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405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056A
KR20020004056A KR1020000037256A KR20000037256A KR20020004056A KR 20020004056 A KR20020004056 A KR 20020004056A KR 1020000037256 A KR1020000037256 A KR 1020000037256A KR 20000037256 A KR20000037256 A KR 20000037256A KR 20020004056 A KR20020004056 A KR 2002000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lder
contact
printed circui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달
Original Assignee
김종곤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곤,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filed Critical 김종곤
Priority to KR102000003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056A/ko
Priority to KR2020000018778U priority patent/KR200205554Y1/ko
Priority to JP2001195959A priority patent/JP2002094630A/ja
Priority to US09/896,336 priority patent/US20020009207A1/en
Priority to TW090117046A priority patent/TW511390B/zh
Publication of KR2002000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05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4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마이크로폰의 접속기술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와이어로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할때 용접작업이 필요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이 소형으로서 내장형을 이루는 관계로 와이어의 용접작업이 상당히 어려울뿐만 아니라 그 용접의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은 물론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더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한 와이어의 용접부위 불량이 발생할수 있고, 이때 상기 불량이 발생된 용접부위를 다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그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보호하는 고무재질의 홀더에 전도성을 갖는 접점부를 형성한 후 접점부를 통해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와이어를 용접으로 고정하지 않고도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을 간편하게 진행하여 제품에 대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주변부품과의 간섭은 물론 접속불량으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Connection method for microphone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예: 핸드폰, 무전기 등)에 내장되는 마이크로폰의 접속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된 마이크로폰의 장착작업을 손쉽게 하면서 인쇄회로기판과의 회로적인 접속이 간섭저항없이 간편하게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예: 핸드폰이나 무전기 등)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이 내장되는데, 상기 마이크로폰은 제품의 내부에서 흔들리거나 그 이탈이 일어나지 않도록 고무재질의 홀더(holder)로 덮혀진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에 형성된 보스부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폰은 인쇄회로기판과 와이어를 매개로 하여 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고정은 용접을 통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이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 그 접속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작업성 또한 현저하게 저하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을 와이어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와이어를 용접으로 고정하여야 하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로 하며, 이때 상기 마이크로폰이 소형으로서 내장형을 이루는 관계로 와이어의 용접작업이 상당히 어려울뿐만 아니라 그 용접의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은 물론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더불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한 와이어의 용접부위 불량이 발생할수 있고, 이때 상기 불량이 발생된 용접부위를 다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지만 그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일반적으로 용접부위에 다시 용접을 하는 경우 그 용접으로 인한 접착이 제대로 되지 않음)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폰을 보호하는 고무재질의 홀더에 전도성을 갖는 원형의 접점부를 형성한 후 그 접점부를 통해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와이어를 용접으로 고정하지 않고도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을 간편하게 진행하여 제품에 대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주변부품과의 간섭은 물론 접속불량으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이크로폰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홀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마이크로폰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홀더 및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 홀더의 구조를 보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홀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도 8의 B-B'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인쇄회로기판 1a,1b; 제 1 및 제 2 접점부
2 ; 마이크로폰 2a,2b; 제 3 및 제 4 접점부
3 ; 보스부 10; 홀더
11; 원형 개구부 12a,12a',12a"; 제 5 접점부
12b,12b'12b"; 제 6 접점부 13; 쿠션부
100; 전면케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마이크로폰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홀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마이크로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되는 홀더 및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쇄회로기판(1)과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도록 마이크로폰(2)이 보스부(3)에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의 일면에는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1 접점부 (1a)와 그 중앙의 제 2 접점부(1b)를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폰(2)의 일면에는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3 접점부 (2a)와 그 중앙의 제 4 접점부(2b)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폰(2)은 고무재질로서 원통형을 이루는 홀더(10)에 삽입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 전면케이스(100)의 하단면에 형성된 보스부(3)로 그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홀더(10)의 하단면은 삽입된 마이크로폰(2)으로 통화자의 음성이 송입될수 있도록 원형의 개구부(11)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전부위로서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형링 형태의 제 5 접점부(12a) 및 그 중앙의 제 6 접점부(12b)를 내외측으로 연통되게 동일평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의 둘레에는 후면케이스(도시하지 않음)의 밀착시 완충작용을 하면서 제 1 및 제 2 접점부(1a)(1b)와 제 5 및 제 6 접점부 (12a)(12b)의 접점동작을 안내하는 쿠션부(13)를 형성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홀더(10)의 상면 비도전부위(P)는 경질로 하고 그 내외측에 형성된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의 도전부위는 연질로 성형하므로서, 제 1 내지 제 4 접점부(1a)(1b)(2a)(2b)가 접촉시 소정의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접속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도 6은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접속방법을 보인 공정도로서,
도전부위인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와 비도전부위(P)로 상면이 구분되는 홀더(10)에 제 3 및 제 4 접점부(2a)(2b)를 갖는 마이크로폰(2)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 부터 홀더(10) 상면의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 내측에 마이크로폰(2)의 제 3,4 접점부(2a)(2b)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 부터 마이크로폰(2)이 삽입된 홀더(10)를 이동통신 단말기 전면케이스(100)의 하단면 보스부(3)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스부(3)로 삽입이 이루어진 홀더(10)의 상면 외측으로 인쇄회로기판 (1)을 올린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케이스를 전면케이스(100)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후면케이스의 밀착 압력으로 부터 홀더(10)의 상면 내외측으로 연통된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의 외측면에 인쇄회로기판(1)의 제 1,2 접점부(1a) (1b)를 접점시켜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전기적인 접속이 완료시키는 단계; 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의 일면에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1 접점부(1a)와 그 중앙의 제 2 접점부(1b)를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폰(2)의 일면에도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3 접점부(2a)와 그 중앙의 제 4 접점부(2b)를 형성하여 둔다.
이후, 상기 마이크로폰(2)은 고무재질로서 원통형을 이루는 홀더(10)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마이크로폰(2)이 삽입된 홀더(10)를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 (100)의 하단면에 형성된 보스부(3)에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3)로 삽입이 이루어진 홀더(10)의 상면 외측으로 인쇄회로기판(1)을 올려놓으면, 상기 홀더(10)의 상면둘레에 형성된 쿠션부(13)가 인쇄회로기판(1)과 접촉하게 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케이스를 전면케이스(100)와 결합시키면, 상기 후면케이스의 밀착압력으로 부터 상기 홀더(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쿠션부 (13)는 완충작용하면서 압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쿠션부(13)의 압착으로 부터 홀더(10)의 상면에 내외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에는 인쇄회로기판(1)의 제 1 및 제 2 접점부(1a)(1b)와 마이크로폰(2)의 제 3 및 제 4 접점부(2a)(2b)가 접촉하면서 전기적인 접점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홀더(10)의 상면에서 비도전부위(P)는 경질이고 그 내외측에 형성된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의 도전부위는 연질로 성형되어 있는 바,
상기의 압착으로 부터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으로 내외측에서 접점동작을 하는 마이크로폰(2)의 제 3 및 제 4 접점부(2a)(2b)와 인쇄회로기판(1)의 제1 및 제 2 접점부(1a)(1b)는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를 소정의 압력으로 밀면서 그 접점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10)의 하단면에는 원형의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홀더(10)로 삽입되어 있는 마이크로폰(2)으로 통화자의 음성이 송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로서, 도 7은 홀더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이다.
즉, 도 7은 홀더(10)의 상면 내외측에 형성되는 제 5 및 제 6 접점부(12a') (12b')를 홀더(10)의 상면과 서로 다른 단차를 갖도록 내외측으로 돌출시킨 구조로서,
상기와 같이 제 5 및 제 6 접점부(12a')(12b')를 내외측에서 돌출시키면,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전기적인 접속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짐을 알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실시예로, 도 8은 홀더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 이다.
즉, 도 8 및 도 9는 홀더(10)의 상면 내외측으로 반원을 이루면서 대향된 제 5 접점부(12a") 및 그 중앙으로 제 8 접점부(12b")를 형성시킨 구조로서, 이는 인쇄회로기판(1)과 마이크로폰(2)의 전기적인 접속시 발생될수 있는 잡음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마이크로폰을 보호하는 고무재질의 홀더에 전도성을 갖는 원형의 접점부를 형성한 후 그 접점부를 통해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종래에서와 같이 와이어를 용접으로고정하지 않고도 마이크로폰과 인쇄회로기판의 접속을 간편하게 진행하여 제품에 대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키면서 그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주변부품과의 간섭은 물론 접속불량으로 인한 제품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도전부위인 제 5,6 접점부와 비도전부위로 상면이 구분되는 홀더에 제 3,4 접점부를 갖는 마이크로폰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 부터 홀더 상면의 제 5 및 제 6 접점부 내측에 마이크로폰의 제 3,4 접점부를 접속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 부터 마이크로폰이 삽입된 홀더를 이동통신 단말기 전면케이스의 하단면 보스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스부로 삽입이 이루어진 홀더의 상면 외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올린 후,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케이스를 전면케이스와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후면케이스의 밀착 압력으로 부터 홀더의 상면 내외측으로 연통된 제 5,6 접점부의 외측면에 인쇄회로기판의 제 1,2 접점부를 접점시켜 인쇄회로기판과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접속을 완료시키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2.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음성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도록 마이크로폰이 보스부에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는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1 접점부와 그 중앙의 제 2 접점부를 형성하고, 상기 마이크로폰의 일면에는 도전부위로서 원형링 형태의 제 3 접점부와 그 중앙의 제 4 접점부를 형성하며,
    상기 마이크로폰은 고무재질로서 원통형을 이루는 홀더에 삽입된 후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하단면에 형성된 보스부로 그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홀더의 하단면은 삽입된 마이크로폰으로 통화자의 음성이 송입될수 있도록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과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도전부위로서 커넥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원형링 형태의 제 5 접점부 및 그 중앙의 제 6 접점부를 내외측으로 연통되게 동일평면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5 및 제 6 접점부의 둘레에는 후면케이스의 밀착시 완충작용을 하면서 제 1 및 제 2 접점부와 제 5 및 제 6 접점부의 접점동작을 안내하는 쿠션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및 제 6 접점부를 홀더의 상면과 서로 다른 단차를 갖도록 내외측으로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접점부는 반원으로 복수개를 대향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면 비도전부위는 경질로 하고 그 내외측에 형성된 제 5,6 접점부의 도전부위는 소정의 압착이 가능한 연질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KR1020000037256A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KR20020004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256A KR20020004056A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KR2020000018778U KR200205554Y1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JP2001195959A JP2002094630A (ja) 2000-06-30 2001-06-28 移動通信端末機のマイクロホンの接続方法及びその接続構造
US09/896,336 US20020009207A1 (en) 2000-06-30 2001-06-28 Connection method for microphone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TW090117046A TW511390B (en) 2000-06-30 2001-07-12 Connection method for microphone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 unit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7256A KR20020004056A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78U Division KR200205554Y1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056A true KR20020004056A (ko) 2002-01-16

Family

ID=196754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78U KR200205554Y1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KR1020000037256A KR20020004056A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방법 및 그 접속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778U KR200205554Y1 (ko) 2000-06-30 2000-06-30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09207A1 (ko)
JP (1) JP2002094630A (ko)
KR (2) KR200205554Y1 (ko)
TW (1) TW5113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63B1 (ko) * 2005-08-2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294668B1 (ko) * 2006-12-27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0144B2 (ja) * 2004-12-13 2012-01-2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マイクホルダ
US20070235502A1 (en) * 2006-03-30 2007-10-11 Chien-Chin Hsiao Condenser Microphone
US9290380B2 (en) 2012-12-18 2016-03-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Reducing MEMS stiction by deposition of nanoclusters
CN108650819B (zh) * 2018-04-26 2020-09-22 歌尔股份有限公司 发声装置模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42U (ko) * 1996-11-23 1998-08-05 유기범 콘덴서 마이크 조립구조
KR19990029448A (ko) * 1997-09-03 1999-04-26 미야사카 가츠로 캐패시터 마이크로폰용 일체형 홀더-커넥터
KR19990063013A (ko) * 1997-12-26 1999-07-26 니시히라 토시히로 홀더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0442A (ko) * 1998-07-31 2000-02-15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 홀더
KR20000012565A (ko) * 1999-12-13 2000-03-06 김종규 콘덴서 마이크로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642U (ko) * 1996-11-23 1998-08-05 유기범 콘덴서 마이크 조립구조
KR19990029448A (ko) * 1997-09-03 1999-04-26 미야사카 가츠로 캐패시터 마이크로폰용 일체형 홀더-커넥터
KR19990063013A (ko) * 1997-12-26 1999-07-26 니시히라 토시히로 홀더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0442A (ko) * 1998-07-31 2000-02-15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 홀더
KR20000012565A (ko) * 1999-12-13 2000-03-06 김종규 콘덴서 마이크로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63B1 (ko) * 2005-08-26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KR101294668B1 (ko) * 2006-12-27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폰이 내장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554Y1 (ko) 2000-12-01
TW511390B (en) 2002-11-21
US20020009207A1 (en) 2002-01-24
JP2002094630A (ja)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0157B2 (en) Communications terminal
US6511329B2 (en) Waterproof connector apparatus
KR100664357B1 (ko) 배면단자를 가진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120037689A (ko) 마이크로폰 장치
EP1699258B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holder
US8369559B2 (en) Speaker assembly
KR200205554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 구조물
JP2007096843A (ja) 携帯端末装置
JPH0983623A (ja) 接話型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KR20024698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폰 접속구조
KR200317235Y1 (ko) 휴대폰 밧데리의 단자 설치구조
KR10026753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마이크 홀더
KR200293414Y1 (ko) 이어폰 소켓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KR100551698B1 (ko) 스피커 내장형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
KR100350697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하울링 방지장치 및 방법
KR200226320Y1 (ko) 휴대전화기의 마이크 장착구조
KR200160630Y1 (ko) 콘덴서 마이크 조립구조
KR200223445Y1 (ko) 이어폰 잭
KR200187402Y1 (ko) 코어레스 모터의 접점구조
JP3531261B2 (ja) スピーカ
KR200280041Y1 (ko) 3극 및 4극 겸용 이어폰 소켓
KR1011256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에프 신호 접속구
KR100442951B1 (ko) 유선전화기의 후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