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0319A -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319A
KR20020010319A KR1020000043975A KR20000043975A KR20020010319A KR 20020010319 A KR20020010319 A KR 20020010319A KR 1020000043975 A KR1020000043975 A KR 1020000043975A KR 20000043975 A KR20000043975 A KR 20000043975A KR 20020010319 A KR20020010319 A KR 20020010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mobile terminal
memory
display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영춘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2000004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319A/ko
Publication of KR2002001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호출자를 서로 다른 착신벨소리로써 구별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발신자번호표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기록저장 단계와; 상기 기록저장 단계에 의하여 선택된 전화번호가 착신되는 경우, 표시되는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벨소리 판단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착신벨 소리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선택 및 해당 영역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연계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공통의 착신벨 소리를 해당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공통벨 선정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및 이름을 휴대전화기가 계속 기록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기록저장 단계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판단 단계를 특징으로 하므로써, 특정한 발신자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지정된 착신벨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시각장애자도 발신자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A METHOD OF CLASSIFYING CALLER FOR PCP BY RINGING SIG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서 호출자(Calling Party)들을 서로 다른 착신벨소리로 구별하도록 하는 것으로써, 특히,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모든 전화번호의 호출자로부터 피호출 되었을 경우, 각각 다른 착신 벨소리로써, 상기 각 호출자의 호출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제어에 의하여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ystem)이 무선으로 호출자(Calling Party)의 고유번호 정보를 피호출자(Called Party)에게 제공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선택적(Option) 서비스를 발신자 번호표시(CNIP: Caller No. ID Presentation) 서비스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발신자 번호표시(CNIP) 서비스는 건전하지 못한 장난전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지만, 호출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므로써, 필요한 전화를 선별하여 수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BTS)으로부터 상기와 같은 CNIP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기능 선택(Option)에 의하여, CNIP 수신정보에 의한 호출자의 고유번호 또는 전화번호를 표시부에 일방적으로 모두 문자로 표시하거나, 또는 수신된 CNIP 정보가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호출자의 고유번호 또는 전화번호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표시부에 문자로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순히 하나의 공통 착신벨 소리로만 착신 또는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피호출 상태 확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피호출 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피호출 상태 표시방법의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은,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일반적인 유선단말기(10)와,
상기 유선단말기(10)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호출번호의 단말기와 연결되도록 경로(Path)를 스위칭(Switching)하는 공중통신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20)과,
상기 공중통신망(20)에 접속되고, 이동통신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모든 제어 및 스위칭 기능을 하는 이동통신 교환국(MSC)(30)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MSC)(30)에 접속되고, MSC(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무선신호로 송신함과 동시에, 무선으로 수신된 신호를 상기 MSC(30)에 전달하는 기지국(BTS)(40)과,
상기 기지국(40)과 무선으로 접속되어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송수신을 하는, 복수의 이동통신 휴대단말기(15,50)로 구성된다.
또한, 종래 기술로써, 휴대단말기의 피호출에 의한 착신신호 표시방법은, 기지국(BTS)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피호출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기록저장 단계(S1)와,
상기 기록저장 단계(S1)에서, 피호출 되었을 경우, 착신벨 신호를 발생하고, 휴대단말기의 LCD 표시부에 착신상태를 표시하는 벨소리 판단 단계(S2)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통화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S2)로 궤환(Feedback)하여 착신 상태를 계속 표시하게 하며,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는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연계 단계(S3)로 구성된다.
이하,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로써, 피호출된 상태의 표시방법을,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교환국(MSC)(30)과 기지국(BTS(40) 그리고, 다수의 휴대단말기(15,50)로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 상태로는, 이동통신 교환국(MSC)(30)의 제어를 받는, 다수의 휴대단말기(15,50)와 휴대단말기(15,50) 사이에서만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30)이 일반적인 공중통신망(PSTN)(20)과 접속되므로써, 상기 공중통신망(20)에 접속된 유선단말기(10)와 휴대단말기(15,50)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게 되고, 다른 서비스 사업자에 의한 이동통신 교환국(30) 등과도 접속된다.
일 예로서, 유선단말기(10) 또는 제1 휴대단말기(15)가 제2 휴대단말기(50)를 호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유선단말기(10)가 제2 휴대단말기(50)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유선단말기(10)에 의하여 다이얼링(Dialing)되는 상기 제2 휴대단말기(50)의 고유번호(ID)는, 공중통신망(20)에 인가되고, 상기 공중통신망(20)에 의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교환국(MSC)(30)에 전달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MSC)(30)은, 입력받은 고유번호 또는 전화번호를 분석 처리하여, 피호출된 제2 휴대단말기를 호출(Paging)하는 신호를 기지국(40)에 인가하고, 상기 기지국(40)은 해당 교환국(30)으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무선(RF)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상기 제2 휴대단말기(50)에 출력한다.
다른 일 예로서, 제1 휴대단말기(15)에서 제2 휴대단말기(50)를 호출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상기 제1 휴대단말기(15)로부터 제2 휴대단말기(50)를 호출(Calling) 하기 위하여 무선 출력되는 것으로, 상기 제2 휴대단말기(50)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 다이얼링 신호는, 기지국(40)에서 무선 수신하고, 이동통신 교환국(30)에 인가되며,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이동국(30)에서 처리된 페이징(Paging) 신호가 기지국(40)에 다시 인가되고, 무선신호로 변조되어 상기 피호출 되는 제2 휴대단말기(50)에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피호출 신호를 수신한 제2 휴대단말기(50)는, 모든 일 예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기록저장 단계(S1)에 의하여, 피호출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피호출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기록저장 단계(S1)를 반복 수행하도록 궤환(Feed-Back)하며, 피호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는, 착신벨 소리 신호를 발생하여 소리로써 피호출(Called) 되었음을 표시하고, 동시에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각 표시부에, 피호출(Called)된 착신상태를 빛(Light) 및 문자로써 표시한다(S2).
상기와 같이 피호출(Called) 되어 착신신호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피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는,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S2)로 궤환(Feedback)하여, 피호출 상태를 청각 및 시각으로 계속 표시하게 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 단계로 진행한다(S3).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착신벨 신호 표시 방법은, 피호출 되었음을 공통의 벨소리 하나를 이용하여, 단순하게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기만 하고, 호출자가 누구인지를 소리로써 구별 또는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이동통신 교환국(30)에서 발신자번호표시(CNIP) 정보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문자표시로써 발신자를 구별할 수는 있었으나, 서로 다른 착신 벨 소리로써 다수의 발신자(Calling Party)를 구별할 수 없고, 특히, 사무실과 같은 비교적 조용한 곳에서도, 다른 사무 작업을 하면서, 착신벨 소리로만, 호출자를 선별하여 통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 기술은, 발신자번호표시 서비스를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에, 호출자의 고유한 전화번호와, 상기 고유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착신 벨 소리를 지정 할당하고, 메모리에 연계된 상태로 기록 저장하므로써, 다양한 착신 벨 신호 소리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다수의 호출자를 모두 구별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발신자번호표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기록저장 단계와; 상기 기록저장 단계에 의하여 입력된 전화번호가 착신되는 경우, 표시되는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벨소리 판단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착신벨 소리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선택 및 메모리에 연계 기록저장하는 연계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공통의 착신벨 소리를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다 공통벨 선정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및 이름을 휴대전화기가 계속 기록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기록저장 단계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판단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자번호표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는 피호출 신호가 수신되고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는 피호출 신호가 수신 입력되는 경우,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일판단 단계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에서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는, 지정된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상기 표시 단계로 궤환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1 통신판단 단계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에서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어느 것과도 동일하지 않는 경우는, 공통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는 일반벨 표시 단계와;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상기 일반벨 표시 단계로 궤환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2 통신판단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연결 구성 블록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피호출 상태 표시방법의 순서도 이며,
도3 은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호출자 구분 벨소리 입력 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의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유선단말기 15 : 제1 휴대단말기
20 : 공중교환망 30 : 이동통신교환국
40 : 기지국 50 : 제2 휴대단말기
이하,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호출자 구분 벨소리 입력 방법의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의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은, 교환국(MSC)(30)에서 발신자번호표시(CNIP)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15,50)에 있어서,
휴대단말기(15,50)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고, 기록 저장을 위하여 입력되는 호출자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를 휴대단말기(15,50)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기록저장 단계(S10)와,
상기 기록저장 단계(S10)에서 휴대단말기(15,50) 메모리에 입력된 전화번호로부터 피호출(Called) 되는 경우, 각각의 전화번호마다 서로 다른 착신벨 소리를 발생 또는 표시하도록 하는,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각각 지정 또는 할당할 것인지 판단하는 벨소리 판단 단계(S20)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S20)에서 피호출에 의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 또는 할당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5,50)에 저장된 다수의 착신벨 소리 중에서 하나를 선택 및 메모리에 연계 기록저장하는 연계 단계(S30)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S20)에서 피호출에 의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 또는 할당하지 않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통의 착신벨 소리를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공통벨 선정 단계(S40)와,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및 이름을 휴대전화기가 계속 기록저장할 것인지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기록저장 단계(S10)로 궤환(Feedback)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판단 단계(S45)와,
휴대단말기(15,50)를 호출하는 피호출(Called) 신호가 무선으로 수신,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신 단계(S50)와,
상기 수신 단계(S50)에서 휴대단말기(15,50)를 호출하는 피호출자 번호 또는 발신자번호표시(CNIP) 신호가 수신 및 입력된 경우, 호출자(Calling Party)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가, 상기 휴대단말기(15,50)의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인지를 비교 판단하는 동일판단 단계(S60)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S60)에서 호출자(Calling Party)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가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는, 메모리에 연계 기록저장된 지정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Called) 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S70)와,
상기 휴대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피호출(Called)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경우는, 상기 표시 단계(S70)로 궤환(Feedback)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1 통신판단 단계(S80)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S60)에서 호출자(Calling Party)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 중에서 동일한 것이 없는 경우는, 일반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는 일반벨 표시 단계(S90)와,
휴대단말기 사용자에 의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상기일반벨 표시 단계(S90)로 궤환(Feedback)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2 통신판단 단계(S10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단말기(15,50)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5,50)에 제공되는, 전화번호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선택된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를 해당 사용자의 이름과 함께 입력한다(S10).
상기 단계(S10)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5,50)에 전화번호와 사용자의 이름이 입력되면, 입력된 전화번호에 의하여 피호출 되는 경우, 호출자 또는 발신자를 서로 다른 착신벨 소리로 구분하기 위하여 별도의 착신벨 소리를 지정 할당 되도록 할 것인가를 판단하고(S20), 별도의 지정된 착신벨 소리를 할당하는 경우, 휴대단말기(15,50)에 기록저장된 다양한 벨소리 중에서, 사용자가 임의 선택하며,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연계되도록 메모리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고(S30) 종료한다.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S20)에서, 메모리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별도의 지정 또는 할당된 착신벨 소리로 표시되도록 연계지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에 입력된 전화번호가 착신되면, 공통 벨소리로써 착신표시 되도록 연계 기록저장하고(S40),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및 이름을 휴대단말기(15,50)에 계속 기록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기록저장 단계(S10)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단계로 진행하여(S45) 종료한다.
즉, 상기와 같이 각 전화번호 마다 서로 다른 착신벨 소리가 할당되도록 하는 단계를, 휴대단말기(15,50)의 메모리 영역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만큼 반복하여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에 각 전화번호와 연계되는 다수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입력이 완료된 휴대단말기(15,50), 일 예로서, 제2 휴대단말기(50)를, 호출자(Calling Party)인 유선단말기(10) 또는 제1 휴대단말기(15)가 호출하는 경우, 발신자번호표시(CNIP)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교환국(MSC)(30)에서, 호출자(Calling Party)의 고유번호 또는 전화번호 정보가 수록된 발신자번호표시(CNIP) 신호를 기지국(BTS)(40)으로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40)은 발신자번호표시(CNIP) 정보 신호를 무선(RF) 신호로 변환(Conversion)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2 휴대단말기(50)는 상기의 발신자번호표시(CNIP) 정보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을 호출하는 피호출(Called) 신호인가를 판단하고(S50), 자신을 호출하는 피호출 신호인 경우, 발신자(Calling Party) 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고유번호(ID) 또는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S60)한다.
상기 동일판단 단계(S60)에서 판단한 결과, 무선 수신된 발신자(Calling) 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 동일한 경우, 해당 전화번호와 연계되어 기록저장된 것으로서, 지정 또는 할당된 착신벨 소리를 이용하여 피호출(Called) 또는 착신되었음을 표시한다(S70).
상기 휴대단말기(50)가 사용자에 의하여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표시 단계(S70)로 궤환(Feedback)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한다(S80).
또한, 상기 동일판단 단계(S60)에서, 무선 수신된 발신자 번호가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다수의 전화번호 중에서 어느 하나와도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일반적인 착신벨 소리 또는 제2 의 공통벨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고(S90), 사용자에 의하여 휴대단말기(50)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일반벨 표시 단계(S90)로 궤환(Feedback) 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한다(S100).
따라서, 발신자번호표시(CNIP)에 의하여 발신자 또는 호출자(Calling Party)의 전화번호 정보가 무선으로 수신되는 휴대단말기(50)는,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에 연계 저장된 해당 착신벨 소리를 추출하여, 특정한 발신자 또는 호출자(Calling Party)로부터 피호출 되었음을 소리로써 표시하게 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도 구별할 필요가 없는 호출자의 착신벨 신호는 공통벨 또는 제1 공통벨 소리로써 표시하고, 상기 메모리에 기록저장되지 않은 호출자로부터 착신되는 경우는 일반 착신벨 또는 제2 공통벨 소리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한 휴대단말기(15,50)를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특정 호출자(Caller)로부터 피호출(Called)되면, 별도로 지정 또는 할당된 벨소리 또는 멜로디 등의 소리로써 상기 호출자의 호출신호가 착신되었음을 표시하게 하고 메모리에 기록저장 되어있으나, 구분할 필요가 없는 호출자와, 메모리에 기록저장되지 않은 일반적인 호출자를 서로 다른 공통벨 소리로써 구분 표시하므로써, 착신벨 소리만으로도 특정한 발신자 또는 발신자 그룹(Group)을 구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기술은, 발신자번호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발신자 번호와 착신벨 소리를 연계하여 지정 저장하므로써, 특정한 발신자로부터 피호출 되는 경우, 할당된 착신벨 소리를 이용하여, 소리만으로도 발신자를 구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리만으로도 특정한 발신자 및 발신자 그룹을 구별하게 함으로써, 시각장애자도 발신자를 용이하게 구별하고, 선별 수신할 수 있는 사회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신자번호표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상기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기록저장 단계와,
    상기 기록저장 단계에 의하여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의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할 것인지 판단하는 벨소리 판단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 착신벨 소리를 별도로 지정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저장된 다수의 착신벨 소리 중에서 하나를 지정하여 선택 및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와 연계하여 기록저장하는 연계 단계와,
    상기 벨소리 판단 단계에서 별도의 착신벨 소리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통의 착신벨 소리를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는 공통벨지정 단계와,
    사용자에 의하여 전화번호 및 이름을 휴대단말기가 계속 기록저장할 것인지 판단하여, 계속하는 경우는 상기 기록저장 단계로 궤환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종료 단계로 진행하는 반복판단 단계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
  2. 발신자번호표시 이동통신 시스템의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는 피호출 신호가 수신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에서 휴대단말기를 호출하는 피호출 신호가 수신 입력된 경우,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전화번호와 동일한 것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동일판단 단계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에서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중에서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는, 지정된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상기 표시 단계로 궤환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1 통신판단 단계와,
    상기 동일판단 단계에서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어느 것과도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일반 착신벨 소리로 피호출 되었음을 표시하는 일반벨 표시 단계와,
    통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 아니면, 상기 일반벨 표시 단계로 궤환하며, 통신이 이루어지면, 종료단계로 진행하는 제2 통신판단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벨 표시 단계의 일반벨은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되지 않은 호출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의 공통벨소리로써, 상기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공통벨소리와 다른 소리를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방법.
KR1020000043975A 2000-07-29 2000-07-29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KR20020010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75A KR20020010319A (ko) 2000-07-29 2000-07-29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975A KR20020010319A (ko) 2000-07-29 2000-07-29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19A true KR20020010319A (ko) 2002-02-04

Family

ID=1968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975A KR20020010319A (ko) 2000-07-29 2000-07-29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3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77A (ko) * 2001-07-16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에 따른 착신링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40001841A (ko) * 2002-06-28 2004-01-07 전성범 특정인, 특정인에 관련된 전화번호 또는 특정인을포함하는 그룹별로 벨소리를 각각 설정할 수 있어, 핸드폰수신시 해당 발신번호와 관련되어 설정된 벨소리 중우위를 점하는 벨소리를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가진 핸드폰(이동통신 휴대 단말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956A (ko) * 1999-05-28 1999-08-05 전대인 발신자 아이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 장치
KR100228476B1 (ko) * 1995-06-20 1999-11-01 윤종용 호출부호에 따라 고유한 경보를 발생하는 페이징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9732U (ko) * 1998-11-10 2000-06-05 서평원 가입자별 착신벨을 제공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
KR20010037357A (ko) * 1999-10-15 2001-05-07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음 발생 방법
KR20010047676A (ko) * 1999-11-22 2001-06-15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음 발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8476B1 (ko) * 1995-06-20 1999-11-01 윤종용 호출부호에 따라 고유한 경보를 발생하는 페이징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9732U (ko) * 1998-11-10 2000-06-05 서평원 가입자별 착신벨을 제공하는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
KR19990064956A (ko) * 1999-05-28 1999-08-05 전대인 발신자 아이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 장치
KR20010037357A (ko) * 1999-10-15 2001-05-07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음 발생 방법
KR20010047676A (ko) * 1999-11-22 2001-06-15 서평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음 발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077A (ko) * 2001-07-16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에 따른 착신링 발생장치 및 방법
KR20040001841A (ko) * 2002-06-28 2004-01-07 전성범 특정인, 특정인에 관련된 전화번호 또는 특정인을포함하는 그룹별로 벨소리를 각각 설정할 수 있어, 핸드폰수신시 해당 발신번호와 관련되어 설정된 벨소리 중우위를 점하는 벨소리를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가진 핸드폰(이동통신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09812A2 (en) Signalling receiver with alarm selecting facility
GB2382274A (en) A mobile phone with selectable ring tone sequence.
JP5121129B2 (ja) マルチライン・モバイルでダイアル番号の識別をサポートするネットワーク
GB2329092A (en) Calling line identifier providing distinctive alert modes for caller identification
KR20020010319A (ko) 휴대단말기의 호출자 구분 벨소리 표시 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20020077955A (ko) 휴대폰의 발신자 번호에 의한 벨소리 선택 방법
KR19990064956A (ko) 발신자 아이디 표시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 장치
JPH11331368A (ja) 発信者電話番号通知サービス対応電話機及びその着信報知方法
KR10073526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자 아이디를 이용한 발신자 확인방법
KR20000037609A (ko) 휴대폰에서 착신벨 편집 방법
KR100466216B1 (ko) 복수의 전화번호를 서비스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JP3737273B2 (ja) ボタン電話装置及びその着信受付方法
KR100773950B1 (ko) 통신 단말기의 벨소리 설정방법
KR1009536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음 설정 방법
US6188755B1 (en) Key telephone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to key telephone set
JP2004056225A (ja) 音声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及び音声メッセージの提供方法
JP3814036B2 (ja) 呼出音切替機能付き電話装置
KR200200377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음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 발신자식별방법
KR100596890B1 (ko) 수신 레벨 지정을 이용한 선택적 수신방법
KR200101006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전화번호 수신방법
KR20000046583A (ko) 전화기의 호출음 선택 장치
KR1004948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착신음 설정 방법
GB2333205A (en) Displaying telephone numbers and time elapsed since unanswered calls
JPH09238178A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