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4Y1 - 트랙터용 개량쟁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개량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4Y1
KR200200074Y1 KR2020000015398U KR20000015398U KR200200074Y1 KR 200200074 Y1 KR200200074 Y1 KR 200200074Y1 KR 2020000015398 U KR2020000015398 U KR 2020000015398U KR 20000015398 U KR20000015398 U KR 20000015398U KR 200200074 Y1 KR200200074 Y1 KR 200200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plows
soil
tractor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혁
Original Assignee
박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혁 filed Critical 박기혁
Priority to KR2020000015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8Mould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개량쟁기에 관한 것으로, 보습(21)과 볏판(22)을 구비한 다수의 앞쟁기부(20)가 지지체(10)에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설되고, 상기 앞쟁기부(20)의 사이로 상기 지지체(10)의 후방에 보습(31)과 볏판(32)을 구비한 다수의 뒷쟁기부(30)가 설치된 트랙터용 쟁기에서, 상기 앞/뒷쟁기부(20,30)들의 보습(21,31)과 볏판(22,32)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고 상기 뒷쟁기부(30)의 열이 상기 앞쟁기부(20)의 열에 대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앞쟁기부(20)와 뒷쟁기부(30)에서 파여진 고랑을 서로 메워주게 됨으로써 이랑과 고랑이 생기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랙터용 개량쟁기 { A improved plow for a tractor }
본 고안은 트랙터용 개량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쟁기작업의 과정에서 앞/뒷쟁기부가 파여진 토양의 고랑을 서로 메우면서 쟁기작업을 할 수 있는 트랙터용 개량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용되는 쟁기는 통상 트랙터에 장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과 굴삭압을 이용하여 논이나 밭 등의 토지를 갈아엎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쟁기는 지지프레임의 전후에 장착된 다수의 보습을 통하여 흙을 파내고, 보습의 측면에 부착된 볏판을 통해 파낸 흙을 반전시킴으로써 일정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토지에 고랑과 이랑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토양에 쟁기작업을 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사용된 토양의 내부흙을 파내어 반전시키고, 비료 등을 뿌려서 토양에 영양분을 공급함으로써 토양을 개량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토양을 개량할 때 반드시 고랑과 이랑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고랑과 이랑은 쟁기작업과정에서 생기는 것이고, 이러한 고랑과 이랑은 비료를 토양에 골고루 뿌리는데 제약이 되었다. 즉 고랑과 이랑이 형성된 토양에 비료를 뿌릴 경우, 이랑에 뿌려진 비료가 고랑으로 내려오게 되므로 토양에 영양분이 골고루 섞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특히, 쟁기질 한 논에서 비료가 골고루 뿌려지지 않을 경우 벼가 동일한 크기로 자라지 않으므로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된다. 따라서, 토양을 개량하기 위한 최상의 쟁기작업은 비료를 골고루 뿌릴 수 있도록 흙 을 반전시키면서 고랑과 이랑이 생기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쟁기는, 토양에 쟁기작업을 하면 고랑과 이랑이 생겨서 비료 등을 골고루 뿌리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재차 토양을 평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기존의 쟁기로써 쟁기작업 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쟁기작업을 하더라도 고랑과 이랑이 생기지 않게 하여 토양에 골고루 비료 등을 뿌릴 수 있으며, 토양의 개량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트랙터용 개량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습과 볏판을 구비한 다수의 앞쟁기부가 지지체에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설되고, 상기 앞쟁기부의 사이로 상기 지지체의 후방에 보습과 볏판을 구비한 다수의 뒷쟁기부가 설치된 트랙터용 쟁기에서, 상기 앞/뒷쟁기부의 보습과 볏판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앞쟁기부와 뒷쟁기부에서 파여진 고랑을 서로 메워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뒷쟁기부의 열이 상기 앞쟁기부의 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앞/뒷쟁기부에는 보습의 선단면을 따라 절개날이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파여진 흙을 분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개량쟁기에 의하면, 앞쟁기부의 보습에 의해 파여지는 고랑은 뒷쟁기부의 볏판에 의해 안내되는 흙으로써 메워지고, 뒷쟁기부의 보습에 의해 파여지는 고랑은 앞쟁기부의 볏판에 의해 안내되는 흙으로써 메워지게 되므로써, 쟁기작업을 할 때 이랑과 고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개량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의 앞쟁기부에서 흙이 절삭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의 뒷쟁기부에서 흙이 절삭되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체 11 : 전방프레임
12 : 후방프레임 13 : 수직프레임
14 : 지지프레임 15 : 연결브라켓트
20 : 앞쟁기부 21 : 보섭
22 : 볏판 23 : 절개날
24 : 보강부재 25 : 암
26 : 고정브라켓트 30 : 뒷쟁기부
31 : 보섭 32 : 볏판
33 : 절개날 34 : 보강부재
35 : 암 36 : 고정브라켓트
37 : 지지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개량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0)의 전방에 다수의 앞쟁기부(20)들이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설되어 있고, 지지체(10)의 후방에 상기 앞쟁기부(20)의 사이로 다수의 뒷쟁기부(30)들이 설치되되, 이 뒷쟁기부(30)의 열은 상기 앞쟁기부(20)의 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10)는 앞쟁기부(20)를 지지하는 전방프레임(11)과, 뒷쟁기부(30)를 지지하는 후방프레임(12), 상기 전방프레임(11)과 후방프레임(12)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13) 및, 상기 전방프레임(11)에 설치되어 트랙터와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프레임(12)은 전방프레임(11)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앞쟁기부(20)의 열에 대하여 상기 뒷쟁기부(30)의 열이 경사지게 배열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앞/뒷쟁기부(20,30)는 흙을 파는 보습(21,31)과, 이 보습(21,31)에 연장되면서 오목한 곡면을 이루어 파낸 흙을 반전시키는 볏판(22,32), 상기 보습(21,31)의 선단면을 따라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흙을 분절시키는 절개날(23,33) 및, 이 절개날(23,33)의 후단을 받쳐주는 보강부재(24,3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재들은 고정브라켓트(26,36)에 부착되어 암(25,35)을 통하여 상기 전방프레임(11)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뒷쟁기부(30)의 볏판(32)은 앞쟁기부(20)의 볏판(2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곡면의 라운딩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뒷쟁기부(30)의 볏판(32)은 암(35)과의 사이에 지지부재(37)로써 받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25,35)은 중앙부분이 굽어져 보섭(21,33)을 통하여 흙을 파낼 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량쟁기의 앞/뒷쟁기부에서 각각 흙이 절삭되는 상태도이다.
앞쟁기부(20)는 도 3에서와 같이, 보섭(21)과 볏판(22)이 우측편에 설치되어 보섭(21)에 의해 파여지는 흙은 볏판(22)에 의해 안내되면서 내면이 뒤집히게 된다. 여기서, 보섭(21)에 의해 파여지는 흙은 대부분은 볏판(22)에 의해 안내되면서 오른쪽으로 떨어지나, 일부분은 절개날(23)에 의해 절개되어 왼쪽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반면, 뒷쟁기부(30)는 도 4에서와 같이, 보섭(31)과 볏판(32)이 우측편에 설치되어 보섭(31)에 의해 파여지는 흙은 볏판(32)에 의해 안내되면서 내면이 뒤집히게 된다. 여기서, 보섭(31)에 의해 파여지는 흙은 대부분은 볏판(32)에 의해 안내되면서 왼쪽으로 떨어지나, 일부분은 절개날(33)에 의해 절개되어 오른쪽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앞쟁기부(20)와 뒷쟁기부(30)의 보섭(21,31)과 볏판(22,32)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는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뒷쟁기부(30)의 열이 상기 앞쟁기부(20)의 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앞쟁기부(20)의 사이공간에 배치됨으로써 쟁기작업할 때, 앞쟁기부(20)의 보습(21)에 의해 파여지는 고랑은 뒷쟁기부(30)의 볏판(32)에 의해 안내되는 흙으로써 메워지고, 뒷쟁기부의 보습(30)에 의해 파여지는 고랑은 앞쟁기부(20)의 볏판(22)에 의해 안내되는 흙으로써 메워지게 되므로 앞쟁기부(20)와 뒷쟁기부(30)에 의해서 파여진 흙을 메워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트랙터용 개량쟁기를 사용하여 쟁기작업할 때 앞쟁기부(20)와 뒷쟁기부(30)에 의해서 파여진 흙을 서로 메워줌으로써 고랑과 이랑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개량쟁기에 의하면, 기존과 달리 쟁기작업을 할 때 고랑과 이랑이 생기지 않으므로 비료 등을 뿌리기 전에 별도로 지면의 평탄화작업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트랙터용 개량쟁기는 쟁기작업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쟁기작업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보습(21)과 볏판(22)을 구비한 다수의 앞쟁기부(20)가 지지체(10)에 소정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설되고, 상기 앞쟁기부(20)의 사이로 상기 지지체(10)의 후방에 보습(31)과 볏판(32)을 구비한 다수의 뒷쟁기부(30)가 설치된 트랙터용 쟁기에 있어서,
    상기 앞/뒷쟁기부(20,30)들의 보습(21,31)과 볏판(22,32)이 서로 대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앞쟁기부(20)와 뒷쟁기부(30)에서 파여진 고랑을 서로 메워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개량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뒷쟁기부(30)의 열이 상기 앞쟁기부(20)의 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개량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앞/뒷쟁기부(20,30)에는 보습(21,31)의 선단면을 따라 절개날(23,33)이 연직방향으로 설치되어 파여진 흙을 분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개량쟁기.
KR2020000015398U 2000-05-31 2000-05-31 트랙터용 개량쟁기 KR200200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398U KR200200074Y1 (ko) 2000-05-31 2000-05-31 트랙터용 개량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398U KR200200074Y1 (ko) 2000-05-31 2000-05-31 트랙터용 개량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4Y1 true KR200200074Y1 (ko) 2000-10-16

Family

ID=19658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398U KR200200074Y1 (ko) 2000-05-31 2000-05-31 트랙터용 개량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30B1 (ko) * 2015-09-15 2017-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작물 혼작용 동시 파종장치
KR200486019Y1 (ko) 2017-01-17 2018-03-23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180002275U (ko)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7830B1 (ko) * 2015-09-15 2017-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작물 혼작용 동시 파종장치
KR200486019Y1 (ko) 2017-01-17 2018-03-23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KR20180002275U (ko) 2018-03-13 2018-07-25 영진기계주식회사 트랙터용 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65198A (zh) 一种清茬机构及水稻破茬免耕旱穴直播机
KR101363086B1 (ko) 배토기
CN201378918Y (zh) 一种起垄机具
KR200200074Y1 (ko) 트랙터용 개량쟁기
CN107409510A (zh) 一种深松整地联合作业机
CN105874938A (zh) 翻地深松机
JP2005269943A (ja) 複合耕耘装置
CN205213309U (zh) 半夏种植犁地起垄装置
CN204907022U (zh) 大培土施肥农机具
KR200384643Y1 (ko) 쟁기의 이중 보습
CN2407558Y (zh) 多功能开沟器
CN106817933A (zh) 一种秸秆还田深松机
JP2002369602A (ja) 複合耕耘作業機
CN208638923U (zh) 一种农用中耕机
CN208143749U (zh) 一种燕麦中耕机
CN220528494U (zh) 悬挂犁
CN2277621Y (zh) 松土暗灌施肥播种机
CN217564088U (zh) 一种荒漠梭梭栽植种机架
CN210610229U (zh) 一种铧式犁
CA1096686A (en) Soil contact tool
CN216960712U (zh) 一种新型起垄培土施肥一体犁
CN219205166U (zh) 一种拆卸式三点连接松土、平地联合耕作机
CN2566596Y (zh) 多用组合深松犁
CN218499524U (zh) 一种园林施工用松土装置
CN220023511U (zh) 整地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