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419A -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 - Google Patents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419A
KR20020009419A KR1020010042786A KR20010042786A KR20020009419A KR 20020009419 A KR20020009419 A KR 20020009419A KR 1020010042786 A KR1020010042786 A KR 1020010042786A KR 20010042786 A KR20010042786 A KR 20010042786A KR 20020009419 A KR20020009419 A KR 2002000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ing
picture
intra
macro block
de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7007B1 (ko
Inventor
카타야마히로시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2000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7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between spatial and temporal predictive coding, e.g. picture refre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16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substituting a video c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있고,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되는 경우, 비디오 디코더는 디코드 시작 지시에 따라 디코드 동작을 시작한다(ST11). 예측 부호화 픽처(P픽처, B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경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예측 부호화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한다(ST17, ST21). 또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한다(ST19, ST22).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채널 전환시에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도중에서 화상의 끊김을 짧게 할 수 있고, 단시간에 다음 채널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MPEG Decoder and decod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사용하기 적합한 엠펙(이하 "MPEG"이라 칭함)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예측 부호화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함으로써,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취급되는 화상 스트림으로서, MPEG(Moving PictureExperts Group) 화상 스트림이 있다. 주지와 같이, MPEG의 부호화 데이터는 계층 구조로서 표현된다. 상위층으로부터 차례로, 시퀀스(Sequence)층, GOP(Group of Picture)층, 픽처(Picture)층, 슬라이스(Slice)층, 매크로 블록(MacroBlock)층, 블록(Block)층이라는 계층이 있다.
도 5는 시퀀스층 및 GOP층을 도시하고 있다. 시퀀스층은 시퀀스-헤더에서 시작되고, 시퀀스-엔드로 종료한다. 시퀀스층은 1개 이상의 GOP로서 구성된다. GOP층은 GOP에서 시작되고, 복수개의 픽처로 구성된다. 선두의 픽처는 반드시 I픽처(Intra coded picture)가 되며, 그것에 계속해서 P픽처(Predictive coded picture)나 B픽처(Bidirectional predictive coded picture)가 배치된다.
I 픽처는 프레임 내 부호화 화상이며, 그 화상만으로 1장의 화상을 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P픽처는 프레임간 순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 화상과의 차이분을 전송하고, 디코드장치(복호기)는 앞 화상과 차이분을 가산함으로써 화상을 디코드(복호)한다. 이와 같이, P픽처는 처음에 참조하는 화상의 존재가 불가결하고, 그 화상으로서 상술한 I픽처 및 이 I픽처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P픽처가 사용된다.
B픽처는, 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으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전후 2장의 화상과의 차이분을 전송하고, 디코드장치는 전후 2배의 화상과의 차이분을 가산함으로써 화상을 디코드한다. 이와 같이 2장의 화상을 참조함으로써, P픽처에 비해 차이분 데이터를 뺄 수 있다.
도 8은 I, P, B의 픽처로 이루어진 MPEG 화상 스트림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MPEG 화상 스트림을 디코드하는 경우, I픽처를 디코드하고 나서 그 디코드 결과를 참조 화상으로 하여 P픽처를 디코드하며, 또한 B픽처를 디코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도 9는 종래의 디코드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스텝 ST1에서 디코드를 시작하고, 스텝 ST2에서 예를 들면, 수신 버퍼에서 최초의 픽처를 판독하고, 스텝 ST3에서 판독한 픽처가 I픽처가 될 때까지 스텝 ST2, ST3의 동작을 반복한다.
다음에, 판독한 스트림이 I픽처가 되면, 스텝 ST4, ST5로 진행하여, 판독한 픽처의 타입에 따라 처리를 분기한다. 판독한 픽처가 I픽처일 때는, 스텝 ST6에서 I픽처에 대하여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7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한 픽처가 P픽처일 때는, 스텝 ST8에서 P픽처에 대하여 순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7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한 픽처가 B픽처일 때는, 스텝 ST9에서 B픽처에 대하여 양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7로 진행한다.
스텝 ST7에서는 디코드 결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T1O에서, 다음 픽처의 판독을 행하고, 그 후에 스텝 ST4로 되돌아가 판독한 픽처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픽처 타입에 따른 디코드처리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코드장치는 어떤 MPEG 화상 스트림에 대하여서는 디코드의 시작 지시가 있더라도, I픽처를 디코드할 때까지는 P픽처나 B픽처를 디코드할 수 없으며, 그동안 블랭킹하는 등의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있고,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로의 화상 표시가 한순간 도중에서 끊긴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픽처나 B픽처에 있어서도 소블록 단위에서는 인트라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인트라 부호화란, 그 블록만으로 복호하는 것이 가능하고 참조 화상을 필요로 하지 않는 블록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따른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는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 이루어지는 MPEG 화상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이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디코드수단과, 이 디코드수단에 대하여 디코드의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수단과, 디코드수단의 디코드 결과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록수단과, 화상 메모리에서 출력 화상 데이터를 얻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디코드수단은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제어수단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디코드수단은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은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 이루어지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의 시작을 지시하는 스텝과,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스텝과, 디코드의 결과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스텝과, 화상 메모리에서 출력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얻는 스텝을 구비하고, 화상 데이터를 디코드하는 스텝에서는,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이다. 또한, 디코드수단은, 또한 제어수단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있고,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되고, 그 후에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경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예측 부호화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진다. 또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결과를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채널 전환시에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져, 화상의 도중에서 끊김을 짧게 할 수 있어, 단시간에 다음 채널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이 기억수단의 기억 내용에 의거하여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함으로써,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유효성을 바르게 판단할 수 있고, 잘못된 참조 화상을 사용한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 매체로서 화상 메모리가 사용된다. 즉, 각 매크로 블록 디코드 결과의 기억 영역의 일부가 플래그부로서 사용되고, 디코드되어 있지 않은 매크로 블록의 플래그부에는 실제의 디코드 결과로서는 얻어지지 않는 값을 기록하여 놓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기 위해 화상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전용의 기억 매체 또는 기억 영역을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전환이 되어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된 경우에, 화상 메모리를 초기화하는 일 없이, 디코드된 슬라이스 및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차례로 덮어쓰기하여 나감으로써, 화상이 도중에서 끊기는 일이 없고, 전환 전의 채널 화상으로부터 전환 후의 채널 화상으로 자연스럽게 변화되어 화상 뮤트(mute)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내의 비디오 디코더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비디오 디코더에 있어서의 디코드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4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을 포함하는 P, B픽처의 디코드법을 도시한 도.
도 5는 MPEG 부호화 데이터의 시퀀스층, GOP층을 도시한 도.
도 6은 MPEG의 I, P픽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7은 lMPEG의 I, P, B픽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8은 MPEG의 I, P, B픽처 구성과 종래의 디코드법을 도시한 도.
도 9는 종래의 디코드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방송 수신기 101 : CPU
106 : 안테나 107 : 튜너
108 : 복조기 109 : ECC 디코더
110 : 프론트 엔드 111 : 디스크램블러
112 : 디멀티플렉서 113 : 비디오 데이터
115 : 오디오 디코더 114, 116 : 출력단자
150 : 입력단자 151 : 수신 버퍼
152 : 가변 길이 복호화 회로 153 : 역양자화 회로
154 : 역DCT 회로 155 : 화상 메모리
156 : 출력단자 157 : 움직임 보상 회로
158 : 가산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수신기(100)는,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를 갖고 있다. 이 CPU(101)에는 CPU(101)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102)과, CPU(101)의 제어에 따라 생성되는 데이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취득되는 부가 데이터 등을 저장하거나, 워킹 에리어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103)과, 복수의 조작 키 등이 배치된 조작부(104)와, 액정 표시 소자 등으로 구성되며, 수신기(100)의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06)와, 이 안테나(106)로 수신되는 복수의 RF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에서 소정의 RF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그 소정의 RF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응한 디지털 변조 데이터를 출력하는 튜너(107)를 갖고 있다. 튜너(107)에 있어서의 선국 동작은 유저의 조작부(104)의 조작에 의거하여 CPU(101)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수신기(100)는 튜너(107)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변조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처리를 하는 복조기(108)와, 이 복조기(108)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 정정처리를 하며, 상술한 소정의 RF 채널의 방송 신호에 대응한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얻는 ECC(Error CorrectionCode) 디코더(109)를 갖고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MPEG2 TS 패킷이 차례로 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튜너(107), 복조기(108) 및 ECC 디코더(109)로서 프론트 엔드(11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ECC 디코더(109)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구성한다, 스크램블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에 대하여 스크램블의 해제처리를 하는 디스크램블러(111)와, 이 디스크램블러(111)에서 출력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유저의 조작부(104)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 번호(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을 분리하고, 그들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나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DS)을 출력하는 동시에, 그 프로그램 번호(채널)의 부가 데이터의 패킷을 분리하고, 그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SDS)을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112)를 갖고 있다. 이 부가 데이터 스트림(SDS)은 CPU(101)에 공급된다.
또한, 수신기(100)는 디멀티플렉서(112)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 에 대하여 데이터 신장처리를 하여 출력 비디오 데이터(VD)를 얻는 비디오 디코더(113)와, 그 비디오 데이터(VD)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14)와, 디멀티플렉서(11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DS)에 대하여 데이터 신장처리를 하여 출력오디오 데이터(AD)를 얻는 오디오 디코더(115)와, 그 오디오 데이터(AD)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16)를 갖고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IC카드(117)가 접속되는 IC카드 인터페이스부(118)를 갖고 있다. IC카드 인터페이스부(118)는 CPU(101)에 접속되어 있다. IC카드(117)는, 스크램블의 키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동시에 CPU(101)에서 IC카드 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하여 보내져오는 한정 수신 정보에 의거하여 시청의 가/불가를 판단하고, 가인 경우에는 스크램블의 키 정보를 IC카드 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하여 CPU(101)에 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안테나(106)로 수신된 복수의 RF 채널의 디지털 방송 신호가 튜너(107)에 공급되고, 소정의 RF 채널의 방송 신호가 선택되어, 튜너(107)로부터 그 방송 신호에 대응한 디지털 변조 데이터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디지털 변조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기(108)에서 복조처리가 행하여지고, 이 복조기(108)의 출력 데이터에 대하여 ECC 디코더(109)에서 오류 정정처리가 행하여져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얻어진다.
그리고, 이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 디스크램블러(111)를 통하여 디멀티플렉서(112)에 공급된다. 이 디멀티플렉서(112)에서는, 유저의 조작으로 지정된 프로그램 번호(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이 분리되고, 그들의 패킷으로 이루어진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나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DS)이 얻어진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12)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그 프로그램 번호(채널)의 부가 데이터의 패킷이 분리되고, 그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부가 데이터 스트림(SDS)이 얻어진다. 이 부가 데이터 스트림(SDS)이 CPU(101)에 공급되고, 이 부가 데이터 스트림(SDS)에서 추출되는 한정 수신 정보가 IC카드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하여 IC카드(117)에 공급된다.
IC카드(117)에서는, 그 한정 수신 정보에 의거하여 시청의 가/불가가 판단된다. 그리고, 시청 가능인 경우에는, IC카드(117)에서 스크램블의 키 정보가 IC카드 인터페이스부(118)를 통하여 CPU(101)에 보내여진다. 이 키 정보는 CPU(101)에 의해 디스크램블러(111)에 세트된다. 이로 인해, 디스크램블러(111)에서는, 스크램블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패킷의 스크램블이 해제되며,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12)에서 얻어지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나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DS)은 스크램블이 해제된 데이터에 관계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12)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에 대하여 비디오 디코더(113)에서 데이터 신장의 처리가 행해져 출력비디오 데이터(VD)가 생성되고, 이 비디오 데이터(VD)가 출력단자(114)로 출력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12)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ADS)에 대하여 오디오 디코더(115)에서 데이터 신장의 처리가 행해져 출력오디오 데이터(AD)가 생성되고, 이 오디오 데이터(AD)가 출력단자(116)로 출력된다.
다음에, 비디오 디코더(113)의 상세함을 설명한다. 도 2는 이 비디오 디코더(113)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비디오 디코더(113)는 MPEG 화상 스트림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을 입력하는 입력단자(150)와, 이 입력단자(150)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을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는 수신 버퍼(151)와, 이 수신 버퍼(151)에서 판독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에 대하여 가변 길이 복호화처리를 행하여, 양자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 데이터를 얻는 동시에, 움직임 벡터나 예측 모드의 정보를 얻는 가변 길이 복호화 회로(152)를 갖고 있다. 또한, 수신 버퍼(151)는, 복호화 회로(152)에, 일정한 데이터를 연속하여 공급하기 위해서 마련하고 있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113)는 복호화 회로(152)에서 얻어지는 양자화 DCT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양자화의 처리를 행하여 DCT 계수 데이터를 얻는 역양자화 회로(153)와, 이 역양자화 회로(153)에서 얻어지는 DCT 계수 데이터에 대하여 역DCT 처리를 하여 연산 데이터를 얻는 역DCT 회로(154)와, 각 픽처의 디코드 결과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155)와, 이 화상 메모리(155)에서 판독되는 비디오 데이터(VD)를 출력하는 출력단자(156)를 갖고 있다.
또한, 비디오 디코더(113)는 화상 메모리(155)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한 가변 길이 복호화 회로(152)에서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움직임 보상을 하며, 예측 모드에 대응한 참조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움직임 보상 회로(157)와, 역DCT 회로(154)에서 얻어지는 P픽처, B픽처의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연산 데이터에, 움직임 보상 회로(157)에서 생성되는 참조 비디오 데이터를 가산하여,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를 얻는 가산기(158)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비디오 디코더(113)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단자(150)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은 수신 버퍼(151)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그 수신 버퍼(151)에서 판독되는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은 가변 길이 복호화 회로(152)에 공급되고 가변 길이 복호화처리가 행해져, 양자화 DCT 계수 데이터가 얻어지는 동시에, 움직임 벡터나 예측 모드의 정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움직임 벡터나 예측 모드의 정보는 움직임 보상 회로(157)에 공급된다.
복호화 회로(152)에서 얻어지는 양자화 DCT 계수 데이터는 역양자화 회로(153)에 공급된다. 이 역양자화 회로(153)에서는, 양자화 DCT 계수 데이터가 역양자화되어 DCT 계수 데이터가 얻어진다. 그리고, 역양자화 회로(153)에서 얻어지는 DCT 계수 데이터는 역DCT 회로(154)에 공급된다. 이 역DCT 회로(154)에서는, DCT 계수 데이터가 역DCT 처리되어 연산 데이터가 얻어진다.
여기서, 역DCT 회로(154)에서 I픽처의 매크로 블록에 관계되는 연산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역DCT 회로(154)에서 출력되는 연산 데이터는, 그대로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이 연산 데이터는 가산기(158)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55)에 입력되고, 해당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역DCT 회로(154)에서 P픽처의 매크로 블록에 관계되는 연산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매크로 블록이 인트라 매크로 블록일 때는, 역DCT 회로(154)에서 출력되는 연산 데이터는, 그대로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이 연산 데이터는 가산기(158)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55)에 입력되어, 해당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된다. 한편, 매크로 블록이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일 때는, 역DCT 회로(154)에서 출력되는 연산 데이터에 움직임 보상 회로(157)에서 생성되는 순방향 예측 모드에 대응한 참조 비디오 데이터가 가산되어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얻어지고, 이 비디오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155)에 입력되어, 해당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역DCT 회로(154)에서 B픽처의 매크로 블록에 관계되는 연산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매크로 블록이 인트라 매크로 블록일 때는, 역DCT 회로(154)에서 출력되는 연산 데이터는, 그대로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되기 때문에, 이 연산 데이터는 가산기(158)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55)에 입력되어, 해당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된다. 한편, 매크로 블록이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일 때는, 역DCT 회로(54)에서 출력되는 연산 데이터에 움직임 보상 회로(157)에서 생성되는 양방향 예측 모드에 대응한 참조 비디오 데이터가 가산되어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얻어지고, 이 비디오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155)에 입력되어, 해당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코드 결과가 기록되는 화상 메모리(155)에서 출력 비디오 데이터(VD)의 판독이 행하여지고, 이 비디오 데이터(VD)가 출력단자(156)에 출력된다.
도 3은 비디오 디코더(113)에 있어서의 디코드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채널 전환이 있으며, MPEG 화상 스트림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 전환되고, 그 후에 CPU(101)에서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될 때, 스텝 ST11에서 디코드를 시작하고, 스텝 ST12에서 수신 버퍼(151)에서 최초의 픽처를 판독하여 가변 길이 복호화 회로(152)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T13에서 판독한 픽처가 I픽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ST14에서 판독한 픽처가 P픽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독한 픽처가 I픽처일 때는, 스텝 ST15에서 I픽처에 대하여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16로 진행한다.
판독한 픽처가 P픽처일 때는, 스텝 ST17에서 그 P픽처 내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디코드처리를 행하고, 스텝 ST18에서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한다
이와 같이,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메모리(155)가 사용된다. 즉, 화상 메모리(155)에 있어서의 각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의 기억 영역의 일부를 플래그부로서 사용하고, 디코드되어 있지 않은 매크로 블록의 플래그부에는 실제의 디코드 결과로서는 얻어지지 않는 값을 기록하여 놓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디코드 결과를 화상 메모리(155)에 기록할 뿐으로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의 기억도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스텝 ST19에서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의 기억 내용을 기초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그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순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16으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한 픽처가 B픽처일 때는 스텝 ST20에서 그 B픽처 내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디코드처리를 행하고, 스텝 ST21에서, 상술한 스텝 ST18과 같이,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한다. 그리고, 스텝 ST22에서, 디코드한 매크로 블록의 위치의 기억 내용을 기초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그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에 대하여 양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T16에서는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VD)를 화상 메모리(155)에서 판독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T23에서 1GOP의 디코드가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1GOP의 디코드가 종료하지 않은 때에는, 스텝 ST12로 되돌아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1GOP의 디코드가 종료했을 때는, 스텝 ST24, ST25로 진행하여, 판독한 칙처의 타입에 따라 처리를 분기된다. 판독한 픽처가 I픽처일 때는, 스텝 ST26에서 I픽처에 대하여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27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한 픽처가 P픽처일 때는, 스텝 ST28에서 P픽처에 대하여 순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27로 진행한다. 또한, 판독한 픽처가 B픽처일 때는, 스텝 ST29에서 B픽처에 대하여 양방향 디코드처리를 하고, 그 후에 스텝 ST27로 진행한다.
스텝 ST27에서는, 디코드 결과로서의 비디오 데이터(VD)를 화상 메모리(155)에서 판독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스텝 ST30에서 수신 버퍼(151)에서 다음 픽처의 판독을 행하고, 그 후에 스텝 ST24로 되돌아가 판독한 픽처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픽처 타입에 따른 디코드처리를 행한다.
도 2에 도시한 비디오 디코더(113)에서는,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디코드 순서로 디코드가 행하여지는 것이다. 즉,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경우, I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P픽처, B픽처 등의 예측 부호화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진다. 또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그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도 행하여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채널 전환시에, 출력 화상 데이터로서의 비디오 데이터(VD)를 신속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화상의 도중에서 끊김을 짧게 할 수 있어 단시간에 다음 채널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어떤 GOP의 도중에서 디코드를 시작한 경우의 동작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 있어서는 P픽처 및 B픽처를 구성하는 매크로 블록이 8개 라고 하고, 이들 P픽처 및 B픽처에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다음 GOP의 I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P픽처 및 B픽처의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모든 화상의 복원이 신속하게 행하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채널 전환이 있고,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 전환되고, 그 후에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경우, I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예측 부호화 픽처로서의 P픽처나 B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진다. 또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화상 메모리(155)에 기억되어 있는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가 행하여진다. 이로 인해, 예를 들면, 채널 전환시에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화상의 도중에서 끊김을 짧게 할 수 있어, 단시간에 다음 채널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고, 그 기억 내용에 의거하여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유효성을 바르게 판단할 수 있고, 잘 못된 참조 화상을 사용한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매체로서 화상 메모리(155)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용의 기억 매체 또는 기억 영역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어,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지 않았어도 디지털 방송 수신기(100)에서 채널 전환이 있고, 비디오 데이터 스트림(VDS)이 전환된 경우에 화상 메모리(155)를 초기화하는 일 없이, 디코드된 슬라이스 및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차례로 덮어쓰기 해 나감으로써, 화상이 도중에서 끊기는 일이 없고, 전의 채널의 화상으로부터 전환 후의 채널의 화상으로 스무스하게 변화해 나가, 화상 뮤트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MPEG 화상 스트림을 디코드해야 하는 그 밖의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서 예측 부호화 픽처의 인트라 슬라이스 및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으로서 출력 화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전환시에 다음 채널의 화상을 단시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 이루어지는 MPEG 화상 스트림을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디코드수단과,
    상기 디코드수단에 대하여 디코드의 시작을 지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디코드수단의 디코드 결과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화상 메모리로부터 출력 화상 데이터를 얻는 판독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디코드수단은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인트라 슬라이스 및 상기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수단은 또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수단으로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코드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상기 화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활될 때, 상기 디코드수단은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인트라 슬라이스 및 상기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함과 함께 상기 기록수단은 상기 디코드수단의 디코드 결과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덮어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수단은 또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된 후,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7.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 이루어지는 MPEG 화상 스트림을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입력된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 이루어지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의 시작을 지시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스텝과,
    상기 디코드의 결과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화상 메모리에서 출력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얻는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스텝에서는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인트라 슬라이스 및 상기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의 각 픽처를 디코드하는 스텝에서는 또한 상기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하는 스텝에서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 매체에 기억하는 스텝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코드하는 스텝에서, 상기 기억 매체의 기억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 매체로서, 상기 화상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활될 때, 상기 디코드하는 스텝에서,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인트라 슬라이스 및 상기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함과 함께, 상기 기억하는 스텝에서, 상기 디코드 결과를 상기 화상 메모리에 덮어쓰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하는 스텝에서, 상기 MPEG 화상 스트림이 전환된 후, 상기 전환된 MPEG 화상 스트림의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EG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방법.
  1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디지털 방송 중에서 소망하는 전송 채널을 선택하고, 선택된 전송 채널에 의해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복조하는 디지털 프론트 엔드와,
    상기 복조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서 소망하는 프로그램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추출하는 디멀티플렉서와,
    상기 디멀티플렉서에서 추출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각 MPEG 픽처를 디코드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더에 대하여 디코드의 시작을 지시하는 CPU와,
    상기 디코더의 디코드 결과를 기억하는 화상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MPEG 픽처는 인트라 픽처 및 예측 부호화 픽처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에 인트라 슬라이스 또는 인트라 매크로 블록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CPU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상기 인트라 슬라이스 및 상기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는 또한 상기 CPU에 의해 디코드의 시작이 지시된 후, 상기 인트라 픽처의 디코드를 기다리지 않고,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을 때는, 상기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예측 부호화 픽처의 비 인트라 슬라이스 및 비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디코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에서 디코드된 매크로 블록의 위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코더는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 내용에 의거하여, 상기 참조해야 할 매크로 블록이 이미 디코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KR20010042786A 2000-07-25 2001-07-16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 KR100837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24367 2000-07-25
JP2000224367A JP4337244B2 (ja) 2000-07-25 2000-07-25 Mpeg画像ストリームのデコード装置およびデコー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419A true KR20020009419A (ko) 2002-02-01
KR100837007B1 KR100837007B1 (ko) 2008-06-10

Family

ID=1871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42786A KR100837007B1 (ko) 2000-07-25 2001-07-16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6898246B2 (ko)
EP (1) EP1176831A3 (ko)
JP (1) JP4337244B2 (ko)
KR (1) KR100837007B1 (ko)
CN (1) CN1213553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682B1 (ko) * 2004-08-27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절환 지연 시간을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0795287B1 (ko) * 2005-12-26 2008-01-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복호 장치
KR100800727B1 (ko) * 2005-06-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064762B1 (ko) * 2003-06-13 2011-09-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고속 스타트업 프리젠테이션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컴퓨터, 및 컴퓨팅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7244B2 (ja) * 2000-07-25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Mpeg画像ストリームのデコード装置およびデコード方法
US6940904B2 (en) * 2001-05-29 2005-09-06 Broadcom Corporation Artifact-free displaying of MPEG-2 video in the progressive-refresh mode
US7398005B2 (en) * 2001-12-19 2008-07-08 Thomson Licensing Trick mode playback of recorded video
EP1472885A1 (en) * 2002-01-23 2004-11-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to increase perceived visual output quality in case of lack of image data
US7403563B2 (en) 2002-06-07 2008-07-22 Sanyo Electric Co., Ltd. Imag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utilizing the same
US8397269B2 (en) * 2002-08-13 2013-03-12 Microsoft Corporation Fast digital channel changing
US7523482B2 (en) * 2002-08-13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Seamless digital channel changing
US8126051B2 (en) 2003-05-06 2012-02-28 Trident Microsystems (Far East) Ltd. Video en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corresponding encoding and decoding devices
US7848432B2 (en) * 2003-07-02 2010-12-07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storing macroblocks in SD-RAM
US7430222B2 (en) * 2004-02-27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Media stream splicer
ATE484157T1 (de) * 2004-05-13 2010-10-15 Qualcomm Inc Synchronisierung von audio und video daten in einem drahtlosen nachrichtenübertragungssystem
US7640352B2 (en) 2004-09-24 2009-12-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ation of media obtained from a media stream
US7474359B2 (en) * 2004-12-06 2009-01-06 At&T Intellectual Properties I, L.P.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stream
US7477653B2 (en) 2004-12-10 2009-01-13 Microsoft Corporation Accelerated channel change in rate-limited environments
KR101170799B1 (ko) * 2005-05-21 201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압축 방법 및 그 장치와 영상 복원 방법 및 그 장치
US8054849B2 (en) 2005-05-27 2011-11-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video content streams
US7881384B2 (en) 2005-08-05 2011-02-01 Ls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264 to MPEG-2 video transcoding
US7903739B2 (en) * 2005-08-05 2011-03-08 Ls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C-1 to MPEG-2 video transcoding
US8155194B2 (en) * 2005-08-05 2012-04-10 Ls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PEG-2 to H.264 video transcoding
US8208540B2 (en) 2005-08-05 2012-06-26 Lsi Corporation Video bitstream trans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68950B1 (ko) 2006-01-11 2007-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전환시간을 최소화하는 디지털방송수신장치 및 그의채널전환방법
JP4672561B2 (ja) * 2006-01-26 2011-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受信装置、放送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72866B1 (ko) * 2006-02-21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임 시프트된 컨텐츠와 실시간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동기화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141091A1 (en) * 2006-12-06 2008-06-12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From Errors in Transmission of Encoded Video Over a Local Area Network
JP4962119B2 (ja) * 2007-04-27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受信機
US9272827B2 (en) 2008-08-29 2016-03-01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PL2397421T3 (pl) 2008-08-29 2017-09-29 Pepsico, Inc. Układ do napoju typu post-mix
US20110214156A1 (en) * 2008-09-15 2011-09-01 Eric Desmicht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ast video channel switching
US8401077B2 (en) 2009-09-21 2013-03-19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2560386A1 (en) * 2011-08-15 2013-02-20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0464797B2 (en) 2016-01-15 2019-11-05 Pepsico, Inc. Post-mix beverage system
US10610045B2 (en) 2016-06-14 2020-04-07 Pepsico, Inc. Beverage system including a removable piercer
US10861077B1 (en) 2017-03-21 2020-12-08 Amazon Technologies, Inc. Machine, process, and manufacture for machine learning based cross category item recommend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9029A (en) * 1991-03-15 1997-07-15 Galbi; David E. MPEG audio/video decoder
JPH05276500A (ja) * 1991-07-19 1993-10-22 Sony Corp 動画像符号化及び復号化装置
KR0152034B1 (ko) * 1994-06-29 1998-10-15 김광호 인트라부호화방법
US5568200A (en) * 1995-06-07 1996-10-22 Hitachi Americ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video display of progressively refreshed coded video
KR100206924B1 (ko) * 1996-07-23 1999-07-01 구본준 영상 처리 시스템의 엔코더 및 디코더
KR19980054368A (ko) * 1996-12-27 1998-09-25 구자홍 트랜스포트 디코더의 데이터 입출력장치
US6128340A (en) * 1997-03-14 2000-10-03 Sony Corporation Decoder system with 2.53 frame display buffer
KR100269111B1 (ko) * 1997-06-27 2000-10-16 윤종용 비디오 디코딩과 출력 타이밍 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6061449A (en) * 1997-10-10 2000-05-0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ecure processor with external memory using block chaining and block re-ordering
US7046910B2 (en) * 1998-11-20 2006-05-1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progressive I-slice refreshed MPEG data streams to enable trick play mode features on a television appliance
JP4337244B2 (ja) * 2000-07-25 2009-09-30 ソニー株式会社 Mpeg画像ストリームのデコード装置およびデコード方法
US6940904B2 (en) * 2001-05-29 2005-09-06 Broadcom Corporation Artifact-free displaying of MPEG-2 video in the progressive-refresh mode
US7020382B2 (en) * 2001-07-12 2006-03-28 Thomson Licensing Modifying video by inserting shadow intra pictur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762B1 (ko) * 2003-06-13 2011-09-14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고속 스타트업 프리젠테이션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컴퓨터, 및 컴퓨팅 디바이스
KR100703682B1 (ko) * 2004-08-27 2007-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채널 절환 지연 시간을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00800727B1 (ko) * 2005-06-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US7711011B2 (en) 2005-06-24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y-out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KR100795287B1 (ko) * 2005-12-26 2008-01-1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복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76831A2 (en) 2002-01-30
US20050180508A1 (en) 2005-08-18
KR100837007B1 (ko) 2008-06-10
US6898246B2 (en) 2005-05-24
US7386051B2 (en) 2008-06-10
US20020048321A1 (en) 2002-04-25
US7415070B2 (en) 2008-08-19
EP1176831A3 (en) 2008-12-31
US20050169385A1 (en) 2005-08-04
US20050169384A1 (en) 2005-08-04
CN1213553C (zh) 2005-08-03
JP2002044667A (ja) 2002-02-08
JP4337244B2 (ja) 2009-09-30
US7415071B2 (en) 2008-08-19
CN1334654A (zh)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007B1 (ko) 엠펙 화상 스트림의 디코드 장치 및 디코드 방법
US5926228A (en) Receiver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mode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US724830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5209154B2 (ja) デジタル・ビデオ復号システム、複数のビデオ・プログラムを順次表示する方法およびユーザーによって選択される次のチャネルを予測する方法
US9019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aster channel switching in a digital broadcast system
KR101132351B1 (ko) Dsl 시스템에 대해 고속으로 채널 변경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
US6091458A (en) Receiver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modes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MXPA05013568A (es) Metodo de codificacion y aparato para permitir un cambio rapido de canal de video comprimido.
KR19990057101A (ko) 엠펙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 및 엠펙 비디오 디코딩 시스템의 오버플로우 처리 방법
JPH10190617A (ja) 映像信号復号化装置
JP2820630B2 (ja) 画像復号装置
KR980013375A (ko) 아날로그와 디지털 비디오 모드를 갖는 수신기와 그 수신방법(Receiver having analog and digital video moed and receiving method thereof)
KR101361512B1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77921A (ja) ディジタルデータ編集方法、ディジタルデータ編集装置
JPH11252520A (ja) 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KR19990075945A (ko) 위성 방송 시스템의 서비스 데이터 처리 방법
JPH11313249A (ja) 画像符号化データ加工装置及び画像符号化データ加工方法
JPH10308898A (ja) 映像信号切換装置およ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