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138A -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 Google Patents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6138A
KR20020006138A KR1020000039625A KR20000039625A KR20020006138A KR 20020006138 A KR20020006138 A KR 20020006138A KR 1020000039625 A KR1020000039625 A KR 1020000039625A KR 20000039625 A KR20000039625 A KR 20000039625A KR 20020006138 A KR20020006138 A KR 20020006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flow rate
distance
flow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2000003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6138A/ko
Publication of KR20020006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13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01F1/22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by variable-area meters, e.g. rota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에 관해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고 하단은 유로의 입구와 연통하며 상단은 유로의 출구와 연통하는 테이퍼 유로부를 갖는 본체와, 이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내에 수용되며 유량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로트와,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 상측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플로트까지의 거리와 유량간의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하여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로부터 유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거리측정기로 구성된다. 거리측정기는 테이퍼 유로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그와 플로트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레이저 또는 초음파 센서 등의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플로트간의 거리와 유량에 대한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측정신호를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의 유량을 산출하는 연산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량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할 수 있어 디지털 유량 제어 등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a float type area flow meter}
본 발명은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float type area flow met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로트의 수직 이동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를 구비하여 측정 유량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도록 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기체의 유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유량계는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중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유량계의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에 이용할 정도로 정밀도가 높아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이러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눈금(6)이 새겨진 테이퍼관(2)의 내부에 중량을 갖는 플로트(3)를 삽입하고 테이퍼관(2)의 하단과 상단에 유체의 입·출구(4)(5)를 형성한 구성이다. 이에 따라 테이퍼관(2) 하측의 입구(4)로 유체가 유입되면 플로트(3)의 상·하에 압력차가 발생하여 플로트(3)가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유체내에 있어서 그의 유효중량과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는데, 유체의 유통면적과 유량은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그 정지위치에 대응하는 테이퍼관(2)의 눈금(6)을 읽어 유량을 가시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1)는 유량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는 있지만, 유량측정 센서로서는 활용할 수가 없다. 즉, 근래의 유량제어는 컴퓨터 등을 통해 디지털로 제어되기 때문에 유량 제어시스템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유량 측정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생성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는 단순히 측정값을 가시적으로만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므로 유량 측정센서로 활용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거리측정기를 구비하여 유량에 따른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함으로써 유량을 보다 정확히 측정함과 동시에 측정 유량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유량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를 보인 외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거리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3의 플루우트와 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본체의) 유로
14: (유로의) 테이퍼 유로부 15: 플로트
20: 거리측정기 22: (거리측정기의)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
23: (거리측정기의) 커넥터 30: (거리측정기의) 연산기
31: (연산기의) A/D 변환기 33: (연산기의)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부
34: (연산기의) 비교부 35: (연산기의) D/A 변환기
36: (연산기의) 문자 변환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거리센서를 갖는 유량계는, 하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고, 하단은 유로의 입구와 연통하며 상단은 유로의 출구와 연통하는 테이퍼 유로부를 갖는 본체; 이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내에 수용되며, 유량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로트;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 상측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플로트까지의 거리와 유량간의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하여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로부터 유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거리측정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거리측정기는, 테이퍼 유로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그와 플로트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플로트간의 거리와 유량에 대한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측정신호를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의 유량을 산출하는 연산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량에 따른 플로트의 위치를 레이저 센서 등으로 측정하여 플로트의 위치에 따른 유량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유량제어에 간단히 채용할 수 있는 등 면적 유량계의 활용도 개선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100)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11)를 가지는 본체(10)와, 이 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유량을 측정하는 거리측정기(20)로 구성된다.
본체(10)의 유로(11) 중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 유로부(14)가 형성되는데, 이 테이퍼 유로부(14)는 유로(11)와 직교하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테이퍼 유로부(14)의 하단은 유로(11)의 입구(12)와 연통되고, 상단은 유로(11)의 출구(13)와 연통된다. 그리고, 본체(10)의 테이퍼 유로부(14) 내에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테이퍼형의 플로트(15)가 삽입된다. 이 플로트(15)는 유체가 흐르지 않을 경우 테이터 유로부(14)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유체가 흐를 경우에는 그 유량에 따라 테이퍼 유로부(14) 내에서 적정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거리측정기(20)는 케이싱(21)과, 테이퍼 유로부(14)의 상부에 위치되어 유량에 의해 부상한 플로트(15)의 위치를 측정하는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와, 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로부터 전기적인 측정신호를 입력 받아 그로부터 유량을 연산하여 출력하는 연산기(30)로 이루어진다.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는 그와 플로트(15)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주지의 레이저 센서나 또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와 본체(10)의 유로(11)간에는 기밀이 유지된다.
연산기(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측정신호를 입력 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31)와, 이 A/D 변환기(31)에서 출력된 디지털 측정신호의 전기적인 잡음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32)와,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와 플로트(15)간의 거리와 유량과의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는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부(33) 및 디지털 필터(32)를 거친 플로트 위치 측정신호를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의 유량을 산출하는 비교부(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측정 산출된 유량값은 그대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으나, 유량 제어시스템 등에 연결하기 위해 전류나 전압 또는 RS232 형태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연산기(30)는 비교부(34)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 변환기(35)와 문자 변환기(36)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케이싱(21)에는 D/A 변환기(35)와 문자 변환기(36)에서 변환된 유량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커넥터(23)가 구비된다.
한편,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부(33)에는 본체(10)의 테이퍼 유로부(14) 내변에 코팅된 재료의 특성과, 테이퍼 유로부(14)의 기울기와 길이, 플로트(15)의 중량, 그리고 유체와 플로트(15)의 마찰에 따른 실험치 등이 입력된다. 또한, 유량이 많이 흐르는 경우는 유량의 운동량과 압력이 커 플로트(15)의 상승높이가 커지기 때문에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에 의한 측정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유량이 적게 흐르는 경우는 반대로 플로트(15)가 하강하므로 센서(22)에 의한 측정거리가 길어지게 되는 바,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에 의한 측정거리와 유량은 도 4에 나타낸 그래프와 같은 관계를 가진다. 여기서, 유량이 어느 한계 이하 또는 이상으로 흐르면 플로트(15)의 위치와 유량과의 선형성이 깨지므로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부(33)에는 이를 충분히 고려한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가 입력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의 입구(12)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어 테이퍼 유로부(14)의 하단에 도달하면,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트(15) 상·하부의 압력차에 의해 플로트(15)가 테이퍼 유로부(14)의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에 따라 플로트(15)와 테이퍼 유로부(14)간의 간격을 통해 유체가 출구(13) 쪽으로 빠져 나간다. 이 때, 플로트(15)는 유체내에서의 유효중량과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테이퍼 유로부(14)내의 임의의 위치에 정지한 플로트(15)에대해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가 레이저나 초음파를 조사하여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22)와 플로트(15)간의 거리를 측정한 뒤, 그 측정값을 전기적인 신호로서 연산기(30)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아날로그 측정신호는 연산기(30)의 A/D 변환기(31)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바뀌고, 디지털 필터(32)에서 전기적인 잡음이 제거된 뒤 비교부(34)로 출력된다.
그러면, 비교부(34)는 입력된 디지털 측정신호를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부(33)에 저장된 데이타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현재의 유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유량값은 다시 D/A 변환기(35)와 문자 변환기(36)를 통해 전류 또는 전압 및 RS232의 형태로 변환된 뒤, 커넥터(23)를 통해 유량 제어시스템 등에 전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량에 따라 소정의 높이만큼 수직 이동된 플로트의 정지위치를 레이저 센서 등으로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기입력된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와 비교 연산함으로써 유량을 측정하게 되는 바, 단순히 테이퍼관의 눈금을 가시적으로 읽는 종래에 비해 정확한 유량 측정이 가능함은 물론 유량 측정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어 컴퓨터 등에 의한 디지털 유량 제어에 간단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하측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고, 하단은 유로의 입구와 연통하며 상단은 유로의 출구와 연통하는 테이퍼 유로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내에 수용되며, 유량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플로트;
    상기 본체의 테이퍼 유로부 상측에 장착되고, 그로부터 상기 플로트까지의 거리와 유량간의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상기 플로트의 위치를 측정하여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로부터 유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거리측정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기는,
    상기 테이퍼 유로부의 직상부에 위치하여 그와 플로트간의 거리를 측정하며, 측정값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상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플로트간의 거리와 유량에 대한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측정신호를 상기 거리-유량 관계 데이타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의 유량을 산출하는 연산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는, 상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로부터 입력된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와, 상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와 플로트간의 거리와 유량의 관계 데이타가 입력되는 거리-유량 데이타부와, 상기 A/D 변환기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기적 잡음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와, 상기 디지털 필터를 거친 측정값을 상기 거리-유량 데이타와 비교 연산하여 현재의 유량을 산출하는 비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기가, 상기 비교부에서 출력된 유량신호를 전류 또는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D/A 변환기와, 비교부에서 출력된 유량신호를 문자로 변환시키는 문자 변환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위치 측정센서는 레이저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KR1020000039625A 2000-07-11 2000-07-11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KR20020006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25A KR20020006138A (ko) 2000-07-11 2000-07-11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625A KR20020006138A (ko) 2000-07-11 2000-07-11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138A true KR20020006138A (ko) 2002-01-19

Family

ID=1967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625A KR20020006138A (ko) 2000-07-11 2000-07-11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61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882B1 (ko) 2016-01-15 2016-03-11 (주) 다인레벨 좁은 통로 통과형 면적식 유량계
KR101630301B1 (ko) 2015-12-31 2016-06-14 (주) 다인레벨 자기왜곡방식의 거리측정을 이용한 테이퍼관형 면적식 유량계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5562U (ko) * 1975-04-23 1976-11-01
JPS5410260U (ko) * 1977-06-24 1979-01-23
JPS5749811A (en) * 1980-09-09 1982-03-24 Toyo Seiki Kk Computing device for flow rate in area type flowmeter
JPS60162924A (ja) * 1984-02-03 1985-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検出装置
JPH074999A (ja) * 1992-12-28 1995-01-10 Gijutsu Kaihatsu Sogo Kenkyusho:Kk 面積流量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5562U (ko) * 1975-04-23 1976-11-01
JPS5410260U (ko) * 1977-06-24 1979-01-23
JPS5749811A (en) * 1980-09-09 1982-03-24 Toyo Seiki Kk Computing device for flow rate in area type flowmeter
JPS60162924A (ja) * 1984-02-03 1985-08-24 Mitsubishi Electric Corp 流量検出装置
JPH074999A (ja) * 1992-12-28 1995-01-10 Gijutsu Kaihatsu Sogo Kenkyusho:Kk 面積流量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301B1 (ko) 2015-12-31 2016-06-14 (주) 다인레벨 자기왜곡방식의 거리측정을 이용한 테이퍼관형 면적식 유량계
KR101602882B1 (ko) 2016-01-15 2016-03-11 (주) 다인레벨 좁은 통로 통과형 면적식 유량계
CN112083026A (zh) * 2019-06-12 2020-12-15 株式会社岛津制作所 自燃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273B1 (ko) 도관내의물질유동측정장치및방법
RU2451911C2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екающей в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магистрали среды
EP2028457A1 (en) Multi-vortex flowmeter integrating pressure gauge
WO2006008837A1 (ja) マルチ渦流量計
JPH0682281A (ja) 渦流量計
KR20020006138A (ko) 플로트형 면적 유량계
JPS6047973B2 (ja) 流量計
GB2177204A (en) Measurement of fluid flows
JP3929158B2 (ja) 流体残量計測装置
CN113167609A (zh) 用于测量在管道中流动的流体的流动参数的测量系统
CN206975065U (zh) 一种流速传感器
KR101089275B1 (ko) 비만관용 전자유량계
KR101630301B1 (ko) 자기왜곡방식의 거리측정을 이용한 테이퍼관형 면적식 유량계
KR20110060536A (ko) 유량측정방법
Sârbu Modern water flowmeters: Differential pressure flowmeters
KR101195491B1 (ko) 하이브리드형 가스 유량계
JP2005147682A (ja) 流量計及び流量計測法
JPH116748A (ja) 渦流量計
CN112857503B (zh) 一种小流量气体体积流量测量装置
US20240011806A1 (en) Flow measurement device
JP3252187B2 (ja) 流量計
RU240697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газа
RU2641505C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изме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расхода и количества газа
SU900117A1 (ru) Расходомер
JP3757009B2 (ja) 分流式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