calibration isn’t possible
Thompson et al. Simulating visibility under reduced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KR100372398B1 (ko) 안구피로예방을 위한 적응형 화면변환장치
Näsänen et al. Effect of image contrast and sharpness on visual search for computer icons
Wu et al. The composition of visual texture design on surface for color vision deficiency (CVD)
Bodrogi Chromaticity contrast in visual search on the multi-colour user interface
Hemminger et al. Introduction to perceptual linearization of video display systems for medical image presentation
US11094093B2 (en) Color processing program, color processing method, color sense inspection system, output system, color vision correctio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color vision simulation image processing system
Lee et al. A quantitative measurement of LCD and PDP TVs for human visual preference and fatigue
Hwang et al. Positive and negative polarity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app
Naiman The use of grayscale for improved character presentation
Belaıd et al. Grey scale, the “crispening effect”, and perceptual linearization
JP2002268600A (ja) 階調表示方法、表示コントローラ、及び表示装置
US20230316596A1 (en) Spatially Aware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Perception of Supra-Threshold Visual Lightness Contrast with Adjustable Adapting Fiel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or Perceptually Uniform Calculation of Visual Contrast of Text and Non-Text Content, with Accommodation for Color Vision Deficiency.
Carter Gray-scale perceptions calculated: optimum display background luminance
Milton et al. Demonstrating correction of low levels of astigmatism with realistic sce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