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181A - 수질정화용 선박 - Google Patents

수질정화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181A
KR20020005181A KR1020000034068A KR20000034068A KR20020005181A KR 20020005181 A KR20020005181 A KR 20020005181A KR 1020000034068 A KR1020000034068 A KR 1020000034068A KR 20000034068 A KR20000034068 A KR 20000034068A KR 20020005181 A KR20020005181 A KR 20020005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essurized
chemical
tank
pressuriz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584B1 (ko
Inventor
주대성
Original Assignee
주대성
에스아이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 에스아이비(주) filed Critical 주대성
Priority to KR102000003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584B1/ko
Priority to KR2020000017598U priority patent/KR200205360Y1/ko
Publication of KR2002000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규모 저수지, 댐 및 바다에서 발생되는 녹조, 적조와 같은 조류, 부유물질과 질소, 인 등의 영양물질,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장치는 응집제를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가압수를 이용하여 플록을 부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하여 약품 및 가압수를 수계 내에서 분사시키고 플록을 수거 및 탈수, 저장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수질정화용 선박{A Water Purifier Ship}
본 발명은 대규모 저수지, 댐, 하천 및 바다에서 발생되는 조류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수질정화용 선박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자세히는 현장(in site)에서 응집약품(본 명세서에서 "응집제"라는 용어와 혼용함)을 투여하고 용존공기부상법(Dissolved Air Floatation:DAF)을 이용하여 조류 및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비료, 축산폐수,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 등에 포함된 질소, 인 등의 영양염류에 의한 수질악화로 인하여 강이나 호수에서는 녹조가, 해양에서는 적조가 발생하여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오폐수에 포함된 영양물질에 의하여 부영양화된 물은 조류의 번성을 야기시킨다. 조류가 수계 표면에 번성하면 광선의 투과를 막아 수중생물의 원활한 광합성을 막고, 수중의 산소용존률을 낮추어 수계의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한다.
부영양화에 의해서 발생하는 녹조 및 적조는 수중에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수중에 서식하는 어폐류를 폐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수원지에 적조 현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조류에 의한 이취미 문제가 발생하여 고도정수처리를 해야 하며, 과다한 염소 소독으로 맹독성 물질인 트리할로메탄(THM)이 형성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마다 봄과 가을 연례행사인 녹조 및 적조 발생에 의하여 매년 수백억원의피해가 발생되고 있어 획기적인 조류의 처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호수, 댐, 강 및 바다에 발생하는 녹조 및 적조 등의 조류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은 조류를 함유하는 물을 흡입하여 탈수에 의해 조류를 제거하거나 황토흙을 뿌려 침전시키는 방법(특허출원 제1998-13742호 참조)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방법은 대규모 면적에서 발생하는 녹조 및 적조를 일시적으로 처리하기는 하나 응집된 플록이 저면에 침강되어 하상이나 해저 생태계에 2차 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123407호는 조류제거선의 조류제거장치에 있어서 조류가 함유된 물을 흡입하여 선박으로 끌어올리면서 콘베이어 벨트에 의하여 조류는 이송시키고, 물은 콘베이어 벨트의 하부로 빠지도록 하여 조류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조류제거장치는 수면 위로 떠오른 조류의 제거에만 유용할 뿐 일반적으로 수중 1∼3m 사이에 대량 발생하는 조류를 제거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상기 장치는 콘베이어 벨트라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미세한 조류 및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특허출원 제1998-35437호는 적조를 함유하는 해수를 끌어올려 전기분해조에 위치시키고, 전기분해조의 양측에 양극과 음극을 형성하게 하여 전기분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해수 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전기분해 방식은 피처리수의 양이 늘어남에 따라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해양이나 대규모 호수에 대량발생하는 조류를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특허출원 제1998-40615호는 해상 양식어장 주변의 적조농도를 감지하여 적조가 발생되면 저층수를 이용하여 표층의 적조농도를 희석시키고, 어장의 빛을 차단하여 적조피해를 줄이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은 적조농도의 희석 및 적조의 확산을 막기 위한 것으로서 근본적으로 적조를 제거시키는 방법은 되지 못한다.
특허 제174365호는 부영양화된 호소수를 유입시키고, 응집약품조에서 응집제 주입과 급속교반을 시킨 후, 응결조로 이동하여 플록을 조대화하며, 부상조에서 가압수로 플록을 부상시키며, 이는 슬러지 저장조에서 가압수를 이용한 농축장치로 농축되고 탈수되어 처리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응집약품조, 응결조 및 부상조를 큰 함체에 형성하고, 이 함체를 부표를 이용하여 수계에 띄우는 것으로서 기동성이 부족하여 500m 이상의 폭과 3∼5k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광범위한 해양 적조의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일본 특개평 3-293090호는 선체 상에 전해장치를 구비하여 호소수를 정화하는 오수정화선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히는 전기분해조의 양측에 양극과 음극을 형성하게 하여 전기분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수중의 오염물을 제거하는 전기분해방식의 수질정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처리대상수의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 효율이 저하되어(공개특허공보 제1998-82153호의 표-1 참조) 해양이나 대규모 호수에 대량 발생하는 조류를 제거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또한, 전기분해에 의하여 형성된 플록은 후단의 트랩에 의해 회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로 플록은 자연상태에서 침강하게 되므로 트랩에 의해 회수되지 않은 일부 플록은 저면으로 침강하게 되므로 완전한 정수효과를 거둘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수, 하천 및 해양 등에서 발생하는 조류 및 오염물질 등을 별도의 처리조가 필요 없이 현위치에서(in site)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 출원인의 선특허출원 99-44715호를 개선시킨 것으로서 선박군 대신 하나의 선박으로 처리대상 수계를 구획하고, 처리대상수와 약품, 가압수의 반응을 원활히 하며, 오염물질과 물의 분리를 좀더 완벽하게 할 수 있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전방 안내판, 후방 안내판 부분의 확대도.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수 분사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
도 5는 가압수 제조장치 및 약품탱크 등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0: 바지선 11: 선상
12: 구동수단 13, 13': 수직판
20: 약품탱크 21: 약품펌프
22: 약품분사장치 30: 가압펌프
31: 에어컴프레서 32: 가압탱크
33: 가압수 분사장치 34: 고압 파이프
40: 플록수거장치 41: 플록저장조
51: 전방 안내판 52: 후방 안내판
61: 적층 분리판 70: 컨트롤 패널
71: 발전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응집제를 이용하여 조류 및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가압수를 이용하여 플록을 부상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를 구비한 선박, 바람직하게는 바지선을 이용하여 약품 및 가압수를 수계 내에서 분사시키고 플록을 수거 및 탈수, 저장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하단 양측면으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판을 구비한 선박의 선상에 응집약품탱크, 가압수 제조장치 등을 설치하고, 수면으로부터 1∼5m정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부유형 수중 구조물을 설치하되 선박의 진행방향에 맞추어 처리대상수를 약품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 쪽으로 안내하는 전후방 안내판과 약품 및 가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하고, 분사장치의 저면과 뒷쪽으로는 플록을 모을 수 있는 안내판을 설치하고 플록탈수장치 및 플록저장조를 선상에 위치시킨다.
좀더 자세히는, 본 발명의 수질정화용 선박은 응집약품을 저장하는 약품탱크,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응집약품을 약품분사장치로 공급하는 약품펌프, 처리대상수 또는 처리수를 가압탱크로 공급하는 가압펌프, 가압탱크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가압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물과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혼합, 용해시킨 가압수를 저장하는 가압탱크, 약품분사장치, 가압수 분사장치로 구성되어 응집약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가압수를 이용하여 플록을 부상시키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를 구비한 바지선의 양측 하단으로 수직판을 형성하고, 처리대상수를 응집약품 및 가압수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후방 안내판과, 수중에 상기 약품펌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응집약품을 조류 등의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수에 분사하는 약품분사장치 및 상기 가압탱크로부터 공기가 용존된 가압수를 토출시키는 가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장치, 선상 또는 바지선 후면에 플록저장조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판은 바람직하게는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를 함유하여 부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질정화용 선박의 구성과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류 및 오염물질 제거용 바지선(10)을 조류가 주로 서식하는 수계에 띄운다. 전원 및 응집약품을 저장하는 약품탱크(20),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응집약품을 약품분사장치로 공급하는 약품펌프(21), 피처리수 또는 처리수를 가압탱크로 공급하는 가압펌프(30), 가압탱크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31), 상기 가압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물과 상기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혼합, 용해시키고 용존공기를 함유하는 가압수를 저장하는 가압탱크(32)를 선상(11)에 위치시킨다. 상기 구성요소 장치들은 바지선 선상이 아닌 별도의 선박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또는 처리대상 수계의 면적이 넓지 않은 경우에는 연안 또는 하안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바지선은 프로펠러와 같은 구동장치(12)를 장착하여 운항 가능하도록 한다(도 2 참조).
바지선의 하단 양측으로는 수직판(13, 13')을 설치한다. 이 수직판(13, 13')은 가볍고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화플라스틱이 좋다. 이 수직판은 내부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시켜 부상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수직판은 부상 목적과 동시에 현장(in site) 수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 수계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바지선의 전방, 상기 수직판 사이에는 해수의 흐름에 견딜 수 있는 수중 구조물, 바람직하게는 철재 파이프로 된 구조물을 설치한다. 구조물에는 약품분사장치, 가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한다. 수중 구조물을 따로 설치하는 대신 약품분사장치, 가압수 분사장치 등을 노즐이 형성된 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가 운항됨에 따라 처리대상수는 전방 안내판(51) 및 후방 안내판(52)에 의하여 수중에 설치된 약품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 쪽으로 안내되어 흐르게 된다. 전방 안내판은 도 2와 같이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고, 바지선의 진행에 따라 조류 등을 함유한 물이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분사장치 쪽으로 유도되어 응집, 플록형성 및 부상이 잘 일어나도록 작용한다. 이때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는 상방 및/또는 전방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안내판은 도 2와 같이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의 하면과 이것으로부터 연장되어 후면 상단측으로 각을 형성함으로써 응집약품에 의하여 응집되어 형성된 플록이 수계 저면으로 침강하지 않고 가압수의 미세기포에 의하여 수면 쪽으로 원활히 상승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도 3 참조).
이때 응집약품의 공급 및 물과의 혼합공정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별도의 응집제 주입장치(또는 응집제 분사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응집약품을 저장하는 약품탱크로부터 원수급수관으로 약품펌프를 통하여 응집제를 공급해 준다(도 5 참조). 원수급수관은 원수 또는 처리수를 가압탱크로 공급하는 급수관을 말한다. 응집약품을 별도의 주입장치로 원수에 주입하고 교반시키는 공정 및 반응조(급속혼화조 및 플록형성조) 없이 원수급수관에 공급해 줌으로써 가압탱크 내에서 물과 공기의 격렬한 혼합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응집제 또한 가압수 내에 균질하게 분포되게 된다.
또는 응집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펌프를 가압탱크의 전단에 연결설치하는 대신 가압탱크의 후단, 가압수 분사장치의 전단에 연결설치할 수도 있다.
종래 가압부상법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응집제를 투여하여 플록을 형성시키기 위하여는 응집제 투여장치 외에도 급속혼화조, 완속혼화조(플록형성조)가 필요하고, 뿐만 아니라 수질의 변화, 교반속도, 혼화조에서의 체류시간 등에 따라 응집약품의 양을 정교하게 조절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인자들에 따라 약품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응집약품을 투여하였다 하더라도 플록이 전혀 형성되지 않거나 플록형성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장치에서와 같이 응집약품을 공급하는 약품펌프를 가압탱크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설치하고 가압수와 함께 수중으로 분사시키는 경우 별도의 급속혼화조, 완속혼화조가 필요하지 않아 설비비가 적게 소요되고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수질이라는 한가지 인자에 따라 응집약품의 투여량을 조절하면 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응집 및 플록형성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조류 및 수중 부유물질은 약품 분사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응집약품과 반응하여 플록을 형성한다. 응집약품의 주입은 약품탱크(20)로부터 약품펌프(21)를 이용하여 약품 분사장치(22)에서 응집제를 공급한다. 응집약품 분사에 의하여 형성된 플록은 용존공기의 미세기포에 의하여 부착되어 수계의 표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즉, 가압탱크(32)에 원수 또는 처리수의 일부를 가압펌프(30)를 통해 주입한 후 컴프레서(31)를 이용하여 물을 1기압 이상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4∼7기압으로 가압하여 수중에 용존공기를 충분히 포화시킨다. 가압수 분사장치(33)를 통하여 상기 용존공기가 포화된 가압수를 공급함으로써 미세공기방울을 발생시킨다. 가압수에 용존되어 있던 공기는 대기압 하로 급격히 방출됨으로써 미세한 공기방울을 형성하여 수중의 플록, 부유물질, 조류 등(이하 본 명세서에서 "플록"이라 함은 부상된 조류, 부유물질, 오염물질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됨)을 부착하고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된다. 즉, 응집약품에 의하여 형성된 플록은 가압수 분사장치(33)에서 분사되는 가압수에 의하여 생성되는 10∼100㎛ 가량의 미세 공기방울에 의하여 수면 위로 부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응집약품이 가압수 제조의 전단계나 후단계에 투입되므로 약품 분사장치(22)와 가압수 분사장치(33)는 별개로 설치되지 않고 동일한 장치를 통하여 응집약품과 가압수가 동시에 분사된다. 즉, 원수 또는 처리수의 일부를 끌어올려 가압탱크로 공급되는 물에 응집약품을 가하면 응집약품은 가압수 분사장치를 통하여 처리대상 수계에 고압으로 분사됨으로써 응집약품과 처리대상수 내의 조류 등이 혼화, 응집되어 플록을 형성하게 되며, 분사되는 가압수에 의하여 형성된 플록이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22, 33)는 필요에 따라 수면으로부터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깊이조절장치를 부가할 수도 있다. 즉, 조류가 대량으로 깊은 곳까지 번식한 경우에는 분사장치의 깊이를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응집 및 부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가압수 분사장치는 노즐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압수 분사장치는 한 개 이상 다수개의 분사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해수나 하천의 유속 및 바지선의 이동속도에 맞추어 앞뒤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 처리해야 할 부유물질 또는 조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가압수 분사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밸브를 통하여 노즐형의 가압수 분사장치를 작동시키는 경우 다수개의 노즐을 구비한 분사장치의 길이가 길어지면 밸브와 가까운 노즐에서는 난류가 발생된다. 그런데, 플록이 미세기포에 부착되어 부상되는 효율은 미세기포의 크기가 작을수록, 그리고 가압수의 압력이 높을수록 높아진다. 따라서, 난류의 발생으로 미세공기방울들이 서로 충돌하여 큰 공기방울을 형성하게 되면 가압수에 의한 오염물질 부착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압탱크로부터 다수의 밸브를 통하여 다수의 가압수 분사장치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도 1 참조).
또다른 방법으로는 밸브와 가까운 중앙부분의 관은 직경을 크게 형성시키고, 밸브와 멀리 떨어진 가장자리의 관은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난류를 방지함으로써 가압수의 오염물질 부착효율을 제고시키는 방법도 있다(도 4a,b 참조).
분사된 응집약품과 분사된 가압수에 의하여 형성된 플록은 수면으로 부상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후방 안내판의 후단에 다수개의 판재를 적층한 분리판을 부가하여 오염물질이나 조류가 물과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용이하게 부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판재에는 비중이 큰 물과 비중이 작은 오염물질이 각각 아래, 위로 통과하여 빠져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판재는 평면형상, 슬레이트 판재처럼 다수개의 골과 마루가 반복되는 형상 및 다수개의 골과 마루로 형성된 계란판 형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적층 분리판은 특히 처리대상수 내에 오일 등의 비중이 적은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 분리효율 즉, 제거효율을 훨씬 높일 수 있다.
부상된 플록은 플록흡입장치 또는 스크레이퍼 등의 플록수거장치(40)에 의해수거되고, 플록은 플록저장조(41)에 이송된다. 플록저장조는 선박이나 바지선의 후단에 설치된다.
또한, 플록수거장치 후단에 탈수장치를 부가하여 수거된 플록을 탈수시켜 플록저장조로 이송시키고 부유물질이 제거된 처리수를 수계로 환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탁도, pH, 알칼리도, 수온 등의 수질을 센서로 측정하여 필요한 응집약품의 양을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응집약품 주입 제어장치를 부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장치에는 가압수 분사 제어장치를 부가하여 탁도, pH 등의 수질을 측정하여 투입되는 응집제의 양이 다량이고 생성되는 플록이 많은 경우에는 다수의 가압수 분사장치를 작동시켜 처리효율을 높이고, 응집제의 양과 플록의 양이 작은 경우에는 작동되는 가압수 분사장치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소규모 호소 뿐만 아니라 댐에 의하여 생성된 대규모 호수 및 연안 바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호수, 하천 및 해양 등에서 발생하는 조류 및 오염물질 등을 별도의 처리조가 필요 없이 현위치에서(in site)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응집약품을 가압수 제조의 전단계 또는 직후단계에투입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응집 및 플록형성효율을 높였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를 유입시켜 별도의 처리조에서 처리하지 않고도 피처리 수계 내에서 수직판 및 전방안내판, 후방안내판을 이용하여 응집, 플록형성 및 가압부상효율을 높임으로써 효과적으로 조류 및 부유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압수 분사장치에 있어서 난류의 발생으로 가압수의 플록을 부상시키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Claims (5)

  1. 응집약품을 저장하는 약품탱크,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응집약품을 약품분사장치로 공급하는 약품펌프, 처리대상수 또는 처리수를 가압탱크로 공급하는 가압펌프, 가압탱크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 상기 가압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물과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혼합, 용해시킨 가압수를 저장하는 가압탱크, 약품분사장치, 가압수 분사장치를 포함하며 응집약품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응집하고, 가압수를 이용하여 플록을 부상시키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구동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양측 하단으로 수직판을 형성하고,
    처리대상수를 응집약품 및 가압수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방 및 후방 안내판과,
    수중에 상기 약품펌프를 통하여 공급되는 응집약품을 조류 등의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피처리수에 분사하는 약품분사장치 및 상기 가압탱크로부터 공기가 용존된 가압수를 토출시키는 가압수 분사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플록을 수거하는 플록수거장치, 상기 플록수거장치에 의해 수거된 플록을 저장하는 플록저장조를 선상 또는 바지선 후면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는 다수의 밸브 및 다수의 분사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 분사장치 및 가압수 분사장치는 밸브와 가까운 쪽은 직경을 크게 형성시키고, 밸브와 멀리 떨어진 쪽은 직경을 작게 형성하여 난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선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은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를 함유하여 부상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선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안내판의 후단에 적층 분리판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용 선박.
KR1020000034068A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KR10035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068A KR100352584B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KR2020000017598U KR200205360Y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068A KR100352584B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598U Division KR200205360Y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181A true KR20020005181A (ko) 2002-01-17
KR100352584B1 KR100352584B1 (ko) 2002-09-12

Family

ID=196728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598U KR200205360Y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KR1020000034068A KR100352584B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598U KR200205360Y1 (ko) 2000-06-21 2000-06-21 수질정화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53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13B1 (ko) * 2012-10-23 2014-09-03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조류제거용 선박
KR20180017673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에네트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이동식 녹조제거선
KR20180017662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에네트 양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이동식 녹조제거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807B1 (ko) * 2011-03-14 2011-10-10 김정한 부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호수,하천,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조류제거선 시스템 및 방법
KR101280430B1 (ko) 2011-07-25 2013-07-01 한국화학연구원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의 협잡물, 조류 및 부유물질의 연속적 동시 제거 장치
KR101897063B1 (ko) 2017-06-30 2018-09-10 주식회사 신도이엔브이 호소 수질 개선용 폭기장치의 자율 주행장치
KR102170671B1 (ko) * 2019-12-03 2020-10-28 한국스마트환경 주식회사 스마트 수질정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813B1 (ko) * 2012-10-23 2014-09-03 주식회사 에스디알앤디 조류제거용 선박
KR20180017673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에네트 초미세기포를 이용한 이동식 녹조제거선
KR20180017662A (ko) 2016-08-10 2018-02-21 주식회사 에네트 양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이동식 녹조제거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584B1 (ko) 2002-09-12
KR200205360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087B1 (ko) 하수의 총인 제거장치
KR101189746B1 (ko) 조류의 사전예방 및 신속제거를 위한 조류 제거선
US8075783B2 (en) Water remediation and biosolids colle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CN105948390B (zh) 漂浮式河道底部污染物去除及净化装置及方法
KR101271212B1 (ko) 호소 내 조류제거 및 수질정화 장치
KR101070807B1 (ko) 부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호수,하천,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조류제거선 시스템 및 방법
KR101371405B1 (ko) 조류수거방법
KR100319326B1 (ko) 하천수의 현위치 정화장치
KR101280430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의 협잡물, 조류 및 부유물질의 연속적 동시 제거 장치
KR100989213B1 (ko) 반응/응집/중화조가 필요없는 미세 기포에 의한 고도처리 부상분리장치 및 방법
KR100352584B1 (ko) 수질정화용 선박
JP2010264384A (ja) アオコの除去方法
KR20140105150A (ko) 다목적 해양오염 방제선
KR101164660B1 (ko) 저수지 및 연못 수질정화를 위한 용존공기부상 처리시스템
KR100292427B1 (ko) 조류 및 부유물질 제거 장치
KR100292426B1 (ko) 이동식 수질 정화장치
JP3939664B2 (ja) 湖沼などの浄化方法及びその浄化システム
KR101913754B1 (ko) 침전조 및 부상 분리조를 포함하는 일체형 고액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방법
KR200212210Y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114195240A (zh) 近海赤潮清理装置及船
KR100330493B1 (ko) 취수구의 수질 정화장치
CN101054211A (zh) 能防治水华爆发及水体富营养化的水-藻自体循环站
KR101639072B1 (ko)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JPH09118291A (ja) 水系の浄化船
KR20200051298A (ko) 퇴적물내 유해조류의 휴먼포자 및 오니 제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