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304A -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304A
KR20020005304A KR1020000039242A KR20000039242A KR20020005304A KR 20020005304 A KR20020005304 A KR 20020005304A KR 1020000039242 A KR1020000039242 A KR 1020000039242A KR 20000039242 A KR20000039242 A KR 20000039242A KR 20020005304 A KR20020005304 A KR 20020005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information
goods
store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넷전략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넷전략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넷전략연구소
Priority to KR102000003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5304A/ko
Publication of KR20020005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304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상점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전자상거래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소정의 사이트에서 광고시청을 통해 축적된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인터넷을 통한 쇼핑을 한 후 연계된 실제 매장에서 현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상의 공간에서 개인 상점을 개설하고 이 곳에서 개인이 팔고자 하는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타인의 물건과 물물교환도 가능하다. 또한, 경매 방식으로 물품을 판매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상점의 운용시스템{A management system for virtual market via interne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전자상거래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소정의 사이트에서 광고시청을 통해 축적된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인터넷을 통한 쇼핑을 한 후 연계된 실제 매장에서 현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거래는 '기업→도매상→소매상→소비자'라는 유통채널이 구축되고, 고객수요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의 영업사원이 필요하며,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판매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거래 방식은 거래지역이 일부지역으로 한정되고, 영업시간이 제한되며, 판매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 인터넷망을 이용한 쇼핑몰이 구축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있다. 즉, 유통채널이 '기업→소비자'로 단축되고, 거래지역 및 거래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판매거점이 가상공간(cyber space)으로 옮겨짐으로써 판매공간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EC)는 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해 상품 등을 사고 파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품 및 서비스 구매나 발주 광고활동 등이 모두 포함된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의 가장 큰 장점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기 때문에 직접 매장까지 나가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고, 거래대금은 주로 신용카드로 결제된다. 또한, 유통 비용이나 건물 임차료 등의 비용이 전혀 없고, 전세계 모든 인터넷 가입자가 잠재고객이란 점에서 첨단의 황금어장에 비유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전자상거래를 위하여 인터넷이나 PC통신망을 통해 대단위의 쇼핑몰이 성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터넷이 상용화 되어감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된 인터넷 쇼핑몰이 늘어가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의 인터넷사이트에는 다양한 배너광고나 상품의 아이콘 또는 링크버튼이 배치되어, 고객이 상기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클릭 하여 물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고, 해당물품이 필요할 경우,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인터넷쇼핑몰은 고객이 배너광고나 상품의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많이 클릭 할수록, 광고효과가 증대되므로, 고객이 상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커지며,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소정 금액의 현금이나,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소정의 마일리지포인트를 고객에게 지급하여, 고객이 흥미를 갖고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자주 클릭 하도록 유도하는 마일리지포인트 및현금지급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인터넷 쇼핑몰의 마일리지포인트 및 현금 지급 시스템은 물품을 판매할 때 발생되는 이익금의 일부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현금이나 마일리지포인트를 지급하므로, 지급할 수 있는 현금이나 마일리지 포인트가 한정되어 있는데 반해, 고객이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항상 일정한 액수의 현금이나 마일리지포인트를 지급하므로, 고객이 아이콘이나 링크버튼을 클릭할 때 지급되는 현금이나 마일리지포인트의 액수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많은 수의 아이콘 등을 클릭 해야만 어느 정도 사용 가능한 금액이 적립되므로, 대부분의 고객은 아이콘을 클릭 하는데 싫증을 느끼며, 따라서, 고객이 아이콘을 지속적으로 클릭 하도록 하기 위한 본래의 취지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객이 싫증을 느끼지 않고, 지속적으로 아이콘을 클릭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인터넷 사이트의 마일리지포인트 및 현금 지급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인터넷 광고를 통해 발생된 수익금으로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상점을 통해 전자상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버에서 자동 생성시키는 클라이언트의 가상 상점을통해 인터넷 마일리지 현금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 운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 운용시스템의 특징은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제어하는 로그-인 제어과정과, 통신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의 상점 개설요구 신호에 따라 개인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의 개인 홈페이지에 가상 상점을 개설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가상 상점을 통해 판매하고자하는 물품의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다수의 제3자가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정보를 보고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상점 개설한 판매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달하는 과정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품 구매자의 마일리지 정보를 읽어들여 물품 구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물품의 매매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의 마일리지 정보를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 운용시스템의 세부적 특징은 가상 상점에서 이루어지는 거래 물품이 오프라인(offline) 상의 쇼핑몰과 연계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 운용시스템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인터넷 광고를 통하여 발생된 마일리지를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상거래라는 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의 운용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가상상점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컴퓨터에서 각 클라이언트에게 무료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홈페이지에 개설되는 상점(이하 "My Market"이라 칭함)을 의미한다. 일반 전자상거래와 유사한 방식으로 모든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데, 특이한 점은 이 모든 상품을 무료로 돈 한푼 없이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에 통신수단을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가 광고 시청을 통해 마일리지를 누적하고, 그 마일리지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에서 물품을 쇼핑하고 이에 연계된 실질적 매장인 오프라인 상의 쇼핑몰에서 현물을 구매하는 형식이다. 또한, My Market에선 개인 누구에게나 상점을 만들어 주므로 개인은 자기만의 상점에서 개인이 팔고자 하는 물품을 올리고 상대방은 개인의 마일리지 현금으로 구매할 수도 있고, 개인이 가지고 있는 물품으로 흥정하여 교환할 수도 있게 된다.
배송문제와 안전화를 고려하여, 오프라인(offline) 상의 쇼핑몰이 My market과 인터넷에서 실시간 연동된다. 즉, 인터넷으로 구매를 하는 상품과 실질적 매장의 상품이 동일시되며, My Market에서 구매하고 지정된 쇼핑몰에 직접 가서 상품을 확인하고 찾아가면 된다.
일반 개개인이 중고품에 대해 사고 팔고자 할 때는 My Market에 접속하여 개인의 중고 물품의 화상정보를 업로드(upload)하고, 개인이 판매하려던 중고물품은 지정된 쇼핑몰에 제공된 공간에 개인이 직접 전시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의 운용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통신수단을 통해 서비스제공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로그-인(log-in)을 제어한다. 이때, 통상의 회원 인증과정 및 신규 가입 과정등이 포함되며, 클라이언트의 이름,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의 신상정보가 요구된다.(S1 과정)
통신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의 상점 개설요구 신호에 따라 개인 홈페이지를 제작한다. 이때, 클라이언트의 취향에 따라 홈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정보의 요구사항이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제공되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따라 홈페이지가 형성된다.(S2 과정)
이후, 개인 홈페이지가 형성된 클라이언트의 가상 상점을 개설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에도 홈페이지 제작과 유사하게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취득하여 가상 상점을 형성하고 해당 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송한다.(S3 과정)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가상 상점을 통해 판매하고자하는 물품의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전달받는다. 판매 희망 물품의 정보는 텍스트 정보 및 물품의 화상정보 등이 될 수 있다. 판매를 희망하는 클라이언트는 해당 물품을 지정된 쇼핑몰에 형성된 공간에 전시하게 된다. 이후, 인터넷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제3자가 취득할 수 있도록 공개한다. 공개 자료는 서비스 제공 서버의 게시판과 개인 가상 상점에 게시된다.(S4 과정)
상기 물품정보를 보고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상점 개설한 판매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달한다.(S5 과정)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품 구매자의 마일리지 정보를 읽어들여, 물품 구매 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판매희망 클라이언트 및 구매희망 클라이언트 컴퓨터에해당 정보를 전송한다.(S6 과정)
물품의 매매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의 마일리지 정보를 물품 대금에 맞게 수정하고 이와 동시에 판매 클라이언트의 마일리지 정보를 변경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는 온-라인 상에서의 마일리지 현금이 오프-라인 상에서 재화의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S7 과정)
온라인 상에서 물품 거래가 완료되면 구매희망 클라이언트는 지정된 쇼핑몰에 전시된 해당 물품을 확인하고 찾아가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물품의 현금 구매를 예로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물건 대 물건의 교환방식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 물품에 대하여 여러 구매희망 클라이언트가 존재할 때 경매의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상점은 모든 상품을 무료로 구매할 수 있으며, 타 사이트에서 적립한 마일리지를 이용할 수 있으며, 가상 공간에 자신만의 상점을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제어하는 로그-인 제어과정과,
    통신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클라이언트의 상점 개설요구 신호에 따라 개인 홈페이지를 제작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의 개인 홈페이지에 가상 상점을 개설하는 과정과,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상기 가상 상점을 통해 판매하고자하는 물품의 정보를 통신수단을 통해 전달받아, 다수의 제3자가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공개하는 과정과,
    상기 물품정보를 보고 구매를 희망하는 구매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상점 개설한 판매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전달하는 과정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품 구매자의 마일리지 정보를 읽어들여 물품 구매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물품의 매매가 이루어진 경우 해당 구매 클라이언트의 마일리지 정보를 판매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상점의 운용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거래는 판매 클라이언트와 구매 클라이언트의 물물 교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상점의 운용시스템.
KR1020000039242A 2000-07-10 2000-07-10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KR20020005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242A KR20020005304A (ko) 2000-07-10 2000-07-10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242A KR20020005304A (ko) 2000-07-10 2000-07-10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304A true KR20020005304A (ko) 2002-01-17

Family

ID=1967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242A KR20020005304A (ko) 2000-07-10 2000-07-10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5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954A (ko) * 2000-10-31 2001-01-05 장철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간 전자 상거래/보상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20012703A (ko) * 2000-08-08 2002-02-20 윤용 개인 경매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03A (ko) * 2000-08-08 2002-02-20 윤용 개인 경매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010000954A (ko) * 2000-10-31 2001-01-05 장철호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간 전자 상거래/보상을 위한 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0577B2 (en) Methods, systems, computer products, and website for progressive E-commerce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2002001428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가상구매 시스템
KR20010092953A (ko) 가격흥정을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12703A (ko) 인터넷을 이용한 마일리지포인트 거래시스템
KR20000063473A (ko) 광고를 이용한 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1056A (ko) 3차원 가상현실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상품 배치방법
KR100365585B1 (ko) 프리-원 온라인 쇼핑몰 운용방법
KR20150071073A (ko) 온라인 상에서 포인트 선구매를 통한 상품구매의 할인 및 그 방법
KR20020005304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
KR20010104102A (ko) 인터넷상에서의 쇼핑몰 시스템 및 쇼핑몰 구축방법
US20080275792A1 (en) Web Based Marketing Method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20020040223A (ko) 커뮤니티와 기업의 전자상거래를 매개하는 방법
KR20010016321A (ko) 판매가격 밀봉표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광고를 이용한구매가능여부 표시 방법
KR101680892B1 (ko) 개인형 홈페이지를 이용한 상품판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44738A (ko) 화상 카메라 및 사용자제작 컨텐츠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운영 방법
KR20000058305A (ko) 재고판매 전자상거래 방법
KR20080072107A (ko) 온라인 상품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59192A (ko) 네트워크 쇼핑
KR20010096625A (ko) 분양된 쇼핑몰의 통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488706B1 (ko) 아이디 연동을 통한 사용자 혜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30396A (ko) 광고비 낭비 없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KR20000049629A (ko) 반짝 세일 전자상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