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9Y1 - 조경용 화분대 - Google Patents

조경용 화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9Y1
KR200200079Y1 KR2020000015555U KR20000015555U KR200200079Y1 KR 200200079 Y1 KR200200079 Y1 KR 200200079Y1 KR 2020000015555 U KR2020000015555 U KR 2020000015555U KR 20000015555 U KR20000015555 U KR 20000015555U KR 200200079 Y1 KR200200079 Y1 KR 200200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rtitions
landscaping
outer periphery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희
Original Assignee
박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희 filed Critical 박상희
Priority to KR2020000015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주연에 다수개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수분흡수공이 무수히 천공된 내면부를 구성한 반구형의 4/1크기의 본체를 볼트, 너트로 결합하여 벽걸이형, 행거형, 기둥형 지주형으로 구성하되, 본체의 외주연에 다수개 형성된 칸막이 사이사이에 경토가 충진된 꽃을 심을 수 있게 하였고, 내측에는 계단형태로 구성된 내면부에 천공된 수분흡수공은 칸막이 사이사이에 심은 꽃이 상기 수분흡수공을 통해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여 장기간동안 조경을 할 수 있게 하여 집안에서나 도로 주변에 자유롭게 변형되는 장식용화분 및 꽃탑등을 구성할 수 있는 조경용 화분대.

Description

조경용 화분대 {FLOWERPOT STAND FOR LANDSCAPE}
본 고안은 조경용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 외주연에 다수개의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사이사이에 경토가 충진된 꽃을 심을 수 있도록 하여 심은 꽃의 뿌리가 계단형태로 구성된 내면부에 무수히 많이 천공된 수분흡수공을 통해 수분을 충진하여 뿌리가 내릴 수 있게 함으로서 본체에 심어진 꽃이 장기간 조경할 수 있는 것이고, 본체를 결합하여 결합된 상태에 따라 조경을 달리할 수 있는데 즉 반구형의 4/1크기의 본체 2개를 결합하여 벽걸이형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4개씩 결합하여 2/1형태의 반구형으로 형성하여 행거형 또는 기둥형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2/1형태의 반구형 2개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형체를 형성하고, 이를 여려단으로 결합하여 지주형태로 구성하여 조형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체 형상을 자유롭게 결합 변형하여 여러 모양의 장식용 화분 또는 꽃탑등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 조경용 화분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형용 화분은 인도의 가장자리 혹은 차도의 경계선에는 통상의 도로의 환경을 개선하고 미적 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화분을 장식해 놓아두거나 또는 가로등에 설치하는 조립식 화분등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분들은 화분의 중량도 무겁고, 또는 그 형태가 고형체(固形體)이고 또는 조립식이나 형태가 변화할 수 없는 고형화되어 있는 상태 즉 창분에 설치하려면, 원형 또는 사각형태를 유지하여야하고 벽에 설치하려면 고형체로 형성된 화분에 끈을 걸어 설치하여야만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형에서 4/1크기의 본체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를 여러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 4/1크기의 형태나 2/1크기의 형태 또는 구형으로 형성한 본체에 꽃을 심어 아름답고 화려한 화분 및 조형물을 구성하여 여러 형태의 꽃탑등 변형이 자유로운 조경용 화분대를 설치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상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하나로 구성된 본 고안의 화분대 단면도.
도 4는 하나의 구성체인 화분대 2개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5는 하나의 구성체인 화분대 4개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결합상태도.
도 6은 도 5의 상태를 상하로 3단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실시상태도.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에서 꽃을 꽂아 조경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가로등 또는 기둥에 본 고안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9는 가로등이나 기둥에 결합시켜 조경함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을 벽면에 결합시킴을 나타낸 일부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칸막이
12 : 내면부 13 : 수분흡수공
14 : 상판 15 : 볼트공
16 : 양측판체 17 : 볼트공
18 : 고무링 19 :하판
20 : 볼트, 너트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고안의 본체(10) 4개 결합하여 형성한 사시도이다.
상기 본체(10)의 외주연에는 칸막이(11)를 다수개 형성하고 내측에는 계단형태로 구성된 내면부(12)을 구성하였다.
상기 내면부(12)에는 외주연에 형성된 칸막이(11) 사이사이에 심은 꽃의 뿌리가 수분을 받을 수 있도록 무수히 많은 수분흡수공(13)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본체의 상판(14)과 하판에는 본체(10)을 볼트, 너트(20)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볼트공(15)을 천공하였으며 양측판체(16)에도 본체(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볼트공(17)을 천공하여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측에는 가로등이나 기둥에 본체 를 설치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링(18)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10)를 결합하여 구성하는데 본체 2개를 결합하여 도4와 같이 볼트, 너트(20)를 사용하여 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판체(15)를 결합하여 4/1구형의 본체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는 본체의 외주연에 형성된 칸막이(11)사이 사이에 경토가 충진된 꽃을 심어 화분 및 조형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에 충진되는 흙은 흙과 정양토 그리고 용토등을 혼합하여 경량토(輕量土)로 구성하여 본체 내에 충진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결합하는 형태에 따를 그 사용도를 달리하는데, 그 사용도를 살펴보면,
상기의 본체를 2개 결합하여 4/1구형으로 형성된 본체는 도 10에 표현된바와 같이 벽걸이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 4개를 결합하여 구성하면 2/1크기의 반구형으로 형성하데,
상기 반구형의 본체(10)은 도9에 표현된바와 같이 가로등이나 기둥에 설치할 수 있는 기둥이나 끈을 사용하여 행거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기둥형으로 사용할 때에는 본체의 하단에 구성된 고무링(18)이 미끄럼을 방지하며, 본체(10)를 사방에서 볼트, 너트(20)로 결합시킴으로서 견고하게 가로등이나 기둥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고안은 2/1크기의 반구형으로 결합된 본체를 결합하여 하나의 구 형을 형성하고 도6및 도7과 같이 본체를 여러 단으로 결합하여 기둥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꽃을 심어 아름답고 화려한 꽃기둥 조형물을 구성하며, 본체를 여러모양으로 구성하여 도로에는 가로등이나 기둥에는 장식용화분 및 꽃탑등을 구성할 수 있는 변형이 자유로운 조경용 화분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를 4/1, 2/1 또는 구형으로 또는 여러가지 형태로 본체를 구성하고 본체의 외주연에 형성된 칸막이 사이사이에 경토가 충진된 꽃을 심고, 본체 상면부에도 꽃을 심어 아름다운 화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
그리고 본체 내에는 경량토를 사용함으로서 무게가 가벼워진 본체를 벽걸이형 또는 가로등이나 기둥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본체를 구형으로 형성한 본체를 하나 또는 여러단으로 결합하여 지주형태로 구성하고 이에 꽃을 심어 아름 답고 화려한 꽃기둥 조형물을 구성하며 본체를 여러모양으로 구성하여 도로 또는 가로등이나 기둥 그리고 벽면등에 장식용화분 꽃탑등을 구성할 수 있는 자유롭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본체(10)의 외주연에는 경토가 충진된 꽃을 심을 수 있는 칸막이(11)를 다수개 형성하고 내측에는 수분흡수공(13)이 무수히 천공된 계단형태로 구성된 내면부(12)와, 그리고 본체의 상판(14)과 하판 및 양측판체(16)에는 본체를 볼트와 너트(20)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볼트공(15)(17)을 천공하였으며, 하측에는 가로등이나 기둥에 본체를 설치할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링(18)을 설치하여, 4/1크기형태의 본체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화분대.
KR2020000015555U 2000-06-01 2000-06-01 조경용 화분대 KR200200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555U KR200200079Y1 (ko) 2000-06-01 2000-06-01 조경용 화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555U KR200200079Y1 (ko) 2000-06-01 2000-06-01 조경용 화분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Y1 true KR200200079Y1 (ko) 2000-10-16

Family

ID=1965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555U KR200200079Y1 (ko) 2000-06-01 2000-06-01 조경용 화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8B1 (ko) 2005-07-12 2007-12-05 경기엔지니어링(주) 수목을 이용한 가로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108B1 (ko) 2005-07-12 2007-12-05 경기엔지니어링(주) 수목을 이용한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31201Y (zh) 立体柱架种植装置
JP2013516979A (ja) 植生用の多孔性表面を有する基材
CN208095360U (zh) 花架、立体种植装置
KR200200079Y1 (ko) 조경용 화분대
CN202285685U (zh) 立体式多层自由空间分布花架
KR101201355B1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CN201008295Y (zh) 一种植物壁画栽培盆
CN105165461A (zh) 一种用于任意塑形的绿化植生块体、其制作方法及其应用
CN206413466U (zh) 一种立体绿化植物墙
CN201671403U (zh) 一种植物围墙
JP4376109B2 (ja) プランター
KR100909821B1 (ko) 연꽃재배장치
CN205052312U (zh) 一种用于任意塑形的绿化植生块体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100852425B1 (ko) 화분용 식재구조
KR200401009Y1 (ko) 가로등용 식생플랜지
KR200242458Y1 (ko) 조립식 화분
JPH1075664A (ja) 擬態段積用植木鉢
KR20030032267A (ko) 베란다용 입체조립식 채소재배장치
CN209276924U (zh) 一种道路转角结构
RU2181537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и высадки растений в грунт
CN201097524Y (zh) 植物立体种植盆
KR200203411Y1 (ko) 장식용 계란 화분
KR101280432B1 (ko) 다층형 식물 재배 장치
KR200182294Y1 (ko) 조립식 실내,외 조경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